맨위로가기

수취인불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취인불명은 1970년대 미군 부대가 주둔한 마을을 배경으로, 흑인 미군과 한국인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창국과 그의 가족, 그리고 주변 인물들의 고독과 소외를 그린 영화이다. 창국의 어머니는 미국으로 떠난 남편에게 편지를 보내지만, '수취인불명'으로 돌아오고, 창국은 혼혈이라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하며 힘겨운 삶을 살아간다. 영화는 김기덕 감독의 연출과 서정민 촬영감독의 영상미를 통해 인물들의 황량한 현실을 묘사하며,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신인남우상, 각본상, 대종상 여우조연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기덕 (1960년) 감독 영화 - 실제상황
    김기덕 감독의 1998년 영화 《실제상황》은 마로니에 공원 화가 김한식의 고독한 삶과 내면의 갈등을 다루며, 다중 감독 체계로 제작되었다.
  • 김기덕 (1960년) 감독 영화 - 사마리아 (영화)
    사마리아는 2004년에 개봉한 김기덕 감독의 영화로, 매춘을 하는 두 10대 소녀의 이야기를 다루며, 제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했다.
  • 드라마 영화 - 제불찰씨 이야기
    TV 생방송 재판에서 사형 여부가 결정되는 거미 제불찰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제불찰씨 이야기는 어린 시절 누나와의 기억을 쫓으며 사건에 휘말리는 제불찰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엄상현, 조현정 등의 성우진이 참여했고 관련 학술 논문도 존재한다.
  • 드라마 영화 - 내 사랑 내 곁에 (영화)
    2009년에 개봉한 영화 《내 사랑 내 곁에》는 박진표 감독이 연출하고 하지원과 김명민이 주연을 맡아 루게릭병 환자와 그를 사랑하는 여자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주요 영화제에서 주연 배우들이 연기력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 2001년 영화 - A.I.
    A.I.는 스탠리 큐브릭이 구상하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연출한 2001년 SF 영화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자원 고갈을 배경으로 인간의 사랑을 갈망하는 소년형 로봇 데이비드의 이야기를 다룬다.
  • 2001년 영화 - 고 (2001년 영화)
    재일 한국인 고등학생 스기하라의 삶과 사랑, 친구의 죽음을 통해 재일 한국인의 정체성 문제와 일본 사회의 차별을 그린 일본-한국 합작 영화 《고》는 2001년 개봉 후 작품성을 인정받아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수취인불명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수취인불명
영어 제목Address Unknown
감독김기덕
제작자이승재
각본가김기덕
주연양동근
반민정
방은진
조재현
미치 말렘
촬영 감독서정민
편집자함성원
음악박호준
배급사튜브 엔터테인먼트
개봉일2001년 6월 2일
상영 시간117분
제작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스태프
미술김기덕
의상전홍주
조명신준하
무술감독(정보 없음)
기타
영화 등급KMRB: 18세 관람가
MDA: R21
BBFC: 18
IMDb ID0284815

2. 줄거리

1970년대 말, 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는 한 마을 입구의 버스에는 양공주였던 창국 엄마가 혼혈 아들 창국과 단둘이 살면서 미국에 간 흑인 남편에게 끊임없이 편지를 쓴다. 그러나 편지는 늘 '수취인불명' 도장이 찍혀서 돌아온다. 개장수 개눈은 창국 엄마에 대한 연정으로 그들 모자를 돌본다. 창국은 '혼혈아'라는 이유로 사람들에게 따돌림을 받아 개눈 밑에서 개를 잡으며 생활한다.

어렸을 때 다친 눈 때문에 폐쇄적인 성격인 은옥은 화방에서 일하는 지흠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눈을 고쳐주겠다는 미군 제임스에게 몸을 준다. 개눈은 자기 어머니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창국에게 가혹하게 대한다.

1970년대, 미군 기지가 있는 대한민국의 어느 마을. 흑인 미군 병사와 혼혈인 창국(양동근)은 개 상인의 일을 도우며 어머니와 단둘이 살고 있다. 어머니는 미국으로 돌아간 창국의 아버지에게 아들의 사진을 동봉한 편지를 보내지만, 편지는 '수취인 불명' 도장이 찍혀 돌아온다. 장난감 총으로 오른쪽 눈을 실명한 우녹(방은진)은 한국 전쟁에서 전사한 아버지의 연금과 어머니의 부업으로 생활하고 있다. 미군을 상대로 초상화 전문점을 운영하는 아버지를 둔 지흠(김영민)은 아버지의 가업을 돕는다.

3. 등장인물

wikitext


  • 창국: 양동근
  • 은옥: 반민정
  • 지흠: 김영민
  • 개눈: 조재현
  • 창국 모: 방은진
  • 지흠 부: 명계남
  • 제임스: 밋츠 마럼(Mitch Mahlum)
  • 놈 1: 조명연
  • 놈 2: 김상원
  • 충호: 손민석
  • 은옥 모: 이인옥
  • 형사: 고용하
  • 동네어른: 김건호, 엄동환, 기연호
  • 면직원: 최진홍
  • 가게여주인: 권남희
  • 공사감독: 양승병
  • 인부 1: 김진만
  • 인부 2: 김정호
  • 인부 3: 신삼봉
  • 우체부: 김형찬
  • 개 주인: 김태영
  • 하우스주인: 박통일
  • 하우스여주인 :전성애
  • 사복경찰: 구본석
  • 어린 은옥:나혜미
  • 어린 충호:김준용
  • 아이들:이홍욱, 윤종환, 김정환, 손지은
  • 경찰 1:오정세
  • 경찰 2:이동준
  • 소대장:숀 호스킨스(Sean Hoskins)

3. 1. 주요 인물

3. 2. 주변 인물


  • 창국: 양동근
  • 은옥: 반민정
  • 지흠: 김영민
  • 개눈: 조재현
  • 창국 모: 방은진
  • 지흠 부: 명계남
  • 제임스: 밋츠 마럼(Mitch Mahlum)
  • 놈 1: 조명연
  • 놈 2: 김상원
  • 충호: 손민석
  • 은옥 모: 이인옥
  • 형사: 고용하
  • 동네어른: 김건호, 엄동환, 기연호
  • 면직원: 최진홍
  • 가게여주인: 권남희
  • 공사감독: 양승병
  • 인부 1: 김진만
  • 인부 2: 김정호
  • 인부 3: 신삼봉
  • 우체부: 김형찬
  • 개 주인: 김태영
  • 하우스주인: 박통일
  • 하우스여주인 :전성애
  • 사복경찰: 구본석
  • 어린 은옥:나혜미
  • 어린 충호:김준용
  • 아이들:이홍욱, 윤종환, 김정환, 손지은
  • 경찰 1:오정세
  • 경찰 2:이동준
  • 소대장:숀 호스킨스(Sean Hoskins)

4. 제작진


  • 배급: 튜브 엔터테인먼트
  • 제작: 이승재
  • 공동제작: 김기덕 필름
  • 제작지원: 영화진흥위원회
  • 기획: 김소희
  • 프로듀서: 김상근
  • 각본/감독: 김기덕
  • 촬영감독: 서정민
  • 조명감독: 신준하
  • 동시녹음: 안상호
  • 믹싱: Wave Lab
  • 편집: 함성원
  • 음악: 박호준
  • 미술: 김기덕
  • 소품: 정민영
  • 특수분장: 윤예령
  • 세트: 오상만
  • 의상: 전홍주
  • 분장: 신은진
  • 조감독: 허성욱, 조인호
  • 특수효과: CINE FX
  • 사운드수퍼바이저: 이승철
  • 제작사: LJ필름(주)

5. 영화 속 상징과 주제

김기덕의 연출은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 그의 영상은 마을 사람들의 황량한 주변 환경을 포착한다. 서정민의 촬영은 영화를 지저분하고 차갑게 보이게 한다. 아름다운 것은 거의 없으며, 색상은 흐릿하다. 김기덕은 작품 내에서 은유를 사용한다. 장면은 문 뒤에서 계속되거나, 비닐 시트, 나뭇가지, 철망 울타리에 의해 가려진다. 많은 부분이 멀리서 펼쳐지는데, 등장인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그들이 알든 모르든 이 장소에 갇혀 있다.[1]

6. 평가

김기덕의 연출은 시종일관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다.[1] 영상은 마을 사람들의 끊임없이 황량한 주변 환경을 포착하고 있으며, 서정민의 촬영을 통해 습하고 더러운 땅을 질질 끌고 다니다가 처리된 것처럼 지저분하고 차갑게 보인다.[1] 아름답거나 그림 같은 것은 거의 없으며, 색상 팔레트는 차분하고 흐릿한 느낌을 풍긴다.[1]

작품 내에서 은유의 강한 감각이 유지되고 있다. 장면은 문 뒤에서 계속되거나, 비닐 시트, 나뭇가지 또는 철망 울타리에 의해 가려지기도 하고, 많은 부분이 멀리서 펼쳐진다.[1] 등장인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그들이 알든 모르든 이 장소에 갇혀 있다.[1]

7. 수상 내역


이 영화는 일반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김기덕의 연출은 시종일관 훌륭하다. 그의 영상은 마을 사람들의 끊임없이 황량한 주변 환경을 포착한다. 서정민의 촬영을 통해, 이 영화는 마치 습하고 더러운 땅을 질질 끌고 다니다가 처리된 것처럼 지저분하고 차갑게 보인다. 아름답거나 그림 같은 것은 거의 없으며, 색상 팔레트는 차분하고 흐릿한 느낌을 풍긴다. 또한, 그는 작품 내에서 은유의 강한 감각을 유지한다. 종종 장면은 문 뒤에서 계속되거나, 비닐 시트, 나뭇가지 또는 철망 울타리에 의해 가려진다. 또한 많은 부분이 멀리서 펼쳐진다. 이 등장인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그들이 알든 모르든 이 장소에 갇혀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