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홈
search
맨위로가기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시상 부문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의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11]
부문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촬영상 음악상 기술상(미술) 신인감독상 신인남우상 신인여우상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10대영화상 공로영화인상 신인평론상 독립영화지원상
2013년 제33회 시상식에서는 이정재가 ''관상 '', ''신세계 ''로 CJ CGV 스타상을 수상했다. 2015년 제35회 시상식에서는 안성기 가 특별 공로패를 받았다. 신인평론상은 2009년 29회 안승범, 박우성, 2010년 30회 이지현, 2011년 31회 윤성은, 2012년 32회 이대연, 2013년 33회 성진수, 이수향, 2014년 34회 송아름, 2015년 35회 문성훈, 2018년 38회 조한기 [4] , 2021년 41회 정우성 [6] , 2022년 42회 김현승 [7] 이 수상했다.
3. 역대 수상
진영미
《칠수와 만수 》 《고독한 밤, 뜨거운 밤》 특별상(공로부문) 김소동
== 1990년대 == 1990년 제1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는 《청송행》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두용 감독은 이 작품으로 감독상을 받았으며, 박중훈 은 《우묵배미의 사랑 》으로 남우주연상을, 강수연 은 《아제 아제 바라 아제》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1년 제11회에서는 《검은 깃발의 땅》이 최우수 작품상을, 박광수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다. 이영하는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로 남우주연상을, 이혜숙 은 《은마는 오지 않는다 》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2년 제12회에서는 《경마장 가는 길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장선우 )을 수상했다. 문성근 은 같은 작품으로 남우주연상을, 윤정희는 《꽃잎》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3년 제13회에서는 《서편제 》가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임권택 ), 남우주연상(김명곤 )을 휩쓸었다. 심혜진 은 《결혼이야기》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4년 제14회에서는 《화엄경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장선우 )을 수상했다. 안성기 는 《투캅스 》로 남우주연상을, 김서라 는 《두 여자 이야기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5년 제15회에서는 《영원한 제국 》이 최우수 작품상을, 유현목 감독이 《엄마, 별 그리고 바다 해마》로 감독상을 받았다. 안성기 는 《영원한 제국 》으로 남우주연상을, 최명길은 《장미빛 인생》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6년 제16회에서는 《축제》가 최우수 작품상을, 박철수 감독이 《내 사랑 내 곁에》로 감독상을 받았다. 안성기 는 《축제》로 남우주연상을, 방은진 은 《301, 302》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7년 제17회에서는 《초록 물고기》가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감독상은 수상자가 없었으며, 한석규 는 《초록 물고기》로 남우주연상을, 김선재는 《시간이 남는다》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8년 제18회에서는 《8월의 크리스마스 》가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허진호 )을 수상했다. 송강호 는 《넘버 3 》으로 남우주연상을, 심은하 는 《8월의 크리스마스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9년 제19회에서는 《내 마음의 고향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이광모 )을 수상했다. 이정재는 《태양은 없다 》로 남우주연상을, 이미숙 은 《정사》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 2000년대 == 2000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각 부문별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부문 수상자 작품 2000 최우수 작품상 《박하사탕 》 감독상 이창동 《박하사탕 》 남우주연상 박중훈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여우주연상 전도연 《해피엔드 》 신인감독상 정지우 《해피엔드 》 신인남우상 설경구 《박하사탕 》 신인여우상 김민선, 박예진 , 이영진 《리멤버 미 》 각본상 이창동 《박하사탕 》 촬영상 정일성 《춘향》 음악상 조성우 《넘버3》 기술상 유동렬 《팬텀: 더 서브마린》 특별상 변영주 《내 마음의 풍금》 공로상 김지미 2001 최우수 작품상 《봄날은 간다 》 감독상 임순례 《와이키키 브라더스 》 남우주연상 최민식 《파이란 》 여우주연상 배두나 《고양이를 부탁해 》 신인감독상 송일곤 《꽃섬 》 신인남우상 양동근 《주소 없는 남자》 신인여우상 서주희 《섬》 각본상 김기덕 《수취인 불명》 촬영상 김형구 《봄날은 간다 》 음악상 최경식 《마지막 증인》 편집상 안병근 《나쁜 영화 》 특별상 《친구 》 2002 최우수 작품상 《오아시스 》 감독상 박찬욱 《복수는 나의 것 》 남우주연상 설경구 《오아시스 》 여우주연상 문소리 《오아시스 》 신인감독상 김인식 《로드 무비》 신인남우상 황정민 《로드 무비》 신인여우상 손예진 《연애소설》 각본상 박찬욱 《복수는 나의 것 》 촬영상 정일성 《치화선》 음악상 김대홍, 김양희 《집으로... 》 미술상 강승용, 오상만 《YMCA 야구단 》 2003 최우수 작품상 《살인의 추억 》 감독상 봉준호 《살인의 추억 》 남우주연상 송강호 《살인의 추억 》 여우주연상 이미숙 《스캔들》 신인감독상 장준환 《지구를 지켜라! 》 신인남우상 박해일 《질투는 나의 힘 》 신인여우상 임수정 《장화, 홍련 》 각본상 임상수 《바람난 가족 》 촬영상 이모개 《장화, 홍련 》 음악상 이병우 《스캔들》 미술상 장근영, 김경희 《지구를 지켜라! 》 2004 최우수 작품상 《올드보이》 감독상 박찬욱 《올드보이》 남우주연상 최민식 《올드보이》 여우주연상 염정아 《역도산 》 신인감독상 최동훈 《타짜 》 신인남우상 강동원 《늑대의 유혹 》 신인여우상 강혜정 《올드보이》 각본상 김기덕 《빈집》 촬영상 홍경표 《태극기 휘날리며 》 음악상 조영욱 《올드보이》 기술상 정도안 《태극기 휘날리며 》 2005 최우수 작품상 《듀엣》 감독상 이명세 《듀엣》 남우주연상 이병헌 《달콤한 인생 》 여우주연상 전도연 《햇빛 속으로》 신인감독상 방은진 《오로라 공주 》 신인남우상 하정우 《용서받지 못한 자 》 신인여우상 정유미 《사랑니》 각본상 이원재, 김성제 《혈의 누 》 음악상 장영규, 달파란 《달콤한 인생 》 공로상 김종원, 변인식 2006 최우수 작품상 《가족의 탄생 》 감독상 류승완 《주먹이 운다 》 남우주연상 안성기 《라디오 스타 》 신인감독상 김대우 《금지된 장소》 신인남우상 이영훈 《후회하지 않아 》 신인여우상 한효주 《그림자는 춤춘다》 각본상 김대우 《마파도 》 촬영상 윤홍식 《파란만장 》 음악상 방준석 《라디오 스타 》 미술상 조근현 《황금시대 》 2007 최우수 작품상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감독상 이명세 《M 》 남우주연상 송강호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 여우주연상 전도연 《밀양》 신인감독상 정식, 정범식 《기담 》 신인남우상 대니얼 헤니 《내 아버지》 신인여우상 박시연 《사랑 》 각본상 허진호 《행복 》 촬영상 이두남 《5월 18일 》 음악상 료 꾸니히코 《그해 여름 》 2008 최우수 작품상 《밤과 낮 》 감독상 김기덕 《꿈》 남우주연상 소지섭 《러프컷》 여우주연상 수애 《써니》 신인감독상 장훈 《러프컷》 신인남우상 강지환 《러프컷》 신인여우상 서우 《크러쉬 앤 블러쉬》 각본상 홍상수 《밤과 낮 》 촬영상 변희성 《신기전 》 음악상 김태성 《크로싱 》 미술상 조상경 《모던 보이 》 2009 최우수 작품상 《마더 》 감독상 김용화 《국가대표》 남우주연상 이범수 《킹콩을 들다 》 여우주연상 김혜자 《마더 》 신인감독상 강형철 《과속스캔들 》 신인남우상 최재웅 《무명검》 신인여우상 박보영 《과속스캔들 》 각본상 박은교, 봉준호 《마더 》 촬영상 김영호 《해운대 》 음악상 이재학 《국가대표》 기술상(CG) 정성진 《국가대표》
== 2010년대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의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제3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0년) 부문 수상자 작품 최우수 작품상 《시》 감독상 장훈 《의형제》 남우주연상 강동원 《의형제》 여우주연상 서영희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신인감독상 장철수 《김복남 살인사건의 전말》 신인남우상 송새벽 《시동생》 신인여우상 이민정 《백야》 각본상 이창동 《시》 촬영상 최영환 《전우치》 음악상 김홍집 《하녀》 기술상(미술) 박일현 《하녀》 공로영화인상 신영균, 조권희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새로운 시작》 신인평론상 이지현
'''제31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1년)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5%; text-align:center;" |- !부문!!수상자!!작품 |- |최우수 작품상 || || 《고지전》 |- |감독상 ||장훈 || 《최종병기 활》 |-
3. 1. 1980년대
이규형(신인감독) 1989년 제9회 시상식에서는 《서울 무지개 》가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김호선 )을 받았다. 남우주연상은 《칠수와 만수 》의 박중훈 , 여우주연상은 《아제 아제 바라아제 》의 강수연 이 수상했다. 각본상은 장선우 , 촬영상은 서정민, 녹음상은 김병수, 음악상은 김정길, 신인상은 박광수 와 진영미 , 특별상(공로부문)은 김소동에게 돌아갔다.
3. 1. 1. 제1회 (1980년)
wikitable
3. 1. 2. 제2회 (1981년)
3. 1. 3. 제3회 (1983년)
3. 1. 4. 제4회 (1984년)
3. 1. 5. 제5회 (1985년)
wikitable
3. 1. 6. 제6회 (1986년)
wikitable
3. 1. 7. 제7회 (1987년)
wikitable
3. 1. 8. 제8회 (1988년)
이규형(신인감독)
3. 1. 9. 제9회 (1989년)
진영미 《칠수와 만수 》 《아제 아제 바라아제 》 특별상(공로부문) 김소동
3. 2. 1990년대
1990년 제1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는 《청송으로 가는 길 》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두용 감독은 이 작품으로 감독상을 받았으며, 박중훈 은 《우묵배미의 사랑 》으로 남우주연상을, 강수연 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1년 제11회에서는 《그들도 우리처럼 》이 최우수 작품상을, 박광수 감독이 감독상을 받았다. 이영하 는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로 남우주연상을, 이혜숙 은 《은마는 오지 않는다 》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2년 제12회에서는 《경마장 가는 길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장선우 )을 수상했다. 문성근 은 같은 작품으로 남우주연상을, 윤정희 는 《눈꽃》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3년 제13회에서는 《서편제 》가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임권택 ), 남우주연상(김명곤 )을 휩쓸었다. 심혜진 은 《결혼 이야기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4년 제14회에서는 《화엄경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장선우 )을 수상했다. 안성기 는 《투캅스 》로 남우주연상을, 김서라 는 《두 여자 이야기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5년 제15회에서는 《영원한 제국 》이 최우수 작품상을, 유현목 감독이 《말미잘 》로 감독상을 받았다. 안성기 는 《영원한 제국 》으로 남우주연상을, 최명길은 《장미빛 인생 》으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6년 제16회에서는 《축제 》가 최우수 작품상을, 박철수 감독이 《학생부군신위 》로 감독상을 받았다. 안성기 는 《축제 》로 남우주연상을, 방은진 은 《301 302》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97년 제17회에서는 《초록 물고기》가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감독상은 수상자가 없었으며, 한석규 는 《초록 물고기》로 남우주연상을, 김선재는 《시간은 오래 지속된다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8년 제18회에서는 《8월의 크리스마스 》가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허진호 )을 수상했다. 송강호 는 《조용한 가족 》으로 남우주연상을, 심은하 는 《8월의 크리스마스 》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1999년 제19회에서는 《아름다운 시절 》이 최우수 작품상과 감독상(이광모 )을 수상했다. 이정재 는 《태양은 없다 》로 남우주연상을, 이미숙 은 《정사》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3. 3. 2000년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각 부문별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연도 부문 수상자 작품 2000 최우수 작품상 《박하사탕 》 감독상 이창동 《박하사탕 》 남우주연상 박중훈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여우주연상 전도연 《해피엔드 》 신인감독상 정지우 《해피엔드 》 신인남우상 설경구 《박하사탕 》 신인여우상 김민선 , 박예진 , 이영진《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 각본상 이창동 《박하사탕 》 촬영상 정일성 《춘향뎐 》 음악상 조성우 《인정사정 볼 것 없다 》 기술상 유동렬 《유령 》 특별상 변영주 《숨결》 공로상 김지미 2001 최우수 작품상 《봄날은 간다 》 감독상 임순례 《와이키키 브라더스 》 남우주연상 최민식 《파이란 》 여우주연상 배두나 《고양이를 부탁해 》 신인감독상 송일곤 《꽃섬 》 신인남우상 양동근 《수취인불명 》 신인여우상 서주희 《꽃섬 》 각본상 김기덕 《수취인불명 》 촬영상 김형구 《봄날은 간다 》 음악상 최경식 《흑수선 》 편집상 안병근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 》 특별상 《친구 》 2002 최우수 작품상 《오아시스 》 감독상 박찬욱 《복수는 나의 것 》 남우주연상 설경구 《오아시스 》 여우주연상 문소리 《오아시스 》 신인감독상 김인식 《로드무비》 신인남우상 황정민 《로드무비》 신인여우상 손예진 《연애소설》 각본상 박찬욱 《복수는 나의 것 》 촬영상 정일성 《취화선 》 음악상 김대홍, 김양희 《집으로... 》 미술상 강승용, 오상만 《YMCA 야구단 》 2003 최우수 작품상 《살인의 추억 》 감독상 봉준호 《살인의 추억 》 남우주연상 송강호 《살인의 추억 》 여우주연상 이미숙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 신인감독상 장준환 《지구를 지켜라》 신인남우상 박해일 《질투는 나의 힘 》 신인여우상 임수정 《장화, 홍련 》 각본상 임상수 《바람난 가족 》 촬영상 이모개 《장화, 홍련 》 음악상 이병우 《스캔들: 조선남녀상열지사 》 미술상 장근영, 김경희 《지구를 지켜라》 2004 최우수 작품상 《올드 보이》 감독상 박찬욱 《올드 보이》 남우주연상 최민식 《올드 보이》 여우주연상 염정아 《범죄의 재구성 》 신인감독상 최동훈 《범죄의 재구성 》 신인남우상 강동원 《늑대의 유혹 》 신인여우상 강혜정 《올드 보이》 각본상 김기덕 《빈집》 촬영상 홍경표 《태극기 휘날리며 》 음악상 조영욱 외 《올드 보이》 기술상 정도안 《태극기 휘날리며 》 2005 최우수 작품상 《형사 Duelist 》 감독상 이명세 《형사 Duelist 》 남우주연상 이병헌 《달콤한 인생 》 여우주연상 전도연 《너는 내 운명》 신인감독상 방은진 《오로라 공주 》 신인남우상 하정우 《용서받지 못한 자 》 신인여우상 정유미 《사랑니 》 각본상 《혈의 누 》 음악상 《달콤한 인생 》 공로상 김종원, 변인식 2006 최우수 작품상 《가족의 탄생 》 감독상 유하 《비열한 거리 》 남우주연상 안성기 《라디오 스타 》 신인감독상 김대우 《음란서생 》 신인남우상 이영훈 《후회하지 않아 》 신인여우상 한효주 《아주 특별한 손님 》 각본상 김대우 《음란서생 》 촬영상 윤홍식 《청연 》 음악상 방준석 《라디오 스타 》 미술상 조근현 《음란서생 》 2007 최우수 작품상 《우아한 세계 》 감독상 이명세 《M》 남우주연상 송강호 《우아한 세계 》 여우주연상 전도연 《밀양》 신인감독상 정식 , 정범식《기담 》 신인남우상 다니엘 헤니 《마이 파더 》 신인여우상 박시연 《사랑 》 각본상 허진호 《행복 》 촬영상 이두만 《화려한 휴가 》 음악상 양방언 《천년학 》 2008 최우수 작품상 《밤과 낮 》 감독상 김기덕 《비몽 》 남우주연상 소지섭 《영화는 영화다 》 여우주연상 수애 《님은 먼 곳에 》 신인감독상 장훈 《영화는 영화다 》 신인남우상 강지환 《영화는 영화다 》 신인여우상 서우 《미쓰 홍당무 》 각본상 홍상수 《밤과 낮 》 촬영상 변희성 《신기전 》 음악상 김태성 《크로싱 》 미술상 조상경 《모던 보이 》 2009 최우수 작품상 《마더 》 감독상 김용화 《국가대표 》 남우주연상 이범수 《킹콩을 들다 》 여우주연상 김혜자 《마더 》 신인감독상 강형철 《과속스캔들 》 신인남우상 최재웅 《불꽃처럼 나비처럼 》 신인여우상 박보영 《과속스캔들 》 각본상 은교, 봉준호 《마더 》 촬영상 김영호 《해운대 》 음악상 이재학 《국가대표 》 기술상(CG) 정성진 《국가대표 》
3. 4. 2010년대
윤제균 임권택 한준희 오승욱 김성제 최동훈 류승완 이준익 홍상수 《카트》 《국제시장》 《화장》 《차이나타운》 《무뢰한》 《소수의견》 《암살》 《베테랑》 《사도》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제36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6년) 부문 수상자 작품 최우수 작품상 《밀정》 감독상 이경미 《비밀은 없다》 남우주연상 이병헌 《내부자들》 여우주연상 손예진 《비밀은 없다》 신인감독상 윤가은 《우리들》 신인여우상 정하담 《스틸 플라워》 각본상 신연식 《동주》 촬영상 정정훈 《아가씨》 음악상 모그 《밀정》 기술상(특수분장) 곽태용 《부산행》 공로상 임권택 독립영화지원상 김동령, 박경태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이준익 감독 《동주》 신인평론상 손시내 10대영화상 이경미 이준익 나홍진박찬욱 연상호 우민호 김지운 김성훈 윤가은김성수 《비밀은 없다》 《동주》 《곡성》 《아가씨》 《부산행》 《내부자들》 《밀정》 《터널》 《우리들》 《아수라》
'''제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7년) 부문 수상자 작품 최우수 작품상 《남한산성》 감독상 황동혁 《남한산성》 각본상 황성구 《박열》 남우주연상 설경구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여우주연상 나문희 《아이 캔 스피크》 남우조연상 유해진 《택시운전사》 여우조연상 전혜진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촬영상 김지용 《남한산성》 음악상 사카모토 류이치 《남한산성》 기술상(미술) 이후경 《군함도》 신인감독상 강윤성 《범죄도시》 신인남우상 박서준 《청년경찰》 신인여우상 최희서 《박열》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봉준호 감독《옥자》 10대영화상 장훈 황동혁 이준익 김현석류승완 강윤성홍상수 변성현 이언희 김주환《택시운전사》 《남한산성》 《박열》 《아이 캔 스피크》 《군함도》 《범죄도시》 《밤의 해변에서 혼자》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미씽: 사라진 여자》 《청년경찰》 공로영화인상 전조명 촬영감독 신인평론상 최재훈, 남유랑 독립영화지원상 이영, 조현훈 감독
'''제38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8년) 부문 수상자 작품 최우수 작품상 장준환 《1987》 감독상 윤종빈 《공작》 각본상 곽경택, 김태균 《암수살인》 남우주연상 이성민 《공작》 여우주연상 한지민 《미쓰백》 남우조연상 주지훈 《공작》 여우조연상 권소현 《미쓰백》 촬영상 홍경표 《버닝》 음악상 김태성 《1987》 기술상(시각효과) 진종현 《신과함께 - 죄와 벌》 공로상 윤정희 신인감독상 전고운 《소공녀》 신인남우상 남주혁 《안시성》 신인여우상 김가희 《박화영》 국제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이창동 《버닝》 신인평론상 조한기 특별상 故 홍기선 감독 독립영화지원상 김일란 이혁상 전고운 감독
'''제3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2019년) 부문 수상자 작품 최우수 작품상 봉준호 《기생충》 감독상 봉준호 《기생충》 각본상 육상효 《나의 특별한 형제》 남우주연상 신하균 《나의 특별한 형제》 여우주연상 김향기 《증인》 남우조연상 진선규 《극한직업》 여우조연상 김새벽 《벌새》 촬영상 홍경표 《기생충》 음악상 김준석 《스윙키즈》 기술상 박일현 《스윙키즈》 신인감독상 김보라 《벌새》 신인남우상 박형식 《배심원들》 신인여우상 박지후 《벌새》 국제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김보라 《벌새》 10대영화상 홍상수 장률 이병헌봉준호 강상우 김윤석 김보라 이종언 이상근 이재규《강변호텔》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 《극한직업》 《기생충》 《김군》 《미성년》 《벌새》 《생일》 《엑시트》 《완벽한 타인》 공로영화인상 엄앵란 신인평론상 독립영화지원상 강상우 김보라 감독
3. 5. 2020년대
2020년 제40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에서는 《남산의 부장들 》이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고, 임대형 감독이 《윤희에게 》로 감독상과 각본상을 수상했다. 이병헌 은 《남산의 부장들 》로 남우주연상을, 정유미 는 《82년생 김지영 》으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반도 》는 촬영상과 기술상(특수효과)을 수상했다. 2021년 제41회에서는 《자산어보 》가 최우수 작품상을, 류승완 감독이 《모가디슈 》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설경구 는 《자산어보 》로, 문소리 는 《세자매 》로 각각 남녀주연상을 수상했다. 《모가디슈 》는 촬영상, 음악상 등 주요 부문을 석권했다. 2022년 제42회에서는 《헤어질 결심 》이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박찬욱 ),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여우주연상(탕웨이 )을 수상하며 6관왕을 차지했다. 정우성 은 《헌트 》로 남우주연상을, 이정재는 《헌트 》로 신인감독상을 수상했다. 2023년 제43회에서는 《다음 소희 》가 최우수 작품상을, 가성문 감독이 《드림팰리스 》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류준열 은 《올빼미 》로, 김서형 은 《비닐하우스 》로 남녀주연상을 받았다. 《밀수 》는 음악상, 기술상 등 주요 부문에서 수상했다. 2024년 제44회에서는 《괴인 》이 최우수 작품상을, 김성수 감독이 《서울의 봄 》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희준 은 《핸섬가이즈 》, 김재화는 《그녀에게 》로 남녀주연상을 수상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