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은 2000년 시작되어, 그 해 제5회 부산국제영화제 행사로 처음 개최되었다.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 이필우기념상 등을 시상했으며, 2010년부터는 대상을 신설하고 남녀우수연기상으로 통합했다. 2015년부터는 시상식을 간소화하고 포럼 형식으로 진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 대한민국의 영화상 - 대종상
대종상은 1962년 시작되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영화 시상식이었으나,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논란과 주최측 파산으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 2000년 설립 - 최저임금위원회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 심의, 사업 종류별 구분 심의, 제도 발전 연구 등을 수행하는 고용노동부 소속 위원회로, 근로자, 사용자, 공익위원 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되어 매년 다음 해 최저임금을 심의·의결하며, 결정은 고용노동부 장관의 고시를 통해 효력이 발생한다. - 2000년 설립 - 네이버 뉴스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스 스탠드는 이용률 저조 등의 문제점을 겪고, 뉴스 라이브러리는 과거 신문 기사를 제공한다. - 영화에 관한 - 오스트레일리아 영화
오스트레일리아 영화는 1890년대 시작되어 부침을 겪으며 1970년대 뉴웨이브를 통해 국제적 주목을 받았고 정부 지원과 기술 발전, 다문화 사회 반영으로 성장하여 독자적인 영화 산업을 유지하고 있다. - 영화에 관한 - 더 서울어워즈
더 서울어워즈는 영화와 드라마를 통합하여 시상하는 대한민국의 시상식으로, 2017년 처음 개최되어 각 부문별 대상, 주연상, 조연상, 신인상, 특별배우상, 인기상 등을 수여하며 인기상은 모바일 투표로 선정된다.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
주최 | 부산영화평론가협회 |
국가 | 대한민국 |
수여 대상 | 영화계의 뛰어난 업적 |
첫 시상 | 2000년 |
마지막 시상 | 2021년 |
웹사이트 | 부산영화평론가협회 |
한국어 표기 | |
한글 | 부산 영화 평론가 협회상, 부산 영평상 |
한자 | 釜山 映畫 評論家 協會賞, 釜山 映評賞 |
로마자 표기 | Busan yeonghwa pyeongnonga hyeophoesang, Busan yeongpyeongsang |
약칭 | 부산영평상 |
2. 역사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은 2000년 제5회 부산국제영화제의 행사의 하나로 시작됐다.[12] 영화제 기간에 시상식을 열어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을 비롯 공로상에 해당하는 이필우기념상 등을 시상했다. 2010년부터는 영화제 기간이 아닌 12월에 시상식을 열었다. 최우수작품상과 감독상을 없애고 대상을 신설했으며, 연기상은 조연과 신인에 대해 시상하지 않고 남녀 우수연기상으로 통합했다.[13] 남녀신인상은 2012년에 부활시켰다.
정영헌
2015년부터는 시상식을 간소화하고 수상작에 대한 평론가의 발제 및 감독들과의 토론 등으로 이뤄진 포럼 형식으로 진행됐다.[14]
3. 역대 수상작(자)
《해무》
《레바논 감정》신인남자연기자상 박유천 《해무》 신인여자연기자상 류혜영 《잉투기》 심사위원특별상 《스톤》 이필우 기념상 홍동은 (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