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신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신황귀비는 청나라 동치제의 후궁으로, 서태후의 총애를 받았으나 동치제는 그녀를 멀리했다. 1859년에 태어나 1872년 동치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였으며, 1874년 황귀비로 진봉되었다. 동치제가 죽은 후 돈의황귀비, 돈의영경황귀비로 봉해졌으며, 1904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묘는 도굴되었으며, 드라마 등 대중매체에서도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나라의 후궁 - 화유황귀비
화유황귀비는 청나라 가경제의 후궁으로, 가경제의 첩 시절 두 자녀를 두었으며 함비, 함귀비를 거쳐 현희황귀태비로 봉해졌고 사후 화유황귀비로 추증되었으며 73세에 사망하여 창릉에 안장되었다. - 청나라의 후궁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1904년 사망 - 안젤코 알렉시치
안젤코 알렉시치는 오스만 제국 출신의 세르비아 체트니크 지휘관으로, IMRO에 가입하여 일린덴 봉기에 참여한 후 체트니크 조직에 합류하여 오스만 제국 영토 내 작전 중 슈플리 카멘 전투에서 전사했다. - 1904년 사망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 1859년 출생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1859년 출생 - 장 조레스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역사가, 철학자인 장 조레스는 사회주의로 전향하여 프랑스 사회당의 지도자가 되었고, 드레퓌스 사건 옹호, 반전 운동을 펼치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암살당했다.
숙신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숙신황귀비 (淑慎皇貴妃) |
본관 | 부찰 (富察) 씨 (출생) 애신각라 씨 (결혼) |
출생일 | 함풍 9년 12월 1일 (1859년 12월 24일) |
사망일 | 광서 30년 2월 28일 (1904년 4월 13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
매장지 | 동릉 혜릉비원침 |
배우자 | 동치제 (1872년 결혼, 1875년 사별) |
시호 | 숙신황귀비 (淑慎皇貴妃) |
가계 | |
생애 | |
책봉 | 혜비 → 혜황귀비 → 돈의황귀비 → 돈의영경황귀비 |
2. 생애
숙신황귀비는 함풍 9년 12월 1일 (1859년 12월 24일)에 태어났다. 동치 11년(1872년) 때, 나이가 갓 14살이었고, 입궁할 때는 13살도 되지 않았다.
동치제의 황후 간택 당시, 서태후는 부찰씨를, 동태후는 아로특씨를 지지하여 의견이 갈렸다. 서태후는 부찰씨가 젊었을 때를 닮았고, 자신의 어머니와 같은 성씨라는 이유로 황후로 추천했다. 동태후는 부찰씨가 경박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동치제는 동태후의 뜻에 따라 아로특씨를 황후로 선택했다.
서태후는 동치제가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자 부찰씨를 우대했다. 네 명[4]의 후궁이 동시에 입궁했지만, 부찰씨는 혜비로 봉해져 귀비 대접을 받았고, 다른 세 명은 빈 또는 귀인으로 봉해졌다. 청나라 궁중 관례에 따르면 황비와 궁빈의 책봉례는 황후 책립례와 같은 날 거행해야 하지만, 혜비의 책봉례만 황후와 같은 날 진행되었고, 유빈과 순빈의 책봉례는 한 달 뒤에 치러졌다.
동치 13년 (1874년) 11월 15일, 혜비는 황귀비로 진봉되어 2계급 승격되었고, 나머지 세 명은 모두 1계급만 올랐다. 동치제가 승하한 지 보름 만에 서태후는 부찰씨를 돈의황귀비로 봉했다. 광서 20년 정월, 서태후 60회 생일 전에 그녀를 돈의영경황귀비로 봉했다. 황귀비가 네 글자의 봉호를 받은 것은 그녀가 유일하다.
광서 30년 2월 28일 (1904년 4월 13일), 부찰씨가 46살의 나이로 훙거하였다. 시호는 숙신황귀비이다. 그녀는 광서 31년 9월 21일, 혜릉비원침의 첫 행 정중앙 (기타 두번째 행)에 입장해, 혜릉비원침 내 첫 무덤 주인이자 동치제의 모든 비 중 가장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 서태후의 배정에 따라 봉분은 앞줄 가운데 자리 (앞줄의 유일한 묘소)에 있고, 재궁은 석권규격으로 다른 동치제의 비빈 위에 있는 존귀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민국 17년 3월 29일, 숙신황귀비의 묘가 도굴되었다.
2. 1. 초기 생애 (1859년 ~ 1872년)
숙신황귀비는 함풍 9년 12월 1일 (1859년 12월 24일)에 태어났다. 동치 11년(1872년) 때, 나이가 갓 14살이었고, 입궁할 때는 13살도 되지 않았다.동치제의 황후 간택 당시, 서태후는 부찰씨를, 동태후는 아로특씨를 지지하여 의견이 갈렸다. 서태후는 부찰씨가 젊었을 때를 닮았고, 자신의 어머니와 같은 성씨라는 이유로 황후로 추천했다. 동태후는 부찰씨가 경박하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동치제는 동태후의 뜻에 따라 아로특씨를 황후로 선택했다.
서태후는 동치제가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자 부찰씨를 우대했다. 네 명[4]의 후궁이 동시에 입궁했지만, 부찰씨는 혜비로 봉해져 귀비 대접을 받았고, 다른 세 명은 빈 또는 귀인으로 봉해졌다. 청나라 궁중 관례에 따르면 황비와 궁빈의 책봉례는 황후 책립례와 같은 날 거행해야 하지만, 혜비의 책봉례만 황후와 같은 날 진행되었고, 유빈과 순빈의 책봉례는 한 달 뒤에 치러졌다.
2. 2. 동치제 후궁 시절 (1872년 ~ 1875년)
함풍 9년 12월 1일 (1859년 12월 24일)에 태어난 부찰씨는 동치 11년(1872년) 자금성에서 열린 후비 선발에서 12세의 나이로 입궁하였다. 동치제의 황후 간택 과정에서 서태후는 부찰씨를 지지하였으나, 동태후는 아로특씨를 지지하였다. 동치제는 동태후의 뜻에 따라 아로특씨를 황후로 선택했다.[4]동치 11년(1872년) 10월 15일, 부찰씨는 혜비로 책봉되었지만, 서태후의 명령에 따라 귀비의 대우를 받았다. 다른 세 명의 후궁들은 빈 또는 귀인으로 책봉되었다.[4] 청궁의 관례에 따르면 황비와 궁빈의 책봉례는 황후의 책립례와 같은 날 거행해야 하지만, 혜비의 책봉례만 황후와 같은 날 치러졌고, 유빈과 순빈의 책봉례는 한 달 뒤에 치러졌다.[4]
동치 13년 (1874년) 11월 15일, 혜비는 황귀비로 진봉되어 2계급 승격되었고, 나머지 세 명은 모두 1계급만 올랐다. 동치제가 승하한 지 보름 만에 서태후는 부찰씨를 돈의황귀비로 봉했다.[4]
2. 3. 광서제 시절 (1875년 ~ 1904년)
함풍 9년 12월 1일 (1859년 12월 24일)에 태어났다. 동치 11년 때, 나이가 갓 14살이었고, 입궁할 때는 13살도 되지 않았다. 동치 11년(1872년), 3년마다 자금성에서 열리는 후비 선정 면접 시험인 "선수녀"에 합격했다. 당시 만 12세의 소녀였다.두 궁 황태후는 황후 인선을 놓고 의견이 엇갈렸다. 서태후가 사랑했던 부찰씨는 자색이 수려하고 풍류가 많으며 선량한 사람이었다. 동태후인 자안황태후가 사랑했던 아로특씨는 한림원 시강 숭기의 딸로, 동치제보다 두살 위이자, 자안황태후의 조카였다.
서태후는 부찰씨가 젊었을 때를 닮아 애정이 많았으며, 또한 서태후의 어머니도 부찰씨라는 이유로 부찰씨를 뽑자고 주장하였고, 동태후는 부찰씨가 아릅답지만 경박하고 호들갑스러워 천하의 어머니가 되기에는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아로특씨가 단정하고 문신하며 사리에 밝고, 중궁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사실상 아로특씨가 동태후의 조카이기 때문이다. 두 황태후는 각자 자기 의견을 고수하며 옥신각신하다가 황제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였다.
동치제는 서태후의 친아들이면서도 서태후를 혐오해 모자의 정이 깊지 않았다. 동태후는 자상하며 동치제를 친자식으로 여기고 배려해 동치제의 사랑과 존중을 받았다. 그래서 황후 선택때 동치제는 동태후의 뜻에 따라 아로특씨를 뽑았다. 동치제가 자신의 뜻을 따르지 않는다고 생각한 서태후는 동치제 이후의 생활에 간섭하는 한편, 부찰씨를 사사건건 우대하여 네 사람[4]은 동시에 입궁하였으나, 서태후는 부찰씨를 혜비로 봉하여 귀비 대접을 하였고, 세 사람중 2명은 빈으로, 한명은 귀인으로 봉해졌다.
청궁의 관례에 따르면 황비 · 궁빈의 책봉례는 황후의 책립례와 같은 날 거행해야 한다. 그러나 동치제의 대혼례는 혜비의 책봉례와 황후의 책립례만 같은 날 치러졌고, 유빈과 순빈의 책봉례는 한 달 뒤에 치러졌다.
동치 13년 (1874년) 11월 15일, 혜비를 황귀비로 진봉해 2계급 승격시켰고, 나머지 3명은 모두 1계급만 올랐다. 동치제가 승하한 지 보름만에 서태후는 부찰씨를 돈의황귀비로 봉했다. 광서 20년 정월, 서태후 60회 생일 전에 그녀를 돈의영경황귀비로 봉했다. 황귀비가 네 글자의 봉호를 받은 것은 그녀가 유일하다.
광서 30년 2월 28일 (1904년 4월 13일), 부찰씨가 46살의 나이로 훙거하였다. 시호는 숙신황귀비이다. 그녀는 광서 31년 9월 21일, 혜릉비원침의 첫 행 정중앙 (기타 두번째 행)에 입장해, 혜릉비원침 내 첫 무덤 주인이자 동치제의 모든 비 중 가장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 서태후의 배정에 따라 봉분은 앞줄 가운데 자리 (앞줄의 유일한 묘소)에 있고, 재궁은 석권규격으로 다른 동치제의 비빈 위에 있는 존귀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민국 17년 3월 29일, 숙신황귀비의 묘가 도굴되었다.
2. 4. 사후
숙신황귀비는 광서 30년 2월 28일 (1904년 4월 13일)에 46세의 나이로 훙거하였다. 시호는 숙신황귀비이다. 광서 31년 9월 21일, 혜릉비원침의 첫 행 정중앙에 안장되어 혜릉비원침 내 첫 무덤 주인이자 동치제의 모든 비 중 가장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 서태후의 배정에 따라 봉분은 앞줄 가운데 자리 (앞줄의 유일한 묘소)에 있고, 재궁은 석권규격으로 다른 동치제의 비빈 위에 있는 존귀한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민국 17년 3월 29일, 숙신황귀비의 묘가 도굴되었다.3. 가계
숙신황귀비 부찰씨의 본명은 역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아버지는 5품 문관(員外郎)을 지낸 봉수(鳳秀)이고, 조부는 혜길(惠吉)이다. 어머니는 장씨(蒋氏) 부인이다. 숙신황귀비는 마치의 고손녀이다.
숙신황귀비의 가계는 부찰 단도, 부찰 합례, 부찰 덕의주, 부찰 왕길노, 부찰 만제합, 부찰 합십둔, 부찰 미사한, 부찰 마제, 부찰 부덕, 부찰 관등, 부찰 공태, 부찰 혜길, 부찰 봉수로 이어진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대중 매체
wikitext
- 1990년 드라마 ''청궁풍운''에서 진배산이 연기했다.
- 2012년 드라마 ''대태감''에서 공자흔이 연기했다.
- 2016년 드라마 ''자금성의 마지막 의원''에서 심탁흔이 연기했다.
년도 | 제목 | 배우 | 극중 이름 | 극중 호칭 |
---|---|---|---|---|
2012 | 대태감 | 실라 쿵 | 부찰 란헌 | 란헌소주, 혜비 |
2016 | 말대어의 | 심가흔 | 부찰씨 | 혜귀비 |
2012 | 일대요후 | 옌칭위 | 부찰씨 | 혜비 |
참조
[1]
날짜
同治十一年 九月 十四日
[2]
날짜
同治十三年 十一月 十五日
[3]
날짜
同治十三年 十二月
[4]
인물
혜비 이외의, 순비, 유비, 진귀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