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림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림보는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장수로, 진 문공 시대부터 경공 시대까지 활약했다. 그는 초나라의 침략에 맞서 송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종군했으며, 영호 전투에서는 공자 옹을 호송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실패했다. 중군 원수로 필 전투에 참전했으나 패배하여 죽음을 청했지만, 사악탁의 간언으로 살아남았다. 이후 적적을 평정하고 노나라를 멸하는 등 공을 세웠으며, 사후 '환'의 시호를 받아 중행환자로 불렸다. 순서오의 아들이며, 순경의 아버지이다.
순림보는 춘추시대 진나라의 경으로, 순나라 출신이며, 씨는 순, 휘는 림보(林父)이다. 진 문공, 영공, 성공, 경공 4대에 걸쳐 벼슬을 지냈다.
[1]
서적
춘추좌씨전
2. 사적
사건 내용 기원전 633년 초나라가 송나라를 포위하자, 송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출진하는 진 문공의 어융(御戎)으로 종군했다.[1] 진 문공 4년(기원전 632년) 문공이 융족을 막기 위해 새로이 3항(行)이라는 세 지군을 편성하여 순림보가 중항을 맡았다.[3] 기원전 621년 진 양공이 죽자, 후계 문제를 두고 중신들 간에 갈등이 발생했다. 순림보는 공자 옹(雍)을 지지했으나, 결국 조돈에 의해 세자 이고가 영공으로 즉위했다.[5] 기원전 620년 영호 전투에서 조돈을 보좌하여 상군을 맡아 진나라 군사를 격파하고 공자 옹을 죽였다.[5] 기원전 615년 진나라가 영호 싸움의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진나라를 공격하자, 중군 원수 조돈을 보좌하여 종군했다.[6] 기원전 610년 송 소공이 시해당하고 송 문공이 즉위하자, 위, 진, 정나라와 함께 송나라를 공격했으나, 오히려 송 문공을 공인했다.[7] 진 성공 2년(기원전 604년) 초나라가 정나라를 치고 진나라와 화평을 맺자, 정나라를 구원하고 진나라를 쳤다.[8] 진 성공 6년(기원전 600년) 진나라 주도로 회맹을 맺었는데 진나라가 오지 않자, 제후들을 이끌고 진나라를 쳤다. 그러나 진 성공이 죽어 회군했다.[9] 기원전 597년 필 전투에서 중군 원수로 참전했으나, 초나라에 대패하여 진나라의 패권 상실에 원인을 제공했다.[10] 기원전 594년 적적을 곡량에서 무찌르고 노(潞)나라를 멸하는 공을 세웠다.[11] 이후 정나라를 토벌하여 진나라의 위신을 회복했다.
2. 1. 문공 시절
진 문공 3년(기원전 633년), 초나라가 송나라를 포위하자, 송나라의 포위를 풀고자 출진하는 진 문공의 어융(御戎)으로 종군했다.[1][2] 진 문공 4년(기원전 632년), 문공이 융족을 막기 위해 새로이 3항(行)이라는 세 지군을 편성하여 순림보가 중항을, 도격(屠擊)이 우항(右行)을, 선멸(先蔑)이 좌항(左行)을 맡았다.[3][2]
2. 2. 영호 전투
진 양공이 재위 7년 만에 죽자(기원전 621년)[4][2], 진나라 안에서는 세자 이고가 너무 어려 누구를 새로운 진후로 모실지를 두고 토론이 벌어졌다. 결국 나이 많은 진 문공의 아들 공자 옹(雍)을 세우기로 하고 선멸을 보내 공자 옹이 벼슬하고 있는 진나라에 공자 옹을 호송하기를 부탁했다.[4][2] 진나라는 이를 승낙하여 이듬해(기원전 620년) 공자 옹을 진나라로 보냈다. 그러나 진 양공의 부인 목영이 세자 이고를 안고 울며 중신들에게 계속 호소하자, 집정자 조돈은 목영을 두려워하여 결국 선멸을 배신하고 세자 이고를 진후로 모셨다. 이가 영공이다. 그리고 조돈은 병사로 공자 옹을 저지하여, 스스로 중군을 맡고, 순림보에게는 상군을 보좌하게 했다. 조돈은 공자 옹을 호송하는 진나라 군사를 영호 땅에서 쳐 달아나게 했으며, 공자 옹은 난전 중에 죽었다. 선멸과 사회는 사명을 완수하지 못하였으므로 차마 진나라로 돌아가지 못하고 그대로 진나라로 달아났다. 순림보는 선멸을 말렸으나 듣지 않았다. 이후 순림보는 선멸이 쓰던 집기들과 재물, 그리고 선멸의 처자를 모두 진나라로 보내면서, “내 동료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5]
2. 3. 영공 · 성공 시절
기원전 615년, 진(秦)나라가 영호 싸움에서 패한 진나라로 쳐들어와 기마 땅을 빼앗자, 중군 원수 조돈을 보좌하여 종군했다.[6]
기원전 610년, 송나라에서 임금 소공을 시해하고 문공을 세우자, 위나라의 공달(孔達), 진나라의 공손녕(公孫寧), 정나라의 석초(石楚)와 함께 임금을 시해한 죄를 성토하여 쳐들어갔으나, 오히려 송 문공을 공인했다.[7]
진 성공 2년(기원전 604년), 초나라에서 정나라를 치고 진(陳)나라와 화평을 맺자, 정나라를 구원하고 진나라를 쳤다.[8]
진 성공 6년(기원전 600년), 진나라 주도로 회맹을 맺었는데 진(陳)나라가 오지 않았으므로, 제후들을 이끌고 진나라를 쳤다. 그러나 진 성공이 죽었으므로 돌아갔다.[9][2]
2. 4. 필 전투의 패장
기원전 597년, 진 경공 3년에 순림보는 중군 원수가 되어 초나라의 공격을 받은 정나라를 구원하러 출진했다. 그러나 황하에 이르렀을 때 이미 정나라는 초나라에 항복한 상태였다. 그래서 회군하려 했고, 상군 원수 사회도 찬성했으나, 중군 보좌 선곡이 반대하고 제멋대로 중군을 이끌고 황하를 건너버렸으므로 어쩔 수 없이 초나라와 싸우기로 결정하고 전군을 도하시켜 필 땅에 주둔했다. 초나라 군대를 이끄는 초 장왕도 진나라와 결전을 벌일 마음이 없었으나, 오삼이 순림보는 새로 집정이 되어 명령이 아직 잘 행해지지 않고, 그 보좌 선곡은 강팍하고 어질지 못하여 명령을 듣지 않으며, 다른 세 장수도 각기 제멋대로이니 싸우면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하여 마침내 초나라 군사도 싸우기로 결정했다.[10][2]
진나라의 위기와 조전은 원하는 관직에 오르지 못하는 것을 원망하여 진나라 군사가 이번에 실패하기를 바라고, 제멋대로 초나라 진영에 가서 싸움을 걸었다. 초나라 영윤 손숙오는 진나라에서 싸움을 거는 것을 보고, 아직 중군이 정비되기 전에 진나라 군사를 먼저 치기를 주장했다. 초 장왕은 이를 받아들여, 나아가 진나라의 중군을 쳤다. 순림보는 어찌할 바를 알지 못하고, 다만 “강을 먼저 건너는 자에게는 상을 주겠다.”라고 외쳤다. 이미 패주하는 중군과 하군은 황하에서 앞다투어 배에 올랐으며, 먼저 배에 탄 자는 나중에 타려고 배를 잡고 올라오는 병사들의 손가락을 찍어 배 아래로 떨어트렸다. 진나라 군사는 상군만 멀쩡하고 나머지가 전부 무너져 내려, 초나라 군사에 대패했다(필 전투).[10][2] 이 싸움으로 진나라는 패권을 잃고, 초 장왕은 춘추오패 중 하나로 손꼽히게 되었다.
순림보는 돌아와서 죽음을 청했고, 경공도 이를 허락하려 했다. 그러나 사악탁이 옛날 성복 전투에서 초 성왕이 패장 성득신을 죽인 것을 진 문공이 기뻐한 고사를 들어 경공을 설득했으므로, 순림보는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10] 《사기》에서는 사회가 간하여 순림보를 살렸다고 한다.[2]
2. 5. 적적 평정
기원전 594년, 적적(赤狄)을 곡량에서 무찌르고 노(潞)나라를 멸했다. 진 경공은 순림보의 공을 기려 적적의 신하 1천 가를 주었으며, 사악탁에게도 상을 주었다.[11] 패전 후 진나라를 배신한 정을 토벌할 때, 정나라 내부에 침입하여 열병만 하고 물러났다. 정나라는 진나라 군대의 엄숙함을 보고 크게 두려워했고, 정 양공은 초나라로 가서 진나라에 대해 상담했다. 순림보는 싸우지 않고 진나라의 위신을 되찾는 데 성공했다. 이로써 마침내 진나라 군대는 순림보의 지휘 아래 뭉쳤고, 그 후 활발하게 활동하며 진나라 북방의 적을 토벌했다.
3. 친족 관계
참조
[2]
서적
사기
[3]
서적
춘추좌씨전
[4]
서적
춘추좌씨전
[5]
서적
춘추좌씨전
[6]
서적
춘추좌씨전
[7]
서적
춘추좌씨전
[8]
서적
춘추좌씨전
[9]
서적
춘추좌씨전
[10]
서적
춘추좌씨전
[11]
서적
춘추좌씨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