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 장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 장왕은 초나라의 왕으로, 즉위 초 혼란을 겪었으나, 불비불명(不飛不鳴)의 고사처럼 3년간의 은둔 후 국정을 개혁하여 초나라의 국력을 크게 신장시켰다. 그는 주변 제후국을 압박하고, 주나라에 구정의 무게를 묻는 문정(問鼎) 사건으로 권위를 과시하며 춘추 시대 패업을 달성했다. 또한, 절영지연(絶纓之宴) 일화에서 보여주듯 포용력 있는 리더십을 발휘했다. 필 전투에서 승리하고 송나라를 굴복시키며 패권을 굳건히 했으며, 기원전 591년에 사망했다. 장왕은 춘추오패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91년 사망 - 노 선공
    노 선공은 기원전 609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591년까지 재위한 노나라의 21대 임금이며, 동문양중의 지원을 받아 왕위에 올랐으나 삼환씨의 세력 강화와 제나라와의 외교, 진나라와의 껄끄러운 관계, 토지세 부과 등 국내 정치를 운영하다 18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의 군주 - 초 영왕
    초 영왕은 춘추 시대 초나라의 왕으로, 조카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 후 쇠퇴한 초나라의 패권을 재건하려 했으나, 쿠데타로 자결했다.
  • 기원전 6세기 중국의 군주 - 주 경왕 (개)
    주 경왕은 주 영왕의 손자이자 주 경왕의 아들로, 형인 도왕 사후 기원전 520년에 즉위하여 왕자조의 난 등을 겪고 성주로 천도했으며 기원전 476년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초 장왕
기본 정보
초 장왕의 초상화
초 장왕의 초상화
미 (芈)
웅 (熊)
이름여 (旅)
칭호
시호장왕 (莊王)
존호초 장왕 (楚莊王)
재위 기간기원전 613년–기원전 591년
출생알 수 없음
사망기원전 591년
배우자번희
자녀초 공왕
아버지초 목왕
계승자초 공왕
생애
주요 사건문정중원 (問鼎中原)
일명경인 (一鳴驚人)
참고
참고 문헌Zhao, Dingxin (2015). The Confucian-legalist State: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5173-2.
Cook, Constance A.; Major, John S. (2004). Defining Chu: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ISBN 978-0-8248-2905-6.

2. 생애

목왕이 죽고 왕위에 오른 직후, 아직 어린 왕이었던 장왕 대신 왕자 섭(燮)이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반대 세력에 밀려 장왕을 가두고 북쪽으로 도망쳤다가 진(晉)나라와 진(秦)나라 국경 근처 상밀(商密)에서 반격을 시도했으나, 노(盧)라는 마을에서 살해당했다. 장왕은 풀려나 수도로 돌아왔다.

장왕은 즉위 후 3년 동안 정치는 돌보지 않고 밤낮으로 놀기만 하며, "간언하는 자는 사형에 처하겠다"는 명령을 내렸다.[1] 오자서의 할아버지인 오거(伍擧)가 수수께끼로 간언하자, 장왕은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은 새는 반드시 큰일을 할 것"이라 답하며 변화를 암시했다.[1] 이후 소종(蘇從)의 간언에 장왕은 정사를 돌보기 시작하여 간신 수백 명을 처형하고, 오거와 소종에게 정무를 맡겨 국정을 개혁했다.[1] 이 일화에서 '''불비불명'''(不飛不鳴)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했다.[1]

국정을 정비한 장왕은 옹나라를 시작으로 주변 제후국을 압박하여 영토를 넓혔다. 기원전 606년, 주나라 도읍 낙읍 교외에 주둔하며, 사신 왕손만(zh)에게 왕권의 상징인 구정의 무게를 물어 주나라를 위협했다(문정(問鼎)).[1]

어느 날 밤, 연회 중 촛불이 꺼진 틈을 타 장웅(蔣雄)이 총희의 갓끈을 잡아당기는 사건이 발생했다. 장왕은 모든 신하에게 갓끈을 끊게 하여 장웅을 보호했고, 훗날 장웅은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워 보답했다. 이를 통해 장왕의 포용적인 리더십을 보여주는 '''절영지연'''(絶纓之宴) 고사가 전해진다.[1]

장왕은 진(陳)나라를 병합하고, 정(鄭)나라를 공격하여 속국으로 삼았다. 기원전 597년, 필 전투에서 진(晉)나라 군을 대파하고 춘추 패업을 달성했다.[1]

기원전 595년, 장왕은 제나라 사신 신주를 송나라에 보내 죽게 하고, 이를 명분으로 송나라를 공격했다. 송나라의 저항으로 장기전이 예상되자, 상구(허난성상추시) 교외에 둔전을 설치하고 지구전을 펼쳐 결국 항복을 받아냈다.

기원전 591년, 장왕은 사망했다. 장왕은 주나라에 대한 존경심은 옅었지만, 그의 권위는 천하를 뒤덮었고, 여러 한나라 서적에서 '''춘추오패''' 중 하나로 꼽힌다.

2. 1. 즉위 초 혼란과 불비불명(不飛不鳴)

아버지 목왕이 죽어 왕위에 오른 직후 아직 젊은 왕이었기 때문에 왕자 섭(燮)이 모반을 일으켰다. 왕자 섭은 수도와 왕실을 완전하게 지배하여 스스로 왕을 자칭했다. 그러나 반대 세력의 확대로 신변의 위험을 느껴 장왕을 가두고 북방으로 도망쳤다. 왕자 섭은 진(晉)나라와 진(秦)나라, 초나라의 국경 가까이의 상밀(商密)이라는 곳에서 반격을 개시하려고 했으나 도중에 노(盧)라는 마을에서 살해당했다. 장왕은 풀려나 수도로 돌아왔다.

장왕은 즉위한 후 삼 년 동안 밤낮으로 놀기만 하고, 나라 전체에 다음과 같은 영을 내렸다.[1]

어느 날 장왕은 왼쪽에 정나라 여자를, 오른쪽에는 월나라 여자를 껴안고는 음악을 듣고 있었다. 이때 오자서의 할아버지인 오거(伍擧)가 간언했다.[1]

장왕이 대답했다.[1]

여러 달이 지나고 장왕은 더욱 방탕해졌다. 이에 대부 소종(蘇從)이 간언하니, 장왕이 말했다.[1]

소종이 대답했다.[1]

그러자 장왕은 놀이를 그만두고 정사를 살펴 간신 수백 명을 주살하고 또 수백 명을 등용하였다. 또한 오거와 소종에게 정무를 맡기니 나라 사람들이 크게 기뻐하였다.[1] 이 사건에서 '''불비불명'''(不飛不鳴)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하였다.[1]

장왕은 3년 동안 어리석은 척을 하며 신하들의 인물을 가려냈던 것이다. 악신 수백 명을 처형하고, 눈여겨 봐둔 자들을 새롭게 수백 명 등용하여, 오거와 소종에게 국정을 맡겼다. 민중의 인기는 단번에 높아졌고, 국력도 크게 증대되었다. 초나라는 주변 제후국들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었다.[2]

2. 2. 국정 개혁과 문정경중(問鼎輕重)

초 장왕은 국정을 정비한 뒤 옹나라를 공략한 것을 시작으로 주변 제후국을 압박하여 영토를 넓히고, 패자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기원전 606년, 장왕은 군사를 주나라의 도읍 낙읍 교외에 주둔시켰다. 주나라가 사신으로 왕손만(zh)을 보내자, 장왕은 그에게 구정의 무게를 물었다. 구정은 은나라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보물로, 당시 왕권의 상징이었다. 구정의 무게를 묻는 것은 주나라의 왕위를 빼앗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위협이었다. 왕손만은 "문제는 솥의 가벼움과 무거움이 아니라 덕의 유무에 달려 있습니다. 주나라의 국력이 쇠퇴했지만, 솥이 아직 주나라 조정에 있다는 것은 그 덕이 쇠퇴하지 않았다는 증거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장왕은 반박할 말이 없어 군사를 물렸다.[1] 이 고사에서 "면전에서 황위를 넘보는 것", 더 나아가 "눈앞의 상대의 권위나 가치를 공공연히 의심하는 것"을 "'솥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묻는다'(정의 경중을 묻다)", 또는 줄여서 '''문정'''(問鼎)이라고 부르게 되었다.[1]

2. 3. 절영지연(絶纓之宴)과 포용의 리더십

장왕은 어느 날 밤, 신하들을 연회에 초대했다. 많은 사람이 취한 가운데 갑자기 강풍이 불어 촛불이 꺼졌다. 그때, 장웅(蔣雄)이라는 사람이 장왕의 총희를 껴안았는데, 총희는 곧바로 장웅의 갓끈을 잡아 뜯고 장왕에게 이를 알렸다. 그러나 장왕은 신하들에게 모두 갓끈을 끊게 하였고, 장웅은 속으로 장왕에게 감사했다.[1]

그 후 초나라가 진(秦)나라에게 공격당했을 때, 장웅은 선봉에 서서 큰 공로를 세웠다. 장왕이 장웅에게 물었다.[1]

장웅은 당시 연회에서의 일을 이야기하며 자신이 그때 총희를 껴안은 자임을 밝혔다. 이는 너그럽고 여자에게 휘둘리지 않는 훌륭한 군주로서의 장왕의 인격을 나타내는 고사이다.[1]

2. 4. 춘추 패업 달성과 필 전투

장왕은 진(陳)나라의 내란을 틈타 그 나라를 일시에 병합하고, 정(鄭)나라를 공격하여 진나라와 함께 속국으로 삼았다.

기원전 597년에 정나라의 원군으로 온 진(晉)나라 군을 격파했다(필 전투). 이 때 진나라 군은 허겁지겁 배를 타고 후퇴했는데, 배가 뒤집힐 것을 두려워한 병사가 배에 매달려 있는 병사의 손을 잘라 떨어뜨렸고 배 안에는 손가락이 수북이 모였다고 한다. 대승한 뒤 신하들은 경관을 만들 것을 상소했지만 장왕은 물리친다. '무(武)'라는 글자는 무기를 멈추어 쓰고, 난폭함을 막고 전을 세우고 대를 유지하며, 공을 정하고 백성을 생각하고 사람들을 화합하고 재물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것이니 자신이 한 것은 이 무덕에 들어맞지 않으며, 자신들의 조국을 위해 충성을 다한 진나라 병사들의 사체로 경관을 만들 수는 없다는 이유에서였다.[1]

실제로는 "무(武)"라는 글자는 "창(戈)"과 "발(止)"로 이루어져 "창을 나아가게 한다"가 본래 의미이며, 이 일화는 후세의 창작이라고 한다. "창을 멈춘다"라는 일화는 공자의 제자가 편찬한 "춘추좌씨전"에만 보이며, "춘추공양전"이나 "춘추곡량전"에는 없다.[1]

2. 5. 마지막 전투와 죽음

기원전 591년, 장왕은 세상을 떠났다.[3] 진(晉)을 물리치고 패업을 이룬 장왕은, 마지막으로 진(晉)을 따르는 송을 공격했다. 장왕 19년(기원전 595년), 장왕은 제나라에 사신으로 보내는 신주에게 "송나라를 지날 때 인사할 필요 없다"고 명했다. 이는 신주가 송나라에 의해 살해당하게 하여, 송나라 공격 명분을 만들기 위함이었다. 장왕은 신주가 살해당하자 바로 송나라를 공격, 수도 상구(허난성상추시)를 포위했다. 이 과정에서 노나라도 초나라에 가담하여 장왕의 패업은 완성에 가까워졌다. 그러나 화원이 이끄는 송나라 군대의 저항으로 이듬해(기원전 594년) 5월까지도 함락에 실패하자, 장왕은 철수를 명했다. 하지만 신주의 아들 신서의 항의에 장왕은 상구 교외에 둔전을 설치하고 지구전을 준비했고, 결국 송나라는 초나라에 항복하며 장왕의 패업은 완성되었다.

장왕 23년(기원전 591년) 7월, 장왕은 사망했다.

장왕은 주나라에 대한 존경심은 옅었지만, 그 권위는 천하를 뒤덮었다고 평가받는다. 『순자』 「왕패편(王覇篇)」 등 여러 한나라 서적에서 장왕을 '''춘추오패''' 중 하나로 꼽는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초 목왕
형제초 장왕, 공자 영제(公子嬰齊) 자 자중(子重), 공자 측(公子側) 자 자반(子反)
아들초 공왕, 공자 곡신(公子穀臣), 공자 정(公子貞), 공자 오(公子午), 공자 추서(公子追舒)
부인번희, 정희, 월녀


참조

[1] 서적 The Confucian-legalist State: A New Theor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Defining Chu: Image And Reality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3] 서적 春秋左氏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