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는 부산의 다양한 이야기를 숫자를 통해 전달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2013년 10월 30일부터 2014년 12월 3일까지 KBS 1TV를 통해 방송되었으며, 한상헌 아나운서와 차재환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프로그램은 '누구 없수?'와 '이건 어떻수?' 코너로 구성되었으며, 부산 사투리, 음식, 교통,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다큐극장
    《다큐극장》은 2013년 KBS 1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 시대적 배경 등을 다루었으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재연, 인터뷰, 자료 화면 등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나, 기획 초기 단계에서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방송명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
시청 등급ALL
장르시사 · 교양
방송 시간매주 수요일 저녁 7:30 ~ 밤 8:25
방송 분량55분
방송 기간2013년 10월 30일 ~ 2014년 12월 3일
방송 채널부산 KBS 1TV
추가 편성KBS 1TV
제작KBS부산방송총국
연출손준영, 최형준, 박지은, 문지혜
작가신미경, 손희주, 김여울
출연자진행 : 차재환
음성1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자막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 홈페이지

2. 기획 의도

누구도 생각지 못한 부산의 이야기를 전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3. 방송 시간

전국 방송은 매주 화요일 오전 11시에 방송되었다.

방송 채널방송 기간방송 시간
부산 KBS 1TV2013년 10월 30일 ~ 2014년 12월 3일매주 수요일 저녁 7:30 ~ 밤 8:25 (55분)
KBS 1TV2013년 11월 9일 ~ 2014년 4월 1일매주 화요일 오후 4:00 ~ 4:55 (55분)
2014년 4월 8일 ~ 2014년 6월 3일매주 화요일 오전 11:00 ~ 11:55 (55분)


4. 구성

'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는 '누구 없수(數)?'와 '이건 어떻수(數)?' 코너로 구성되었다.

5. 진행자

한상헌 아나운서가 2013년 10월 30일부터 2014년 6월 11일까지 진행을 맡았다. 이후 2014년 6월 18일부터 2014년 12월 3일까지 차재환 아나운서가 진행했다.

6. 패널


  • 김숙
  • 안드류
  • 이무영
  • 주선태
  • 이남미

7. 방송 에피소드

7. 1. 2013년

2013년에는 부산 사투리, 부산의 맛, 결혼 이야기, 부산의 교통, 부산의 노래, 부산의 목욕, 부산의 연탄, 부산의 어묵, 숫자로 읽는 2013년 부산 등을 주제로 다루었다.

회차방송일제목
110월 30일부산 사투리
211월 6일부산의 맛
311월 13일결혼 이야기
411월 20일부산의 교통
511월 27일부산의 노래
612월 4일부산의 목욕
712월 11일부산의 연탄
812월 18일부산의 어묵
912월 25일숫자로 읽는 2013년 부산


7. 2. 2014년

2014년 《숫자로 읽는 부산, 넘버쇼》에서는 부산의 다양한 모습을 조명했다. 1월 1일에는 부산의 말(馬)의 해, 1월 8일에는 부산의 전통시장, 1월 15일에는 부산의 고등어, 1월 29일에는 부산의 겨울을 다루었다. 2월에는 부산의 월급(2월 5일), 올드 부산(2월 12일), 부산의 원도심 광포동(2월 19일), 마이스터고(2월 26일)를 주제로 방송했다.

3월에는 부산의 집(3월 5일), 부산은 영화다(3월 12일), 부산항은 부산이다(3월 19일), 부산의 술(3월 26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4월에는 부산신발(4월 2일)과 부산 야구(4월 9일)를, 5월에는 기장 멸치(5월 7일), 부산의 아이들(5월 14일), 동해남부선(5월 21일), 부산의 초등학생(5월 28일)을 주제로 방송했다.

6월에는 천생연분? 평생원수!(6월 11일), Again 2002년 부산(6월 18일), 부산의 춤(6월 25일)을 다루었다. 7월에는 부산의 외국인주민(7월 2일), 부산소방(7월 9일), 부산의 해양레포츠(7월 16일)를 조명했다. 7월 30일에는 부산의 여름을 주제로 방송했다.

8월에는 부산의 기묘한 이야기(8월 6일), 웃음의 도시 부산(8월 13일), 패션특별시 부산(8월 20일), 부산의 공원(8월 27일)을 다루었다. 9월에는 추석(9월 3일)과 자갈치시장(9월 10일)을, 10월에는 부산국제영화제(10월 8일), 시네마 천국 부산의 영화(10월 15일), 부산의 갈맷길(10월 29일)을 주제로 방송했다.

11월에는 부산의 건강(11월 5일), 부산 등대(11월 12일), 낙동강 하구(11월 19일)를 다루었고, 11월 26일에는 부산 축제를 조명했다. 12월 3일에는 부산의 넘버쇼를 주제로 방송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