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해남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해남부선은 부산과 포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18년 대구선의 연장으로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개통과 국유화 과정을 거쳤다. 1935년 부산과 울산을 연결하며 현재의 동해남부선 형태를 갖추었고, 이후 여러 역의 신설 및 폐지, 노선 개량 등의 변화를 겪었다. 2016년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과 함께 동해본선에 편입되었으며, 현재 복선 전철화 사업이 진행 중이다.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는 관광 자원 개발을 위해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광역시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울산광역시의 철도 - 울산항선
    울산항선은 1951년 개통된 화물철도 노선으로, 야음역 폐지 후 울산역(현 태화강역)을 시발역으로 운영되다가 2022년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2023년 재개 예정이며, 수소전기트램 도입을 계획 중이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다이타선
    다이타선은 도카이 여객철도가 기후현의 다지미역과 미노오타역을 연결하는 17.8km의 철도 노선으로, 도노 철도에 의해 일부 개통 후 국유화 및 민영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며 전 구간 TOICA 사용이 가능하다.
  • 191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카이도 화물선
    도카이도 화물선은 도쿄역을 기점으로 요코하마 등을 경유하며 동일본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가 관할하는 일본의 철도 노선이다.
동해남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개요
코레일 동해남부선 노선도
코레일 동해남부선 노선도
노선 종류중전철, 광역 철도, 통근 열차
노선 상태동해선에 통합됨
관할 지역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기점부산진역
종점포항역
역 수37개
개통1918년 ~ 1935년 (단계별 개통)
폐지2016년 12월 29일
병합2016년 12월 30일
소유주한국철도공단
운영한국철도공사
노선 성격간선 철도
차량 기지미상
사용 차량미상
노선 길이143.2km
궤도 수단선
궤간표준궤
급전 방식교류 25kV 60Hz 가공 전차선 (부산진 - 부전 구간)
신호 방식미상
해발 고도미상
웹사이트미상
한국어 정보
한국어 명칭동해남부선
한자 명칭東海南部線
로마자 표기Donghae Nambuseon
노선 연혁
개통일1918년 10월 31일
관련 링크
관련 자료2017년 3월 5일 웹 아카이브
노선도
동해남부선 노선도
노선도

2. 역사

1918년 10월 31일, 대구선의 연장선이 포항에 도달했다.[1] 경주에서 포항까지의 구간은 미래의 동해남부선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 되었다.[2] 1918년 12월 28일, 서악역 - 사방역 - 포항역 구간이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최초로 개통되었다.[20] 1919년 1월 14일, 경주역 - 불국사역 구간이 같은 회사에 의해 개통되었다.[21] 1919년 6월 25일, 포항역 - 학산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고, 서악역 - 사방역 사이에 금장역이 신설되었다.[22] 1919년 9월 27일,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로 회사 명칭 변경을 허가받았다.[23]

1921년 10월 25일, 경주에서 울산(태화강)까지 대구선의 지선이 개통되었고,[1] 같은 날 조선중앙철도 불국사역 - 울산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4] 1928년 7월 1일, 조선철도경동선대구역 - 학산역과 경주역 - 울산역 구간이 국유화되어 조선총독부 철도 동해중부선으로 변경되었다.[25][26] 1934년 7월 15일, 부산진역 ~ 해운대 간 영업이 개시되었고,[47][27] 1934년 12월 16일, 해운대 ~ 좌천 간 영업이 개시되었다.[48][28]

1935년 12월 16일, 좌천 ~ 울산 간 영업 개시로[49][3] 부산과 울산이 연결되었다. 새로운 노선과 대구선의 일부로 건설된 두 개의 기존 구간이 통합되어 새로운 동해남부선이 되었으며, 부전에서 포항까지 145.8km의 길이를 갖게 되었다.[4] 같은 날 울산역이 경주 방향으로 약 1km 이전되었다.[29] 1936년 12월 1일, 동해중부선 울산 - 경주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했다.[30] 1940년 12월 1일, 거제역이 영업을 개시했고,[50] 1943년 3월 31일, 서면역이 폐지되었다.[51][31] 1943년 4월 1일, 부산진 ~ 거제 간 직선화 개통과 함께 부전역이 영업을 개시했으며,[52][31] 1943년 4월 2일, 범일역이 영업을 개시했다. 1944년 6월 15일, 동해중부선 효자역이 폐지되었다.[32]

1945년 7월 10일, 동해중부선 경주 - 포항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하고 동해중부선은 폐지되었다. 금장역을 나원역으로 개칭하고, 나원역 - 포항역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어 동해남부선에 편입되었다. 경주역 - 나원역 구간이 신설되고, 포항역 - 학산역 구간이 폐지되었다.[33] 1949년 9월 1일, 삼성역을 일광역으로 개칭했다.

해방 이후, 1957년 11월 1일, 서생역이 영업을 개시했다.[54][34] 1965년 6월 11일, 죽동역이 영업을 개시했고,[55] 1967년 5월 27일, 청령역이 영업을 개시했다.[56] 1979년 6월 7일, 양학동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다.[57] 1989년 8월 16일, 남문구, 안락, 재송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다.[58]

1992년 8월 20일, 울산 도심철도 구간 이설 개통으로 선암역·효문역 2개 역이 개업, 달리역, 남울산역, 병영역 3개 역이 폐지되었다. 1992년 11월 1일, 경주시내 구간 이설에 따라 황성신호장이 폐지되었다. 1996년 4월 1일, 우일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1997년 6월 1일, 효문역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59] 2002년 12월 2일,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2004년 2월 1일, 여객열차 시·종착역을 부전역으로 변경하면서 범일역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수영, 효문, 모화, 사방, 부조역 5개 역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60] 2005년 7월 1일, 양학동역이 폐지되었다.

2006년 11월 1일, 도시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61] 2010년 9월 30일, 외고산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고,[62][35] 2010년 10월 25일, 외고산역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다. 2010년 11월 1일, 울산역을 태화강역으로 변경했다. 2011년 10월 28일, 재송 ~ 수영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 2일, 수영 ~ 기장 간 이설사업 개통으로 수영, 해운대, 송정역이 이전되었다.[63] 2014년 1월 27일, 외고산역이 폐지되었고,[36] 2014년 11월 5일, 부전 ~ 재송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4월 2일, 동해선 부조 ~ 포항 구간 신선로 이설로 부조 ~ 효자 간 괴동선으로 편입되었고, 경부선대구선 경유 새마을호 운행이 폐지되었다. 2015년 10월 12일, 동래역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수영역 여객 취급이 재개되었다. 2016년 4월 29일, 동해남부선 전 구간을 동해본선으로 편입하는 ‘동해선(부산진~포항) 사용개시’가 고시되었고,[64] 2016년 10월 28일, 철도노조 파업 장기화의 영향으로 시운전 기간 중 운전사 인력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여 다음 달 광역전철 개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37] 2016년 12월 29일, 부산역 - 일광역 구간 복선 전철 개통식이 개최되었고,[38] 2016년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상업개통과 동시에 동해남부선 전 구간이 동해본선으로 편입되었다.[17][38]

2. 1. 일제강점기

1918년 10월 31일, 대구선의 연장선이 포항에 도달했다.[1] 경주에서 포항까지의 구간은 미래의 동해남부선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 되었다.[2] 1921년 10월 25일, 경주에서 울산(태화강)까지 대구선의 지선이 개통되었다.[1]

1934년 7월 15일에는 부산진 ~ 해운대 간 노선이 영업을 개시하였고,[47] 1934년 12월 16일에는 해운대 ~ 좌천 간 노선이 영업을 개시하였다.[48] 1935년 12월 16일, 좌천 ~ 울산 간 영업 개시로[49] 부산과 울산이 연결되었다.[3]

이후 새로운 노선과 대구선의 일부로 건설된 두 개의 기존 구간이 통합되어 새로운 동해남부선이 되었으며, 부전에서 포항까지 145.8 km의 길이를 갖게 되었다.[4] 1936년 12월 1일에는 동해중부선 울산-경주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했다.

1940년 12월 1일에는 거제역이 영업을 개시하였고,[50] 1943년 3월 31일에는 서면역이 폐지되었다.[51] 1943년 4월 1일에는 부산진 ~ 거제 간 직선화 개통과 함께 부전역이 영업을 개시하였으며,[52] 다음 날인 4월 2일에는 범일역이 영업을 개시했다.

1945년 7월 10일, 동해중부선 경주-포항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하고 동해중부선은 폐지되었다.

2. 2. 해방 이후

1945년 7월 10일, 동해중부선 경주-포항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하고, 동해중부선은 폐지되었다.[45] 해방 이후, 1949년 7월경에는 삼성역이 일광역으로 변경되었고[53], 1957년 11월 1일에는 서생역이 영업을 개시했다.[54] 1965년 6월 11일에는 죽동역이, 1967년 5월 27일에는 청령역이 영업을 시작했다.[55][56]

1979년 6월 7일, 양학동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다.[57] 1989년 8월 16일에는 남문구, 안락, 재송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했다.[58] 1992년 8월 20일에는 울산 도심철도 구간이 이설 개통되었다. 1996년 4월 1일, 우일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다.[58] 1997년 6월 1일, 효문역은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59]

2002년 12월 2일, 동서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 2004년 2월 1일에는 여객열차 시·종착역이 부전역으로 변경되면서 범일역의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같은 해 12월 10일, 수영, 효문, 모화, 사방, 부조역 5개 역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60] 2006년 11월 1일에는 도시통근열차가 폐지되었다.[61]

2010년 9월 30일, 외고산역이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했고[62], 같은 해 11월 1일에는 울산역이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다. 2011년 10월 28일, 재송-수영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3년 12월 2일, 수영-기장 간 이설사업 개통으로 수영, 해운대, 송정역이 이전되었다.[63] 2014년 11월 5일에는 부전-재송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 4월 2일, 동해선 부조-포항 구간이 신선으로 이설되면서 부조-효자 간은 괴동선으로 편입되었고, 경부선대구선 경유 새마을호 운행이 폐지되었다. 같은 해 10월 12일, 동래역의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수영역의 여객 취급이 재개되었다. 2016년 4월 29일, 동해남부선 전 구간을 동해본선으로 편입하는 ‘동해선(부산진~포항) 사용개시’가 고시되었고[64], 같은 해 12월 30일, 동해선 광역전철 상업개통과 동시에 동해남부선 전 구간이 동해본선으로 편입되었다.

2. 3. 연혁

1918년 10월 31일, 대구선의 연장선이 포항에 도달했다.[1] 경주에서 포항까지의 구간은 미래의 동해남부선의 가장 오래된 부분이 되었다.[2]

1918년 12월 28일 - 서악역 - 사방역 - 포항역 구간이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최초로 개통.[20]

1919년 1월 14일 - 경주역 - 불국사역 구간이 같은 회사에 의해 개통.[21]

1919년 6월 25일 - 포항역 - 학산역 구간이 연장 개통. 서악역 - 사방역 사이에 금장역을 신설.[22]

1919년 9월 27일 -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조선중앙철도주식회사로 회사 명칭 변경을 허가받음.[23]

1921년 10월 25일, 경주에서 울산(태화강)까지 대구선의 지선이 개통되었다.[1] 같은날 조선중앙철도 불국사역 - 울산역 구간이 개통.[24]

1928년 7월 1일 - 조선철도경동선대구역 - 학산역과 경주역 - 울산역 구간이 국유화되어 조선총독부 철도 동해중부선으로 변경.[25][26]

1934년 7월 15일 : 부산진역 ~ 해운대 간 영업 개시[47][27]

1934년 12월 16일 : 해운대 ~ 좌천 간 영업 개시[48][28]

1935년 12월 16일 : 좌천 ~ 울산 간 영업 개시[49][3], 부산과 울산이 연결되었다. 새로운 노선과 대구선의 일부로 건설된 두 개의 기존 구간이 통합되어 새로운 동해남부선이 되었으며, 부전에서 포항까지 145.8km의 길이를 갖게 되었다.[4] 울산역이 경주 방향으로 약 1km 이전.[29]

1936년 12월 1일 : 동해중부선 울산 - 경주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30]

1940년 12월 1일 : 거제역 영업 개시[50]

1943년 3월 31일 : 서면역 폐지[51][31]

1943년 4월 1일 : 부산진 ~ 거제 간 직선화 개통, 부전역 영업 개시[52][31]

1943년 4월 2일 : 범일역 영업 개시

1944년 6월 15일 - 동해중부선 효자역이 당일 폐지.[32]

1945년 7월 10일 : 동해중부선 경주 - 포항 간을 표준궤로 개궤함과 동시에 동해남부선에 편입, 동해중부선 폐지. 금장역을 나원역으로 개칭. 나원역 - 포항역 구간이 표준궤로 개궤되어 동해남부선에 편입. 경주역 - 나원역 구간이 신설되고, 포항역 - 학산역 구간이 폐지.[33]

1949년 7월경 : 삼성역을 일광역으로 변경[53]

1949년 9월 1일 - 삼성역을 일광역으로 개칭.

1957년 11월 1일 : 서생역 영업 개시[54][34]

1965년 6월 11일 : 죽동역 영업 개시[55]

1967년 5월 27일 : 청령역 영업 개시[56]

1979년 6월 7일 : 양학동역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57]

1989년 8월 16일 : 남문구, 안락, 재송역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58]

1992년 8월 20일 : 울산 도심철도 구간 이설 개통, 선암역·효문역 2개 역이 개업, 달리역, 남울산역, 병영역 3개 역이 폐지.

1992년 11월 1일 - 경주시내 구간 이설에 따라 황성신호장 폐지.

1996년 4월 1일 : 우일역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

1997년 6월 1일 : 효문역 배치간이역으로 격하[59]

2002년 12월 2일 : 동서통근열차 폐지

2004년 2월 1일 : 여객열차 시·종착역을 부전역으로 변경, 범일역 여객 취급 중지

2004년 12월 10일 : 수영, 효문, 모화, 사방, 부조역 5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60]

2005년 7월 1일 - 양학동역 폐지.

2006년 11월 1일 : 도시통근열차 폐지[61]

2010년 9월 30일 : 외고산역 임시승강장으로 영업 개시[62][35]

2010년 10월 25일 - 외고산역 여객 영업 중지.

2010년 11월 1일 : 울산역을 태화강역으로 변경

2011년 10월 28일 : 재송 ~ 수영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2013년 12월 2일 : 수영 ~ 기장 간 이설사업 개통으로 수영, 해운대, 송정역 이전[63]

2014년 1월 27일 - 외고산역 폐지[36]

2014년 11월 5일 : 부전 ~ 재송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2015년 4월 2일 : 동해선 부조 ~ 포항 구간 신선로 이설로 부조 ~ 효자 간 괴동선 편입, 경부선대구선 경유 새마을호 운행 폐지

2015년 10월 12일 : 동래역 여객 취급 중지, 수영역 여객 취급 재개

2016년 4월 29일 : 동해남부선 전 구간을 동해본선으로 편입하는 ‘동해선(부산진~포항) 사용개시’ 고시[64]

2016년 10월 28일 - 철도노조 파업 장기화의 영향으로 시운전 기간 중 운전사 인력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여, 다음 달 광역전철 개통을 무기한 연기[37]

2016년 12월 29일 - 부산역 - 일광역 구간 복선 전철 개통식 개최[38]

2016년 12월 30일 : 동해선 광역전철 상업개통과 동시에 동해남부선 전 구간이 동해본선으로 편입됨[17][38]

3. 노선 정보

동해남부선은 총 노선 거리 145.8km에 운영 기관은 한국철도공사이다.[14] 궤간은 1,435mm(표준궤)이며, 통행 방식은 좌측 통행이다. 역 수는 39개이며, 해운대역~송정역 구간(6.5km)은 복선 구간이다. 전철화 구간은 부산진~부전 구간(4.6km)이다.[14] 보안 장치는 ATS 3현시를 사용한다.

동해선은 여객 및 화물 운송을 담당하며, 2010년 10월 기준으로 부산 부전역에서 출발하는 무궁화호 열차는 울산까지 약 1시간 25분, 포항까지 약 2시간 40분 정도 소요된다.[14] 경부선, 대구선, 중앙선을 경유하여 포항과 울산은 새마을호무궁화호를 통해 서울과 연결된다. 2010년 기준으로 서울에서 포항까지 최단 소요 시간은 직행 새마을호로 약 5시간 15분, 동대구역에서 KTX로 환승 시 약 3시간 40분이다.[14]

노선 개량 공사가 완료되면 화물 운송을 위한 회랑으로서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15]

4. 역 목록

거리(km)영업
거리(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부산진0.00.0경부선
우암선
부산광역시동구여객취급중단
(화물전용)범일2.12.1가야선부산진구부전●2.54.6부전선
거제|3.27.8연제구무인역남문구|1.39.1임시승강장동래|1.510.6동래구안락|1.311.9임시승강장재송|1.713.6해운대구임시승강장수영▲1.314.9우일|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임시승강장해운대●5.920.8송정▲2.923.7기장●6.630.3기장군일광|3.033.3무인역좌천▲5.338.6월내▲3.442.0서생|2.944.9울산광역시울주군무인역남창▲8.553.4온산선외고산|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덕하▲9.362.7선암|2.565.2남구신호장달리|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태화강●4.870.0장생포선
울산항선병영|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중구효문|3.473.4북구무인역호계●6.279.6모화|7.286.8경상북도경주시여객취급중단입실|3.990.7여객취급중단죽동|3.994.6무인역불국사▲4.198.7동방|4.5103.2신호장경주●6.5109.7중앙선나원|5.1114.8금장삼각선청령|3.7118.5무인역사방|2.7121.2무인역안강●5.8127.0양자동|2.9129.9무인역부조|2.9132.8동해선무인역효자6.4139.2괴동선포항시여객취급중단양학동2.8144.6임시승강장포항1.2143.2여객취급중단학산2.0145.2



부산역경부선의 종착역이며, 부산진역은 부산역 바로 북쪽에 위치하며, 역시 경부선 상에 위치한다.[13] 범일역가야선의 종착역이고, 부전역부전선의 종착역이다.[13] 동래역신해운대역은 부산 동부에 위치해 있다.[13] 기장역남창역은 각각 온산선의 종착역이다.[13] 태화강역은 주요 공업 도시이며 장생포선울산항선의 종착역이고, 경주역중앙선의 종착역이다.[13] 효자역괴동선의 종착역이며, 포항역은 항구 도시이자 공업 도시다.[13]

5. 복선 전철화 사업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은 1990년에 노선 개선 계획이 시작되어, 2003년 6월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진행되었다.[5] 노선의 대부분은 단선 비전철이었으나,[4] 전체 노선은 전철 복선 철도로 개량될 예정이었다. 주요 목표는 통근 교통 개선이었다.[5]

한국철도공단,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가 개선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010년 기준 공사 진척률은 32%였다.[5] 2010년 9월 1일,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서울에서 전국 95% 지역으로의 이동 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전략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 계획의 일환으로 동해선 부산-울산선 구간은 시속 230km/h로 추가 개선될 예정이었다.[8]

경주시 시내를 우회하고 경주역에서 경부고속선에 연결되는 새로운 선형으로 대체될 예정이며,[9] 2009년 4월 23일 정부의 최종 승인을 받아 기공식이 거행되었다.[11]

부전역 - 태화강역 구간 복선 전철화 공사는 2016년 12월 30일 부전역 - 일광역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일광역 - 모량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포항역에서 강릉역까지의 구간(동해중부선) 공사도 추진되고 있다.

당초 광역전철로 계획되었으나, 울산광역시의 소극적인 태도로 광역전철 지정에서 제외되어 전액 국비로 착공하게 되었다.[18] 부산광역시 내에서는 2013년 이후 단계적으로 고가 상의 신규 노선으로 전환되었다.[19]

6. 동해선 폐선 부지 활용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 활용


울산부산 사이의 동해남부선 폐선 부지를 활용하여 동부산 관광단지와 해운대를 연결하고, 관광 자원 조성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였다.[16] 해운대 올림픽 교차로를 시작으로 해운대역, 해안 절경인 미포, 청사포, 구덕포를 지나가는 녹색 철길을 조성하여 해운대 해변을 찾는 관광객과 지역 주민에게 쾌적하고 활력 넘치는 공간을 제공한다.[16]

부산 그린 레일웨이 프로젝트는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되었다.[16] 1단계 구간은 해운대 올림픽 교차로에서 부산 기계공업고등학교까지이며, 2015년 9월 23일부터 2016년 12월 29일까지 34억 1천만 원의 예산으로 진행되었다.[16] 2단계 구간은 부산 기계공업고등학교에서 동부산 관광단지 입구까지이며, 2016년 6월 27일부터 2017년 12월 11일까지 81억 원의 예산으로 진행되었다.[16]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대구선 일부구간 이설 개통 http://www.silvernew[...] 2005-11-14
[2] 서적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Kawaguchi Printing Company
[3]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1935-12-04
[4]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5] 웹사이트 부산~울산 복선전철 http://www.krnetwork[...]
[6] 웹사이트 Detailed Design Proposal for Construction of Donghaenambu Line (Busan - Ulsan) Double Track Railway Lot 2 http://www.samboeng.[...]
[7] 웹사이트 Alternative design of railway construction for electrified double track on Donghae Nambu Line between Busan and Ulsan (Section 2) http://www.cse.co.kr[...]
[8]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2010-09-02
[9] 웹사이트 울산~포항 복선전철 http://www.krnetwork[...]
[10] 웹사이트 KTX to Cut Seoul-Pohang Trip to 2 Hours in 2011 http://english.chosu[...] 2007-05-09
[11] 웹사이트 울산~포항 복선전철건설 추진현황 http://pohangnews.co[...] 2010-01-26
[12] 웹사이트 FEBRUARY 1, 2010 weekly news http://eng.ipohang.o[...] 2010-02-16
[13] 웹사이트 Stations http://2030busan.com[...] null
[14] 웹사이트 Booking http://www.korail.co[...]
[15] 웹사이트 South Korea's growing network http://www.railwayga[...] 2008-09-08
[16] 웹사이트 부산의 내일 : 부산시 도시계획 : 역세권개발 :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활용 http://www.busan.go.[...]
[17] 웹사이트 国土交通部による路線距離告示(第2016-224号)官報第18750号2016年4月29日(金) http://gwanbo.moi.go[...]
[18] 웹사이트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전액 국비사업 전환 http://news.joins.co[...]
[19] 웹사이트 동해남부선 부산 부전∼수영 구간 새 노선 운행 http://www.yonhapnew[...]
[2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1924号 1919-01-09
[2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1932号 1919-01-18
[2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069号 1919-07-04
[2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146号 1919-10-06
[24]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大正第2764号 1919-10-28
[25]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439号 1928-06-16
[26]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459号 1928-07-10
[27]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249号 1934-07-10
[2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377号 1934-12-12
[2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668号 1935-12-04
[30]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2955号 1936-11-18
[31]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4844号 1943-03-27
[3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203号 1944-06-10
[3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 昭和第5526号 1945-07-06
[34] 간행물 大韓民国官報 交通部告示 第501号 1957-10-29
[35] 간행물 大韓民国官報国土海洋部告示 第2010-658号 2010-09-30
[36] 법규 韓国鉄道公社第2014-013号 列車運転施行細則 2014-01-24
[37] 뉴스 동해선 광역전철, 무기한 개통연기 http://www.itrailnew[...] 인터넷레일뉴스 2016-10-28
[38] 뉴스 동해남부선 부전~일광 30일 개통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12-19
[39] 신문기사 동해안선 신설로 부산진역확장? :s:동아일보/1927년/6월 29일 동아일보 1927-06-29
[40] 문서 현 이마트 학성점 인근
[41] 저널 부산시사 제3권 제7절 부산광역시 1991-03
[42] 뉴스 신경제 사회간접자본 확충안 요지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3-06-15
[43] 뉴스 부산~울산 복선전철 착공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3-08-12
[44] 뉴스 동해남부선 등 광역철도 사업 감사원 "6000억 예산절감" 권고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08-04-28
[45] 법규 대한민국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833호
[46] 뉴스 동해남부선 복선 전철화 사업 '청신호'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10-10-26
[47]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57호 1934-07-10
[48]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19호 1934-12-12
[49]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707호 1935-12-04
[50]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324호 1940-11-30
[51]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64호 1943-03-27
[52] 법규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362호 1943-03-27
[53] 뉴스 역명두개개칭 경북안동은안동 삼성은일광으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9-07-02
[54] 법규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501호 1957-10-29
[55] 법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45호 1965-05-26
[56] 법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27호 1967-05-20
[57] 문서 제철역사(驛史)
[58] 법규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34호 1989-10-25
[59] 법규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60] 법규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61] 뉴스 동해남부선 통근열차 32년여만에 중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11-01
[62] 법규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658호 2010-09-30
[63] 법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52호 http://gwanbo.mois.g[...] 2013-11-07
[64] 법규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4호 http://www.molit.go.[...] 2016-04-29
[65]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66]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67] 데이터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68]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69]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70] 법규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2001
[71]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72] 웹사이트 원효터널외 1개 구조물 비파괴검사(터널스캐너) 조사 - 과업내용서 https://www.kalis.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