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발레 기저는 표수 0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반단순 리 대수의 근계에 대한 기저로, 모든 구조 상수가 정수가 되도록 정의된다. 슈발레 기저를 통해 정수 리 대수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임의의 가환환에 대해 일반화할 수 있다. 슈발레 기저는 클로드 슈발레에 의해 유한 단순군 연구를 위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슈발레 기저
2. 정의
표수 0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위의 반단순 리 대수의 근계를 이용하여 슈발레 기저를 정의한다. 카르탕-베유 기저의 구조 상수를 정수로 만들기 위해 단순근과 카르탕 행렬을 사용하여 새로운 기저를 구성한다.
카르탕-베유 기저의 구조 상수는 일반적으로 정수가 아니다. 하지만 단순근과 카르탕 행렬을 이용하여 새로운 기저를 정의하면, 이 기저에서의 구조 상수는 모두 정수가 된다. 이렇게 구성된 기저를 슈발레 기저라고 부른다.
이에 따라, 위 리 괄호로 정의되는 정수 리 대수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임의의 가환환으로 확장할 수 있다. 만약 일 경우, 이는 반단순 리 대수의 분할 형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