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탕 행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탕 행렬은 정수 성분 정사각 행렬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며, 단순 리 대수의 구조를 특징짓는 데 사용된다. 딘킨 도표는 카르탕 행렬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리 대수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카르탕 행렬은 고윳값에 따라 유한형, 아핀형, 부정형 등으로 분류되며, 단순 리 대수 및 아핀 리 대수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리 대수의 정의를 확장한 개념으로, 카츠-무디 대수 등 더 넓은 범위의 대수를 다룰 수 있게 한다. 또한, 유한 차원 대수의 표현론과 M이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빌헬름 킬링이 처음 사용했으나 엘리 카르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행렬 - 스핀 (물리학)
스핀은 양자역학적 각운동량으로, 양자화된 값을 가지며 자기 쌍극자 모멘트를 유발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스핀트로닉스 기술 발전에 기여하지만, 전자의 스핀 기원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 행렬 -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은 양자역학에서 스핀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에르미트 행렬이자 유니타리 행렬로, 행렬식은 -1이고 대각합은 0이며, 리 대수의 생성원이자 파울리 벡터로 정의되어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 카르탕 행렬 | |
|---|---|
| 개요 | |
| 정의 | 수학에서, 카르탕 행렬(Cartan matrix)은 1925년 엘리 카르탕의 이름을 딴 정사각행렬 A이다. |
| 유형 | 정수 항목을 갖고 특정 추가 조건을 만족한다. |
| 활용 | 반단순 리 대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카츠-무디 대수)의 근계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
| 형식적 정의 | |
| 정의 | 계수 n의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다음 속성을 갖는 정수 항목의 n × n 행렬 A = (aij)이다. (1) 주대각선 원소의 값은 2이다. 즉, aii = 2. (2) 대각선이 아닌 원소의 값은 0보다 작거나 같다. 즉, i ≠ j에 대해 aij ≤ 0. (3) aij = 0이면 aji = 0이다. (4) A는 대칭 행렬 D와 대각 행렬 D에 대해 DA는 대칭 행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
| 카르탕 행렬 | 행렬 A가 추가로 다음을 만족하면 카르탕 행렬이라고 한다. (5) A는 양의 정부호이다. |
| 조건 (4)의 의미 | A가 대칭화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기서 Di는 양의 유리수이다. 실제로 모든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대칭화 가능하다. |
| 대칭화 가능 행렬의 중요성 | 복소수 반단순 리 대수의 분류에 중요하다. |
| 반단순 리 대수와의 관계 | |
| 반단순 리 대수 g | 복소수 반단순 리 대수 g가 주어지면, g의 근계 Φ를 구성할 수 있다. 단순근의 집합 Δ = {α1, ..., αn}을 선택하면, 카르탕 행렬 A = (aij)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aij = 2(αi, αj)/(αi, αi). |
| ( , )의 의미 | g의 킬링 형식이다. |
| 카르탕 행렬의 성질 | 카르탕 행렬의 항목은 정수이다. 대각선 항목은 항상 2이다. 대각선이 아닌 항목은 음이 아닌 정수이다. A는 대칭화 가능하다. |
| 카르탕 행렬의 결정 | 반단순 리 대수 g의 동형사상류는 그 카르탕 행렬에 의해 결정된다. 즉, 카르탕 행렬은 반단순 리 대수의 완전한 불변량이다. 주어진 반단순 리 대수에 대해, 단순근의 서로 다른 선택은 동일한 카르탕 행렬을 생성한다. 그러나 근계의 서로 다른 순서는 순열된 행렬을 생성한다. |
|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 | |
| 정의 |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위의 속성 (1) - (4)를 만족하는 정사각 행렬이다. 카르탕 행렬은 추가로 속성 (5)를 만족하는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이다. |
| 분류 |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다음 세 가지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유한 유형: 모든 부분합이 양수인 모든 벡터 v에 대해 vTA v > 0이다. 아핀 유형: 모든 부분합이 양수인 모든 벡터 v에 대해 vTA v ≥ 0이고 vTA v = 0인 벡터 v가 존재한다. 무한 유형: v ≤ 0인 벡터 v가 존재한다. |
2. 정의
정사각 행렬 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카르탕 행렬'''이라고 한다.
- 모든 에 대하여,
- 모든 에 대하여, 라면
- 모든 에 대하여, 이면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위 조건에 더불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 행렬이다.
- 는 로 쓸 수 있으며, 여기서 는 대각 행렬이고, 는 대칭 행렬이다.
단순 리 대수의 카르탕 행렬은 그 원소가 스칼라 곱인 행렬이다.
:[1]
여기서 ''ri''는 대수의 단순 근이다.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이 주어지면, 해당 리 대수를 복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Kac–Moody 대수 참조).
''G''2의 카르탕 행렬의 한 예는 다음과 같다.
:
2. 1. 딘킨 도표
그래프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변 에 대하여, 양의 정수 순서쌍
이 데이터로부터 카르탕 행렬을 재구성할 수 있다.
3. 분류
대칭화 가능 카르탕 행렬은 그 고윳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유한형 카르탕 행렬: 고윳값이 모두 양수인 경우이다. 이들은 복소수 단순 리 대수와 일대일 대응한다.
- 아핀형 카르탕 행렬: 고윳값이 모두 양수 또는 0이며, 0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경우이다. 이들은 아핀 리 대수와 일대일 대응한다.
- 부정형 카르탕 행렬: 고윳값이 음수를 포함하는 경우이다.
분해 불가능한(기약)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행렬의 주요 소행렬식의 부호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 유한형: 모든 주요 소행렬식이 양수이다.
- 아핀형: 진부분 주요 소행렬식은 양수이고, 전체 행렬식은 0이다.
- 부정형: 위 두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분류는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 및 아핀 리 대수의 분류와 일치한다.
4. 리 대수
리 대수(Lie algebra)는 카츠-무디 대수(Kac–Moody algebra)와 같이 더 넓은 범위의 대수를 다룰 수 있도록 정의를 확장할 수 있는데, 이때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이 사용된다. 단순 리 대수(simple Lie algebra)의 카르탕 행렬은 그 근계의 스칼라 곱을 통해 정의되며, 리 대수의 구조를 특징짓는다.[1]
일반화된 카르탕 행렬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 항목을 가진 정사각 행렬 이다.
# 대각 항목은 이다.
# 비대각 항목은 이다.
# 인 것과 인 것은 동치이다.
# 는 로 분해할 수 있다. (는 대각 행렬, 는 대칭 행렬)
예를 들어 ''G''2의 카르탕 행렬은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
단순 리 대수의 카르탕 행렬에서 원소는 단순 근의 스칼라 곱이다. (는 대수의 단순 근)
:
4. 1. 단순 리 대수의 카르탕 행렬의 행렬식
단순 리 대수(simple Lie algebra)의 카르탕 행렬의 행렬식은 다음 표와 같다. (A1=B1=C1, B2=C2, D3=A3, D2=A1A1, E5=D5, E4=A4, E3=A2A1과 함께)[2]| An | Bn | Cn | Dn n ≥ 3 | En 3 ≤ n ≤ 8 | F4 | G2 |
|---|---|---|---|---|---|---|
| n + 1 | 2 | 2 | 4 | 9 − n | 1 | 1 |
이 행렬식은 연관된 근계의 지표와 같다. 즉, P, Q가 각각 가중치 격자와 근 격자를 나타낼 때, 와 같다.
5. 유한 차원 대수의 표현
유한체 표현론, 더 일반적으로 유한 차원 결합 대수 ''A''의 표현론에서, 반단순이 아닌 경우, '''카르탕 행렬'''은 (유한) 집합의 주기약 가군을 고려하고, 이를 기약 가군으로 나타내는 조성열을 작성하여 기약 가군의 발생 횟수를 세는 정수 행렬을 생성하여 정의된다.[1]
모듈러 표현론 또는 더 일반적으로 반단순환이 아닌 유한 차원 결합 대수 A의 표현론에서, '''카르탕 행렬'''은 principal indecomposable module|주직약 가군영어의 동형류로 이루어진 (유한) 집합을 고려하여, 이들의 조성열을 기약 가군의 언어로 기술하고, 기약 가군의 출현 횟수를 세는 정수 행렬로 정의된다.[1]
6. M이론
M이론에서, 2-사이클들이 유한한 수의 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기하학을 2-사이클의 면적이 0으로 수렴하는 극한에서 고려할 수 있다. 이 극한에서 국소 대칭군이 나타난다. 2-사이클 기저의 교차수 행렬은 이 국소 대칭군의 리 대수의 카르탕 행렬일 것으로 추측된다.[3]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M이론에는 '막' 또는 '2-브레인'이라고 불리는 2차원 표면인 솔리톤이 존재한다. 2-브레인은 장력을 가지고 있어 축소되려는 경향이 있지만, 0으로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2-사이클을 감쌀 수 있다.
모든 2-사이클과 그 교차점이 공유하는 한 차원을 콤팩트화한 다음, 이 차원이 0으로 수렴하는 극한을 취하여 이 차원에 대한 차원 축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M이론의 극한으로 IIA형 끈 이론을 얻게 되는데, 2-사이클을 감싸는 2-브레인은 이제 D-브레인 사이에 뻗어 있는 열린 끈으로 설명된다. 각 D-브레인에 대해 U(1) 국소 대칭군이 있는데, 이는 방향을 바꾸지 않고 D-브레인을 움직이는 자유도와 유사하다. 2-사이클의 면적이 0인 극한은 이러한 D-브레인이 서로 위에 있는 극한이므로 향상된 국소 대칭군을 얻게 된다.
이제, 두 D-브레인 사이에 뻗어 있는 열린 끈은 리 대수 생성자를 나타내며, 이러한 두 생성자의 교환자는 두 개의 열린 끈의 가장자리를 함께 붙여서 얻을 수 있는 열린 끈으로 표현되는 세 번째 생성자이다. 서로 다른 열린 끈 간의 이러한 관계는 원래의 M이론에서 2-브레인이 교차할 수 있는 방식, 즉 2-사이클의 교차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리 대수는 이러한 교차수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카르탕 행렬과의 정확한 관계는 후자가 선택된 기저에서 2-사이클과 관련된 단순 근의 교환자를 설명하기 때문이다.
카르탕 부분 대수의 생성자는 D-브레인과 자체 사이에 뻗어 있는 열린 끈으로 표현된다.
7. 역사
참조
[1]
서적
Lie Algebras in Particle Physics
Westview Press
1999-10-22
[2]
논문
Cartan-Gram determinants for the simple Lie Groups
https://deepblue.lib[...]
1982-11
[3]
간행물
A Note on Enhanced Gauge Symmetries in M- and String The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