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퍼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퍼문은 천문학 용어가 아닌, 1979년 점성술사 리처드 놀이 만든 용어이다. 달이 지구 궤도상에서 가장 가까워지는 시점(근지점)에서 보름달이나 초승달이 나타나는 현상을 지칭하며, 학계에서는 "근지점-합" 또는 "근지점 보름/초승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슈퍼문은 겉보기 크기가 더 크고 밝게 보이며, 조석의 변화를 유발하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슈퍼문과 개기 월식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슈퍼 블러드 문이라고 부른다.

2. 정의 및 기원

지구 주위를 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공전하며, 근지점에 올 때 평소보다 크게 보인다. (달의 겉보기 크기가 더 크다.)[74] 특히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대략 357,000km 정도이고 보름달일 때를 '''슈퍼문'''이라고 한다.[75]



"슈퍼문"이라는 용어는 천문학에서 나온 용어가 아니라 1979년 점성술사 리처드 놀이 만든 단어이다. 천문학에서는 근지점과 원지점[76]으로 부르거나, "근지점-합삭(perigee-syzygy)" 또는 "근지점 보름/초승달"(perigee full/new moon)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12] 근지점은 달이 지구 궤도에서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며, 합삭은 지구, 달, 태양이 일렬로 정렬되는 현상으로 매 보름달 또는 초승달마다 발생한다.

2. 1. 점성술적 정의

"슈퍼문"이라는 이름은 1979년 점성술가 리처드 놀(Richard Nolle)이 ''델 호로스코프''(Dell Horoscope) 잡지에서 처음 사용하였다.[5] 그는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거리의 90% 이내에 있을 때의 보름달 또는 초승달을 슈퍼문으로 정의했다.[5] 간단히 말하면,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에 놓이고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현상이다.[5]

텍스트 참조
NASA 이미지로 슈퍼문(왼쪽)과 마이크로문(오른쪽) 비교를 보여줌


놀은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수문학자 퍼거스 우드(Fergus Wood)가 1976년에 출판한 ''근지점 사리의 해상 역사 및 해안 홍수에서의 전략적 역할''(Strategic Role Of Perigean Spring Tides in Nautical History and Coastal Flooding)을 읽고 이 이름을 떠올렸다.[6][7] 2011년, 놀은 자신의 계산 방식이 태양년 동안 달 원지점 극값의 90% 차이를 기반으로 한다고 설명했다.[8][9]

하지만 슈퍼문 명칭을 받기 위해 보름달이 근지점에 얼마나 가까워야 하는지에 대한 공식적이거나 일관된 정의는 없으며, 초승달은 슈퍼문 명칭을 받는 경우가 드물다.[10][11]

놀은 2000년에 "평균 근지점의 100% 이상"인 모든 초승달 또는 보름달을 설명하는 "극단적인 슈퍼문"이라는 개념을 추가했다.[14] 또한, 놀은 슈퍼문 위치에 있는 달은 "지구물리학적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했지만, 왜 90%라는 숫자가 선택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36]

최근에는 근지점에서 전후 1시간 이내에 보름달 또는 삭을 맞이하는 것을 "익스트림 슈퍼문" 또는 "엑스트라 슈퍼문"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러한 보름달은 대략 18년에 한 번꼴로 관측할 수 있다. 1950년 이후로는 1955년, 1974년, 1992년, 2011년, 2014년이 해당한다.[38][45][46][47]

2. 2. 천문학적 정의

지구 주위를 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공전한다.(달의 공전궤도 이심률은 0.05488이다.[74]) 따라서 근지점에 올 때가 있는데, 이때 달이 평소보다 크게 보인다. (겉보기 크기가 평소보다 크다.) 이를 '''슈퍼문'''이라고 한다. 특히, 근지점에 있을 때의 달 중에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대략 357,000km 정도이고 보름달일 때를 '''슈퍼문'''이라고 한다.[75]

이 용어는 천문학에서 나온 용어가 아니다. 1979년에 점성술사 Richard Nolle가 만든 단어이다. 천문학에서는 슈퍼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근지점과 원지점[76]으로 부른다.

학계에서는 "근지점-합"(perigee-syzygy) 또는 "근지점 보름/초승달"(perigee full/new moon)이라는 용어를 선호한다.[12] 근지점은 달이 지구 궤도에서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며, 합삭은 지구, 달, 태양이 일렬로 정렬되는 현상으로 매 보름달 또는 초승달마다 발생한다.

슈퍼문 명칭을 받기 위해 보름달이 근지점에 얼마나 가까워야 하는지에 대한 공식적이거나 일관된 정의는 없다.[10]

3. 발생 빈도 및 주기

슈퍼문은 대략 14삭망월(약 411.8일)마다 발생하며, 1년에 3~4번 정도 관측될 수 있다. 보름달 또는 그믐달까지의 거리가 변동하는 것은 합삭월과 근점월의 차이 때문이다.[13] 이 변동의 주기는 약 14 합삭월이며, 이는 15 근점월에 가깝다. 따라서 14 삭망 주기마다 근지점에 가장 가까운 보름달이 뜬다.

graph of Moon's distance from Earth against time; refer to text
슈퍼문은 그래프의 맨 아래에 가장 가까운 점으로 표시됩니다.


가장 최근의 슈퍼문은 2024년 11월 15일에 떴으며, 다음 슈퍼문은 2025년 10월 7일에 뜰 것이다.[13]

3. 1. 주기 변동

달은 지구 주위를 한 달에 한 번씩 공전하므로, 근지점과 원지점은 각각 1년에 12번씩 발생한다. 이 중에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357,000km 정도이고, 보름달일 때의 발생 빈도는 정확히 알 수 없다.

1948년 이후, 근지점일 때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순서대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시각은 한국 시각이다.

순번날짜시각거리 (km)비고
11948년 1월 26일20시 17분356,462보름달[77]
22016년 11월 14일20시 24분356,511보름달
31975년 2월 26일6시 58분356,519보름달
41972년 11월 21일9시 3분356,524보름달
51990년 12월 2일19시 49분356,526보름달
61993년 3월 8일17시 36분356,529보름달



만월 주기란 달이 근지점에 위치하고 태양 및 지구와 정렬되는 기간으로, 약 13.9443 삭망월(약 411.8일)이다. 따라서 거의 매 14번째 만월이 슈퍼문이 된다. 그러나 주기의 정확히 절반 시점에서도 만월은 근지점에 가까워지며, 그 직전 또는 직후의 삭은 슈퍼문이 된다. 따라서 한 번의 만월 주기마다 3번의 슈퍼문이 발생한다. 만월의 슈퍼문은 앞서 언급한 만월 주기에 따라 연간 대략 1회 관측할 수 있지만, 지구와 달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2014년처럼 연간 여러 번 관측할 수도 있다.[52][53]

13.9443과 14의 차이는 1/18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슈퍼문의 주기 자체는 18회의 만월 주기(약 251 삭망월, 20.3년)의 주기로 변동한다. 따라서 약 10년 동안은 최대 슈퍼문이 만월, 다음 10년 동안은 최대 슈퍼문이 삭이 된다.

3. 2. 주요 슈퍼문

1948년 이후 근지점에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순서대로 나타낸 표는 다음과 같다. 시각은 한국 시각이다.

순번날짜시각거리 (km)비고
11948년 1월 26일20시 17분356462km보름달[77]
22016년 11월 14일20시 24분356511km보름달
31975년 2월 26일6시 58분356519km보름달
41972년 11월 21일9시 3분356524km보름달
51990년 12월 2일19시 49분356526km보름달
61993년 3월 8일17시 36분356529km보름달



2016년 11월 14일의 슈퍼문은 1948년 1월 26일 이후 가장 가까운 보름달이었으며, 2034년 11월 25일이 되어야 이 기록이 깨진다.[15]

21세기에 가장 가까운 보름달은 2052년 12월 6일에 뜰 것이다.[16]

때때로 슈퍼문은 개기 월식과 겹치기도 한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2022년 5월이었으며, 다음 사례는 2032년 10월이 될 것이다.[13]

이슬람력에서 슈퍼문이 뜨는 것은 7년 주기를 따른다. 첫 해에는 보름달이 1~2개월에 근지점에 가까이 뜨고, 다음 해에는 3~4개월, 이런 식으로 이어진다. 주기의 7년째에는 보름달이 근지점에 거의 가까이 뜨지 않는다. 약 20년마다 슈퍼문이 뜨는 달이 한 달 앞당겨진다. 현재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어서 슈퍼문이 연속으로 두 번 뜬다. 예를 들어, 히즈라력 1446년에는 3개월( 2024년 9월 18일)과 4개월( 2024년 10월 17일)에 모두 슈퍼문이 뜬다.

4. 겉보기 크기 및 밝기

지구 주위를 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공전한다. (달의 공전궤도 이심률은 0.05488이다.[74]) 따라서 근지점에 올 때 달이 평소보다 크게 보이는데, 이를 '''슈퍼문'''이라고 한다. 특히,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대략 357,000km 정도이고 보름달일 때를 슈퍼문이라고 한다.[75]



미니문 (Mini Moon)[78] 일 때보다 약 14% 정도 더 크고, 약 30% 정도 더 밝다.[79] 달 표면의 휘도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지구에 더 가깝기 때문에 ''조도''는 원지점보다 약 30% 더 밝다. 이는 역제곱 법칙 때문이다.[19] 슈퍼문이 머리 위에서 바로 보이면 최대 0.36 lux까지 제공할 수 있다.[20]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타원 궤도이기 때문에 약 35만 7000 km에서 40만 6000 km까지 변화한다.[40][41][42]

근지점의 보름달은 원지점의 보름달보다 최대 14% 더 크고 30% 더 밝다(2011년 3월 19일, NASA에 의한 관측).[43]

4. 1. 달 착시 현상

달이 지평선(또는 수평선) 가까이에 있을 때 커 보이는 현상은 달 착시 현상 때문이다. 하지만, 이때의 달은 슈퍼문이 아니다.

2011년 3월 19일 슈퍼문(오른쪽)과 2011년 1월 18일 평균 보름달(왼쪽)의 비교, 지구에서 관측


근지점에서의 보름달은 원지점에서의 보름달보다 지름이 약 14% 더 크게 보인다.[17] 많은 관측자들이 달이 지평선 근처에 있을 때 더 크게 보인다고 하는데, 이는 달 착시 현상이 일몰 직후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18]

5. 지구에 미치는 영향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 조석간만의 차, 즉 조차가 평소보다 커지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이 과학적인 입장이다. 슈퍼문이 자연재해를 일으킨다는 주장이나, 놀(Nolle)이 주장한 슈퍼문이 "지구물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과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다.[2][21][22][23]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과 같은 거대한 자연재해가 슈퍼문 발생 시기 1~2주 전후로 발생했다는 이유로, 이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언론을 통해 제기되기도 하였다.[24] 2016년 뉴질랜드 카이코우라 지진 (규모 7.5, 2016년 11월 14일 발생)과 2020년 5월 8일에 발생한 테헤란 지진 역시 슈퍼문과 발생 시기가 겹쳤다.[25][26]

5. 1. 조석

슈퍼문 시기에는 근지점 사리가 발생하여 평소보다 조차가 커진다.[29] 달이 삭 또는 망일 때 조석[27]은 가장 커진다.[28] 또한 달의 근지점에서는 조석력이 다소 강해진다.[56] 그러나 조석력은 가장 강력할 때조차도 비교적 약해서[30] 기껏해야 수 인치 정도의 조수 차이를 유발한다.[31] 각 지점(해역)에서의 실제 조수 높이는 전 세계적으로 다르다.

5. 2. 해안 침식

슈퍼문 시기에는 해안 침식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8] 항만공항기술연구소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59] 슈퍼문 시기의 침식량은 평상시와 비교하여 약 50% 증가한다. 슈퍼문에 의한 대조의 만조 수위는 일반적인 대조 때보다 높아 침수 위험이 높고, 태풍 등으로 인한 높은 파도·해일이 겹치면 침식도 커져 연안 지역의 위험이 높아진다.

이 현상은 슈퍼문의 큰 기조력에 의해 만조 시 해수면과 지하 수위가 함께 크게 상승하고, 이후 해수면이 낮아질 때에도 모래사장에 물이 포함된 상태로 남아 파도에 깎이기 쉬워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현상은 이바라키현 가미스시의 하사키 해안에서 25년간의 지형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다.

5. 3. 지진과의 관계 (논란)

슈퍼문이 자연재해를 일으킨다는 주장과 놀(Nolle)의 슈퍼문이 "지구물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과학자들에 의해 반박되었다.[2][21][22][23]

과학적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가 슈퍼문 주변의 1~2주 기간과 인과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언론의 추측이 있었다.[24] 2016년 11월 14일 뉴질랜드 컬버든 북동쪽 15km 지점에서 발생한 규모 7.5의 대지진[25][26]과 2020년 5월 8일에 발생한 테헤란 지진 또한 슈퍼문과 일치했다.

과학자들은 태양과 달이 지구의 바다에 미치는 영향인 조석[27]은 달이 삭 또는 망일 때 가장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28] 또한 달의 근지점에서는 조석력이 다소 강해져 사리가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했다.[29] 그러나 조석력은 가장 강력할 때조차도 비교적 약해서[30] 기껏해야 수 인치의 조수 차이를 유발한다.[31]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나 2004년 수마트라 지진과 같은 거대 지진은 1~2주 이내에 발생하는 슈퍼문과 관련이 있다는 억측이 있지만,[61][62] 깊이 40km 이내의 비교적 얕은 지점에서 발생하는 지진에 대해서는 달의 인력에 의해 단층에 걸리는 힘이 커질수록 지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학설이 존재한다.[63][64] 도쿄 대학 연구팀이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2016년 9월 12일자 전자판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만 건 이상의 지진 데이터로부터 조석력이 강한 시기에는 거대 지진의 발생 확률이 상승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65][66] (조석#지진과의 관계도 참조).

2011년 - 2012년 문헌에서는 "슈퍼문과 대지진의 상관 관계를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67][68][69]"는 설도 있었다.

6. 슈퍼 블러드 문

슈퍼 블러드 문 (2022년 5월 15일)


'''슈퍼 블러드 문'''은 슈퍼문과 개기 월식이 겹쳐서 발생하는 천문 현상으로, 달이 평소보다 더 크고 밝으며 붉은색을 띤다.

개기 월식은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드리워질 때 발생한다.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덮으면서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햇빛이 산란되어 푸른빛이 대부분 걸러지고, 달은 붉은빛을 띠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달이 붉거나 주황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블러드 문이라고도 불린다.

슈퍼 블러드 문은 슈퍼문과 개기 월식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달이 평소보다 더 크고 붉게 보인다. 이는 수 세기 동안 사람들의 이목을 끌며 민간 전승과 흥미를 유발해 온, 시각적으로 인상적이고 드문 광경이다.

슈퍼 블러드 문은 몇 년에 한 번씩 나타나는 비교적 드문 현상이기 때문에, 천문학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주목할 만한 사건이다.

7. 기타

금환일식은 달의 겉보기 지름이 태양보다 작을 때 발생한다. 사로스 144에서 1880년과 2060년 사이, 사로스 128에서 1940년과 2120년 사이의 거의 모든 금환일식은 미세 달 금환일식이다.[33]

참조

[1] 뉴스 Revisiting the Moon https://www.nytimes.[...] 2014-09-07
[2] 웹사이트 Kryptonite for the supermoon http://blogs.discove[...] Discover 2011-03-18
[3] 웹사이트 No Link Between 'Super Moon' and Earthquakes http://news.discover[...] Discovery News 2011-03-18
[4] 웹사이트 What Is a Micromoon? http://www.timeandda[...] Time and Date AS
[5] 웹사이트 Supermoon http://www.astropro.[...]
[6] 뉴스 What is a Super Moon http://www.actforlib[...] 2018-01-10
[7] 서적 The Strategic Role of Perigean Spring Tides in Nautical History and Coastal Flooding, 1635-1976 https://archive.org/[...] NOAA
[8] 웹사이트 November 2017 full moon a supermoon? http://earthsky.org/[...] 2018-01-08
[9] 웹사이트 SuperMoon: What It Is, What It Means http://www.astropro.[...] 2018-01-08
[10] 웹사이트 November 2017 full moon a supermoon? http://earthsky.org/[...] 2018-01-08
[11] 웹사이트 Astrologer Richard Nolle's Century 21 CE SuperMoon Table http://www.astropro.[...] 2018-01-08
[12] 웹사이트 Perigee "Super Moon" On May 5–6 https://science.nasa[...] NASA 2012-05-02
[13] 웹사이트 Full Moon at Perigee (Super Moon): 2001 to 2100 http://astropixels.c[...] 2020-03-12
[14] 웹사이트 Astrologer Richard Nolle's Century 21 CE SuperMoon Table https://www.astropro[...] 2020-03-08
[15] 웹사이트 What is a supermoon? http://earthsky.org/[...] 2016-11-14
[16] 웹사이트 Closest supermoon since 1948! http://earthsky.org/[...] EarthSky 2016-11-12
[17] 뉴스 Supermoon 2018: When and How to See January's Two Full Moons https://www.space.co[...]
[18] 뉴스 What Is A Supermoon? Facts vs. Fiction http://www.skyandtel[...] 2016-11-08
[19] 웹사이트 Super Full Moon https://science.nasa[...] NASA 2011-03-16
[20] 간행물 How bright is moonlight? https://gfzpublic.gf[...] 2017-02-01
[21] 웹사이트 Can the position of the Moon affect seismicity? http://seismo.berkel[...] The Berkeley Seismological Laboratory
[22] 웹사이트 Can the position of the moon or the planets affect seismicity? https://earthquake.u[...] U.S. Geological Survey: Earthquake Hazards Program
[23] 웹사이트 Will the March 19 "SuperMoon" Trigger Natural Disasters?. http://www.lifeslitt[...] Life's Little Mysteries 2011-03-09
[24] 웹사이트 Extreme Super (Full) Moon to Cause Chaos? http://www.accuweath[...] AccuWeather 2011-03-01
[25] 웹사이트 GeoNet – Quakes http://www.geonet.or[...] 2016-11-13
[26] 뉴스 Supermoon: Biggest in living memory to appear in the sky, as 2016 ends with three huge full moons in a row https://www.independ[...]
[27] 웹사이트 Tides, the Earth, the Moon, and why our days are getting longer http://www.badastron[...] 2011-03-14
[28] 웹사이트 Animation of spring and neap tides http://oceanservice.[...] NOAA's National Ocean Service
[29] 웹사이트 Apogee and Perigee of the Moon http://www.moonconne[...] 2011-03-14
[30] 웹사이트 No, the 'supermoon' didn't cause the Japanese earthquake http://blogs.discove[...] 2011-03-11
[31] 뉴스 Super moon looms Saturday http://www.wral.com/[...] 2012-05-04
[32] 웹사이트 Earthquakes https://www.conserva[...] California Geological Survey null
[33] 웹사이트 Moon at Perigee and Apogee: 2001 to 2100 http://astropixels.c[...] 2018-11-19
[34] 문서 http://sivertimes.com/super-moon-exceptional-brightest-moon-in-the-sky-of-normandy-Monday-November-14/1872 http://sivertimes.co[...]
[35] 문서 http://astrobob.areavoices.com/2016/11/10/moongazers-delight-biggest-supermoon-in-decades-looms-large-sunday-night/ http://astrobob.area[...]
[36] 블로그 Kryptonite for the supermoon | Bad Astronomy | Discover Magazine http://blogs.discove[...]
[37] 웹사이트 質問2-7)「スーパームーン」ってなに? https://www.nao.ac.j[...] 2019-06-16
[38] 뉴스 日曜夜にエクストラ・スーパームーン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語公式サイト 2014-08-08
[39] 웹사이트 Micro Moon – year's smallest full moon – on January 15-16 http://earthsky.org/[...] EarthSky 2016-09-26
[40] 서적 Mathematical Astronomy Morsels Willmann-Bell
[41] 웹사이트 No, the 'supermoon' didn't cause the Japanese earthquake http://blogs.discove[...] 2011-03-14
[42] 웹사이트 Appearance of the Moon Size http://www.newton.de[...] Newton 2011-03-14
[43] 웹사이트 Super Full Moon http://science.nasa.[...] NASA 2013-06-22
[44] 웹사이트 Supermoon http://www.astropro.[...] 2011-03-10
[45] 뉴스 今年最大のエクストラ・スーパームーン 世界のスーパームーンを見ておこう http://karapaia.live[...] カラパイア 2014-08-10
[46] 웹사이트 知恵蔵2013の解説:スーパームーン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47] 사전 エクストラスーパームーン http://dictionary.go[...] 小学館
[48] 웹사이트 【最新】スーパームーン情報!2016年はスゴいぞ! http://kira-to.com/s[...] キラっと。 2016-11-03
[49] 뉴스 68年ぶりの超特大スーパームーン、11月14日に:気になる大地震との関連性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6-11-04
[50] 뉴스 11月14日、70年ぶりのすごいスーパームーンがやってくる https://www.huffingt[...] ハフィントン・ポスト日本版 2016-11-05
[51] 웹사이트 Perigee "Super Moon" On May 5-6 http://science.nasa.[...] NASA 2012-05-06
[52] 뉴스 2014年のスーパームーンは3回、最大の条件が揃うのは8月11日 https://tabetainjya.[...] Tabetainja 2014-07-13
[53] 뉴스 月が地球に接近、「スーパームーン」 https://www.cnn.co.j[...] CNN 2014-07-11
[54] 웹사이트 Tides, the Earth, the Moon, and why our days are getting longer http://www.badastron[...] 2011-03-05
[55] 웹사이트 Animation of spring and neap tides http://oceanservice.[...] NOAA's National Ocean Service 2013-06-22
[56] 웹사이트 Apogee and Perigee of the Moon http://www.moonconne[...] 2011-03-14
[57] 뉴스 Super moon looms Saturday http://www.wral.com/[...] 2012-05-04
[58] 웹사이트 スーパームーンで砂浜浸食50%増し 異例の観測研究 https://www.nikkei.c[...] 2020-12-29
[59] 논문 Supermoon Drives Beach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wash Zone https://agupubs.onli[...] 2020
[60] 웹사이트 Supermoon blamed for stranding five ships in Solent http://www.telegraph[...] デイリー・テレグラフ 2011-03-21
[61] 웹사이트 Extreme Super (Full) Moon to Cause Chaos? http://www.accuweath[...] AccuWeather 2011-03-01
[62] 웹사이트 Is the Japanese earthquake the latest natural disaster to have been caused by a supermoon? http://www.dailymail[...] 2011-03-11
[63] 뉴스 月の引力が地震を誘発、日本の研究員ら米科学誌に発表 読売新聞 2004-10-22
[64] 간행물 2004-10-22
[65] 뉴스 巨大地震、大潮の時期に発生確率上昇か 東大研究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6-09-13
[66] 뉴스 月の引力、大地震と関係か 東大チーム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6-09-13
[67] 웹사이트 Can the position of the Moon affect seismicity? http://seismo.berkel[...] The Berkeley Seismological Laboratory 2011-03-14
[68] 웹사이트 Can the position of the moon or the planets affect seismicity? http://earthquake.us[...] U.S. Geological Survey: Earthquake Hazards Program 2011-03-14
[69] 웹사이트 Will the March 19 "SuperMoon" Trigger Natural Disasters? http://www.lifeslitt[...] Life's Little Mysteries 2011-03-09
[70] 문서 달, 인공위성 등이 궤도상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 (近地點. perigee)
[71] 문서
[72] 뉴스 14일 70년 만에 가장 큰 보름달 뜬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11-11
[73] 뉴스 바닷물이 정강이까지…슈퍼문 영향 침수 피해 https://news.naver.c[...] SBS 2016-11-15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문서
[79] 문서
[80] 간행물 정월대보름 보름달, 2월 24일 18시 3분에 뜬다 https://www.kasi.re.[...] 한국천문연구원 보도자료 2024-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