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네프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로, "아름다운 자"라는 뜻의 이름을 가졌다. 그는 24년 이상 통치하며, 이복 여동생 헤테프헤레스 1세와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했다. 스네프루는 메이둠의 계단 피라미드를 정통 피라미드로 개조하고, 다슈르에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등 여러 피라미드를 건축했다. 또한 레바논 삼나무를 수입하고 시나이, 누비아, 리비아에서 배를 건조하는 등 대외 무역과 전쟁에도 힘썼다. 그의 통치 시대는 황금 시대로 평가받으며, 아들 쿠푸는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7세기 통치자 - 길가메시
    길가메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영웅이자 《길가메시 서사시》의 주인공으로, 반신반인의 존재로서 죽음과 불멸에 대한 고뇌, 친구와의 우정, 숲의 수호자와의 전투 등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며 후대에 신격화되어 명계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 기원전 27세기 통치자 - 엔메바라게시
    엔메바라게시는 기원전 3천년기 초중반에 활동한 수메르 키시 제1왕조의 왕으로, 엘람 원정과 우루크 침공 기록이 있으며 길가메시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멘카우레
    멘카우레는 쿠푸의 손자이자 카프레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며, 기자의 제3 피라미드(멘카우레의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약 18년에서 28년간 통치하며 자비로운 통치를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기원전 26세기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멘카우레
    멘카우레는 쿠푸의 손자이자 카프레의 아들로 추정되는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이며, 기자의 제3 피라미드(멘카우레의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약 18년에서 28년간 통치하며 자비로운 통치를 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카프레
    카프레는 기원전 26세기경 고대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로, 기자에 두 번째로 큰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기자의 대스핑크스가 그의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
스네프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석회암 스네페루 조각상, [[이집트 박물관]]
석회암 스네페루 조각상, 이집트 박물관
다른 이름스네프루, 세네페루, 스노프루, 소리스
통치
통치 기간24년, 30년 또는 48년 (기원전 2600년경)
왕조이집트 제4왕조
선대 왕후니
후대 왕쿠푸
이름
즉위명스네프루 (Snfr.w, "그가 나를 완성했다")
즉위명 (히에로글리프)<-S29-F35-D21-G43->
즉위명 (대체 철자)<-S29-F35-I9:D21-G43->
호루스 이름호르-네브마트 (Ḥr-nb-mꜣꜥt, "마아트의 주님 호루스")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두 번째 호루스 이름호르-네브마트 스네프루 (Ḥr-nb-mꜣꜥt-snfr-wj, "마아트의 주님 호루스, 그가 나를 완성했다")
두 번째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
네브티 이름니수트 비티 네브마트 네브티 (Nsw.t-bty-nbt.j-nb-mꜣꜥt, "상, 하 이집트의 왕, 두 여신의, 마아트의 주님")
네브티 이름 (히에로글리프)M23:t-L2:t-G16-V30:U5-X1
황금 호루스 이름비크-네부 (Bjk-nb.w, "황금 매")
황금 호루스 이름 (히에로글리프)G8
아비도스 왕 목록스네프루 (snfr-wj, "그가 나를 완성했다")
아비도스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s-F35-G43->
사카라 석판스네프루 (snfr-wj, "그가 나를 완성했다")
사카라 석판 (히에로글리프)<-s-F35-f:r-G43->
토리노 왕 목록스네페르... (S.nfr..., "그가 완성했다...")
토리노 왕 목록 (히에로글리프)<-s-F35-HASH-G7->-G7
가족 관계
배우자헤테프헤레스 1세
자녀쿠푸, 앙크하프, 카네페르, 네페르마아트, 네체라페레프, 라호테프, 라네페르, 이이네페르 1세, 헤테페레스 A, 네페르트카우 1세, 네페르트네수, 메리트이테스 1세, 헤누트센
어머니메레스앙크 1세
매장 및 기념물
매장 추정지붉은 피라미드 (추정)
기념물메이둠 피라미드, 굴절 피라미드, 붉은 피라미드

2. 출생과 즉위

스네프루는 "아름다운 자"라는 뜻의 출생명을 가졌다. 그는 후니가 후궁인 메레산크를 통해 낳은 아들이다.[1]

후니의 아들이었기에 파라오가 될 자격은 충분했지만, 후궁 소생이었기 때문에 왕비의 소생이었던 헤테프헤레스와 결혼하여 자신의 위상을 확고히 하였다.[1] 이복 여동생으로 보이는 헤테프헤레스와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했다.[1]

3. 치세

스네프루는 이집트 제4왕조의 창시자로, 그의 치세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활발한 건축 활동과 군사 원정을 통해 이집트를 번영시켰다.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레바논에서 40척의 배로 레바논 삼나무를 수입하는 등 양질의 목재를 확보했다.[39] 또한 시나이, 누비아, 리비아에서 배를 건조하여 무역과 전쟁에 활용했다. 당시 생활상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웨스트카 파피루스에서 엿볼 수 있는데, 스네프루는 현명하고 공정한 통치자로 묘사되며, 그의 시대는 황금 시대로 여겨졌다.

스네프루는 피라미드 건설을 확산시킨 왕으로도 유명하다.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 등 여러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 건축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스네프루가 만든 붉은 피라미드.


굴절 피라미드

3. 1. 통치 기간

스네프루는 제1왕조 때부터 있었던 시나이반도 원정을 재개하여 터키 석 등 자원을 확보했다. 와디 마가라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스네프루가 나르메르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적을 제압하는 전형적인 동작을 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으며, 그는 그곳에서 신으로 숭배받았다.[8]

힉소스인들이 이집트를 지배했을 때(제15왕조)의 기록에는 스네프루의 궁정 생활이 묘사되어 있다. 쿠푸의 아들 바네프레가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신관의 조언으로 궁녀들과 뱃놀이를 즐겼다. 그는 그물을 스무 개 가져와 여인들에게 옷을 벗고 그물을 입은 채 노를 젓게 했다. 한 궁녀가 터키 석 부적을 잃어버려 뱃놀이가 중단되었으나, 신관이 마술로 호수의 물을 갈라 부적을 찾아 뱃놀이를 다시 시작했다.

이러한 해외 원정과 사치스러운 뱃놀이는 스네프루가 축적한 부를 보여준다. 그는 두 개의 피라미드와 선왕의 피라미드까지 세 개의 피라미드를 건축할 기반을 마련하고 아들 쿠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으며, 쿠푸는 이를 바탕으로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

마네토의 연대기에는 스네프루가 소리스라는 이름으로 29년을 다스렸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24년 통치설이 더 유력하다. 그의 피라미드는 다슈르에 두 개가 있다.

세드 축제의 흰색 옷을 입은 스네프루의 부조. 다흐슈르의 장제전에서 발견되었으며 현재 이집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오늘날 토리노 왕 목록에 기록된 스네프루의 24년 통치 기간은 과소평가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슈르의 붉은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비문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최소 24년 이상 통치한 것으로 보이는 24번째 가축 조사를 실시했다.[9] 또한, 메이둠 피라미드에서 스네프루의 10, 13, 18번째 가축 조사 이후의 연도가 증명되어 최소 27년 이상 통치했음을 알 수 있다.[10]

팔레르모 석 단편 하단 뒷면 6에는 스네프루의 7번째 조사 연도가, 뒷면 7에는 8번째 조사 연도가 표시되어 있다.[11] 뒷면 5에는 특정 연도에 발생한 사건이 언급되어 있지만, 이전 6번째 연도는 언급되지 않아 이 열은 스네프루의 6번째 조사 이후 연도로 추정된다.[12] 따라서 스네프루의 통치는 최소 28년 이상이다.

이집트 학자들은 스네프루의 통치 기간 중 기록이 거의 없는 연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스네프루가 30년 이상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러나 가축 조사가 정기적으로 2년에 한 번씩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48년은 아니었을 것이다.

3. 2. 대외 관계

팔레르모 석의 기록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제1왕조 때 있었던 시나이반도로의 원정을 재개하여 터키 석을 비롯한 그 지역의 자원을 손에 넣었다. 시나이의 와디 마가라에서 그는 신으로 숭배받았으며, 이곳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나르메르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형적인 적을 제압하는 동작을 하고 있는 스네프루가 새겨져 있다.[35]

스네프루의 리비아와 누비아 정복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목표는 광범위한 노동력을 확보하는 것이었고, 두 번째 목표는 이들 국가에서 구할 수 있는 원자재와 특수 제품을 얻는 것이었다.[36] 이는 팔레르모 석에 다음과 같이 암시되어 있다.

:::"[재위] 스네프루. 연도 ...

:::머 나무로 된 투아타우아 선박 백 척과

:::16척의 왕실 선박 60척 건설.

:::흑인의 땅을 습격하여 7,000명의 포로(남녀),

:::소 2만 마리, 양, 염소를 데려옴...

:::40척의 삼나무 배(또는 "삼나무를 실은" 배일 수도 있음)..."

아멘엠헤트 1세의 피라미드 단지에서 발견된 재사용된 건축 자재로, 원래는 스네프루의 세드 축제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비문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다른 국가에서 많은 사람들을 포획하여 포로로 삼은 다음 자신의 노동력에 추가할 수 있었다. 누비아와 리비아를 습격하는 동안 그는 또한 자신의 대규모 노동력의 생계를 위해 소를 포획했다. 이러한 침략은 습격당한 국가의 주민들에게 엄청난 파괴를 야기했을 것이며, 누비아에 대한 원정이 해당 지역의 A-Group 문화 확산에 기여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

스네프루는 고대 리비아에서의 군사적 노력으로 11,000명의 포로와 13,100마리의 소를 포획했다.[37] 시나이 반도의 터키석 광산에서의 활동 증거가 있으며,[38] 스네프루가 피라미드에 필요한 돌을 제공하기 위한 대규모 채석 프로젝트가 있었을 것이다. 또한 팔레르모 석의 명문에 따르면, 이집트인은 이미 양질의 목재를 국외에서 수입하고 있었으며, 스네프루는 레바논에서 40척의 배로 레바논 삼나무를 사들였다고 한다. 그는 무역과 전쟁 등의 목적으로 시나이, 누비아, 리비아에서 배를 건조시켰다.

스네프루의 고대 삼나무 선박 두 개의 땅에 대한 찬가는 이름으로 불린 최초의 선박의 예이다.[39]

3. 3. 궁정 생활

훗날 힉소스인들이 이집트를 지배했을 때(제15왕조)의 기록에 스네프루의 궁정 생활이 묘사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쿠푸의 아들인 바네프레의 입을 통해 전해진다.[1]

어느 날 스네프루는 궁정 신관의 조언을 받아 궁녀들과 함께 호수에서 뱃놀이를 하기로 하였다. 스네프루는 뱃놀이의 흥을 더하기 위해 그물을 스무 개 가져와 여인들의 옷을 벗기고 그물을 입은 채로 노를 젓게 하였다. 그런데 한 궁녀가 머리카락에 달아 놓았던 터키 석으로 만든 부적을 잃어버려 이 놀이가 중단되었다. 왕은 다시 아까 뱃놀이를 조언한 신관을 데리고 와 부적을 찾게 하였다. 그는 마술을 부려 호수의 물을 갈라 잃어버린 부적을 찾았고, 뱃놀이가 다시 시작되었다.[1]

해외 원정을 통해 부를 축적한 스네프루는 궁녀들과 사치스런 뱃놀이를 통해 자신의 부를 과시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두 개의 피라미드와 선왕의 피라미드까지 세 개의 피라미드를 건축할 수 있는 탄탄한 기반을 마련한 채로 자신의 아들인 쿠푸에게 나라를 맡겼으며, 쿠푸는 선왕의 바탕 위에서 세계사에 길이 남을 기자의 대피라미드를 건설한다.[1]

4. 피라미드 건설

스네프루는 피라미드 건설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온 왕으로, 여러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그의 피라미드들은 쿠푸기자의 대피라미드로 이어지는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스네프루 시대의 피라미드 건설은 고대 이집트 고왕국의 웅장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스네프루는 다슈르에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를 건설했고, 메이둠에는 메이둠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이 피라미드들은 각각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건축 기술과 디자인의 발전을 보여준다. 특히 굴절 피라미드는 건축 도중 각도가 변경된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붉은 피라미드는 온전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스네프루가 선왕인 후니의 피라미드를 대신 건설했다는 기록도 있다. 한 왕의 재위 기간에 세 개의 피라미드가 건설된 것은 스네프루 시대에 고대 이집트의 경제력이 안정되고 탄탄해졌음을 보여준다.

4. 1.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는 여러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는데, 그 중 메이둠 피라미드는 그의 대규모 사업 중 첫 번째였다. 이 피라미드는 계단식 피라미드에서 "진정한" 피라미드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처음에는 사카라조세르 단지와 유사한 7단계 구조로 건설되었으나, 이후 여러 차례 수정되어 매끄러운 석회암 외장을 갖춘 "진정한" 피라미드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24] 피라미드 내부에는 북쪽으로 내려가는 통로, 두 개의 지하 챔버, 매장실이 있으며, 매장실은 이전의 관례와 달리 지면과 가깝지만 주된 몸체 내부에 건설되었다.[25]

메이둠 피라미드


스네프루 피라미드 폐석회암 블록. 바닥에 구멍이 있어 돌을 옮길 때 무거운 지렛대를 돌리는 데 사용한 피벗 블록으로 사용됨. 제4왕조. 이집트 메이둠 출토. 런던 이집트 고고학 페트리 박물관


일부 학자들은 메이둠 피라미드가 스네프루의 업적인지, 아니면 선왕인 후니의 업적인지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4. 2. 굴절 피라미드

남쪽 피라미드(굴절 피라미드)


스네프루는 여러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는데, 이 중 남쪽 피라미드(굴절 피라미드)는 기존 피라미드와 달리 북쪽과 서쪽에 높은 입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피라미드는 이집트 피라미드 발전 과정의 중간 형태로, 건축 도중 기술 부족으로 인해 붕괴를 막기 위해 각도가 변경되었다.[27]

굴절 피라미드는 롬보이드 또는 무딘 피라미드로도 알려져 있으며, 경사각이 55°에서 약 43°로 변경되었다. 이는 불안정한 지반 때문에 건설 중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피라미드를 안정시키기 위해 세 단계의 건설이 이루어졌고, 상층부는 수평으로 놓여 계단식 피라미드 개념에서 벗어났다.[26]

내부에는 북쪽과 서쪽에서 들어가는 두 개의 입구가 있고, 지하 챔버는 더 크고 복잡한 대각선 포트컬리스 시스템을 갖춘 아치형 벽과 천장으로 구별된다. 굴절 피라미드에 인접한 위성 피라미드는 통로가 서쪽으로 올라가도록 건설되어 매장실로 향하는데, 이는 이전 피라미드의 통로가 북쪽으로 내려가는 관례와는 다른 변화이다.[28]

1965년 이후 처음으로 2019년 7월에 굴절 피라미드가 관광객에게 개방되었다. 관광객들은 북쪽 입구에서 건설된 79미터 좁은 터널을 통해 4600년 된 두 개의 챔버에 접근할 수 있다. 스네프루의 아내 헤테페레스를 위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18미터 높이의 "측면 피라미드"도 1956년 발굴 이후 처음으로 공개되었다.[29][30][31][32][33]

4. 3. 붉은 피라미드



북쪽 피라미드는 붉은 피라미드라고도 불리며, 남쪽 피라미드(굴절 피라미드)와 달리 온전한 피라미드의 모습을 하고 있다. 스네프루는 이 곳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34]

1950년, 붉은 피라미드의 통로에서 사람의 유해 일부가 발견되었고, 아흐메드 마흐무드 엘 바트라위(Ahmed Mahmud el Batrawi) 박사가 조사했다. 유해와 포장 방식은 이집트 제4왕조의 미라 제작 기술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유해가 스네프루의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스네프루 왕의 유해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확실하게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석관과 미라가 붉은 피라미드의 숨겨진 방에 있을 가능성도 있다.

붉은 피라미드는 이전 피라미드보다 설계가 단순하며, 이전의 몇몇 내부 혁신이 생략되었다. 방과 매장실은 모두 피라미드 본체에 있지만, 위로 올라가는 통로는 발굴되지 않았고, 서쪽 입구나 대각선 포트컬리스(portcullis)의 증거도 없다. 이러한 특징이 없기 때문에 많은 고고학자들이 붉은 피라미드에 대한 추가 연구를 주저했지만, 돌 상부 구조 내부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비밀 방이 있다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4. 4. 기타 피라미드

스네프루는 여러 개의 피라미드를 건설하였다. 이 중 남쪽 피라미드(굴절 피라미드)가 북쪽 피라미드(붉은 피라미드)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남쪽 피라미드는 기존의 피라미드들과는 달리 북쪽뿐만 아니라 서쪽에도 높은 곳에 또 하나의 입구가 있는데, 용도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 남쪽의 굴절 피라미드는 이집트 피라미드의 발전 과정에서 건축된 중간 형태의 것으로, 건축 도중 경험과 기술 부족으로 인해 피라미드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건축 도중에 각도가 변경되었다.

북쪽 피라미드는 일명 붉은 피라미드라고도 불리는데, 남쪽 피라미드와 달리 온전한 피라미드의 모양새를 하고 있다. 이 곳에 스네프루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스네프루는 선왕인 후니의 피라미드도 대신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왕의 치세에 피라미드가 세 개나 건설된 것은 스네프루의 치세에 고대 이집트의 경제력이 안정되고 탄탄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왼쪽


스네프루 통치 기간의 가장 잘 알려진 기념물은 그가 건설한 것으로 여겨지는 세 개의 피라미드이다. 다슈르의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 그리고 메이둠의 메이둠 피라미드가 있다. 스네프루 치하에서 기념비적인 피라미드 구조에 큰 변화가 있었는데, 이는 쿠푸대피라미드로 이어져 고대 이집트 고왕국의 웅장함과 화려함의 절정을 보여주는 동시에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스네프루의 대규모 사업 중 첫 번째는 메이둠의 피라미드이다. 일부 학자들은 메이둠 피라미드를 스네프루의 업적으로 인정하는 것에 대해 논쟁을 벌이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 기원을 후니 왕에게 돌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피라미드는 왕의 매장지를 둘러싼 기술과 이데올로기의 발전을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거대한 석조 구조물은 계단식 피라미드 구조에서 "진정한" 피라미드 구조로의 전환을 물리적으로 증명한다. 피라미드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는 처음에는 사카라조세르 단지와 유사한 방식으로 건설된 7단계 구조로 구상되었음을 보여준다. 나중에 다른 플랫폼을 추가하기 위해 수정되었고, 더 나중에는 "진정한" 피라미드의 특징인 매끄럽고 각진 마감을 만들기 위해 석회암 외장이 추가되었다.[24] 북쪽으로 내려가는 통로, 두 개의 지하 챔버, 매장실을 갖춘 이 피라미드는 이전 무덤의 관례를 거의 따르고 있지만 한 가지 측면에서 다르다. 즉, 거대한 구조물 아래에 위치하는 대신 매장실은 지면과 매우 가깝지만 주된 몸체 내부에 직접 건설되었다.[25]

굴절 피라미드는 롬보이드 또는 무딘 피라미드로도 알려져 있으며 건축 혁신의 훨씬 더 큰 증가를 증명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경사각은 피라미드의 상층부에서 55°에서 약 43°로 변경된다. 피라미드는 처음부터 이런 방식으로 건설되도록 설계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지만, 불안정한 증착층으로 인해 건설 중에 수정되었다. 이로 인해 피라미드를 안정화하는 데 세 단계의 건설이 필요했다. 구조를 안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층부는 수평으로 놓여 계단식 피라미드 개념을 포기했음을 나타냈다.[26] 롬보이드 피라미드의 내부 구성 요소도 진화했다. 북쪽과 서쪽에서 들어가는 두 개의 입구가 있다. 지하 챔버는 훨씬 더 크고, 더 복잡한 대각선 포트컬리스 시스템이 있는 아치형 벽과 천장으로 구별된다.

스네프루의 굴절 피라미드에 인접한 위성 피라미드는 통로가 서쪽으로 올라가도록 건설되어(이전 피라미드의 통로가 관례적으로 북쪽으로 내려가는 것과 반대로) 매장실로 향하면서 당시 건축에 더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28]

이집트는 1965년 이후 처음으로 2019년 7월에 굴절 피라미드를 관광객에게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관광객들은 피라미드의 북쪽 입구에서 건설된 79미터 좁은 터널을 통해 4600년 된 두 개의 챔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스네프루의 아내 헤테페레스를 위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18미터 높이의 "측면 피라미드"도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 인접 피라미드가 1956년 발굴 이후 대중에게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29][30][31][32][33]

left]]

스네프루의 마지막 피라미드임에도 불구하고 붉은 피라미드는 이전 피라미드보다 더 단순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의 일부 내부 혁신이 빠져 있다. 챔버와 매장실이 모두 기념물의 주요 본체에 있지만, 위로 올라가는 통로가 발굴되지 않았고, 서쪽 입구 또는 대각선 포트컬리스의 증거도 없다. 이러한 특징이 없다는 점 때문에 많은 고고학자들이 붉은 피라미드에 대한 추가 연구를 꺼려했지만, 돌 상부 구조 내부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비밀 챔버가 있다고 확신한다.

1950년, 붉은 피라미드의 통로에서 인체의 파편이 발견되었고, Dr. Ahmed Mahmud el Batrawi가 조사했다. 유물과 랩핑은 제4왕조 미라화 기술과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인체가 스네프루의 것인지 여부는 불확실하다.

스네프루 왕의 유해가 아직 발견되거나 확실하게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의 석관과 실제 미라가 그의 붉은 피라미드의 숨겨진 챔버에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붉은 피라미드는 비밀 챔버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주요 피라미드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그중 적어도 하나는 스네프루 왕 자신의 진정한 매장실일 수 있다."[34]

스네프루의 건축 혁신은 이후의 피라미드 건축가들이 이를 기반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촉매 역할을 했다. 제4왕조의 첫 번째 왕은 후계자들이 따라야 할 어려운 선례를 세웠으며, 쿠푸의 대피라미드만이 스네프루의 업적에 필적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고 고대 이집트의 이념이 바뀌면서 왕들의 기념물은 크게 축소되었다.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는 이전 피라미드의 일부에 불과하므로, 이집트 이데올로기의 초점은 왕 숭배에서 태양신 에 대한 직접적인 숭배로 옮겨졌을 수 있다.[35]

5. 가족

헤테프헤레스 1세는 스네프루의 주된 아내였으며, 기자 고원 위에 대피라미드를 건설한 쿠푸의 어머니였다.[17] 스네프루의 아버지는 후니라는 설이 있으며, 이복 여동생으로 보이는 헤테프헤레스 1세와 결혼하여 왕위를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5. 1. 아들

이름설명
쿠푸헤테프헤레스 1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스네프루의 뒤를 이었다.[17]
앙크하프"그의 신체의 왕자"이자 왕의 재상(조카 카프레 치세)이었다. G 7510에 묻혔으며, 그의 흉상은 현재 보스턴 미술관에 있다. 왕의 딸 헤테페레스와 결혼했다.[16]
카네페르"왕의 맏아들"이자 "그의 신체의 아들"로 다슈르 28호 묘에 묻혔다. 스네프루의 두 번째 재상이었으며 쿠푸 치세에도 계속 봉사했다.[16]
네페르마아트 1세스네프루의 맏아들이자 이테트의 남편으로, 바스테트의 사제, 세습 공, 네켄의 수호자, 토트의 집에서 5인 중 위대한 자 등의 칭호를 가졌다. 스네프루의 첫 번째 재상이었다.[16]
네트제라페레프다슈르에 묻혔다.[16]
라호테프"그의 신체의 왕자"이자 헬리오폴리스의 의 대사제였다. 메이둠에서 그의 아내 노프레트와 함께 묻혔으며,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있는 유명한 조각상의 소유자이다.[16]
라네페르메이둠에 묻혔다.[16]
이네페르 1세다슈르에 묻혔다.[16]


5. 2. 딸


  • 헤테페레스 A - 앙크하프와 결혼했다. 어머니 헤테페레스 여왕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
  • 네페르트카우 1세 - 스네프루의 맏딸로 "왕의 신체의 딸"이었다. 기자 G 7050 마스타바에 묻혔다. 무덤은 카프라 시대에 속하며, 스네프루와 네페르트카우의 아들 네페르마아트 2세, 손자 스네페르카프가 언급되어 있다.[17]
  • 네페르트네수 - "왕의 딸", "신의 딸". 가짜 문에서 알려진 카엠케드라는 아들이 있었다. 카엠케드는 이집트 제5왕조 시대에 다슈르에 묻혔다.[17]
  • 메리테티스 1세 - "홀의 위대함이자 왕의 아내"로, 오빠 쿠푸와 결혼했다.[17]
  • 헤누센 - "왕의 딸"로, 쿠푸와 결혼했다.[17]

6. 평가

스네프루는 현명하고 공정한 지배자로 여겨졌으며, 그의 통치 시대는 황금 시대로 평가받는다. 피라미드 건설이 확산된 것처럼, 그의 시대는 이집트 역사의 분기점으로 간주된다.[1]

팔레르모 석에 따르면, 스네프루는 레바논에서 40척의 배로 레바논 삼나무를 수입하는 등 양질의 목재를 국외에서 들여왔다. 또한, 시나이, 누비아, 리비아에서 무역과 전쟁을 위한 배를 건조했다.[1]

스네프루는 메이둠에 있는 아버지 후니의 계단 피라미드를 정통 피라미드로 만들었으며, 다슈르에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메이둠 근처 세일라의 붕괴 피라미드(Meidum영어)도 스네프루가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스네프루가 건설한 피라미드에 사용된 석재 총 부피는 모든 파라오 중 최대이다.[1]

참조

[1] 서적 Lexikon der Pharaonen Albatros, Düsseldorf 2002
[2]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Thames and Hudson Ltd: London 2004
[3] 문서 The royal canon of Turin
[4] 문서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5] 논문 The length of Sneferu's reign and how long it took to build the 'Red Pyramid'
[6] 간행물 Beiträge zur Geschichte des Alten Reiches: Die Länge der Regierung des Snofru. von Zabern, Mainz 1987
[7] 웹사이트 Snefru . Pharaoh of Egypt (± 2620-± 2547) » Stamboom Homs » Genealogie Online https://www.genealog[...] 2019-03-05
[8] 문서 Archaeological Remarks on the 4th and 5th Dynasty Chronology Praha 2001
[9] 문서
[10] 문서 Ein Bruchstück altägyptischer Annalen APAW: Phil.-hist Kl. 4 1902
[11] 문서 Exploring the World of the Pharaohs:A Complete Guide to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paperback 1993
[12] 문서
[13]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14] 문서 The Instructions of Kagemni Papyrus Prisse
[15] 문서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16] 문서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17] 문서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18] 문서 Topographical Bibliography of Ancient Egyptian Hieroglyphic Texts, Reliefs, and Paintings; Part III
[19] 문서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 문서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21] 문서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22] 문서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23] 문서 Topographical Bibliography of Ancient Egyptian Hieroglyphic Texts, Reliefs, and Paintings; Part III
[24]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5] 문서 The Egyptian Pyramids...
[26]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27] 문서 The Egyptian Pyramids...
[28] 문서 The Egyptian Pyramids...
[29] 뉴스 'Bent' pyramid: Egypt opens ancient oddity for tourism https://www.theguard[...] 2019-07-14
[30] 뉴스 Egypt opens Sneferu's 'Bent' Pyramid in Dahshur to public https://af.reuters.c[...] 2019-07-13
[31] 웹사이트 Egyptian 'bent' pyramid dating back 4,600 years opens to public https://www.independ[...] 2019-07-13
[32] 웹사이트 Egypt's 4,600yo Bent Pyramid opens to the public after more than half a century https://www.abc.net.[...] 2019-07-14
[33] 뉴스 Egypt's Bent Pyramid opens to visitors https://www.bbc.com/[...] 2019-07-13
[34] 문서 The Egyptian Pyramids...
[35] 문서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36] 서적 The Literature of the Ancient Egyptians
[37] 서적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38]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39] 간행물 Reference to a ship with a name appears in an inscription of 2613 BCE that recounts the shipbuilding achievements of the fourth-dynasty Egyptian pharaoh Sneferu. He was recorded as the builder of a cedarwood vessel called 'Praise of the Two La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