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자의 대피라미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자의 대피라미드는 이집트 고왕국 시대 파라오 쿠푸에 의해 건설된 건축물이다. 쿠푸의 아버지 스네프루가 피라미드 건축 기술을 발전시킨 것이 기반이 되었다. 종교적,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건설되었으며, 파라오의 권위 과시와 사후 세계에서의 영원한 삶을 보장받기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다. 약 230만 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었으며, 석회암, 화강암, 모르타르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었다. 기자의 대피라미드는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입구, 통로, 묘실, 방 등 여러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왕비의 피라미드, 위성 피라미드, 장제 신전, 참배길, 하안 신전 등 주변 부속 건물들과 함께 복합체를 이룬다. 현대에도 과학적 조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2017년에는 대 회랑 위에 거대한 공간이 발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푸 - 제데프레
    제데프레는 쿠푸의 아들이자 카프레의 형인 이집트 제4왕조 파라오로, 아부 로아시에 독특한 형태의 피라미드를 건설하고 태양신 라 숭배 강화와 왕권 강화를 시도했으며, 그의 통치 기간과 업적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 건축물의 역사 - 쾰른 대성당
    쾰른 대성당은 1248년에 건축이 시작되어 1880년에 완공된 고딕 양식의 건축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동방 박사의 유물을 보관하고 다양한 예술 작품과 11개의 종을 갖추고 있다.
기자의 대피라미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이집트 내 위치
이집트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기자의 대피라미드
다른 이름쿠푸의 피라미드, 체옵스의 피라미드
아랍어 이름الهرم الأكبر (알-하람 알-아크바르)
고대 이집트어 이름아케트 쿠푸 (쿠푸의 지평)
상세 정보
소유주쿠푸 (제4왕조)
축조 시기기원전 2600년경 (고왕국), 약 4600년 전
종류정방형 피라미드
재료석회암, 모르타르, 화강암
높이 (원래)146.6m 또는 280큐빗
높이 (현재)138.5m
밑변 길이230.33m 또는 440큐빗
부피260만 m³
경사51°50'40" 또는 세케드 팜
건축가헤미우누 (추정)
세계유산 정보
등재 기준문화: i, iii, vi
ID86-002
등재 연도1979년
지역아랍 국가
파트 오브멤피스와 그 묘지 유적 – 기제에서 다슈르까지의 피라미드 지대
기타 정보
최고 높이 기록기원전 2600년경 ~ 서기 1311년
이전 최고 높이 건축물붉은 피라미드 (이집트)
다음 최고 높이 건축물링컨 대성당 (잉글랜드)

2. 역사

이집트학 학자들은 대피라미드를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인 쿠푸의 무덤으로 보고 있으며, 기원전 2560년경 약 14년[130]에서 20년에 걸쳐 완공되었다고 추정한다. 당시 쿠푸의 와지르였던 헤미우누가 건축을 감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 완공 당시 높이는 약 146.8m로 추정되나 현재는 약 138.9m이며, 밑면 길이는 평균 230.4m, 질량은 약 590만 톤에 달한다.

피라미드에 대한 첫 정확한 과학적 측정은 플린더스 피트리 경이 1880년에서 1882년 사이에 수행했으며, 그의 측정값은 매우 정확하여 현재까지도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대피라미드는 1311년 잉글랜드에 160m 높이의 링컨 대성당이 세워지기 전까지 약 3,800년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다.[132] 건설 당시의 정밀함은 놀라운 수준으로, 밑면 네 변의 길이 오차는 58mm에 불과하고 거의 정확하게 동서남북을 가리키며 완벽한 정사각형에 가깝다.

대 피라미드 코어 블록 사이의 모르타르 표본


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된 모르타르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기원전 2871년에서 2604년 사이를 가리키며, 오래된 목재 문제를 고려하여 재분석한 결과 완공 시기는 기원전 2620년에서 2484년 사이로 좁혀졌다.[35][36][37] 또한 1872년 웨이먼 딕슨이 퀸스 체임버에서 발견한 삼나무 판자는 2020년 재발견되어 연대 측정을 한 결과, 쿠푸 시대보다 500년 이상 앞선 기원전 3341~3094년의 것으로 밝혀져 그 용도에 대한 의문을 남겼다.[38]

상공에서 본 3대 피라미드, 제일 왼쪽이 대피라미드


기자의 3대 피라미드 중 가장 크고 먼저 지어진 대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어로 '''아케트 쿠푸'''("쿠푸의 지평선" 또는 "쿠푸가 아크(사후 영혼)가 되는 장소")라 불렸다.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고대부터 경외의 대상이었으며, 그 거대한 규모와 복잡한 내부 구조는 후대에 많은 관심과 추측을 낳았다. 특히 19세기 이후에는 신비주의, 오컬트, 뉴에이지 사상과 결합하여 피라미드학이라 불리는 유사 과학적 해석이 등장하기도 했다. 이들은 대피라미드가 왕묘가 아닌 천문대해시계이며, 초고대 문명이나 외계인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주장했으나 고고학적으로는 부정된다. 현대에도 피라미드 내부의 미지의 공간을 찾는 등 다양한 과학적 연구와 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2. 1. 건설 배경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인 쿠푸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대피라미드는 기원전 2560년경[130] 약 14년에서 20년에 걸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쿠푸의 와지르였던 헤미우누가 건축을 감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

대피라미드는 파라오 쿠푸의 무덤으로서, 고대 이집트 엘리트들의 무덤이 그러했듯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3]

  • 망자의 시신을 안치하고 안전하게 보존한다.
  • 망자와 그의 가족의 지위를 과시한다.
  • 망자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한다.
  • 망자에게 제물을 바칠 수 있는 장소였다.


> 네 무덤을 잘 갖추고 서쪽에 네 자리를 준비하라.
보라, 죽음은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니다. 보라, 삶은 우리에게 매우 소중하다.
죽은 자의 집(무덤)은 삶을 위한 것이다.[4][5][6]

> — 하르제데프의 교훈 (쿠푸의 아들) 발췌

위 인용구는 쿠푸의 아들인 하르제데프가 남긴 교훈의 일부로, 당시 이집트인들의 내세관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고대 이집트 사회에서 높은 사회적 지위는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거대한 피라미드와 상대적으로 작은 귀족들의 무덤인 마스타바의 크기 차이는 당시의 뚜렷한 사회적 불평등을 보여준다. 무덤의 크기는 왕의 칙령에 따라 엄격하게 규제되었고, 고왕국 시대에는 오직 왕과 왕비만이 피라미드 형태의 무덤을 가질 수 있었다. 무덤의 건축 양식, 장례 용품, 사용될 재료와 동원될 노동력까지 모두 왕의 허가 아래 결정되었다.[7]

대피라미드가 건설된 기자 고원은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신념에 따라 나일강 서쪽에 위치했다. 또한 당시 수도였던 멤피스와 가깝다는 지리적 이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쿠푸의 아버지인 스네프루가 굴절 피라미드와 붉은 피라미드를 건설하며 겪었던 시행착오, 특히 지반 문제로 인한 피라미드 건설 실패는 쿠푸에게 중요한 교훈이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쿠푸는 기자 고원의 단단한 암반 위에 정밀하게 수평을 맞춘 기단을 마련하고 그 위에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

2. 2. 건설 과정

대피라미드의 건설 연대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추정된다. 첫째는 고고학 및 문헌 증거를 통해 쿠푸 왕의 재위 기간과 연관 짓는 간접적인 방식이고, 둘째는 피라미드 모르타르에서 발견된 유기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이용한 직접적인 방식이다. 과거에는 쿠푸왕의 재위 기간에 대피라미드가 건설되었다고 보았기에, 피라미드의 연대는 이집트 제4왕조와 쿠푸의 연대를 추정하는 문제였다. 왕위 계승 순서, 재위 기간, 계보, 천문 관측 기록 등을 종합하여 연대를 추정해왔다. 최근의 연구들은 대부분 쿠푸와 그의 피라미드 건설 시기를 기원전 2700년에서 2500년 사이로 보고 있다.[34]

쿠푸왕의 재위 원년과 대피라미드의 연대 추정에 대한 현대적 추정
저자 (연도)추정 연대
그리브스 (1646)기원전 1266년
가디너 (1835)[22]기원전 2123년
렙시우스 (1849)[23]기원전 3124년
분젠 (1860)[24]기원전 3209년
마리에트 (1867)[25]기원전 4235년
브레스테드 (1906)[26]기원전 2900년
하산 (1960)기원전 2700년
오마라 (1997)[27]기원전 2700년
베카라트 (1997)[28]기원전 2554년
아놀드 (1999)[29]기원전 2551년
스펜스 (2000)[30]기원전 2480년
쇼 (2000)[31]기원전 2589년
호르눙 (2006)[32]기원전 2509년
램지 외 (2010)[33]기원전 2613–2577년



대피라미드는 약 230만 개의 석재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무게는 약 5900만 톤으로 추정된다. 건설에는 약 550만 톤의 석회암, 아스완에서 채굴된 8,000톤의 화강암, 50만 톤의 모르타르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돌의 크기는 다양하여 작은 것은 2톤 정도이지만, 왕의 방 천장을 이루는 화강암처럼 80톤에 달하는 거대한 돌도 있다. 평균적인 돌의 무게는 약 2.5톤이다.

대영박물관에 소장된 외벽 파편


대부분의 석회암 블록은 피라미드 바로 남쪽, 현재 기자 중앙 구역으로 알려진 채석장에서 채석되었다. 이 석회암은 누물리틱 석회암으로, 선사 시대 조개 생물 화석을 포함하고 있다. 외벽을 마감하는 데 사용된 더 하얗고 질 좋은 석회암(화장석)은 나일강 건너편 동부 사막 고원의 투라 채석장(기자에서 남동쪽 약 10km 거리)에서 배로 운반되었다. 2013년 발견된 메레의 일기는 쿠푸왕 통치 27년에 투라에서 기자로 석회암을 운송하는 과정을 기록한 파피루스 두루마리이다. 피라미드 내부의 왕의 방 등에 사용된 화강암은 남쪽으로 900km 이상 떨어진 아스완에서 운반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돌을 가공하기 위해 금속 끌과 나무 쐐기를 사용했다. 바위에 홈을 파고 나무 쐐기를 박은 뒤 물을 부으면, 물을 흡수한 쐐기가 팽창하면서 발생하는 힘으로 바위를 쪼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잘라낸 블록은 나일강의 지류를 이용하여 배로 건설 현장까지 운반되었다.

기저부에 남아있는 화장석. 화장석 측면 하단에는 지렛대의 작용점이 되는 홈이 남아있다. 화장석 아래의 평평한 돌이 기단이다. 기단보다 오른쪽의 돌 포장은 안뜰의 포장이다.


피라미드 건설에는 수많은 노동력이 투입되었다.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10만 명의 노예가 3개월 교대로 동원되었다고 기록했지만, 현대의 고고학적 발견은 이를 반박한다. 기자 인근에서 발견된 노동자들의 숙소와 묘지 유적은 피라미드 건설에 노예가 아닌 수천 명의 징집된 노동자들이 동원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숙련된 석공, 기술자, 운반 노동자, 감독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국가적인 대규모 공공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노동자들은 빵과 맥주 등 고칼로리 식량을 배급받았으며, 이는 피라미드 타운 유적에서 발견된 대규모 빵 굽는 시설 등으로 확인된다. 노예 노동이 아니었다는 설이 현재 유력하다.

노동자들은 체계적으로 조직되어 관리되었다. 기자에서 발견된 낙서에 따르면, 노동자들은 '자우(Zau)'라고 불리는 40명 단위의 그룹으로 나뉘었고, 각 자우는 '10명의 감독관'이 있는 4개의 하위 부대로 구성되었다.[64] 마크 레너는 이를 바탕으로 노동자들이 10명으로 구성된 반(班), 2개의 반이 묶인 소대, 10개의 소대가 묶인 중대, 5개의 중대가 묶인 대대, 2개의 대대가 묶인 연대로 계층적으로 조직되었으며, 총 2개 연대, 약 4,000명이 직접 건설에 참여했다고 추정한다. 여기에 도구 제작, 물자 보급 등을 담당하는 인원까지 합하면 총 2만에서 3만 명 정도가 동원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험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비소 구리 끌, 나무 망치, 밧줄 등을 사용한 4명의 노동자가 하루 6시간씩 4일 동안 평균 크기(약 2.5톤)의 석회암 블록 하나를 채석할 수 있었으며, 돌에 물을 뿌리면 작업 속도가 6배 빨라졌다. 이를 바탕으로 약 3,500명의 채석공이 27년 안에 피라미드 건설에 필요한 모든 블록을 생산할 수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5] 1999년의 건설 관리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전체에 평균 약 13,200명, 최대 약 40,000명의 인력이 필요했을 것으로 추산했다.[66]

1989년부터 마크 레너가 발굴한 피라미드 타운 유적은 카프레멘카우레 시대 노동자들의 주거지로 확인되었으나, 주변에서 쿠푸 시대 유물도 발견되어 그 하층에 대피라미드 노동자 마을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한, 메레의 일기에 언급된 '살아라 쿠푸'라는 마을이 대피라미드 노동자 마을일 가능성도 있다.

피라미드 건설이 농한기 실업 구제를 위한 공공사업이었다는 주장(요시무라 사쿠지 등)도 있지만, 실제 노동이 농한기에만 국한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카프레의 채석장, 뒤는 대피라미드


대피라미드는 놀라운 정밀도로 건설되었다. 피라미드가 세워질 기반암은 계단 모양으로 깎아 다듬었으며, 특히 외곽 부분은 21mm 이내의 오차로 수평을 맞추었다. 완성된 피라미드 밑면의 네 변은 평균 58mm의 길이 오차만을 보이며, 각 변의 길이는 약 230m이다. 네 모서리는 거의 완벽한 직각을 이루어 평균 오차가 12각초에 불과할 정도로 정확하게 정사각형으로 만들어졌다.

고대 이집트의 북쪽 측정법


이러한 정밀도를 구현하기 위해 고대 이집트인들은 뛰어난 측량 기술을 사용했다. 피라미드의 방위를 사방위에 정확히 맞추었는데, 평균 오차는 3분 38초 (약 0.1도)에 불과하다.[68] 방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가설들이 있다.

  • 태양 그노몬 방법: 수직 막대의 그림자를 하루 동안 추적하여 동서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 실험 결과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다.[69]
  • 극성 방법: 특정 별(고대 왕국 시대에는 투반)의 움직임을 관측하여 진북을 찾는 방법.[70]
  • 동시 통과 방법: 두 개의 별(미자르와 코차브)이 특정 시기(기원전 2500년경)에 수직선상에 동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하여 북쪽을 정하는 방법. 이 별들의 느린 이동이 피라미드 방위의 미세한 오차를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30][71]


기단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물을 채운 도랑을 이용했거나, A자형 틀에 추를 매달아 사용하는 직각 수평기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기반암에 뚫린 구멍들에 말뚝을 박고 실을 쳐서 정확한 기준선을 설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피라미드의 기울기는 seked(수직 1큐빗 상승에 대한 수평 이동 거리)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대피라미드의 경우, 5와 1/2 팜(palm)의 seked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14:11의 기울기 비율(약 51.84도)에 해당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기울기가 피라미드 둘레(4 x 440 큐빗)와 높이(280 큐빗)의 비율이 2π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선택되었다고 주장한다(1760/280 = 22/7 ≈ π).[67]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π라는 개념을 몰랐으며, 단순히 seked 값을 선택한 결과일 뿐이라고 반박한다.

북동쪽 모서리의 홈. 내부 구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석재를 높은 곳까지 운반하는 방법은 피라미드 건설의 가장 큰 미스터리 중 하나이다. 현재 가장 유력한 설은 경사로를 이용했다는 것이다. 다른 피라미드 유적에서 경사로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실험 고고학을 통해 썰매를 이용해 무거운 석재를 경사로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기자에서는 견인 로프의 방향을 바꾸는 도르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버섯 모양의 석재도 발견되었다.

경사로의 형태 가설. 왼쪽부터 지그재그 경사로, 내부 직선 경사로, 나선형 경사로


경사로의 형태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직선 경사로 설: 피라미드 한 면에 길게 직선으로 경사로를 쌓아 올리는 방식. 피라미드가 높아질수록 경사로의 길이와 부피가 막대하게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 지그재그 경사로 설: 피라미드 한 면을 지그재그 형태로 올라가는 경사로를 만드는 방식.
  • 나선형 경사로 설: 피라미드 네 면을 감싸며 나선형으로 올라가는 경사로를 만드는 방식. 피라미드 모서리의 각을 정확히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장 피에르 우댕은 피라미드 외벽 안쪽에 나선형 경사로를 만들었다는 '내부 경사로 설'을 주장했으나, 후속 연구(스캔 피라미드 계획 등)를 통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 복합 경사로 설: 위의 여러 형태를 조합하여 사용했을 가능성.


대피라미드 남쪽에서 경사로의 흔적으로 보이는 유적이 발견되었으나, 이것이 주 피라미드 건설용인지 위성 피라미드 건설용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석재는 밑면만 평평하게 다듬어진 상태로 운반되어, 설치 직전에 인접할 면을 다듬고 설치한 후 윗면을 수평으로 맞추는 방식으로 작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석재 사이에는 모르타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접착제 역할뿐 아니라 석재를 지렛대로 옮길 때 윤활제 역할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존 로머는 거대한 현무암 블록을 자르기 위해 140kg 무게의 구리 톱니를 가진 '슈퍼 톱'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꼭대기에 피라미디온(캡스톤)을 올리는 작업은 매우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크 레너는 정점 주변에 나무 발판을 설치하고 지렛대를 이용하여 피라미디온을 설치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모든 석재를 쌓은 후에는 경사로를 제거하면서 위에서부터 외벽 화장석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완성했다.

대 피라미드 북쪽에서 발견된 축소 모형 통로. 건설 계획 및 실험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피라미드 북쪽에는 실제 피라미드 내부 구조의 1/5 축척 모형으로 보이는 통로가 암반에 굴착되어 있다. 이는 하강 통로, 상승 통로, 대회랑 등을 모방한 것으로, 실제 건설 전에 구조를 시험하거나 폐쇄 방법을 실험하기 위한 모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2. 3. 후대의 역사

아멘엠하트 1세의 장례 신전에서 발견된 쿠푸 왕의 부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대피라미드가 언제 처음 약탈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이집트 제1중간기 초기에 약탈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3] 이후 재사용되었을 수도 있다. 카이로 남쪽 리시트에 있는 아멘엠하트 1세의 장례 신전에서 쿠푸의 이름이 새겨진 부조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적어도 이집트 중왕국 시대(기원전 2000년경)에는 대피라미드 단지가 폐허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기자 네크로폴리스의 켄트카우에스 1세 무덤(종종 '제4의 피라미드'라 불림)에서 이집트 제12왕조 시대의 스카라베가 발견된 점으로 미루어, 이 시기에 도굴이나 무덤의 재활용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랍 기록에는 피라미드 내부에서 미라와 보물이 발견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예를 들어 알-마크리치 (1364–1442)는 세 개의 수의로 덮인 시신, 금으로 채워진 석관, 금 갑옷을 입고 값진 칼과 루비로 무장한 시체를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중왕국 시대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웨스트카 파피루스에는 쿠푸 왕이 자신의 무덤과 비슷한 것을 만들기 위해 헬리오폴리스토트 신 성역에 있는 비밀의 방을 찾는 데 시간을 보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도 피라미드에 대한 기억은 이어졌다. 기원전 1427년경 아멘호테프 2세는 대 스핑크스 옆에 비석을 세웠는데, 여기에는 쿠푸와 카프레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1936년 셀림 하산이 발굴한 이 비석에는 "그는 아직 젊었을 때 멤피스에서 말을 매었고, 호르-엠-아케트(스핑크스)의 성소에 멈춰 섰다. 그는 그곳에서 시간을 보내며 쿠푸와 카프라의 성소의 아름다움을 바라보았다."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집트 제26왕조 시대에는 고왕국 시대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움직임 속에서 기자에서 다시 제사가 거행되었고, 참가자 중에는 "쿠푸의 신관"이라는 직책을 가진 이도 있었다. 그러나 이 무렵에는 대 스핑크스가 쿠푸 이전 시대에 만들어졌고 쿠푸는 이를 수리한 왕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38]

산 마르코 대성당에 그려진 요셉과 피라미드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이집트를 방문하여 『역사』에 대피라미드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19] 그는 신관에게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쿠푸를 폭군으로 묘사하고, 10만 명의 노동자가 3개월 교대로 20년간 피라미드를 건설했으며, 지렛대를 이용했다고 기록했다. 이 기록은 오랫동안 정설로 받아들여졌다.[19][102] 헤로도토스는 또한 쿠푸의 시신이 있는 섬에 세워진 피라미드 아래의 금고에 대해 들었다고 전하는데, I.E.S. 에드워즈는 피라미드가 헤로도토스 시대 훨씬 이전에 약탈당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제26왕조 시대에 복원되면서 다시 봉인되었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에게 전해진 이야기는 약 2세기 동안 피라미드 안내인들 사이에서 구전된 결과일 수 있다. 기원전 3세기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역사가 마네토는 "쿠푸가 대피라미드를 건설했고, 신들을 경시했으며, 성스러운 서적을 저술했다"고 간략하게 기술했다.[118]

기원전 1세기경 그리스와 로마의 역사가들도 기자의 피라미드에 대해 기록했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피라미드가 경사로를 이용해 건설된 무덤이지만 "왕들은 그곳에 묻히지 않았다"고 적었다. 스트라본은 "대피라미드 내부에는 가동식 석재가 있으며, 그것을 들어 올리면 현실(왕의 방)로 내려가는 통로가 있다"고 내부 구조에 대해 언급했다.[20] 스트라본의 이 언급에 대해 에드워즈는 피라미드가 고왕국 시대 말 이후 도굴꾼들에 의해 침입당하고 봉인되었다가, 스트라본이 언급한 문이 추가될 때까지 여러 차례 다시 열렸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는 만약 이 가설이 맞다면, 후대의 알마문이 입구를 찾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문의 존재가 잊혔거나 입구가 다시 겉돌로 막혔다고 가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99] 가스통 마스페로와 플린더스 피트리 같은 학자들은 다슈르의 굴절 피라미드에서 유사한 문에 대한 증거가 발견되었다고 언급했다.[24]

후기 고대 시대(3세기경부터)에는 피라미드를 성경 창세기에 나오는 "요셉의 곡물 창고"로 오해하는 인식이 널리 퍼졌다. 이는 예루살렘 순례길에 이집트를 방문했던 기독교도들이 고대 이집트 문명보다는 출애굽기와 관련된 유적을 찾으려 했기 때문이다.[22][38] 이러한 연관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서기 381년에서 384년 사이에 이집트를 방문한 여성 순례자 에게리아의 여행기에 나타난다. 그녀는 "멤피스와 바빌로니아[=구 카이로] 사이 12마일 구간에 요셉이 곡물을 저장하기 위해 만든 피라미드가 많이 있다"고 기록했다.[50] 10년 후, 익명의 수도승 7명이 쓴 여행기에서도 "성경 시대에 요셉이 곡물을 저장했던 곡물 창고를 보았다"고 보고하며 이러한 인식을 확인시켜 준다.[51] 서기 376년경 율리우스 호노리우스가 쓴 지리서 ''세계지''[52] 역시 피라미드를 "요셉의 곡물 창고"( horrea Iosephla )라고 불렀다고 설명하며,[53] 이러한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 서기 530년경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는 그의 저서 ''민족지''에서 "피라미드"라는 단어가 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πυρός|pyrosgrc와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다.

아바스 칼리프 알마문(서기 786–833년)은 대피라미드의 측면에 터널을 뚫었다고 전해진다.


7세기 중반, 라시둔 칼리파조가 이집트를 정복하면서 수 세기 동안 이어진 로마-비잔틴 통치가 끝났다. 이후 820년경(또는 832년)[54] 아바스 칼리파조의 칼리프 알마문(786–833)이 대피라미드 내부에 처음으로 침입했다는 전설이 생겨났다. 이 이야기는 『천일야화』에도 묘사되었지만, 실제 도굴은 그보다 이전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현재 '도굴꾼의 통로'로 알려진 구멍을 알마문이 뚫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40] 밥 브리어와 호이트 홉스는 모든 피라미드가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왕들의 계곡에 왕릉 건설이 시작되면서 약탈당했다고 주장하며,[96] 조이스 타일즐리 역시 대피라미드가 알마문 이전에 이미 이집트 중왕국 시대에 열리고 비워졌다고 본다.[38] 알마문이 쿠푸의 무덤 방에 들어갔지만 유골이나 기대했던 보물을 찾지 못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데, 그가 피라미드를 완전히 털어갔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비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그러나 피라미드 내부에서 보물은 물론 찢어진 조각이나 부서진 도자기 등 약탈의 흔적조차 발견되지 않아 빈 무덤이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 무렵 대홍수 이전 시대의 왕 수리드 이븐 살후크가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는 콥트 전설도 인기를 끌었다. 특히 한 전설에 따르면, 홍수 300년 전 수리드는 세상의 종말에 대한 꿈을 꾸고 피라미드를 건설하여 이집트의 모든 지식을 담아 보존하도록 명령했다고 한다.[51] 이 전설에 대한 가장 주목할 만한 설명은 알마수디(896–956)의 저서 ''아크바르 알자만''에 나오는데, 그는 피라미드 우물에 3시간 동안 떨어진 사람 이야기나 내부에서 기이한 물건을 발견한 탐험대 이야기 등 상상력을 가미한 내용을 덧붙였다. ''알자만''에는 알마문이 피라미드에 들어가 천 개의 동전이 든 항아리를 발견했으며, 그 금액이 피라미드를 여는 데 든 비용과 정확히 일치했다는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다. (일부에서는 이 이야기가 사실일 수 있지만, 알마문이 보물을 찾지 못해 실망한 노동자들을 달래기 위해 동전을 일부러 숨겨두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17]

987년 아랍 서지학자 이븐 알나딤은 그의 저서 ''알피흐리스트''에서 한 남자가 피라미드의 주요 방으로 들어가 환상적인 경험을 하는 이야기를 전한다. 그는 태블릿을 든 남자 조각상과 거울을 든 여자 조각상 사이에서 "금 덮개가 있는 석조 용기"를 발견했다고 한다. 용기 안에는 "피치" 같은 것이 있었고, 그 안에 "금으로 된 그릇"이 있었는데, 꺼내자 신선한 피로 가득 찼다가 곧 말라버렸다고 한다. 이븐 알나딤은 또한 피라미드 안에서 "최상의 보존 상태"로 남녀의 시신이 발견되었다고 주장했다. 알카이시라는 저자는 알마문의 입성 이야기를 반복하며, 추가로 "녹색 돌로 된 남자의 이미지"를 발견하여 열었더니 보석으로 장식된 금 갑옷을 입은 시신이 나왔다고 기록했다. 그는 시신이 담겨 있던 상자를 보았으며, 그것이 카이로의 왕궁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자신이 피라미드에 들어가 많은 보존된 시신을 발견했다고 썼다. 파티마 칼리파조의 재상 알아프달 샤한샤 (1094–1121) 시대에도 보물을 찾기 위해 피라미드에 들어가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일행 중 한 명이 통로에서 길을 잃어 중단되었다.[55]

아랍의 박식가 압드 알라티프 알바그다디 (1163–1231)는 피라미드를 주의 깊게 연구하고, 그의 저서 ''이집트 기행''에서 이를 공학적 천재성의 작품이라고 칭찬했다. 그는 피라미드를 측정하고 이것이 무덤임에 틀림없다고 썼지만, 대피라미드는 아가토다이몬 또는 헤르메스의 매장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또한 피라미드가 창세기의 대홍수 이전에 존재했는지, 심지어 아담 이전 시대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잠시 품기도 했다.[37][48] 몇 세기 후, 이슬람 역사가 알마크리치 (1364–1442)는 그의 저서 ''알키타트''에서 대피라미드에 대한 지식을 집대성했다. 그는 알마문이 820년에 구조물을 뚫었다는 주장을 재확인하고, 왕의 방 석관에 대해 논하며 피라미드가 무덤임을 명확히 언급했다.[56]

중세 후기에 이르러 대피라미드는 유령이 나오는 곳이라는 평판을 얻었으며, 박쥐와 같은 동물이 서식하고 있어 사람들이 들어가기를 두려워했다.[21] 12세기경부터는 기자의 피라미드에서 조직적으로 돌을 채취하여 다른 건축물에 사용하는 일이 벌어졌다.[40]

존 그리브스의 『피라미드그래피아』에 실린 대피라미드 단면도


14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다시 많은 서양인들이 이집트를 방문했다. 주된 목적은 성지 순례였지만, 신비로운 이미지의 이집트와 그 상징인 기자의 피라미드는 빼놓을 수 없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27][118] 그러나 여전히 피라미드는 고대 이집트 문명 자체보다는 성경이나 그리스 신화 등 기존의 서양 전승과 결부되어 이해되었다.[118]

영국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존 그리브스(John Greaves)는 17세기 중반, 고고학적인 방법으로 대피라미드를 검증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는 당시 최고의 측량 장비를 사용하여 피라미드의 크기를 측정하고, 내부에 들어가 통로와 방의 치수를 재어 단면도를 완성했다. 1646년 그는 자신의 연구 결과를 『피라미드그래피아』(Pyramidographia)라는 책으로 출판하며 피라미드가 왕의 무덤임을 주장했다.[121] 그러나 그리브스는 당시 지식인 사회의 공용어였던 라틴어 대신 영어로 책을 썼고, 이 때문에 그의 연구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대신 아타나시우스 키르허와 같이 피라미드를 신비로운 이미지로 묘사한 저술이 더 인기를 끌었다.[123]

그리브스의 저서에 주목한 인물 중 한 명이 아이작 뉴턴이다. 뉴턴은 대피라미드 설계에 특정한 단위가 사용되었을 것이라 가정하고, 그리브스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고대 이집트의 1 큐빗이 약 52.4cm라고 추정했다. 이는 현재 고왕국 시대의 1 큐빗으로 여겨지는 52.5cm와 거의 일치하는 값이다.[127] 그러나 19세기 이후 뉴턴의 피라미드 연구가 만유인력 법칙 발견과 관련이 있다는 등의 속설이 퍼지기 시작했다. 이는 피타고라스가 지구와 피라미드를 연결했다는 속설과 마찬가지로, 대피라미드를 사이비 과학적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의 일부였다.[129]

『이집트지』에 실린 대피라미드 대회랑 삽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1798-1801)은 이집트학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나폴레옹은 조사단(학예 위원회)을 동행시켜 이집트 전역을 조사하게 했고,[46] 장마리 조제프 쿠텔과 에드메 프랑수아 조마르 등은 기자에서 대피라미드의 수직 통로 탐사, 스핑크스 발굴, 주변 유적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의 연구 성과는 방대한 보고서인 『이집트지』(Description de l'Égypte)로 출판되어 서구 사회에 고대 이집트 문명을 새롭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34][46]

왼쪽


플린더스 피트리가 그린 기자의 삼각 측량도


프랑스 원정군 철수 이후, 한동안 약탈과 파괴를 동반한 비조직적인 발굴이 성행했다.[46] 이탈리아 영사의 지원을 받은 조반니 가빌랴는 1816년부터 발굴을 시작하여 여왕의 방 벽에 구멍을 뚫고, 수직 통로의 잔해와 하강 통로의 돌마개를 제거하여 지하 공간을 발견했다.[37] 영국인 하워드 바이스와 존 페링은 1837년부터 기자 피라미드를 조사하며 대피라미드 왕의 방에서 환기 통로를 발견하고, 다이너마이트를 사용하여 무게 경감실이 5층 구조임을 밝혀냈다. 하지만 남쪽 입구를 찾기 위해 폭파 작업을 하는 등 파괴적인 조사를 반복하기도 했다.[44][50][52] 이러한 초기 발굴은 많은 발견을 이끌어냈지만, 동시에 유적을 훼손하는 결과를 낳았다.[42]

프로이센 왕국의 고고학자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는 1843년부터 이집트 조사를 통해 많은 성과를 남겼으며, 피라미드가 왕의 재위 기간에 따라 크기가 커진다는 '성장 이론'을 제시했다.[54] 1858년 프랑스인 오귀스트 마리에트가 이집트 정부의 초대 고고국 국장으로 임명되면서 파괴적인 발굴 시대는 끝나고 학술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51]

한편, 19세기에는 대피라미드를 유사 과학적으로 해석하는 '피라미드학'(Pyramidology)이 유행했다. 뉴턴이 계산한 큐빗 값의 일부가 "피라미드 인치"로 불리며, 수학자 존 테일러와 천문학자 존 허셜 등은 대피라미드와 지구를 수치적으로 연결하려 시도했다. 스코틀랜드의 왕실 천문학자였던 찰스 피아치 스미스는 고대 이집트인이 지구가 구체임을 알았으며, 대피라미드가 지구의 축소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피라미드 인치가 현대 영국 인치의 기원이며, 대피라미드는 영국인의 조상인 '잃어버린 이스라엘 부족'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믿었다. 스미스는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윌리엄 피트리와 그의 아들 플린더스 피트리에게 측량을 의뢰했다.[56]

플린더스 피트리 등은 9개월간 기자의 대지를 측량했지만, 그 결과는 스미스의 가설을 부정하는 것이었다. 이 경험을 계기로 피트리는 신비주의에서 벗어나 과학적 고고학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그는 조사 결과와 함께 대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된 도구, 노동자 조직, 석재 가공 및 운반 방법 등에 대한 고찰을 담아 1883년 『기자의 피라미드와 신전』(The Pyramids and Temples of Gizeh)을 출판했다. 피트리는 이후 근대 이집트 고고학의 아버지로 불리게 된다.

헤테프헤레스 1세 왕비의 부장품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집트 고고국의 가스통 마스페로는 기자의 발굴 구역을 여러 외국 조사단에 할당하여 동시에 발굴을 진행하도록 했다.[59] 이로 인해 이집트 고고학은 외국 기관 주도의 대규모 조사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59] 그 결과 대피라미드 주변 발굴 조사에서 새로운 발견이 잇따랐다. 1925년 미국인 조지 레이스너는 쿠푸의 어머니인 헤테프헤레스 1세 왕비의 온전한 부장품을 숨겨진 수직 갱도(G7000X호 묘)에서 발견했다.[60] 1949년에는 장 필리프 로에르가 장제전의 현무암 포장과 경사진 참배로의 흔적을 조사했다.[75] 또한 1954년에는 카말 엘 말라크 등이 대피라미드 남쪽에서 쿠푸의 배를 발견하는 등 중요한 성과가 있었다.[62]

3. 구조

기자의 대피라미드는 높이 약 147m, 밑변 길이 약 230m에 달하는 거대한 건축물이다. 이는 고대 이집트 단위로 높이 280 큐빗, 한 변의 길이 440 큐빗에 해당한다 (1큐빗 = 0.542m).[133] 원래 꼭대기에는 으로 만든 피라미드석이 있었으나 도난당하여 현재는 윗면이 평평한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다.

피라미드는 약 230만 개의 암석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무게는 약 5900만 톤으로 추정된다. 사용된 돌의 평균 무게는 약 2.5ton이며, 작은 것은 2ton 정도지만 왕의 방을 이루는 화강암과 같은 큰 돌은 무게가 50ton에서 80ton에 달한다. 건설에는 약 550만 톤의 석회암, 아스완에서 채굴된 8,000톤의 화강암, 50만 톤의 모르타르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석회암은 인근 채석장에서, 외벽용 흰색 석회암은 나일강 건너편 투라에서, 그리고 가장 무거운 화강암은 800km 떨어진 아스완에서 운반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금속 끌과 나무 쐐기를 이용해 바위를 쪼갠 후, 나일강을 통해 배로 운반했을 것으로 보인다.

쿠푸왕의 재위 원년과 대피라미드의 연대 추정에 대한 현대적 추정
저자 (연도)추정 연대
그리브스 (1646)기원전 1266년
가디너 (1835)[22]기원전 2123년
렙시우스 (1849)[23]기원전 3124년
분젠 (1860)[24]기원전 3209년
마리에트 (1867)[25]기원전 4235년
브레스테드 (1906)[26]기원전 2900년
하산 (1960)기원전 2700년
오마라 (1997)[27]기원전 2700년
베카라트 (1997)[28]기원전 2554년
아놀드 (1999)[29]기원전 2551년
스펜스 (2000)[30]기원전 2480년
쇼 (2000)[31]기원전 2589년
호르눙 (2006)[32]기원전 2509년
램지 외 (2010)[33]기원전 2613–2577년



대피라미드의 건축 연대는 약 4,600년 전으로 추정되며, 이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확인된다. 첫째는 고고학적, 문헌적 증거를 바탕으로 쿠푸 왕의 재위 기간과 연관 지어 추정하는 간접적인 방식이다. 둘째는 피라미드 내부에서 발견된 유기물(주로 모르타르에 섞인 재)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한 직접적인 방식이다.

역사적으로 대피라미드의 건축 연대는 쿠푸 왕의 재위 기간과 동일시되어, 그의 연대를 추정하는 문제로 여겨졌다. 고대 왕 목록(토리노 왕 목록, 아비도스 왕 목록, 카르나크 왕 목록 등)과 같은 문헌 자료를 통해 왕위 계승 순서를 파악하고, 계보, 천문 관측 기록 등을 종합하여 연대를 추정한다. 이러한 이집트 연대기는 주로 정치적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층서학이나 물질 문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는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고대 기록에서는 연대에 대한 혼란이 있었다. 기원전 450년경 헤로도토스는 피라미드를 쿠푸의 것으로 보았지만, 그의 시대를 람세스 왕조 이후로 잘못 기록했다. 약 200년 후 마네토는 쿠푸를 이집트 제4왕조로 정확히 분류했지만, 그리스어 번역 과정에서 이름이 '케옵스(Cheops)' 또는 '수피스(Souphis)' 등으로 변형되어 혼동을 주었다.[39] 17세기 존 그레이브스는 이러한 자료의 불확실성 때문에 쿠푸의 연대를 기원전 1266년으로 잘못 추정하기도 했다.[40] 19세기에 이르러 여러 왕 목록이 발견되고, 1837년 피라미드 내부에서 쿠푸의 이름이 발견되면서[23] 케옵스와 수피스가 동일 인물이며 피라미드가 제4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음이 명확해졌다. 이후에도 연구자들의 방법론이나 창세기 홍수 설화와 같은 종교적 관념의 영향, 자료 해석의 차이 등으로 인해 연대 추정치는 기원전 4000년에서 2000년 사이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20세기 들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이 도입되면서 연대 추정의 정확성이 높아졌다. 1984년과 1995년에 피라미드 내부에서 채취된 46개의 모르타르 표본을 분석한 결과, 건축 연대는 기원전 2871년에서 2604년 사이로 측정되었다. 다만, 나무와 같은 유기 재료는 벌목된 시점과 실제 사용된 시점 사이에 시간 차이가 있을 수 있어('오래된 목재 문제'), 약 100년에서 300년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 피라미드 완공 시기는 기원전 2620년에서 2484년 사이로 좁혀졌다.[35][36][37]

한편, 1872년 웨이먼 딕슨이 여왕의 방 통풍구에서 발견한 삼나무 판자는 2020년 재발견되어 연대 측정을 실시한 결과, 기원전 3341년에서 3094년 사이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쿠푸의 연대보다 약 500년 이상 오래된 것으로, 연구자 아비어 엘라다니는 이 나무가 수명이 긴 나무의 중심부에서 왔거나, 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되기 전에 오랫동안 보관 또는 재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8]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은 여전히 오차 범위와 보정의 불확실성, 오래된 목재 문제 등을 안고 있지만, 역사적 연대기가 대체로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었다.[34] 현재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쿠푸와 대피라미드의 연대를 기원전 2700년에서 2500년 사이로 보고 있다.[34] 최근에는 루미네선스 연대 측정법, 연륜 연대기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이집트 연대기를 더욱 정교하게 다듬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3] 천문학적 정렬을 통해 건설 시기를 추정하려는 연구도 진행되었다.[27][30]

3. 1. 외부 구조

대피라미드는 원래 높이가 약 146.8m였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침하와 침식으로 인해 138.9m의 높이를 가지고 있다. 밑면의 길이는 각 변이 약 230.4m이며, 질량은 약 590만 톤, 전체 부피는 대략 250만 세제곱미터에 달한다.[133] 고대 이집트 단위로는 높이 280 큐빗, 한 변의 길이 440 큐빗에 해당한다. (1큐빗 = 0.542m)[133]

피라미드는 매우 정밀하게 건설되었다. 밑면의 네 변 길이 차이는 5.8cm에 불과하며, 거의 완벽한 정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동서남북을 정확히 가리킨다. 피라미드가 세워진 기단은 석회암 석판을 깔아 만들었으며, 그 밑면은 평균 오차 수평 2.1cm, 남북 방향 0도 3분 6초, 측면 길이 4.4cm라는 정밀도를 보여준다. 이는 스네프루의 피라미드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암반 위에 정확하게 수평인 기단을 만든 결과로 보인다. 피라미드 건설에 대한 첫 정확한 측정은 1880년에서 1882년 사이에 플린더스 페트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그의 측정 기록은 현재까지도 매우 정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대피라미드는 약 230만 개의 석회암과 화강암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건설에는 약 550만 톤의 석회암, 아스완에서 채굴된 8,000톤의 화강암, 50만 톤의 모르타르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된 돌의 평균 무게는 약 2.5ton이며, 가장 작은 것은 2ton 정도이지만, "왕의 방" 천장을 이루는 화강암과 같은 큰 돌은 무게가 25ton에서 80ton에 달한다. 대부분의 석회암은 피라미드 남쪽의 기자 채석장에서, 외장용 흰색 석회암은 나일강 건너편 투라 채석장에서, 화강암은 남쪽으로 900km 이상 떨어진 아스완에서 운반되었다.

완성 당시 대피라미드는 투라에서 가져온 고품질의 흰색 석회암 외장재(케이싱 스톤)로 완전히 덮여 있었다. 이 돌들은 정교하게 가공되어 수평으로 쌓고 모르타르로 접착했으며, 외부 면은 51°50'40" (5+1/2 팜)의 세케드 각도로[74][75] 매끄럽게 다듬어져 4개의 균일한 사각뿔 면을 이루었다. 돌들은 놓인 후에 앞면을 다듬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장 석재 층의 높이는 균일하지 않고 다양한데, 가장 아래 첫 번째 층이 1.49m로 가장 높고, 위로 갈수록 층은 높이가 약 1 큐빗 (약 0.52m)을 약간 넘는 경향이 있으며, 돌의 무게는 약 500kg이다.[76] 외장재 안쪽에는 이를 지지하는 "뒷받침 돌"이 정교하게 다듬어져 모르타르로 외장재와 결합되었다.[2]

첫 번째 층(아래)과 위층(위)의 외장 석재 크기 비교


그러나 1303년 대지진으로 외벽 구조가 흔들렸고, 1356년 바흐리 왕조의 술탄 안나시르 나시르 아딘 알 하산이 카이로의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외장재를 대거 벗겨갔다. 이후 19세기 이집트 총독 알리 파샤가 카이로에 모스크를 짓기 위해 남아있던 외장재를 거의 다 가져가면서, 현재는 내부의 뒷받침 돌이 노출된 계단형 모습(총 203단)만 볼 수 있다. 일부 외장 석재는 피라미드 기저부에서 발견되었으며, 북쪽 면 하단 등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모르타르는 돌 사이를 접착하는 역할 외에도, 돌을 정확하게 배치하기 위한 수평 기반을 제공하고, 지렛대를 사용해 돌을 미끄러뜨려 이동시킬 때 윤활제 역할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장 석재가 콘크리트처럼 제자리에서 주조되었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고고학 및 석재학적 분석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81]

플린더스 페트리는 1880년 피라미드의 네 면이 가운데 부분이 약간 오목하게 들어갔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특정 조명 조건에서 피라미드가 8면체처럼 보이게 하여 의도적으로 그렇게 건설되었다는 추측을 낳기도 했다.[82][83] 그러나 최근 레이저 스캔 및 사진 측량법 조사 결과, 이러한 오목함은 외장 석재가 제거되면서 그 아래의 뒷받침 돌들이 손상되어 생긴 현상으로 결론지어졌다.[84][83]

피라미드 꼭대기에는 피라미디온(capstone)이라 불리는 꼭대기 돌이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재료에 대해서는 석회암, 화강암, 현무암 등이 제안되며, 대중문화에서는 이나 전기금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하지만 알려진 이집트 제4왕조의 피라미디온들은 모두 흰색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금 도금은 없었다.[85] 금 도금된 피라미디온은 이집트 제5왕조부터 나타난다.[86] 고대 로마 시대의 작가 대 플리니우스는 이미 피라미드 정상에 플랫폼이 있었다고 기록했으며, 시간이 지나며 꼭대기 돌들이 더 제거되어 현재 피라미드는 원래 높이보다 약 8m 낮아졌다.[87]

대피라미드의 외부 구조는 중심부에 코어가 있고 그 주위를 돌로 쌓았다는 설, 또는 내부에 불규칙한 작은 방들을 만들고 충전재를 채워 넣은 구조라는 설 등이 있다. 현재 북동쪽 모서리 지상 약 80m 높이에 있는 홈은 내부의 충전재 공간이 노출된 곳으로 추정된다.

3. 2. 내부 구조

1. 원래 입구 2. 도굴꾼의 터널 3. 하강 통로 4. 하강 통로 5. 지하 묘실 6. 상승 통로 7. 여왕의 방과 통풍구 8. 수평 통로 9. 대 회랑 10. 왕의 방과 통풍구 11. 수직 통로(우물 샤프트)
2023년 3월 2일, 1번 통로 인근에서 새로운 공간이 발견되었다.[128]||450px]]

대 피라미드의 내부는 다른 피라미드들에 비해 복잡하고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가 처음부터 계획된 것인지, 아니면 건설 과정에서 여러 차례 설계가 변경된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하며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루트비히 보르하르트는 처음에는 지하 묘실, 다음으로 여왕의 방, 마지막으로 왕의 방 순서로 3단계에 걸쳐 계획이 변경되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비토 마라졸리오나 라이너 슈타델만과 같은 연구자들은 처음부터 단일 계획으로 건설되었다고 주장한다.

내부 구조는 크게 세 개의 방(왕의 방, 여왕의 방, 지하 묘실), 대 회랑, 그리고 여러 통로와 수직 통로(샤프트)로 구성된다. 이집트 제4왕조 무덤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무게 경감실 블록에 새겨진 작업반의 표시와 이름을 제외하고는 내부 벽에 장식이나 비문이 없다.

피라미드에는 원래 입구와 도굴꾼의 터널이라는 두 개의 입구가 있으며, 이 둘은 내부에서 만난다. 이 교차점에서 통로는 아래쪽 지하 묘실로 내려가는 하강 통로와 위쪽 대 회랑으로 올라가는 상승 통로로 나뉜다. 대 회랑 입구에서는 세 방향으로 갈 수 있다:

  • 수직 통로(우물 샤프트)를 통해 동굴을 지나 하강 통로와 만나는 길
  • 수평 통로를 통해 여왕의 방으로 가는 길
  • 대 회랑 자체를 따라 석관이 있는 왕의 방으로 가는 길


왕의 방과 여왕의 방에는 각각 한 쌍의 작은 "공기 통로"가 있다. 왕의 방 위에는 5개의 무게 경감실이 층층이 쌓여 있다.

=== 입구 ===

원래 입구 (왼쪽 위), 도굴꾼의 터널 (오른쪽 중간)


대피라미드의 입구는 다른 많은 피라미드처럼 북쪽 면에 있다.

==== 원래 입구 ====

원래 입구는 피라미드 기저부에서 약 17m 높이, 19번째 돌 층에 위치하며, 피라미드 중심축에서 동쪽으로 7.29m (15 이집트 큐빗) 벗어나 있다. 입구의 높이는 96cm로, 하강 통로의 크기와 일치한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스트라보에 따르면, 이 입구는 움직일 수 있는 돌로 막혀 있었다고 하나, 이것이 원래 구조인지 후대에 추가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현재 입구 위에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두 줄의 꺾쇠 모양 블록이 있으며, 일부는 사라지고 그 흔적만 남아있다. 입구 주변에는 현대의 낙서가 많으며, 특히 카를 리하르트 렙시우스가 이끈 1842년 프로이센 원정대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를 기리기 위해 새긴 상형 문자 비문이 눈에 띈다.[91]

==== 도굴꾼의 터널 ====

현재 관광객들이 피라미드 내부로 들어갈 때 사용하는 입구는 도굴꾼의 터널(Robbers' Tunnel) 또는 알마으문 터널(Al-Mamun's Tunnel)이라고 불린다. 이 터널은 기저부에서 약 7m 높이, 6번째와 7번째 돌 층 사이에 강제로 뚫렸다. 터널은 거의 수평으로 약 27m 이어지다가 왼쪽으로 급격히 꺾여 상승 통로를 막고 있던 화강암 블록 아래에 도달한다. 이 지점에서 하강 통로로 들어갈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접근은 금지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이 터널은 820년경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마으문의 지시로 보물을 찾기 위해 공성퇴 등을 이용해 뚫었다고 전해진다. 작업 중 하강 통로 천장의 돌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상승 통로의 숨겨진 입구를 발견하여 왼쪽으로 방향을 틀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역사적, 고고학적 불일치로 인해 많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들은 터널이 피라미드가 봉인된 직후 고대에 이미 뚫렸다가 이집트 신왕국 시대 등에 다시 봉인되었고, 알마으문은 단지 기존의 터널을 다시 뚫고 정리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알마으문 이전에 이미 피라미드 북면에 33m 깊이의 막다른 구멍이 있었다는 디오니시우스 1세 텔마하로요 총대주교의 기록에 의해 뒷받침된다.

=== 하강 통로 ===

원래 입구에서 시작되는 하강 통로(Descending Passage)는 피라미드 본체를 뚫고 그 아래의 기반암까지 이어져 지하 묘실로 연결된다. 통로의 높이는 1.2m (4 이집트 피트), 너비는 1.04m (2 이집트 큐빗)이다. 경사각은 26° 26' 46"으로, 수평 거리 2에 대해 수직 거리 1의 비율이다.

입구에서 약 28m 내려가면 상승 통로가 시작되는 지점에 도달한다. 이곳 천장에는 원래 숨겨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화강암 마개석이 박혀 있다. 이 단단한 돌을 우회하기 위해 도굴꾼의 터널 끝에서 짧은 터널이 뚫려 하강 통로와 연결되었다.

하강 통로는 여기서부터 기반암 속으로 약 72m 더 이어진다. 이 구간 끝 부분의 서쪽 벽에는 수직 통로(우물 샤프트)와 연결되는 통로가 있다. 하강 통로의 가장 끝에는 지하 묘실로 이어지는 짧은 수평 통로가 있다. 이 수평 통로의 길이는 8.84m, 너비는 85cm, 높이는 91cm에서 95cm 사이이다.

=== 지하 묘실 ===

지하 묘실(Subterranean Chamber) 또는 "구덩이"(The Pit)는 세 개의 주요 방 중 가장 낮은 곳에 있으며, 유일하게 피라미드 아래 기반암에 파여 있다. 피라미드 기저부에서 약 27m 아래에 위치한다. 방의 크기는 남북으로 약 8.3m (16 큐빗), 동서로 약 14.1m (27 큐빗)이며, 높이는 약 4m이다. 방의 서쪽 절반은 천장을 제외하고는 암석을 파내다 만 상태로 미완성이다.

헤로도토스 등 고대 기록에 언급되어 알려져 있었으나 중세에 잊혔다가, 1817년 조반니 바티스타 카빌리아가 하강 통로의 잔해를 치우면서 재발견했다. 방의 남쪽 벽에는 약 16.4m 길이의 좁고 막다른 통로가 파여 있다.

방 동쪽 절반 중앙에는 존 셰 페링의 이름을 딴 깊은 수직 구멍(Pit Shaft 또는 Perring's Shaft)이 있다. 윗부분은 고대에 파인 것으로 보이며, 하워드 바이스가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물에 잠긴 방을 찾기 위해 1837년에 나일강 수위보다 12m 더 깊은 곳까지 파 내려갔지만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이 작업으로 파낸 암석 부스러기들이 방 안에 쌓여 있었으나, 후대에 일부 정리되었다.

루드비히 보르하르트는 이 방이 원래 쿠푸의 무덤으로 계획되었으나, 건설 도중 계획이 변경되어 위쪽의 방들이 만들어지면서 버려졌다고 주장했다.

=== 상승 통로 ===

상승 통로의 상단 화강암 플러그 2개, 도굴꾼의 터널 끝에서 본 모습


상승 통로(Ascending Passage)는 하강 통로에서 대 회랑까지 이어진다. 길이는 약 39m (75 큐빗)이며, 경사각은 26° 6'로 하강 통로보다 약간 완만하다. 너비와 높이는 하강 통로와 같다.

통로의 아랫부분은 세 개의 화강암 플러그(마개석)로 막혀 있다. 이 돌들은 통로를 봉쇄하기 위해 대 회랑에서 미끄러뜨려 내려온 것으로 추정된다. 각 돌의 길이는 1.57m, 1.67m, 1m이다. 도굴꾼의 터널은 이 마개석 바로 아래까지만 뚫려 있으며, 더 부드러운 주변 석회암을 파서 마개석을 우회하는 짧은 통로가 만들어졌다.

=== 수평 통로 ===

수평 통로(Horizontal Passage)는 대 회랑 입구에서 남쪽으로 여왕의 방까지 이어진다. 통로 입구는 원래 대 회랑 바닥과 같은 높이의 석판으로 덮여 숨겨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로의 너비는 약 1.04m (2 큐빗)이고, 대부분 구간의 높이는 1.17m이다. 여왕의 방 입구 약 5m 앞에는 바닥에 단차가 있어 통로 높이가 1.68m로 높아지며, 여왕의 방 바닥은 수평 통로보다 약 60cm 낮다.

=== 여왕의 방 ===

축척 투시도로 본 여왕의 방


여왕의 방(Queen's Chamber)이라는 이름은 아랍 탐험가들이 붙인 것이며, 실제로 여왕이 묻혔던 곳은 아니다. 이 방은 피라미드의 동서축 중앙, 남북축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다. 크기는 남북 5.23m (10 큐빗), 동서 5.75m (11 큐빗)이며, 뾰족한 박공 형태 천장의 최고 높이는 약 6.26m (12 큐빗)이다. 전체가 양질의 석회암으로 만들어졌고 장식은 없으며, 바닥은 다소 거칠게 마감되어 미완성 상태로 보인다.

동쪽 벽에는 높이 약 4.7m (9 큐빗)의 벽감이 있다. 원래 깊이는 약 1.04m (2 큐빗)이었으나, 후대에 보물을 찾으려는 사람들에 의해 더 깊게 파헤쳐졌다. 이 벽감의 용도는 불분명하지만, 파라오의 영적 분신인 카(Ka) 조각상을 놓아두던 장소(세르다브, Serdab)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는 라이너 슈타델만의 주장처럼 제4왕조 무덤의 3실 구조(현실, 전실, 창고) 중 전실에 해당하거나, 왕의 방이 완성되기 전의 예비 현실이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 수직 통로 (우물 샤프트) ===

우물 샤프트(오른쪽)의 부서진 벽을 통해 접근 가능한 동굴(왼쪽)


수직 통로(Vertical Shaft), 또는 우물 샤프트(Well Shaft), 서비스 샤프트(Service Shaft)는 대 회랑의 아래쪽 끝 서편 바닥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하강 통로의 지하 챔버 근처까지 약 50m 아래로 이어진다.

통로는 직선이 아니라 구불구불한 경로를 따른다. 윗부분은 피라미드 본체 석조 구조를 통과하는데, 처음 8m는 수직으로 내려가다가 남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피라미드 기저부 위 약 5.7m 지점에서 기반암에 도달한다. 여기서 다시 수직으로 내려가다가 동굴이라는 자연적인 구멍을 통과한다. 아랫부분은 기반암 속을 약 45° 각도로 26.5m 내려가고, 더 가파른 구간(9.5m)을 지나 거의 수평인 마지막 2.6m 구간을 통해 하강 통로와 연결된다.

이 통로의 목적에 대해서는, 상승 통로를 마개석으로 막은 작업자들이 탈출하기 위한 경로였다는 설과, 지하 묘실 작업 시 환기를 위한 통로였다는 설 등이 있다.

==== 동굴 ====

동굴(Grotto)은 수직 통로 중간에 있는 자연적인 석회암 동굴이다. 건설 전에 모래와 자갈로 채워져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약탈자들에 의해 파헤쳐졌다. 내부에는 왕의 방을 봉쇄했던 전실의 화강암 마개석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이는 화강암 블록 조각이 놓여 있다.

=== 대 회랑 ===

그랜드 갤러리(중간에 현대식 통로가 있음)


대 회랑(Grand Gallery)은 상승 통로의 경사를 이어받아 왕의 방으로 이어진다. 피라미드의 23번째 돌 층에서 48번째 돌 층까지, 약 21m의 높이 차이를 두고 뻗어 있다. 길이는 46.68m이고 최대 높이는 8.6m이다. 벽은 연마된 석회암으로 만들어졌다. 바닥의 너비는 약 2.08m (4 큐빗)이지만, 약 2.29m 높이부터는 양쪽 벽의 돌 블록이 안쪽으로 6cm에서 10cm씩 튀어나오는 코벨(corbel) 구조를 이루며 7단으로 쌓여 있다. 이 때문에 대 회랑의 천장 쪽 너비는 약 1.04m (2 큐빗)으로 좁아진다. 천장은 바닥보다 약간 더 가파른 각도의 석판으로 덮여 있으며, 각 석판은 래칫의 톱니처럼 홈에 맞물려 있어 하중이 아래쪽 돌이 아닌 벽으로 분산되도록 설계되었다.

대 회랑 바닥 양쪽에는 너비 약 52cm (1 큐빗)의 선반(ramps)이 있고, 그 사이에는 너비 약 1.04m (2 큐빗)의 낮은 경사로가 있다. 양쪽 선반에는 각각 28개씩, 총 56개의 홈(슬롯)이 파여 있다. 이 홈의 용도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상승 통로를 막는 화강암 마개석들을 대 회랑에 보관했다가 아래로 미끄러뜨릴 때 나무 기둥 등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장 피에르 우댕은 무거운 화강암 블록을 위로 끌어올리는 데 사용된 트롤리와 함께 목재 프레임을 고정하는 용도였다고 주장한다.

대 회랑의 가장 위쪽 끝 동쪽 벽 천장 근처에는 무게 경감실 중 가장 아래 방으로 이어지는 짧은 통로 입구가 있다. 대 회랑 끝에는 작은 수평 단상이 있고, 여기서 전실을 거쳐 왕의 방으로 들어가는 통로가 이어진다.

==== 스캔피라미드 빅 보이드 ====



2017년, 스캔피라미드(ScanPyramids) 프로젝트 연구팀은 뮤온 방사선 촬영법을 이용하여 대 회랑 위에 거대한 빈 공간(공동, Void)을 발견하고 "스캔피라미드 빅 보이드(ScanPyramids Big Void)"라고 명명했다. 이 공간의 길이는 최소 30m이며 단면은 대 회랑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간의 존재는 세 가지 다른 뮤온 탐지 기술(핵 감광 유제, 신틸레이터 호도스코프, 가스 검출기)을 통해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공간의 목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재 접근할 방법은 없다. 자히 하와스는 대 회랑 건설에 사용된 공간일 수 있다고 추측했지만, 발견한 연구팀은 이전에 알려진 건설 공간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추가 연구가 계획되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지연되었다.

=== 전실 ===

전실의 도해


왕의 방으로 들어가는 마지막 방어선 역할을 하는 작은 방이다. 대 회랑 위쪽 끝과 왕의 방 사이에 위치하며, 거의 전체가 화강암으로 마감되었다. 동쪽과 서쪽 벽에는 수직으로 홈이 파여 있는데, 이곳에 화강암 낙하석(portcullis)을 내려 통로를 막도록 설계되었다. 홈 상단에는 밧줄을 걸기 위한 반원형 홈이 파인 통나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강암 낙하석은 두께 약 52cm (1 큐빗)였으며, 밧줄로 위아래로 움직였을 것이다.

그러나 설계상의 결함으로 인해 약탈자들은 전실 천장에 구멍을 뚫어 낙하석을 우회하여 왕의 방으로 침입할 수 있었다. 현재 낙하석은 모두 파괴되어 사라졌고, 그 파편들은 피라미드 내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 왕의 방 ===

왕의 방의 도해


왕의 방에 있는 석관


왕의 방(King's Chamber)은 피라미드의 세 주요 방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방 전체가 붉은색 화강암으로 덮여 있으며, 크기는 동서 10.47m (20 큐빗), 남북 5.23m (10 큐빗)이다. 평평한 천장 높이는 약 5.85m (11 큐빗 5 디지트)이며, 총 무게 약 400톤에 달하는 9개의 거대한 화강암 석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장 석판 일부에는 균열이 관찰되는데, 이는 방이 약 2.5cm에서 5cm 정도 침하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벽은 5단으로 쌓인 화강암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집트 제4왕조 매장실의 특징처럼 표면에 비문이나 장식은 없다. 돌들은 매우 정밀하게 맞춰져 있으나, 표면 마감 정도는 다양하며 일부에는 돌을 들어 올릴 때 사용된 돌기(lifting boss)의 흔적이 남아있다.

==== 석관 ====

왕의 방 서쪽 끝에는 속이 빈 단일 화강암 덩어리로 만들어진 석관(Sarcophagus)이 놓여 있다. 이것이 방 안에 남아있는 유일한 물건이다. 중세 초기에 재발견되었을 때 이미 뚜껑은 사라지고 내용물도 없어진 상태였으며, 모서리 부분이 일부 파손되어 있다. 초기 이집트 석관의 전형적인 형태로, 직사각형 모양이며 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홈과 세 개의 작은 구멍이 있다. 표면은 완벽하게 매끄럽지는 않으며, 구리 톱과 관형 수동 드릴을 사용한 흔적이 남아있다.

석관의 내부 크기는 대략 길이 198cm, 너비 68cm이며, 외부 크기는 길이 228cm, 너비 98cm, 높이 105cm이다. 벽 두께는 약 15cm이다. 석관은 상승 통로를 통과하기에는 너무 크기 때문에, 왕의 방 천장을 덮기 전에 미리 방 안에 들여놓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스완 채석장에서 운반된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고대 이집트에서 화강암을 파서 만든 최초의 석관으로 여겨진다.

=== 무게 경감실 ===

왕의 방 위에 있는 완화실, 스미스 1877


왕의 방 천장 위에는 5개의 낮은 공간이 층층이 쌓여 있다. 이 공간들은 왕의 방 천장에 가해지는 상부 구조물의 엄청난 무게를 분산시켜 천장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무게 경감실(Relieving Chambers)이라고 불린다. 아래에서부터 차례대로 "데이비슨의 방"(Davison's Chamber), "웰링턴의 방"(Wellington's Chamber), "넬슨의 방"(Nelson's Chamber), "레이디 아버스넛의 방"(Lady Arbuthnot's Chamber), "캠벨의 방"(Campbell's Chamber)으로 명명되었다.

이 방들을 나누는 화강암 블록의 밑면은 평평하지만 윗면은 거칠게 마감되어, 각 방의 바닥은 평평하지 않다. 가장 위쪽 다섯 번째 방(캠벨의 방)의 천장은 석회암으로 된 뾰족한 박공 구조이며, 나머지 네 방의 천장은 평평한 화강암 석판이다. 왕의 방 바닥부터 가장 위쪽 방의 박공 천장까지의 총 높이는 21m가 넘는다.

가장 아래의 데이비슨의 방은 1763년 나다니엘 데이비슨이 대 회랑 위쪽 끝에서 시작되는 고대 통로를 통해 발견했다. 그 위의 네 개 방은 1837년 하워드 바이스가 데이비슨의 방 천장에서 균열을 발견하고 다이너마이트 등을 사용하여 위쪽으로 통로를 뚫으면서 발견되었다. 이 위쪽 네 방에는 원래 접근 통로가 없었다.

새롭게 발견된 네 개의 방 벽면에는 붉은 황토 페인트로 쓰인 낙서(graffiti)가 많이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석공들이 작업 기준선으로 사용한 표시 외에도, 여러 상형 문자로 작업반(gang)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이 이름들에는 당시 파라오였던 쿠푸의 이름(호루스 이름 '메제두'와 출생 이름 '크눔-쿠푸')이 포함되어 있어, 이 피라미드의 주인이 쿠푸임을 명확히 하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다. 이러한 작업반 표시는 멘카우레의 피라미드나 사후레의 피라미드 등 다른 피라미드에서도 발견된다. 낙서는 돌 블록이 놓이기 전에 새겨진 것으로 보이는데, 일부 글자가 옆으로 쓰여 있거나 뒤집혀 있고 다른 블록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17번째 가축 조사의 해"라는 기록도 발견되어, 이 부분의 건설이 쿠푸 즉위 34년경에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 통풍구 ===

왕의 방과 여왕의 방에는 각각 남북 방향으로 벽을 관통하는 한 쌍의 좁은 통로가 있다. 흔히 통풍구(Air Shafts)라고 불리지만, 실제 환기 목적보다는 종교적, 상징적 의미를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구조는 대피라미드에서만 발견된다.

==== 왕의 방 통풍구 ====

왕의 방 북쪽과 남쪽 벽, 바닥에서 약 91cm 높이에 위치한다. 너비는 18cm와 21cm, 높이는 14cm이다. 두 통로 모두 처음에는 수평으로 시작하다가 위쪽으로 경사져 올라간다. 남쪽 통로는 45° 각도로, 북쪽 통로는 31° 각도로 올라간다. 북쪽 통로는 스캔피라미드 빅 보이드를 피하기 위해 경로를 여러 번 꺾는다. 현재 두 통로 모두 피라미드 외부 표면까지 연결되어 있지만, 원래 외부 마감석(케이싱 스톤)까지 뚫려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여왕의 방 통풍구 ====

여왕의 방 통풍구는 원래 입구가 막혀 벽과 구별되지 않았으나, 1872년 웨이먼 딕슨이 발견하여 입구를 뚫었다. 북쪽 통로는 약 1.9m 수평으로 가

3. 3. 피라미드 복합체

대 피라미드의 피라미드 복합체


피라미드 복합체(피라미드 컴플렉스)는 피라미드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 시설을 의미한다. 대피라미드의 복합체는 메이둠 양식을 따르며[108] (메이둠 양식은 복합체의 축선이 동서 축이고 입구가 동쪽 중앙에 있으며, 동서 축에 대해 대칭적인 구조이고 카의 묘로서 위성 피라미드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108]), 피라미드 외에 위성 피라미드, 왕비의 피라미드, 장제 신전, 참도, 하안 신전 등으로 구성된다.[108]

=== 하안 신전 ===

하안 신전은 나일강 강가에 세워진 신전이다.[109] 대피라미드의 하안 신전은 동쪽으로 약 740m 떨어진 기자 고원 기슭에서 현무암 바닥이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다시 묻혀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110][108][111] 이집트 제4왕조 시기에는 미라 제작 방식에 변화가 생겨 시신에서 뇌와 내장을 제거하게 되었는데, 이 작업은 '이부우 엔 와아브'(정화의 천막)라는 가설 구조물에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하안 신전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0] 처리가 끝난 유해는 '와아베트'(정화의 장소)로 옮겨 안치되었는데, 이 와아베트 역시 하안 신전 내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나일강을 건너는 의식이 있었으며, 하안 신전에서 만들어진 미라는 인공 수로 등을 건너 다시 하안 신전으로 운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의식에 사용된 배가 쿠푸의 배일 것으로 추정된다. 쿠푸의 딸 메레스앙크 2세는 와아베트에 273일 동안 안치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쿠푸 역시 비슷한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110]

=== 참도 ===

참도는 하안 신전과 장제 신전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대피라미드의 참도는 20세기 초까지 일부가 남아 있었으며, 나일강변에서 기자 고원 위까지 이어지는 경사로 형태로, 기초 구조의 높이는 40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08] 헤로도토스는 이 참도가 부조로 장식되었다고 기록했지만, 고고학자들은 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112]

=== 장제 신전 ===

피라미드 동쪽 기슭에 있는 장제 신전의 현무암 바닥 유적


장제 신전의 도면


와아베트에 안치되었던 미라는 참도를 통해 장제 신전으로 운반되었다.[110] 장제 신전은 당시 왕궁을 모방하여 "왕의 영원한 거처"로 여겨졌으며[113], 피라미드 동쪽에 위치했다. 남북 길이는 52.2m, 동서 길이는 40m였으나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참도를 통해 신전에 들어서면 기둥으로 둘러싸인 노천 안뜰이 나오고, 중앙에는 제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안뜰 서쪽에는 주요 예배소가 있었다.[112] 현재는 안뜰의 검은색 현무암 바닥 일부와 주변 열주랑에 세워졌던 화강암 기둥의 받침돌, 서쪽 구획의 흔적, 외벽 토대를 만들기 위해 암반에 새긴 홈 정도만 남아 있다. 후대 메이둠 양식 장제 신전에서 보이는 벽감(왕의 조각상을 안치하기 위한 벽의 움푹 들어간 곳[114])이나 위조 문(사후 세계로 가는 입구를 상징함[113])이 대피라미드 장제 신전에도 있었는지는 불확실하다.[108] 장제 신전에서 장례 의식이 거행되었다는 설도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가 이루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10]

=== 주벽 ===

대피라미드는 높이 8m, 두께 3m 이상의 주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115] 이 벽은 투라산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벽과 대피라미드 사이에는 폭 10.2m 정도의 공간이 있었고, 이 안뜰은 석회암으로 포장되어 있었다. 이 안뜰로 들어가려면 하안 신전에서 참도를 거쳐 장제 신전을 통과해야만 했다.[108][112]

=== 배 구덩이 (선착장) ===

대 피라미드 동쪽의 배 구덩이(선착장)


복원된 쿠푸의 배. 한때 기자 태양선 박물관에 전시되었으며 현재는 대 이집트 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피라미드 주변에는 왕의 영혼을 사후 세계로 운반하는 배를 상징하는 수직 구덩이인 배 구덩이(선착장, boat pit)가 여러 개 발견되었다. 대피라미드 동쪽에는 3개의 배 구덩이가 있으며, 참도를 따라 설치된 구덩이에는 아래로 내려가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었다.[116][112] 왕비의 피라미드 사이에도 2개의 작은 배 구덩이가 있다. 이 구덩이들 내부에서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다.[116][117]

이와 별개로 1954년 5월, 이집트 고고학자 카말 엘-말라크는 대피라미드 남쪽에서 최대 15톤 무게의 석판으로 덮인 길고 사각형 모양의 배 구덩이 두 개를 추가로 발견했다. 첫 번째 구덩이 내부에서는 나무 조각 1,224개가 발견되었는데, 가장 긴 것은 23m, 가장 짧은 것은 10cm였다. 이 조각들은 배 제작자 하지 아흐메드 유수프에게 맡겨져 복원 작업이 진행되었다. 뒤틀린 나무를 보존하고 펴는 과정을 포함하여 전체 복원에는 14년이 걸렸다. 그 결과 43.6m 길이의 삼나무 배가 완성되었으며, 나무 조각들은 밧줄로 연결되었다. 이 배는 원래 피라미드 옆에 특별히 지어진 냉방 시설을 갖춘 기자 태양선 박물관에 보관되었으나, 현재는 대 이집트 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119][120] 1980년대 기자 태양선 박물관 건설 중 두 번째 밀봉된 배 구덩이가 발견되었고, 2011년에 발굴이 시작되었다.[121]

일반적인 배 구덩이는 배를 상징하는 종교적 시설이지만, 남쪽의 구덩이는 실제 배를 보존하기 위한 저장고였던 것으로 보인다.[116][117] 남쪽 배 구덩이 내부 벽면에서는 많은 노동자들의 낙서가 발견되었으며, 쿠푸의 아들 제드에프레의 이름도 포함되어 있어, 이 주변 시설들은 쿠푸 사후에 완성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12]

=== 왕비의 피라미드 ===

G1-c의 예배실


대피라미드 동쪽, 참도 남쪽에는 왕비의 피라미드 3기가 나란히 서 있다. 북쪽부터 각각 G1-a, G1-b, G1-c로 불린다.[118] 이 피라미드들은 대피라미드와 달리 밑면이 수평으로 정돈되지 않았으며, 크기는 대피라미드의 약 1/5로 계획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완성 당시에는 매끈한 외벽을 가진 진정한 피라미드 형태였으나, 후대에 외장석이 뜯겨나가 현재는 계단 모양의 코어가 노출되어 있다. 코어와 외장석 사이에는 작은 석회암 충전재가 채워져 있었음이 확인된다. 각 피라미드의 입구는 북쪽에 있으며, 내부에 암반을 파서 만든 하나의 현실(묘실)이 있고, 현실은 석재로 마감되었다.[118] 각 피라미드 동쪽에는 작은 예배실이 있었으나, 현재는 G1-c의 예배실 벽면만 남아있다 (G1-c의 예배실은 제21왕조~제26왕조 시대에 '피라미드의 여주인'이라는 칭호를 가진 이시스 여신의 신전으로 개조되었기 때문에 현존하는 것으로 보인다[118]).

피장자로는 G1-a는 쿠푸의 어머니 헤테프헤레스 1세, G1-b는 쿠푸의 왕비 메리테티스 1세, G1-c는 또 다른 왕비 헤누트센이라는 설이 유력하다.[118] 세 피라미드 내부에서는 아무것도 발견되지 않았지만, G1-a 동쪽의 수직갱에서 헤테프헤레스 1세의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이는 도굴을 피하기 위해 유물을 옮겨 다시 묻은 것으로 추정된다.[118] 라이너 슈타델만은 G1-c의 위치가 대피라미드 남쪽이 아닌, 남쪽에 늘어선 마스타바 무덤군에 맞춰 계획되었다는 점을 들어, G1-c는 후에 카프레 왕이 어머니를 위해 지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12] 헤테페레스 1세의 무덤(G1-a)은 대 피라미드에서 동쪽으로 110m 떨어져 있다.[117] 라이스너 탐사대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 이 무덤은 온전한 상태였지만, 조심스럽게 봉인된 관은 비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위성 피라미드 ===

위성 피라미드의 기저부. 왼쪽에 보이는 사각뿔은 발견된 피라미디온이다. 뒤쪽은 왕비의 피라미드이며, 왼쪽부터 G1-a, G1-b이다.


1991년부터 1993년 사이의 발굴 과정에서[118] 대피라미드와 왕비의 피라미드 사이에 밑변 길이가 20m 남짓한 작은 피라미드가 발견되었다. G1-d로 불리는 이 피라미드는 왕의 카(Ka)를 위한 무덤, 즉 위성 피라미드로 추정된다.[108][19] 내부는 T자형 하강 통로와 묘실을 갖추고 있으며[108], 이곳에서 피라미디온(캡스톤)이 발견되었다.[112] 이 피라미드는 너무 심하게 훼손되어 발굴 전까지 그 존재가 의심스러웠다.[118]

=== 마스타바 ===

피라미드의 동쪽과 서쪽에는 왕족과 고관들을 위한 다수의 마스타바 무덤이 조성되어 있다. 이 마스타바들은 약 1m에서 2m 정도의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현재는 외장이 벗겨져 있지만, 완성 당시에는 대피라미드처럼 외장석으로 덮여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마스타바는 주로 왕족들이, 서쪽 마스타바는 고관들이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117][108][123]

4. 현대의 연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피라미드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66][67]

1986년, 프랑스 기업은 정밀 중력계를 사용하여 대피라미드의 밀도를 측정했고, 그 결과 피라미드가 다양한 밀도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장-파트리스 고와당과 질 도르미옹은 밀도가 특히 낮은 수평 통로 서쪽에 구멍을 뚫어 석회암 쇄석, 모르타르, 모래 등을 확인하고 비밀의 방 존재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이를 불균질한 구조가 틈새에 충전재로 채워진 부분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38][41][66][67] 1987년에는 요시무라 사쿠지가 이끄는 와세다 대학 연구팀이 원격 탐사를 통해 프랑스 팀과 유사하게 밀도 이상을 발견하고, 피라미드 남쪽 지하에 터널이 존재할 가능성을 발표했다.[66][67]

1990년대에는 추가적인 발견과 조사가 이어졌다. 1990년 기자 고원 기슭의 나즈레트 엘-사만 마을에서 대피라미드의 하안 신전으로 추정되는 현무암 벽이 발견되었고, 3년 후에는 그 근처에서 선착장으로 보이는 벽도 발견되었다.[62][69] 1992년에는 왕의 방, 1993년에는 여왕의 방 통기구에 로봇을 투입하여 내부를 조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66][67]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은 피라미드 건축 연대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라미드 건설에 사용된 모르타르에는 혼합 과정에서 불에 탄 재(유기물)가 포함되어 있어 연대 측정이 가능하다. 1984년과 1995년에 채취된 46개의 모르타르 샘플(명확히 원래 구조의 일부인 것)을 분석한 결과, 건축 연대는 기원전 2871년에서 2604년 사이로 추정되었다. 다만, 오래된 목재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오래된 목재 문제) 때문에 실제 건축 시점보다 100년에서 300년 정도 오래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젊은 표본을 기준으로 할 경우, 피라미드 완공 시기는 기원전 2620년에서 2484년 사이로 좁혀졌다.[35][36][37]

한편, 1872년 웨이먼 딕슨이 여왕의 방(Queen's Chamber) 통기구에서 발견했던 삼나무 판자는 2020년에 애버딘 박물관 소장품 속에서 재발견되어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이 이루어졌다. 측정 결과는 기원전 3341년에서 3094년 사이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인 쿠푸왕의 재위 기간보다 약 500년 이상 앞선다. 연구자 아비어 엘라다니는 이 나무가 수명이 긴 나무의 중심부에서 왔거나, 피라미드 건축에 사용되기 전에 오랫동안 보관 또는 재활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8]

2010년대에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카와에 쇼조 연구팀은 처음으로 드론을 이용해 대피라미드를 측량했다. 이 조사를 통해 작성된 상세 도면은 현재 피라미드 꼭대기가 원래의 외장석(화장석)이 제거되고 그 뒤의 뒷면석이 노출된 상태이며, 뒷면석의 윗면은 수평이지만 그 안쪽 돌들의 윗면은 울퉁불퉁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2017년, 일본, 프랑스, 이집트 공동 연구팀인 스캔피라미드(ScanPyramids) 프로젝트는 뮤온 입자를 이용한 비파괴 방사선 촬영법을 통해 대 회랑(Grand Gallery) 바로 위, 지상 60m에서 70m 높이에 거대한 빈 공간이 존재함을 발견하고 이를 "스캔피라미드 빅 보이드(ScanPyramids Big Void)"라고 명명했다. 나고야 대학의 모리시마 쿠니히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특수 핵 감광 유제 검출기를 사용했으며,[106][107] 발견된 공간의 길이는 최소 30m이고 단면은 대 회랑과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공간의 존재는 핵 감광 유제 필름, 신틸레이터 호도스코프, 가스 검출기 등 세 가지 다른 기술로 독립적으로 확인되었다.[108][109] 이 공간의 정확한 형태(하나의 큰 공간인지, 여러 개의 인접한 공간인지)나 목적은 아직 불분명하며 접근할 수도 없다. 자히 하와스와 같은 일부 고고학자들은 이것이 대 회랑 건설을 위한 빈 공간일 수 있다고 추측했지만,[110] 일본 연구팀은 이전에 확인된 건설 공간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반박했다.[111] 또한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는 대피라미드의 정규 입구 뒤에도 높이 1m에서 3m, 폭 1m에서 2m 정도의 또 다른 공간이 존재함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에 대해 일부 고고학자들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물리학적 데이터는 공간의 존재를 명확히 보여준다.

빅 보이드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규슈 대학, 도호쿠 대학, 도쿄 대학, 지바 공과대학 연구팀이 2020년에 새로운 뮤온 검출기로 재조사할 계획이었으나,[112]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연기되었다.[113]

2023년 3월 2일, 대피라미드 정식 입구 뒤에서 발견된 미지의 공간 내부가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1837년 하워드 바이스의 탐사 이후 약 186년 만에 피라미드 내부의 새로운 공간이 시각적으로 확인된 사례이다.[128] 대피라미드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특히 스캔 피라미드 프로젝트가 발견한 거대 공간(빅 보이드)에 대한 추가 조사가 예정되어 있다.

5. 기타

대피라미드는 고대 7대 불가사의에 기록된 오래된 세계적인 관광지이며, 보는 사람들에게 경외심과 존경심을 계속해서 안겨주었다.[8] 수많은 이집트 피라미드 중에서 가장 클 뿐만 아니라, 복잡한 내부 구조 등 다른 피라미드와 다른 점도 많아 특별하게 여겨지기도 한다.[75]

특히 19세기부터 신비주의, 오컬트, 뉴에이지와 결부시키는 사람들에 의한 수수께끼 풀이는 피라미드학( Pyramidologie|피라미돌로기de )이라고 불리며 비판받기도 한다. 이들은 고대 이집트인이 대피라미드를 건설했다는 사실을 믿지 않고, 성서적·신지학적·천문학적·수학적인 논리를 동원하여 설명하려 시도했다. 대피라미드를 왕의 무덤이 아닌 천문대해시계라고 주장하거나, 더 나아가 잃어버린 초고대 문명이나 외계인과 연결시키기도 했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고고학적으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고고학자 중에서도 피라미드 내부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미지의 공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들도 있어, 현재에도 다양한 방식의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emphis and its Necropolis – the Pyramid Fields from Giza to Dahshur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07
[2] 논문 The Fabric of a Pyramid: Ground Truth https://aeraweb.org/[...] 2002
[3] 서적 The Decoration on the Cult Chapel Walls of the Old Kingdom Tombs at Giza BRILL
[4] 서적 The Archaeology of Pharaonic Egypt: Society and Culture, 2700–1700 BC
[5] 웹사이트 Teaching of Hordjedef https://smaek.de/en/[...]
[6] 서적 Tod und Jenseits im Alten Ägypten
[7] 서적 The Old Kingdom Art and Archaeolog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held in Prague http://giza.fas.harv[...]
[8] 서적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9] 논문 Khufu's 30-Year Jubilee - Newly Discovered Pieces of a Puzzle https://aeraweb.org/[...] 2020
[10] 서적 Re-Used Blocks from the Pyramid of Amenemhet I at Lisht https://www.metmuseu[...]
[11] 서적 Les inscriptions et graffiti des voyageurs sur la grande pyramide
[12] 뉴스 This 4,500-Year-Old Ramp Contraption May Have Been Used to Build Egypt's Great Pyramid https://www.livescie[...] 2018-10-31
[13] 서적 Mycerinus: The Temples of the Third Pyramid at Giza http://giza.fas.harv[...]
[14] 논문 Von [xwfw] zu Cheops. Transformationen eines Königsnamens. http://giza.fas.harv[...] 2004
[15] 서적 Giza in der 4 Dynastie. Die Baugeschichte und Belegung einer Nekropole des Alten Reiches. Band I: Die Mastabas der Kernfriedhöfe und die Felsgräber. http://giza.fas.harv[...]
[16] 서적 Mastabas of Nucleus Cemetery G 2100 http://giza.fas.harv[...]
[17] 서적 Mastabas of the Western Cemetery http://www.gizapyram[...]
[18] 웹사이트 Image of the titles of Nykahap on a false door jamb in the chapel of his tomb G 2352 http://giza.fas.harv[...]
[19] 논문 Bemerkungen zur Entstehung, Lage und Datierung der Nekropolenfelder von Giza unter Cheops. http://giza.fas.harv[...] 2002
[20] 서적 The Boat Beneath the Pyramid http://www.gizapyram[...] Holt, Rinehart and Winston
[21] 논문 Research Report: Brief Report of the Project of the Second Boat of King Khufu https://journals.uai[...] 2013
[22] 서적 Topographie of Thebes, and general view of Egypt: being a short account of the principal objects worthy of notice in the valley of the Nile, to the second cataracte and Wadi Samneh, with the Fyoom, Oases and eastern desert, from Sooez to Bertenice https://digi.ub.uni-[...]
[23] 서적 Die Chronologie der Ägypter https://www.digitale[...]
[24] 서적 Egypt's Place in Universal History https://books.google[...]
[25] 서적 Outlines of Ancient Egyptian History https://books.google[...]
[26]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historical document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ersian conquest https://archive.or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etc., etc.]
[27] 논문 Can the Giza Pyramids be Dated Astronomically? IV. Some Lunar Dates from the 4th and 5th Dynasties. http://giza.fas.harv[...] 1997
[28]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Die Zeitbestimmung der ägyptischen Geschichte von der Vorzeit bis 332 v. Chr.
[29] 서적 When the Pyramids Were Built: Egyptian Art of the Old Kingdom https://www.metmuseu[...]
[30] 논문 Ancient Egyptian chronology and the astronomical orientation of pyramids https://www.nature.c[...] 2000
[3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32] 논문 Ancient Egyptian Chronology https://www.academia[...] 2006-01
[33] 논문 Radiocarbon-Based Chronology for Dynastic Egypt https://www.research[...] 2010
[34] 서적 Radiocarbon Dating and Egyptian Chronology – From the "Curve of Knowns" to Bayesian Modeling https://www.oxfordha[...] 2016
[35] 논문 Radiocarbon Dates of Old and Middle Kingdom Monuments in Egypt 1995
[36] 논문 Reanalysis of the Chronological Discrepancies Obtained by the Old and Middle Kingdom Monuments Project 2009
[37] 웹사이트 How old are the pyramids? http://www.aeraweb.o[...] 2009-09-10
[38] 웹사이트 Missing 5,000-year-old piece of Great Pyramid puzzle discovered in cigar box in Aberdeen | News | The University of Aberdeen https://www.abdn.ac.[...]
[39] 논문 Von [xwfw] zu Cheops. Transformationen eines Königsnamens http://giza.fas.harv[...] 2004
[40] 웹사이트 Comparing the king lists of Manetho https://pharaoh.se/c[...]
[41] 서적 The Histories
[42] 서적 The Histories
[43] 논문 The Discovery of the Osiris Shaft at Giza http://giza.fas.harv[...] 2007
[44] 웹사이트 The Osiris Shaft: a Giza cenotaph https://ancientneare[...] 2019-10-24
[45] 서적 The Histories
[46]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47]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48] 서적 Bibliotheca historica
[49] 서적 Geographica
[50] 서적 Itinerarium Egeriae https://books.google[...] CCSL 175:100
[51] 서적 Historia monachorum in Aegypto https://books.google[...] Preuschen 1897, 79
[52] 서적 The Dawn of Modern Geography: A History of Exploration and Geographical Science ... https://books.google[...] J. Murray 1897
[53] 서적 Geographi latini minores: collegit, recensuit, prolegomenis instruxit https://books.google[...] apud Henningeros fratres 1878
[54] 간행물 Die Kalifen von Kairo
[55] 간행물 Die Kalifen von Kairo
[56] 서적 Al-Khitat
[57] 논문 In Search of the Human Hand that Built the Great Pyramid http://www.aeraweb.o[...] 2016
[58] 웹사이트 The Great Pyramid Quarry « Ancient Egypt Research Associates http://www.aeraweb.o[...] 2009-10-14
[59] 뉴스 Brilliance without a brain https://s2.washingto[...] The Washington Post 2018-03-07
[60] 웹사이트 Digital Giza Fossilized shark's tooth http://giza.fas.harv[...]
[61] 웹사이트 Digital Giza Western Cemetery: Site: Giza; View: G 2100-I http://giza.fas.harv[...]
[62] 웹사이트 The World's Oldest Papyrus and What It Can Tell Us About the Great Pyramids http://www.smithsoni[...]
[63] 뉴스 A now-dry branch of the Nile helped build Egypt's pyramids, study says https://edition.cnn.[...] 2022-09-02
[64] 논문 Of Gangs and Graffiti: How Ancient Egyptians Organized their Labor Force http://www.aeraweb.o[...] 2004
[65] 논문 L'extraction des blocs en calcaire à l'Ancien Empire. Une expérimentation au ouadi el-Jarf http://www.egyptian-[...] 2020
[66] 간행물 Project Management B.C. http://www.pubs.asce[...] 1999-06
[67] 서적 The Pyramids of Egypt
[68] 논문 New Angles on the Great Pyramid http://www.aeraweb.o[...] 2012
[69] 논문 Did Egyptians Use the Sun to Align the Pyramids? http://www.aeraweb.o[...] 2014
[70] 웹사이트 How the Pyramid Builders May Have Found Their True North Part II: Extending the Line http://glendash.com/[...]
[71] 논문 Simultaneous Transit and Pyramid Alignments: Were the Egyptians' Errors in Their Stars or in Themselves? http://dashfoundatio[...] 2015
[72] 웹사이트 Building the Great Pyramid https://www.bbc.co.u[...] BBC 2006-02-03
[73]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Limestone block from the pyramid of Khufu https://www.britishm[...]
[74] 서적 The History of Mathematics: A Brief Course John Wiley & Sons
[75] 서적 The Pyramid Builder's Handbook Lulu
[76] 논문 Biography of a Great Pyramid Casing Stone https://web.ujaen.es[...] 2016
[77] 서적 Les Rangs d'Assises de la Grande Pyramide
[78] 논문 The Curious Case of the Great Pyramid's Alternating Course Heights: An Unsolved Mystery http://www.aeraweb.o[...]
[79] 서적 Ancient Egyptian Mortars
[80] 논문 Radiocarbon Dates of Old and Middle Kingdom Monuments in Egypt
[81] 서적 Evidence from detailed petrographic examinations of casing stones from the great pyramid of khufu, a natural limestone from tura, and a man-made (Geopolymeric) limestone https://www.research[...]
[82] 서적 The Egyptian Pyramids: A Comprehensive, Illustrated Reference
[83] 논문 The so-called concave faces of the Great Pyramid: Facts and cognitive bias https://journals.uni[...] 2022-06-25
[84] 서적 Combined High Resolution Laser Scanning and Photogrammetrical Documentation of the Pyramids at Giza https://www.research[...]
[85] 서적 Das Pyramidion der Pyramide G III-a. Bemerkungen zu den Pyramidenspitzen des Alten Reiches. http://giza.fas.harv[...]
[86] 논문 Labor and the Pyramids: The Heit el-Ghurab "Workers Town" at Giza https://www.research[...] 2005
[87] 웹사이트 Petrie's corrected Great Pyramid course elevations https://www.ronaldbi[...]
[88] 웹사이트 The Man Who Put the Mast Atop the Great Pyramid http://glendash.com/[...]
[89] 웹사이트 David Gill FRS (1843–1914): The Making of a Royal Astronomer https://homepages.ab[...] 2018
[90] 뉴스 Police fail to prevent Egyptian man from climbing Great Pyramid https://www.egypttod[...] 2019-05-02
[91] 웹사이트 The Hieroglyphic Inscription Above the Great Pyramid's Entrance http://www.catchpenn[...]
[92] 뉴스 #ScanPyramids – First conclusive findings with muography on Khufu Pyramid http://www.hip.insti[...]
[93] 웹사이트 ScanPyramids 2019 English Video Report https://vimeo.com/37[...] 2019-11-16
[94] 논문 Precise characterization of a corridor-shaped structure in Khufu's Pyramid by observation of cosmic-ray muons 2023-03-02
[95] 웹사이트 ScanPyramids North Face Corridor 2023 Report https://vimeo.com/80[...] 2023-03
[96] 웹사이트 Lower Northern Shaft http://www.cheops.or[...] The Upuaut Project
[97] 뉴스 Great Pyramid: Lost Egyptian artefact found in Aberdeen cigar box https://www.bbc.com/[...] 2020-12-16
[98] 뉴스 Will the Great Pyramid's Secret Doors Be Opened? http://www.foxnews.c[...] 2011-12-12
[99] 뉴스 Ancient Egyptian Chambers Explore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3-04-04
[100] 뉴스 Third "Door" Found in Great Pyrami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2-09-23
[101] 뉴스 Mystery of pyramid hieroglyphs: It all adds up https://www.nbcnews.[...] 2011-06-07
[102] 뉴스 First images from Great Pyramid's chamber of secrets https://www.newscien[...]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1-05-25
[103] 서적 How the Great Pyramid Was Built https://books.google[...] Smithsonian Institution
[104] 논문 Niches, Slots, Grooves and Stains: Internal Frameworks in the Khufu Pyramid? https://www.academia[...] 1998
[105] 논문 Precise characterization of a corridor-shaped structure in Khufu's Pyramid by observation of cosmic-ray muons 2023-03-02
[106] 웹사이트 Physicists at Nagoya University discover a huge void in Giza's Great Pyramid by cosmic-ray imaging http://en.nagoya-u.a[...] Nagoya University 2017-11-22
[107] 웹사이트 Research of Egyptian Pyramids with Cosmic ray Imaging | Features http://www.aip.nagoy[...] 2022-07-29
[108] 웹사이트 Mysterious Void Discovered in Egypt's Great Pyramid https://news.nationa[...] 2017-11-02
[109] 논문 Discovery of a big void in Khufu's Pyramid by observation of cosmic-ray muons 2017-11-02
[110] 웹사이트 Scientists discover hidden chamber in Egypt's Great Pyramid https://abcnews.go.c[...]
[111] 웹사이트 Critics: Nothing special about big void found in Khufu Pyramid: The Asahi Shimbun http://www.asahi.com[...]
[112] 웹사이트 The Hidden Chamber at Giza to be re-scanned and pinpointed http://theindependen[...] 2020-01-15
[113] 웹사이트 Egypt breakthrough: Great Pyramid tipped for major discovery in new 'hidden chamber' scan https://www.express.[...] 2020-10-10
[114] 서적 Notes and Photographs on the West-Schoch Sphinx Hypothesis https://www.academia[...]
[115] 웹사이트 The Upuaut Project http://cheops.org
[116] 웹사이트 How Ancient Egyptians Organized their Labor Force http://www.aeraweb.o[...]
[117] 서적 Queen Hetepheres I http://giza.fas.harv[...]
[118] 웹사이트 Digital Giza "The Satellite Pyramid of Khufu" http://giza.fas.harv[...]
[119] 웹사이트 A team from the Grand Egyptian Museum succeeded in the first trial run conducted to test the vehicles that will be used in the transferring the first Khufu Solar Boat from its current location https://egymonuments[...]
[120] 뉴스 In pictures: Egypt pharaoh's 'solar boat' moved to Giza museum https://www.bbc.co.u[...] 2021-08-07
[121] 웹사이트 Khufu's Second Boat http://www.egyptpro.[...] Waseda University
[122] 웹사이트 Wall of the Crow http://www.aeraweb.o[...] AERA – Ancient Egypt Research Associates 2009-10-14
[123] 웹사이트 The Lost City of the Pyramids http://www.aeraweb.o[...] AERA – Ancient Egypt Research Associates
[124] 웹사이트 Dating the Lost City http://www.aeraweb.o[...] AERA – Ancient Egypt Research Associates
[125] 웹사이트 Ruins of Bustling Port Unearthed at Egypt's Giza Pyramids http://www.livescien[...] Livescience.com 2014-01-28
[126]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127]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the Tombs of the Pyramid Builders at Giza http://www.guardians[...]
[128] 웹사이트 エジプト 世界最大のピラミッド 186年ぶりに未知の空間を確認 https://web.archive.[...] NHK
[129] 서적 Ancient Egypt Hermes House
[130] 문서 John Romer, in his The Great Pyramid: Ancient Egypt Revisited notes "By themselves, of course, none of these modern labels define the ancient purposes of the architecture they describe.
[13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133] 서적 Mathematics and Measure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