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누 (e스포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누는 원종욱 감독이 2010년 9월에 창단한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크래프트 II를 주 종목으로 시작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 도타 2,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등 다양한 종목을 운영했다. 2015년 패션 브랜드 스베누의 후원을 받아 팀명을 스베누로 변경했으나, 2016년 아프리카 TV에 인수되어 아프리카 프릭스로 변경된 후 해체되었다. 스타크래프트 II에서 여러 개인 및 단체 우승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도타 2에서도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2013년에는 자체 방송 채널인 스타테일 TV를 개설했으나, ESTV로 명칭을 변경한 후 2014년에 방송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체한 카운터-스트라이크 프로게임단 - 위메이드 폭스
위메이드 폭스는 2003년 창단되어 스타크래프트 등을 운영했으며, 2004년 SKY 프로리그에서 우승하고 2011년 팀 해체와 함께 최종 해체되었다. - 해체한 디펜스 오브 디 에인션츠 프로게임단 - 디그니타스 (e스포츠)
디그니타스는 2003년에 창단되어 18번의 세계 챔피언십 우승을 기록하고 다양한 e스포츠 종목에서 활동하며, 2016년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구단주에게 인수되어 현재 여러 종목에서 팀을 운영하고 있다. - 광동 프릭스 - 펀치 (프로게이머)
펀치는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이자 현직 코치로, 여러 팀에서 선수로 활동하며 LCK 승격에 기여했고, 선수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며 챌린저스 코리아 우승 등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광동 프릭스 - 정명훈 (프로게이머)
정명훈은 SK텔레콤 T1에서 프로게이머를 시작하여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 혁신가로 불렸으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1회, 신한은행 프로리그 MVP를 수상했고, 은퇴 후 리그 오브 레전드 코치 및 감독으로 활동했다.
스베누 (e스포츠)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창단일 | 2010년 9월 14일 |
해체일 | 2016년 1월 23일 (아프리카TV에 인수) |
위치 |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1254-1 세화빌딩 4층(연습실), 6층(숙소) |
스폰서 | |
메인 스폰서 | 스베누 |
2. 역사
2010년 9월 14일 원종욱 감독이 스타테일 프로게임단을 창단하였다. 2011년 대한민국 프로게임단 중 최초로 리그 오브 레전드팀을 설립했으나, 2012년 팀 연봉 협상 결렬로 해체되었다. 2013년 9월에는 도타 2 팀을 창단했으나, 2014년 1월 8일 팀 운영을 위해 도타 2팀과 결별하고 스타크래프트2 팀 규모를 축소했다. 2014년 2월 IM과 연합하여 프로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하였고, 같은 해 10월 14일에는 서기수 등 5명이 팀과 결별하였다.
2015년 4월 28일 스타테일은 스베누와 네이밍 스폰서 후원 계약을 체결하고 팀명을 '스베누'로 변경하였다. 2016년 1월 23일, 아프리카 TV가 스베누 프로게임단을 인수하였고, 2016년 11월 21일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이 해체되었다.
2. 1. 창단과 초기 활동 (2010년 ~ 2012년)
2010년 9월 14일 원종욱 감독이 팬택 EX 감독 대행과 위메이드 폭스 수석 코치를 역임한 후 '''스타테일 프로게임단'''을 창단하였다.2011년에는 대한민국 프로게임단 중 최초로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창단했으나,[1] 2012년 팀 연봉 협상 결렬로 인해 해체되었다.[2]
2012년 7월 13일에는 ZeNEX와 합병하여 윤희원 감독을 코치로 영입했다.
2. 2. 도타 2 팀 창단 및 독립 (2013년 ~ 2014년)
2013년 9월 스타테일은 도타 2 팀을 창단했다.[1]2014년 1월 8일, 스타테일은 팀 운영의 효율성을 위해 도타 2 팀과 결별하고 스타크래프트 II 팀 규모를 축소한다고 발표했다.[1]
2. 3. IM과의 연합 (2014년)
2014년 2월 IM과 연합하여 프로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했다.[1] 2014년 10월 14일에는 서기수, 김수호, 문호준, 한이잉, 임춘호 등 5명이 스타테일과 결별했다.[1]2. 4. 스베누 시절 (2015년 ~ 2016년)
2015년 4월 28일 스타테일은 패션 브랜드 스베누와 네이밍 스폰서 후원 계약을 체결하고, 팀명을 '스베누'로 변경했다. 2016년 1월 23일 아프리카 TV가 스베누 프로게임단을 인수하기 전까지 이 팀명을 사용했다.2. 5. 아프리카 TV 인수 및 해체 (2016년)
2016년 1월 23일, 스베누 프로게임단은 아프리카 TV에 인수되어 '''아프리카 프릭스'''로 변경되었다. 2016년 11월 21일,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임단은 해체되었다.3. 주요 성적
스타테일 프로게임단과 스베누 시절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오브 레전드,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도타 2 종목에서 거둔 주요 성적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주요 성적 |
---|---|
스타크래프트 II | 개인, 단체전 다수 우승 및 준우승 |
리그 오브 레전드 | 인벤 올스타 토너먼트 8강, 리그디스.네임드 초청 토너먼트 8강, 인벤 네임드 챔피언십 4강,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16강,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8강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 2012년 11월 온게임넷 C.S.O 더클랜 시즌3 우승[1], 2013년 2월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카운터스트라이크온라인 최우수 팀상[2] |
도타 2 | 2013년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NSL) 우승[1] |
3. 1. 스타크래프트 II
스베누 스타크래프트 II 팀은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3. 1. 1. 개인
- 2010년 9월 TG삼보-인텔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1 준우승 (김성제)
- 2010년 10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2 4강 (김성제)
- 2010년 11월 소니 에릭슨 스타크래프트 II OPEN Season 3 16강 (박성준, 박현우)
- 2011년 1월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 Code S 16강 (김성제)
- 2011년 3월 Intel Extreme Masters 독일 하노버 대회 IEM우승 정우서
- 2011년 3월 Intel Extreme Masters 독일 하노버 대회 IEM3위 박현우
- 2011년 3월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Code S 준우승 (박성준)
- 2011년 5월 LG 시네마 3D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y Code A 우승 (최지성)
- 2011년 6월 드림핵 3위 (최지성), 4위 (박성준)
- 2011년 7월 펩시콜라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uly Code S 8강 (서기수, 최지성)
- 2011년 8월 메이저 리그 게이밍 MLG 롤리 우승 (최지성)
- 2011년 10월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October Code A 우승 이원표
- 2011년 10월 Intel Extreme Masters 뉴욕 대회 IEM준우승 김원기
- 2011년 11월 PPSL 필리핀 스타리그 대회 4위 김원기
- 2011년 11월 ZOWIE Divina International Invitation 대회 우승 김가영
- 2012년 1월 홈스토리컵 독일 대회 준우승 배상환
- 2012년 4월 IPL Tournament of Champions 라스베가스 준우승 박현우
- 2012년 5월 HOT6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2 준우승 박현우
- 2012년 5월 RedBull 배틀그라운드 텍사스 대회 준우승 (최지성)
- 2012년 10월 HOT6배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시즌4 우승 이승현
- 2012년 11월 메이저 리그 게이밍 MLG 댈러스 우승 이승현
3. 1. 2. 단체
연도 | 대회 |
---|---|
2011년 | 조텍컵 팀초청전 우승 |
2011년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February 준우승 |
2011년 |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March 4강 |
2011년 | 2011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1 조 2위 |
2012년 | 2012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1 준우승 |
2012년 | IPL Team Arena Challenge 3 4위 |
2012년 | IPTL Season 1 우승 |
2013년 | 2013 IPTL Season 1 4강 |
2013년 | 2013 벤큐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1 5위 |
2013년 | 2013 HOT6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팀 리그 시즌 2 3위 |
2015년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1라운드 4위 (실격패) |
2015년 |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2015 4라운드 4위 |
3. 2.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명 | 결과 |
---|---|
인벤 올스타 토너먼트 | 8강 |
리그디스.네임드 초청 토너먼트 | 8강 |
인벤 네임드 챔피언십 | 4강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 16강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 8강 |
3. 3. 카운터 스트라이크
- 2012년 11월 온게임넷 C.S.O 더클랜 시즌3에서 우승하였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1]
- 2013년 2월에는 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에서 카운터스트라이크온라인 최우수 팀상을 수상하였다.[2]
3. 4. 도타 2
2013년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NSL) 우승[1]4. 역대 팀 명칭
- 스타테일 (2010.09.14 ~ 2015.04.27)
- 스베누 (2015.04.28 ~ 2016.01.22)
5. 역대 팀 감독
대수 | 이름 | 종목 | 재임 기간 |
---|---|---|---|
1 | 원종욱 | 총감독 | 2010년 9월 ~ 2014년 7월 |
김광복 | 스타크래프트 II | 2012년 3월 ~ 2014년 1월 | |
김원기 | 리그 오브 레전드 | 2011년 10월 ~ 2012년 8월 | |
2 | 이선종 | 스타크래프트 II | 2014년 7월 ~ 2016년 1월 |
5. 1. 초대 감독
- 총감독: 원종욱 (2010년 9월 ~ 2014년 7월)
- * 스타크래프트 II: 김광복 (2012년 3월 ~ 2014년 1월)
- * 리그 오브 레전드: 김원기 (2011년 10월 ~ 2012년 8월)
5. 2. 2대 감독
이선종 (재임 기간: 2014년 7월 ~ 2016년 1월)6. ESTV (구 스타테일 TV)
스타테일이 운영했던 e스포츠 방송 채널이다. 2013년 3월 스타테일 TV로 시작하여, 같은 해 7월 ESTV로 이름을 바꾸었다. 아프리카 TV 등의 채널을 통해 방송되었으며,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오브 레전드 등 다양한 게임을 다루었다. 2014년 6월 28일 방송이 중단되었다.
6. 1. 스타테일 TV 런칭 (2013년 3월)
스타테일은 2013년 3월 '''스타테일 TV (STARTALE TV)''' 런칭을 공식 발표했다. 스타테일 TV는 아프리카 TV와 해외 스트리밍 채널을 통해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스타크래프트 2', '리그 오브 레전드', 도타2, '카트라이더', '월드 오브 탱크' 등 다양한 게임 방송을 진행했다.[1]6. 2. ESTV로 명칭 변경 (2013년 7월)
2013년 7월 12일, 기존의 스타테일 TV가 '''ESTV'''로 이름이 바뀌었다. ESTV는 전문 스튜디오를 마련하여 더 넓고 쾌적한 공간과 전문적인 방송 장비를 갖추고, 방송 품질을 높일 계획이었다.[2]6. 3. 방송 중단 (2014년 6월)
2014년 6월 28일부로 방송 제작 및 송출이 중단되었다.[2]참조
[1]
뉴스
스타테일, 종합 e스포츠 채널 '스타테일 TV' 오픈
http://imbc.gamemeca[...]
2013-03-19
[2]
뉴스
스타테일TV, ESTV로 새 출발! '업그레이드'
http://esports.daily[...]
2013-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