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는 2011년 1월에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이다. Code S와 Code A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32강 조별 리그, 16강,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Code S는 정종현이 우승, 이정훈이 준우승을 차지했고, Code A는 김정훈이 우승, 변현우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승격/강등전을 통해 다음 시즌 Code S와 Code A의 선수 변동이 있었다.
32강 및 16강 조별 리그는 4인 1조로 구성되어 단판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 선수당 최대 3경기를 치르지만, 2경기 후 3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조 순위가 결정되면 마지막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 각 조 1, 2위는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고, 32강 조별 리그 3,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2. 리그 진행 방식
8강부터 결승까지는 16강 조별 리그 결과에 따라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8강 및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32강 풀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32강부터 4강까지는 3전 2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32강전에서 패배한 선수는 차기 시즌 참가를 위해 Code A 최종 예선전을 거쳐야 하며, 8강 진출자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2. 1. Code S 리그 방식
32강 및 16강 조별 리그는 4인 1조로 구성되어 단판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한 선수당 최대 3경기를 치르지만, 2경기 후 3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조 순위가 결정되면 마지막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 각 조 1, 2위는 상위 라운드에 진출하고, 32강 조별 리그 3,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8강부터 결승까지는 16강 조별 리그 결과에 따라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8강 및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2. 2. Code A 리그 방식
32강 풀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32강부터 4강까지는 3전 2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진행된다. 32강전에서 패배한 선수는 차기 시즌 참가를 위해 Code A 최종 예선전을 거쳐야 하며, 8강 진출자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3. 경기 일정 및 대진표
3. 1. Code S
32강 조별리그는 2011년 1월 2일부터 1월 11일까지 진행되었다.
A조 (2011. 1. 2) | B조 (2011. 1. 3) | C조 (2011. 1. 4) | D조 (2011. 1. 5)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임재덕 (Z) | 2 | 0 | 정종현 (T) | 2 | 0 | 임요환 (T) | 2 | 0 | 이형섭 (P) | 2 | 1 |
김찬민 (T) | 2 | 1 | 최정민 (Z) | 2 | 1 | 김유종 (T) | 2 | 1 | 서기수 (P) | 2 | 1 |
최성훈 (T) | 1 | 2 | 김원기 (Z) | 1 | 2 | 안홍욱 (P) | 1 | 2 | 한준 (Z) | 1 | 2 |
곽한얼 (T) | 0 | 2 | 조만혁 (Z) | 0 | 2 | 박상익 (Z) | 0 | 2 | 박서용 (T) | 1 | 2 |
E조 (2011. 1. 6) | F조 (2011. 1. 7) | G조 (2011. 1. 10) | H조 (2011. 1. 11)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정민수 (P) | 2 | 0 | 장민철 (P) | 2 | 0 | 한규종 (T) | 2 | 0 | 조나단 워시/Jonathan Walshsv (T) | 2 | 1 |
김성제 (T) | 2 | 1 | 이윤열 (T) | 2 | 1 | 이정훈 (T) | 2 | 1 | 그렉 필즈/Greg Fields영어 (Z) | 2 | 1 |
이동녕 (Z) | 1 | 2 | 송준혁 (P) | 1 | 2 | 김경수 (P) | 1 | 2 | 김상철 (T) | 1 | 2 |
이정환 (P) | 0 | 2 | 강초원 (P) | 0 | 2 | 김태환 (T) | 0 | 2 | 이형주 (Z) | 1 | 2 |
A조 (2011. 1. 12 PM 8:00) | B조 (2011. 1. 13 PM 8:00) | C조 (2011. 1. 14 PM 8:00) | D조 (2011. 1. 15 PM 4:00)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임재덕 (Z) | 2 | 0 | 정종현 (T) | 3 | 0 | 그렉 필즈/Greg Fields영어 (Z) | 3 | 0 | 이정훈 (T) | 2 | 0 |
서기수 (P) | 2 | 1 | 이형섭 (P) | 2 | 1 | 이윤열 (T) | 2 | 1 | 조나단 워시/Jonathan Walshsv (T) | 2 | 1 |
최정민 (Z) | 1 | 2 | 김유종 (T) | 0 | 2 | 정민수 (P) | 0 | 2 | 장민철 (P) | 1 | 2 |
임요환 (T) | 0 | 2 | 김찬민 (T) | 0 | 2 | 한규종 (T) | 0 | 2 | 김성제 (T) | 0 | 2 |
8강 (2011. 1. 17, 1. 19) | |||
---|---|---|---|
임재덕 (Z) | 3 | 이형섭 (P) | 0 |
정종현 (T) | 3 | 서기수 (P) | 0 |
그레그 필즈/Greg Fields영어 (Z) | 1 | 조나단 워시/Jonathan Walshsv (T) | 3 |
이정훈 (T) | 3 | 이윤열 (T) | 0 |
4강 (2011. 1. 23) | |||
임재덕 (Z) | 1 | 정종현 (T) | 3 |
조나단 워시/Jonathan Walshsv (T) | 1 | 이정훈 (T) | 3 |
결승 (2011. 1. 29) | |||
정종현 (T) | 4 | 이정훈 (T) | 0 |
3. 1. 1. 32강
32강 조별리그는 2011년 1월 2일부터 1월 11일까지 진행되었다.A조 (2011. 1. 2) | B조 (2011. 1. 3) | C조 (2011. 1. 4) | D조 (2011. 1. 5)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임재덕 (Z) | 2 | 0 | 정종현 (T) | 2 | 0 | 임요환 (T) | 2 | 0 | 이형섭 (P) | 2 | 1 |
김찬민 (T) | 2 | 1 | 최정민 (Z) | 2 | 1 | 김유종 (T) | 2 | 1 | 서기수 (P) | 2 | 1 |
최성훈 (T) | 1 | 2 | 김원기 (Z) | 1 | 2 | 안홍욱 (P) | 1 | 2 | 한준 (Z) | 1 | 2 |
곽한얼 (T) | 0 | 2 | 조만혁 (Z) | 0 | 2 | 박상익 (Z) | 0 | 2 | 박서용 (T) | 1 | 2 |
E조 (2011. 1. 6) | F조 (2011. 1. 7) | G조 (2011. 1. 10) | H조 (2011. 1. 11)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정민수 (P) | 2 | 0 | 장민철 (P) | 2 | 0 | 한규종 (T) | 2 | 0 | 조나단 워시/Jonathan Walshsv (T) | 2 | 1 |
김성제 (T) | 2 | 1 | 이윤열 (T) | 2 | 1 | 이정훈 (T) | 2 | 1 | 그렉 필즈/Greg Fields영어 (Z) | 2 | 1 |
이동녕 (Z) | 1 | 2 | 송준혁 (P) | 1 | 2 | 김경수 (P) | 1 | 2 | 김상철 (T) | 1 | 2 |
이정환 (P) | 0 | 2 | 강초원 (P) | 0 | 2 | 김태환 (T) | 0 | 2 | 이형주 (Z) | 1 | 2 |
3. 1. 2. 16강
wikitableA조 (2011. 1. 12 PM 8:00) | B조 (2011. 1. 13 PM 8:00) | C조 (2011. 1. 14 PM 8:00) | D조 (2011. 1. 15 PM 4:00) | ||||||||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이름 | 승 | 패 |
임재덕 (Z) | 2 | 0 | 정종현 (T) | 3 | 0 | Greg Fields (Z) | 3 | 0 | 이정훈 (T) | 2 | 0 |
서기수 (P) | 2 | 1 | 이형섭 (P) | 2 | 1 | 이윤열 (T) | 2 | 1 | Jonathan Walsh (T) | 2 | 1 |
최정민 (Z) | 1 | 2 | 김유종 (T) | 0 | 2 | 정민수 (P) | 0 | 2 | 장민철 (P) | 1 | 2 |
임요환 (T) | 0 | 2 | 김찬민 (T) | 0 | 2 | 한규종 (T) | 0 | 2 | 김성제 (T) | 0 | 2 |
3. 1. 3. 8강 ~ 결승
wikitable8강 (2011. 1. 17, 1. 19) | |||
---|---|---|---|
임재덕 (Z) | 3 | 이형섭 (P) | 0 |
정종현 (T) | 3 | 서기수 (P) | 0 |
그레그 필즈/Greg Fields영어 (Z) | 1 | Jonathan Walsh (T) | 3 |
이정훈 (T) | 3 | 이윤열 (T) | 0 |
4강 (2011. 1. 23) | |||
임재덕 (Z) | 1 | 정종현 (T) | 3 |
Jonathan Walsh (T) | 1 | 이정훈 (T) | 3 |
결승 (2011. 1. 29) | |||
정종현 (T) | 4 | 이정훈 (T) | 0 |
3. 2. Code A
- 32강 : 2011년 1월 3일 ~ 1월 11일
- 16강 : 2011년 1월 12일 ~ 1월 15일
- 8강 : 2011년 1월 18일
- 4강 : 2011년 1월 20일
- 결승 : 2011년 1월 21일
32강에서는 이유석(T)을 박경락(Z)이 2:0으로, 안정민(P)을 서명덕(P)이 2:0으로, 정우서(P)를 김정훈(T)이 2:1로, 박현우(P)를 송병학(Z)이 2:1로, 이정수 (T)를 김승철(T)이 2:0으로, 김정환 (Z)을 Joseph de Kroon(Z)이 2:1로, 박효종 (P)을 Dai Yi(T)가 2:0으로, 박성준 (Z)을 송영민(T)이 2:0으로, 김수호(Z)를 정승일(Z)이 2:0으로, 변현우 (T)를 조명환(Z)이 2:0으로, 변길섭(T)을 신상호(P)가 2:1로, 김남규(T)를 장재호(Z)가 2:1로, 김현태 (P)를 김샘(T)이 2:0으로, 백승주 (T)를 김정균 (T)이 2:1로, 박준 (T)를 전영수 (P)가 2:0으로 각각 승리하였다. 오창종 (P)과 한이석 (T)의 경기는 진행되지 않았다.
16강에서는 서명덕(P)이 박경락(Z)을 2:0으로, 김정훈 (T)이 한이석(T)을 2:0으로, 김승철(T)이 박현우(P)를 2:1로, 김정환 (Z)이 Dai Yi(T)를 2:0으로, 박성준 (Z)이 정승일(Z)을 2:1로, 변현우 (T)가 신상호(P)를 2:0으로, 장재호(Z)가 김샘(T)을 2:0으로, 박준 (T)이 백승주 (T)를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김정훈 (T)이 서명덕(P)을 2:0으로, 김승철(T)이 김정환 (Z)을 2:0으로, 변현우 (T)가 박성준 (Z)을 2:0으로, 박준 (T)이 장재호(Z)를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김정훈 (T)이 김승철(T)을 2:1로, 변현우 (T)가 박준 (T)을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김정훈 (T)이 변현우 (T)를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2. 1. 32강 ~ 결승
- 32강 : 2011년 1월 3일 ~ 1월 11일
- 16강 : 2011년 1월 12일 ~ 1월 15일
- 8강 : 2011년 1월 18일
- 4강 : 2011년 1월 20일
- 결승 : 2011년 1월 21일
32강에서는 이유석(T)을 박경락(Z)이 2:0으로, 안정민(P)을 서명덕(P)이 2:0으로, 정우서(P)를 김정훈(T)이 2:1로, 박현우(P)를 송병학(Z)이 2:1로, 이정수 (T)를 김승철(T)이 2:0으로, 김정환 (Z)을 Joseph de Kroon(Z)이 2:1로, 박효종 (P)을 Dai Yi(T)가 2:0으로, 박성준 (Z)을 송영민(T)이 2:0으로, 김수호(Z)를 정승일(Z)이 2:0으로, 변현우 (T)를 조명환(Z)이 2:0으로, 변길섭(T)을 신상호(P)가 2:1로, 김남규(T)를 장재호(Z)가 2:1로, 김현태 (P)를 김샘(T)이 2:0으로, 백승주 (T)를 김정균 (T)이 2:1로, 박준 (T)를 전영수 (P)가 2:0으로 각각 승리하였다. 오창종 (P)과 한이석 (T)의 경기는 진행되지 않았다.
16강에서는 서명덕(P)이 박경락(Z)을 2:0으로, 김정훈 (T)이 한이석(T)을 2:0으로, 김승철(T)이 박현우(P)를 2:1로, 김정환 (Z)이 Dai Yi(T)를 2:0으로, 박성준 (Z)이 정승일(Z)을 2:1로, 변현우 (T)가 신상호(P)를 2:0으로, 장재호(Z)가 김샘(T)을 2:0으로, 박준 (T)이 백승주 (T)를 2: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김정훈 (T)이 서명덕(P)을 2:0으로, 김승철(T)이 김정환 (Z)을 2:0으로, 변현우 (T)가 박성준 (Z)을 2:0으로, 박준 (T)이 장재호(Z)를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에서는 김정훈 (T)이 김승철(T)을 2:1로, 변현우 (T)가 박준 (T)을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김정훈 (T)이 변현우 (T)를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승격/강등전
승격/강등전은 Code A 8강 진출자와 Code S 32강 조 3위, 4위 간의 경기로,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A, B조 경기는 2011년 1월 24일에, C, D조 경기는 2011년 1월 25일에, E, F조 경기는 2011년 1월 26일에, G, H조 경기는 2011년 1월 27일에 각각 진행되었다.
Code A 8강 진출자가 Code S 32강 조별리그 조 3위자와 1차전을 치러 승리하면 차기 시즌 Code S로 승격한다. 1차전 패자는 Code S 32강 조별리그 조 4위자와 2차전을 갖고, 여기서 승리하면 Code S로 승격, 패배하면 Code A로 강등된다. Code A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Code S 선수를 지명하여 조를 편성하고, 나머지 6개 조는 추첨으로 결정되었다.
각 조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A조 (2011년 1월 24일):''' '''박준 (T)''' 2 : 0 최성훈 (T)[3], 박상익 (Z) 2 : 0 최성훈 (T)
- '''B조 (2011년 1월 24일):''' 송준혁 (P) 2 : 0 '''서명덕 (P)''', '''서명덕 (P)''' 2 : 0 조만혁 (Z)
- '''C조 (2011년 1월 25일):''' 안홍욱 (P) 2 : 1 '''장재호 (Z)''', 이정환 (P) 2 : 0 '''장재호 (Z)'''
- '''D조 (2011년 1월 25일):''' 김상철 (T) 2 : 1 '''김정환 (Z)''', 이형주 (Z) 2 : 0 '''김정환 (Z)'''
- '''E조 (2011년 1월 26일):''' 한준 (Z) 2 : 0 '''박성준 (Z)''', '''박성준 (Z)''' 2 : 0 박서용 (T)
- '''F조 (2011년 1월 26일):''' '''김승철 (T)''' 2 : 1 김원기 (Z), 김원기 (Z) 2 : 0 곽한얼 (T)
- '''G조 (2011년 1월 27일):''' '''변현우 (T)''' 2 : 1 이동녕 (Z), 김태환 (T) 2 : 1 이동녕 (Z)
- '''H조 (2011년 1월 27일):''' '''김정훈 (T)''' 2 : 0 김경수 (P), 강초원 (P) 2 : 1 김경수 (P)
5. 사용 맵
사용된 맵은 폭염 사막, 고철 처리장, 전쟁 초원, 젤나가 동굴, 잃어버린 사원, 금속도시, 델타 사분면, 밀림 분지, 샤쿠라스 고원이다.
6. 중계진 및 방송 정보
6. 1. 중계진
- 한국어
- *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1]
- * 캐스터 : 이현주, 이인환, 서경환
- * 해설 : 채정원, 안준영, 이주영, 박대만, 황영재
- 영어
- * 캐스터는 니콜라스 플롯/Nicholas Plott영어이며, 해설은 다니엘 스템코스키/Daniel Stemkoski영어가 담당하였다.
6. 1. 1. 한국어
6. 1. 2. 영어
캐스터는 니콜라스 플롯/Nicholas Plott영어이며, 해설은 다니엘 스템코스키/Daniel Stemkoski영어가 담당하였다.6. 2. 방송
곰TV는 인터넷 방송으로 생방송과 다시 보기 서비스를 제공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다시 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 olleh TV는 IPTV를 통해 다시 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7. 리그 BGM
소니 에릭슨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January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사용되었다. 오프닝 음악으로는 Crazy Lixx의 "21 Till I Die", The Damned Things의 "Little Darling", The Higher의 "It's Only Natural", Silverlane의 "Ready To Rock", HB의 "It Is Time II" 등이 사용되었다. 경기 중에는 Armin Van Buuren의 "Mirage", Kosheen의 "Overkill", Black Label Society의 "Godspeed Hellbound", Mr.Big의 "Undertow" 등이 사용되었고, Blizzard Brothers vs AC/DC의 "Thunderstruck (Warp Brothers Remix)"는 맵 소개 및 선수 분할 화면에 사용되었다. 경기 종료 후에는 Sleeping With Sirens의 "The Left Side Of Everywhere", Breed 77의 "Revolution On My Mind" 등이 사용되었다.
8. 상금
순위 | 상금 |
---|---|
우승 | 5000만원 |
준우승 | 2000만원 |
4강 | 500만원 |
8강 | 300만원 |
16강 | 200만원 |
32강 | 150만원 |
순위 | 상금 |
---|---|
우승 | 150만원 |
준우승 | 100만원 |
4강 | 80만원 |
8강 | 60만원 |
16강 | 40만원 |
32강 | 20만원 |
8. 1. Code S
우승 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000만원이다. 4강 진출자에게는 500만원, 8강 진출자에게는 300만원, 16강 진출자에게는 200만원, 32강 진출자에게는 15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8. 2. Code A
Code A의 상금은 다음과 같다.- 우승 : 150만원
- 준우승 : 100만원
- 4강 : 80만원
- 8강 : 60만원
- 16강 : 40만원
- 32강 : 20만원
9. 결과
9. 1. Code S
9. 2. Code A
- 우승 : 김정훈
- 준우승 : 변현우
참조
[1]
기타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
[2]
기타
1 캐스터, 1 해설 체재로 진행
[3]
기타
나중에 코드 S 와일드카드전에서 우승하여 코드 S로 잔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