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타니스와프 카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타니스와프 카니아는 폴란드의 공산주의 정치인으로, 1980년 9월부터 1981년 10월까지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제1서기를 역임했다. 그는 1927년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농민대대에 입대하여 반나치 저항 운동에 참여했으며, 종전 후 공산당에 가입하여 당내에서 경력을 쌓았다. 1975년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80년 에드바르트 기에레크의 사임 이후 제1서기에 올랐다. 그는 가톨릭 교회 및 노동조합과의 협력을 시도했으나, 소련과의 관계 악화로 인해 1981년 사임했다. 카니아는 2020년 사망했으며, 1981년 폴란드 계엄령과 관련하여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공산주의자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는 폴란드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81년 계엄령을 선포하여 폴란드 통일노동자당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총리, 당 제1서기, 폴란드 최초의 대통령을 역임했고, 1989년 원탁회의를 통해 폴란드의 민주화를 이끌었으나 계엄령 선포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공산주의자 - 볼레스와프 비에루트
    폴란드의 공산주의 정치인 볼레스와프 비에루트는 폴란드 사회당과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혁명에 기여하고, 제2차 세계 대전 후 폴란드 공산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대통령과 총리를 역임하면서 폴란드를 소련의 영향력 아래 두고 스탈린주의적 정책을 시행했다.
  • 폴란드의 정치인 - 야로스와프 카친스키
    야로스와프 카친스키는 폴란드의 정치인으로, 반공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법과 정의당을 창당했으며, 폴란드 총리를 역임하고 유럽회의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다.
  • 폴란드의 정치인 - 한나 수호츠카
    한나 수호츠카는 폴란드의 정치인이자 법학자로 폴란드 최초의 여성 총리를 역임했으며, 헌법학 연구, 하원 의원 활동, 법무장관 역임, 바티칸 대사 활동, 국제적인 활동과 아동 인권 보호 기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 21세기 폴란드 사람 -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
    그제고시 필리포프스키는 폴란드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트리플 토룹-트리플 토룹 점프 조합을 세계 최초로 성공시키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 세 번 출전한 후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21세기 폴란드 사람 - 아담 나바우카
    아담 나바우카는 폴란드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비스와 크라쿠프에서 선수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고 폴란드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 비스와 크라쿠프 우승, 폴란드 국가대표팀의 유로 2016 8강 진출과 2018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끌어 폴란드 올해의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스타니스와프 카니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스타니스와프 카니아
국적폴란드
출생일1927년 3월 8일
출생지브로찬카, 폴란드
사망일2020년 3월 3일
사망지폴란드 바르샤바
직책
직위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제1서기
임기 시작1980년 9월 6일
임기 종료1981년 10월 18일
이전에드바르트 기에레크
이후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정치 경력
소속 정당폴란드 통일노동자당
기타 정보
종교알려진 바 없음
직업정치인

2. 초기 생애 및 경력

스타니스와프 카니아는 1927년 3월 8일 제2 폴란드 공화국 야스워군 브로찬카에서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2] 1944년 반나치 저항운동에 참여했고, 1945년 독일군이 물러나고 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자 폴란드 노동자당(PPR)에 입당하였다. 이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PZPR)에서 활동하며, 1952년 당 학교를 졸업하고, 1964년 중앙위원회 부위원, 1968년 정위원을 거쳐 1971년 중앙위원회 서기, 1975년 정치국 위원이 되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4년 17세의 나이로 농민대대에 입대하여 반나치 저항 운동에 참여하였다.[2]

2. 2. 공산당 입당 및 초기 정치 활동

1945년 4월, 독일군붉은 군대에 의해 폴란드에서 쫓겨나고 폴란드 공산주의 세력이 국가를 통제하기 시작하면서 폴란드 노동자당(PPR)에 입당했다.[2] 그는 PPR이 조직한 시민 민병대 자원 예비대(ORMO)와 1946년 폴란드 국민투표 등의 캠페인에 참여했다.[2] 1947년 2월, 청년투쟁연합(ZWM) 야스워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2] 1948년 폴란드 통일노동자당(PZPR) 통일 회의 대표로 선출되었으며,[2] 1950년부터 1952년까지 PZPR 당 학교에서 과정을 수료했다.[2]

2. 3. 당내 승진

1964년 6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8년 11월에는 정위원이 되었다.[2] 1971년 4월에는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으며,[2] 1975년 12월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어 사실상 폴란드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2]

3.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제1서기

1980년 9월 6일, 에드바르트 기에레크가 그단스크 협약에 서명한 것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면서, 카니아는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제1서기로 선출되었다. 기에레크의 행동은 폴란드 통일노동자당 지도부 내에서 공산주의를 포기하려는 시도로 여겨졌고, 이후 권력에서 물러났다. 기에레크 통치 기간 대부분을 중앙위원회 서기로 활동했고, 그의 경제 정책을 비판해온 카니아는 그를 대체하기 위해 선택되었다.[16]

3. 1. 개혁 시도와 실패

카니아는 당이 많은 경제적 실수를 저질렀음을 인정하고, 로마 가톨릭교 및 노동조합 반대 세력과 협력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노동 조합 지도자 레흐 바웬사를 만났다.[16]

그러나 그는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공산당이 국가 통치를 지속해야 한다는 입장이었으며, 폴란드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는 것을 설득하지 못했다. 이는 결국 카니아 정권이 무너지는 원인이 되었다.

1981년 10월 18일 카니아는 서기직에서 사임하였다.[16]

3. 2. 소련의 압력과 사임

1981년 10월, KGB가 설치한 도청 장치에 의해 그가 소련 지도부를 비판하는 내용이 녹음되면서, 소련의 압력으로 제1서기직에서 사임했다.[16] 그의 후임으로는 각료회의 의장 (총리)이자 국방부 장관인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가 취임했다.

4. 은퇴 이후

카니아는 은퇴 이후에도 폴란드 현대 정치사의 주요 사건과 관련되어 있었다. 2012년에는 폴란드 계엄령을 강요한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무죄를 선고받았다.[4] 2020년 3월 3일, 폐렴과 심부전으로 바르샤바에서 사망했다.[5][6][18]

4. 1. 계엄령 관련 재판

2012년, 카니아는 1981년 12월 폴란드 계엄령을 강요한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의 역할에 대해 재판을 받았지만, 무죄를 선고받았다.[4]

4. 2. 사망

Stanisław Kaniapl는 2020년 3월 3일, 93세 생일을 5일 앞두고 폐렴과 심부전으로 바르샤바에서 사망했다.[5][6][18] 사망 당시 그는 옛 동구권 국가의 마지막 생존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5. 수상 및 서훈 내역

폴란드 인민 공화국 건설 훈장
폴란드 인민 공화국 건설 훈장 (1977)

노동 깃발 훈장 1급
노동 깃발 훈장 1급

노동 깃발 훈장 2급
노동 깃발 훈장 2급 (1969)

폴란드 재건 훈장 장교 십자훈장
폴란드 재건 훈장 장교 십자훈장

폴란드 재건 훈장 기사 십자훈장
폴란드 재건 훈장 기사 십자훈장 (1954)

게릴라 십자훈장
게릴라 십자훈장

폴란드 인민 공화국 30주년 기념 메달
폴란드 인민 공화국 30주년 기념 메달 (1974)

폴란드 인민 공화국 10주년 기념 메달
폴란드 인민 공화국 10주년 기념 메달 (1955)

금색 국방 공로 메달
금색 국방 공로 메달

은색 국방 공로 메달
은색 국방 공로 메달

동색 국방 공로 메달
동색 국방 공로 메달

루드비크 바린스키 메달
루드비크 바린스키 메달 (1988)

1941-1945년 대 조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
1941-1945년 대 조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 (소련, 1975)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90주년 기념 메달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탄생 90주년 기념 메달 (불가리아, 1972)

참조

[1] 서적 Profile of Stanisław Kania https://books.google[...]
[2] 간행물 Eisler. J, December '70, (pp 318-320), School of Pedagogical Publishing House, Warsaw, 1995
[3] 서적 Revolution 1989: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https://archive.org/[...] Pantheon Books
[4] 뉴스 Poland finds ex-general guilty over 1981 martial law - BBC News https://www.bbc.com/[...] 2012-01-12
[5] 웹사이트 Wyborcza.pl https://wyborcza.pl/[...] 2020-03-03
[6] 웹사이트 Stanislaw Kania, 92, Polish Leader During Solidarity's Rise, Dies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7] 문서 Stefan Oberleitner, Polskie ordery, odznaczenia i niektóre wyróżnienia zaszczytne 1705–1990: vademecum dla kolekcjonerów. Polska Rzeczpospolita Ludowa, 1944–1990, Wydawnictwo Kanion, 1992, s. 20.
[8] 문서 "„Głos Słupski”, nr 185, 18 lipca 1969, s. 2."
[9] 문서 M.P. z 1954 r. nr 108, poz. 1453.
[10] 문서 Medale 30-lecia dla czołowych działaczy partyjnych i państwowych, „Trybuna Robotnicza”, nr 170, 19 lipca 1974, s. 1.
[11] 문서 M.P. z 1955 r. nr 103, poz. 1410.
[12] 문서 "„Życie Partii”, nr 5 (543), 8 marca 1989, s. 20."
[13] 문서 Medale radzieckie dla polskich przywódców, „Dziennik Bałtycki”, nr 106, 9–11 maja 1975, s. 1.
[14] 문서 Medale Georgi Dymitrowa dla członków kierownictwa PZPR, „Trybuna Robotnicza”, nr 266, 8 listopada 1972, s. 1.
[15] 서적 An Encyclopedic Dictionary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1945-1996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 서적 Revolution 1989: The Fall of the Soviet Empire Pantheon Books 2009-10-27
[17] 뉴스 Poland finds ex-general guilty over 1981 martial law https://www.bbc.com/[...] 2020-05-15
[18] 뉴스 Nie żyje Stanisław Kania, były przywódca Polskiej Zjednoczonej Partii Robotniczej https://wyborcza.pl/[...] 2020-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