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 원 (레코드 레이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튜디오 원은 1963년 콕손 도드가 자메이카 킹스턴에 설립한 레코드 레이블이다. 스카, 록스테디, 레게 등 자메이카 음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밥 말리 & 더 웨일러스, 버닝 스피어, 켄 부스 등 수많은 주요 아티스트들의 음반을 제작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하우스 밴드 사운드 디멘션이 레게 음악의 기초를 다지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스튜디오 원은 1980년대 중반 도드가 뉴욕으로 이주하면서 문을 닫았지만, 셰기, 션 폴, 스눕 라이온 등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스튜디오 원 (레코드 레이블) | |
---|---|
기본 정보 | |
이름 | Studio One (스튜디오 원) |
종류 | 레코드 레이블 |
국가 | 자메이카 |
장르 | 스카 록스테디 레게 |
설립일 | 1954년 |
설립자 | 클레멘트 "콕슨" 도드 |
위치 | 킹스턴, 자메이카 |
![]() | |
웹사이트 | 스튜디오 원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54년 클레멘트 "콕손" 도드[1]가 설립했으며, 1963년 킹스턴 브렌트포드 로드에서 최초의 녹음이 이루어졌다.[1][2] 도드는 이전에 월드 디스크 등 여러 레이블에서 음악을 발매했으며, 킹스턴 빈민가에서 가장 크고 평판이 좋은 사운드 시스템 중 하나인 Sir Coxsone the Downbeat을 운영했다.
스튜디오 원에서는 밥 말리, 리 페리, 버닝 스피어, 투츠 앤 더 메이탈스, 재키 미투, 호러스 앤디, 켄 부스, 알톤 엘리스 등의 아티스트들이 레코딩했다.[7] 프로듀서 해리 J도 스튜디오 원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스튜디오 원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자메이카 음악, 스카, 록스테디, 레게, 댄스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카탈라이츠와 사운드 디멘션은 스튜디오 원에서 백 트랙과 인스트루멘탈 넘버를 제작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해당 레이블에 남아있다.
2. 1. 설립 초기 (1950년대 후반 ~ 1960년대 초)
1957년, 콕손 도드는 자신의 사운드 시스템 '다운비트'를 운영하며 월드 디스크 레이블을 설립했고, 알톤 & 에디의 "뮤리엘"을 프로듀스하여 히트시켰다. 그러나 이 곡은 페더럴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1]1963년, 도드는 킹스턴 브렌트포드 로드에 스튜디오 원을 설립하고 동명의 레이블을 시작했다.[1][2] 초기 녹음에는 더오필러스 베크포드의 "Easy Snappin", 클루 J & 히스 블루스 블래스터스의 백킹, 트롬본 연주자 돈 드러먼드의 "This Man is Back" 등이 있다.[1]
1960년대 초반, 보컬리스트를 위한 백킹을 제공하는 하우스 밴드는 스카탈라이츠[3](1964–65)였으며, 그 멤버들(롤랜드 알폰소, 돈 드러먼드, 토미 맥쿡, 재키 미투, 레스터 스털링, 로이드 브레베트 포함)은 도드에 의해 킹스턴 재즈 씬에서 영입되었다.
2. 2. 스카와 록스테디 시대 (1960년대)
1960년대 초반, 스튜디오 원의 하우스 밴드는 스카탈라이츠(1964-1965)였다.[3] 스카탈라이츠는 롤랜드 알폰소, 돈 드러먼드, 토미 맥쿡, 재키 미투, 레스터 스털링, 로이드 브레베트 등 콕슨 도드가 킹스턴 재즈 씬에서 영입한 멤버들로 구성되었다. 1965년, 드러먼드가 살인죄로 수감되면서 스카탈라이츠는 해체되었고, 도드는 새로운 하우스 밴드인 소울 브라더스(1965-1966)를 결성했다.[3] 소울 브라더스는 이후 소울 벤더스(1967), 사운드 디멘션(1967-)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965년부터 1968년까지 재키 미투가 음악 감독을 맡고, 브라이언 앳킨슨(베이스, 1965-1968), 헉스 브라운(기타), 해리 호튼(기타), 조 아이작스(드럼, 1966-1968), 덴젤 레잉(퍼커션), 롤랜드 알폰소, 데니스 '스카' 캠벨, 바비 엘리스, 레스터 스털링(혼 섹션) 등이 록스테디 시대에 참여했다. 헤들리 베넷, 어니스트 랭글린, 빈 고든, 리 로이 시블스는 1966년부터 1968년까지 재키 미투의 지휘 하에 녹음된 유동적인 라인업에 포함되었다. 이들은 주 5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루 12가지 리듬(주당 약 60가지 리듬)을 연주했다.
같은 기간 밤에는 밥 말리, 버닝 스피어, 더 헵톤스, 에티오피언스, 켄 부스, 리타 말리, 마르시아 그리피스, 주디 모왓, 알톤 엘리스, 델로이 윌슨, 버니 웨일러[4], 조니 내쉬 등의 가수들이 소울 브라더스가 낮 동안 녹음한 오리지널 트랙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사운드 디멘션의 "Real Rock", "Heavy Rock", "Jamaica Underground", "Wakie Wakie", "Lemon Tree", "Hot Shot", "I'm Still In Love With You", "Dancing Mood", "Creation Rebel" 등이 이 시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곡들이다.
2. 3. 레게 시대와 그 이후 (1970년대 ~ 1980년대)
1968년, 재키 미투, 조 아이작스, 브라이언 앳킨슨이 캐나다로 이주하면서 스튜디오 원은 변화를 맞이했다.[4] 소울 브라더스(일명 사운드 디멘션)은 1960년대 후반 레게 음악의 기초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이들의 음악은 셰기, 션 폴, 스눕 라이온, 더 클래시, 스트링 치즈 인시던트, UB40, 서브라임 등 수많은 뮤지션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재해석되었다.[4]클레멘트 "콕손" 도드가 1980년대 중반 뉴욕 시로 이주하면서 스튜디오는 문을 닫았지만,[5] 그는 새로운 거점에서 레이블 운영을 계속했다.[5]
3. 주요 아티스트
주요 아티스트 |
---|
4. 영향과 유산
스튜디오 원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자메이카 음악, 스카, 록스테디, 레게, 댄스홀에 큰 영향을 미쳤다.[7] 스카탈라이츠와 사운드 디멘션과 같은 밴드들은 스튜디오 원에서 백 트랙과 인스트루멘탈 넘버를 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스튜디오 원의 야간 시간에는 밥 말리, 버닝 스피어, 더 헵톤스, 디 에티오피언스, 켄 부스, 리타 말리, 마르시아 그리피스, 주디 모왓, 알톤 엘리스, 델로이 윌슨, 버니 웨일러[4], 조니 내쉬 등과 같은 가수들이 헤드폰을 착용하고 소울 브라더스가 매일 녹음한 오리지널 트랙에 맞춰 노래를 불렀다. 이러한 획기적인 녹음에는 사운드 디멘션의 "Real Rock", "Heavy Rock", "Jamaica Underground", "Wakie Wakie", "Lemon Tree", "Hot Shot", "I'm Still In Love With You", "Dancing Mood", "Creation Rebel" 등이 포함되었다.
재키 미투, 조 아이작스, 브라이언 앳킨슨이 1968년에 스튜디오 원을 떠나 캐나다로 이주한 후, 소울 브라더스(일명 사운드 디멘션)는 1960년대 후반 레게 음악의 기초를 형성했다. 이들의 음악은 수십 년 동안 셰기, 션 폴, 스눕 라이온, 더 클래시, 스트링 치즈 인시던트, UB40, 서브라임 등 수많은 뮤지션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리메이크되었다.
스튜디오 원은 단순한 녹음 스튜디오를 넘어, 다음과 같은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녹음하고 발매하며 그들의 경력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이처럼 스튜디오 원은 자메이카 음악의 산실이자 레게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참조
[1]
서적
The dead yard: tales of modern Jamaica
https://books.google[...]
Nation Books
2009-06-15
[2]
뉴스
Coxsone Dodd, 72, Pioneer of the Jamaican Pop Music Scene, Dies
https://www.nytimes.[...]
2004-05-06
[3]
웹사이트
The Skatalites
http://www.skatalite[...]
2019-09-03
[4]
웹사이트
Bunny Wailer : Biography
https://www.allmusic[...]
2019-09-03
[5]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Reggae
Guinness Publishing (UK)
1994
[6]
간행물
From Kingston to Brooklyn: Sir Coxsone Turns On the Power
http://www.villagevo[...]
2001-03-06
[7]
웹사이트
Studio-One
http://www.discog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