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 머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이스 마린은 SF 장르에서 등장하는 병사 개념으로, 1932년 단편 소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E.E. 스미스의 렌즈맨 시리즈,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작품 등에서 등장하며 개념이 정립되었다. 특히 하인라인의 소설 '스타쉽 트루퍼스'는 이 개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페이스 마린은 미니어처 워게임 'Warhammer 40,000'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둠' 시리즈와 같은 비디오 게임에서도 널리 활용되었다. 이 용어는 상표권 분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며, 현실에서는 미국 공군의 프로젝트 핫 이글과 같이 유사한 개념이 연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이스 머린 - 짐 레이너
짐 레이너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테란 종족의 주요 인물로, 자치령에 저항하며 사라 케리건과의 복잡한 관계를 통해 스토리를 이끌어가고,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도 등장하며 비디오 게임 역사상 기억에 남는 영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스페이스 머린 - 사라 케리건
사라 케리건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유령 요원에서 저그에게 감염되어 칼날 여왕으로 변모하여 게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가공의 우주비행사 - 미스터 판타스틱
미스터 판타스틱은 신체를 자유자재로 변형시키는 초능력을 가진 천재 과학자 리드 리처즈로, 판타스틱 4의 리더로서 악에 맞서 싸우며 닥터 둠과는 숙적이자 친구 관계이다. - 가공의 우주비행사 - 한 솔로
한 솔로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핵심 등장인물로, 험프리 보가트를 참고하여 조지 루카스가 구상했으며, 밀레니엄 팔콘의 조종사로서 반란 연합에 기여하며 냉소적인 외톨이에서 공동의 선을 위해 돕는 인물로 변화한다. - 가공의 군사 편제 - 만달로리안
만달로리안은 스타워즈 세계관에서 종족이나 출신에 제한 없이 특정 문화와 신념을 따르는 전사 집단이자 문화적 개념으로, 베스카 강철 갑옷, 제트팩, 독특한 무기 등으로 대표되며 다양한 매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가공의 군사 편제 - 스타플릿
스타플릿은 스타 트렉 세계관에서 탐사, 과학, 방위, 외교 임무를 수행하며, 지구 연합 우주 탐사국에서 기원하여 연합 행성 연방의 주요 기관이 되었고, 평화적 탐험과 지성체 교류를 수행하며 프라임 디렉티브를 준수한다.
| 스페이스 머린 | |
|---|---|
| 개요 | |
| 유형 | 군인 (군사 과학 소설) |
2. 역사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는 1932년 11월 Amazing Stories에 실린 밥 올슨의 단편 소설 "우주 해병대 캡틴 브링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 이 작품은 "Captain Jinks of the Horse Marines"라는 노래를 말장난한 가벼운 작품이었다.[2] 올슨은 4년 후 장편 소설 속편 "우주 해병과 노예 상인"을 발표했다.[2]
더 널리 알려진 초기 사례는 E. E. 스미스의 ''렌즈맨'' 시리즈이다. ''Galactic Patrol'' (1937년 9월~1938년 2월)과 ''Gray Lensman'' (1939년 10월~1940년 1월)에서 해병에 대한 언급이 잠깐 등장하며, ''First Lensman'' (1950)에서는 더 직접적인 언급이 이루어진다.
"우주 해병"이라는 문구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의 "Misfit" (1939)에 처음 등장했고, "The Long Watch" (1949)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의 이전 소설 ''Space Cadet'' (1948)의 이야기를 확장한 것이다. 하인라인의 ''스타쉽 트루퍼스''(1959)는 이 개념을 정립한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3] 영화 ''에이리언 2''(1986)에서 식민지 해병대를 연기한 배우들은 촬영 전에 ''스타쉽 트루퍼스''를 읽어야 했다.[3]
2. 1. 초기 작품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는 1932년 11월 Amazing Stories에 실린 밥 올슨의 단편 소설 "우주 해병대 캡틴 브링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 이 작품은 "Captain Jinks of the Horse Marines"라는 노래를 말장난한 가벼운 작품이었다.[2] 올슨은 4년 후 장편 소설 속편 "우주 해병과 노예 상인"을 발표했다.[2]더 널리 알려진 초기 사례는 E. E. 스미스의 ''렌즈맨'' 시리즈이다. ''Galactic Patrol'' (1937년 9월~1938년 2월)과 ''Gray Lensman'' (1939년 10월~1940년 1월)에서 해병에 대한 언급이 잠깐 등장하며, ''First Lensman'' (1950)에서는 더 직접적인 언급이 이루어진다.
"우주 해병"이라는 문구는 로버트 A. 하인라인의 "Misfit" (1939)에 처음 등장했고, "The Long Watch" (1949)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이 작품은 그의 이전 소설 ''Space Cadet'' (1948)의 이야기를 확장한 것이다. 하인라인의 ''Starship Troopers'' (1959)는 이 개념을 정립한 작품으로 여겨지지만,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3] 영화 ''Aliens'' (1986)에서 식민지 해병대를 연기한 배우들은 촬영 전에 ''스타쉽 트루퍼스''를 읽어야 했다.[3]
2. 2. 개념 정립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는 1932년 11월 Amazing Stories에 실린 밥 올슨의 단편 소설 "우주 해병대 캡틴 브링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2] 이 작품은 "Captain Jinks of the Horse Marines"라는 노래를 패러디한 가벼운 내용으로, 주인공들은 타이탄의 외계인으로부터 유명 쌍둥이를 구출하는 임무를 맡은 "지구 공화국 우주 해군"의 해병이었다. 올슨은 4년 후 장편 소설 속편 "우주 해병과 노예 상인"을 발표했는데, 여기서는 액티브 카무플라주 기술이 적용된 우주선을 사용하는 등장인물들이 화성 우주 해적들이 가니메데에서 납치한 인질들을 구출하는 이야기가 전개된다.[2]E. E. 스미스의 ''렌즈맨'' 시리즈에서도 해병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 ''Galactic Patrol'' (1937년 9월~1938년 2월)과 ''Gray Lensman'' (1939년 10월~1940년 1월)에서 간략하게 언급되며, ''First Lensman'' (1950)에서는 더 직접적으로 언급된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은 "우주 해병"이라는 문구를 Misfit (1939)에 처음 등장시켰고, "The Long Watch" (1949)에서도 사용했다. 그의 소설 ''Space Cadet'' (1948)는 스미스가 이 문구를 사용하기 전에 발표되었다. 하인라인의 ''스타쉽 트루퍼스''(1959)는 우주 해병의 개념을 정립한 작품으로 평가받지만, "우주 해병"이라는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3] ''에이리언 2''(1986)의 식민지 해병대는 ''스타쉽 트루퍼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하인라인은 모바일 보병 캡슐 병사들이 우주로 이동한 미국 해병대 함대의 측면과 미국 육군 공수부대의 전장 투입 및 임무 프로필을 결합한 존재가 되기를 의도했다.
게임에서 우주 해병은 미니어처 워게임 ''Warhammer 40,000''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 이 게임에서 우주 해병은 유전자 조작을 거친 초인 병사이자 인류 제국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전투 부대이다. 컴퓨터 게임에서는 id Software의 ''Doom'' 시리즈(1993년 처음 출시)를 통해 액션 게임에서 우주 해병을 플레이하는 것이 인기를 얻었다.[5]
2. 3. 게임에서의 발전
미니어처 워게임 ''Warhammer 40,000''에서 우주 해병은 유전자 조작을 거친 초인 병사이며, 인류 제국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전투 부대이다.[4] 컴퓨터 게임에서는 1993년에 처음 출시된 id Software의 ''Doom'' 시리즈를 통해 액션 게임에서 우주 해병을 플레이하는 것이 인기를 얻었다.[5] 이는 적대적인 외계 세계에서 캐릭터가 거의 지원 없이 강력한 무기를 소지하고 등장하는 것을 설명하는 편리한 게임 배경 설정이다.[5] 일부 비평가들은 이것이 지나치게 사용되어 액션 게임의 진부한 표현이 되었다고 지적했다.[5]2. 4. 상표권 분쟁
Games Workshop은 "스페이스 마린"이라는 용어 사용이 자사의 상표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을 일으켰다.[6]2012년 12월, 온라인 소매업체 Amazon.com은 게임 회사 Games Workshop의 요청에 따라 M.C.A. Hogarth의 전자책 ''Spots the Space Marine''을 삭제했다. 그들은 "스페이스 마린"이라는 문구의 사용이 자사의 게임 ''Warhammer 40,000''에 대한 상표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6] 2013년 2월, 이 논쟁은 Cory Doctorow, Charles Stross 및 John Scalzi와 같은 작가들이 Hogarth를 지지하는등, 많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으며, Amazon.com은 이후 해당 전자책의 판매를 복원했다.[7][8]
3. 특징
영화 및 텔레비전에서 스페이스 마린은 종종 분대로 등장하는 반면, 비디오 게임에서는 주인공 마린이 대개 혼자 또는 매우 작은 분대로 활동한다. 임무에 따라 수송선 또는 다른 특수 투입선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그들의 전투복은 미디어에 따라 다르며, 현대의 군복과 유사한 장비(또는 리메이크된 ''배틀스타 갈락티카''의 식민지 해병대 장비와 같이 현대적인 장비)에서 우주복과 같은 동력 외골격으로 구성된 파워 아머까지 다양하다. 장비와 무기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하며, 종종 다양한 허구적 기술을 통합한다. 지향성 에너지 무기가 흔히 사용되지만, ''에이리언''의 식민지 해병대가 사용하는 M41A 펄스 라이플(탄피가 없는 탄약을 발사하기 위해 전기 펄스를 사용하는 발사체 무기)과 같은 일반 화기도 사용된다. 해병대의 갑옷이 특히 부피가 크면, ''Warhammer 40,000''에서 스페이스 마린이 표준 화기로 "볼트건" (실질적으로 로켓 추진 유탄 발사기)을 휴대하는 것처럼 무기도 이와 유사하게 확대될 수 있다.
3. 1. 묘사
영화 및 텔레비전에서 스페이스 머린은 종종 분대 단위로 등장한다. 반면 비디오 게임에서는 주인공 스페이스 머린이 대개 혼자 또는 매우 작은 분대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임무에 따라 수송선 또는 다른 특수 투입선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이들의 전투복은 미디어에 따라 다른데, 현대의 군복과 유사한 장비(또는 리메이크된 ''배틀스타 갈락티카''의 식민지 해병대 장비와 같이 현대적인 장비)에서 우주복과 같은 동력 외골격으로 구성된 파워 아머까지 다양하다. 장비와 무기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하며, 종종 다양한 허구적 기술을 통합한다. 지향성 에너지 무기가 흔히 사용되지만, ''에이리언''의 식민지 해병대가 사용하는 M41A 펄스 라이플(탄피가 없는 탄약을 발사하기 위해 전기 펄스를 사용하는 발사체 무기)과 같은 일반 화기도 사용된다. 해병대의 갑옷이 특히 부피가 크면, ''Warhammer 40,000''에서 스페이스 마린이 표준 화기로 "볼트건" (실질적으로 로켓 추진 유탄 발사기)을 휴대하는 것처럼 무기도 이와 유사하게 확대될 수 있다.3. 2. 장비 및 무기
스페이스 마린은 임무에 따라 수송선 또는 다른 특수 투입선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그들의 전투복은 미디어에 따라 다르며, 현대의 군복과 유사한 장비(또는 리메이크된 ''배틀스타 갈락티카''의 식민지 해병대 장비와 같이 현대적인 장비)에서 우주복과 같은 동력 외골격으로 구성된 파워 아머까지 다양하다. 장비와 무기 또한 마찬가지로 다양하며, 종종 다양한 허구적 기술을 통합한다. 지향성 에너지 무기가 흔히 사용되지만, ''에이리언''의 식민지 해병대가 사용하는 M41A 펄스 라이플(탄피가 없는 탄약을 발사하기 위해 전기 펄스를 사용하는 발사체 무기)과 같은 일반 화기도 사용된다. 해병대의 갑옷이 특히 부피가 크면, ''Warhammer 40,000''에서 스페이스 마린이 표준 화기로 "볼트건" (실질적으로 로켓 추진 유탄 발사기)을 휴대하는 것처럼 무기도 이와 유사하게 확대될 수 있다.3. 3. 배치 및 전술
스페이스 마린은 임무에 따라 수송선이나 특수 투입선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분대 단위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비디오 게임에서는 주인공 마린이 혼자 또는 매우 작은 분대로 활동하기도 한다.4. 현실에서의 가능성
현실에서도 스페이스 머린과 유사한 개념이 연구된 사례가 있다. 미국 공군의 프로젝트 핫 이글은 우주선을 이용하여 해병대를 지상 목표물에 빠르게 투입하는 방안을 고려했다. "음속을 넘어 대기권에 진입하여 섬뜩한 음속 폭음을 발생시킨 지 몇 분 안에 소규모 해병대 분대가 지상에 도착하여 2시간 이내에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9][10]
5. 한국 문화에 미친 영향
참조
[1]
서적
Brave New Words: The Oxford Dictionary of Science Fi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Science-Fiction: The Gernsback Years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1998
[3]
간행물
Preparing for Battle: Casting and Characterization
20th Century Fox
2003
[4]
논문
Conscripts from birth: war and soldiery in the grim darkness of the far future
https://www.fantasti[...]
2022-11-12
[5]
논문
Dogma 2001: A Challenge to Game Designers
http://www.designers[...]
2007-11-13
[6]
뉴스
Superheroes, space marines and lawyers get into trademark fight
https://www.theguard[...]
2013-02-08
[7]
뉴스
Row blows up over ownership of 'space marine' term
https://www.bbc.co.u[...]
2013-02-08
[8]
서적
Spots the Space Marine: Defense of the Fiddler
https://www.amazon.c[...]
Stardancer Studios
2011-12-14
[9]
웹사이트
Marines in Spaaaaaace!
http://www.defensete[...]
Defence Tech.org
2006-04-03
[10]
서적
Social Policy for Effective Practice, A Strengths Approach
https://books.google[...]
2016-10-16
[11]
웹인용
Brave new words: the Oxford dictionary of science fiction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