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계꽃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계꽃과는 나무, 관목 또는 덩굴 식물로, 잎은 단엽 또는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며 선명한 색깔의 꽃을 피우는 경우가 많다. 말레셰르비아아과, 시계꽃아과, 투르네라아과의 3개의 아과로 나뉘며, 약 30속 1000종을 포함한다.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에서는 말피기아목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계꽃과 - 패션프루트
    패션프루트는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시계꽃과 덩굴성 식물의 열매로, '예수의 수난'을 의미하는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달콤새콤한 과육과 씨앗을 가지며, 다양한 가공식품이나 신선한 형태로 섭취된다.
  • 시계꽃과 - 말레셰르비아속
    말레셰르비아속은 남아메리카 원산의 초본 식물과 관목으로, 다양한 색상의 자웅동주 꽃을 피우며, 크레티앙 기욤 드 라모니옹 드 말제르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1806년 기재된 식물 - 홍수과
    홍수과는 말피기목에 속하는 과로 구대륙을 중심으로 16속이 분포하며 맹그로브 서식지에 적응한 종들은 태생 종자, 높은 염분 내성, 기근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건축 자재나 타닌 추출에 이용되기도 한다.
  • 1806년 기재된 식물 - 붉은아로니아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시계꽃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Passiflora caerulea''
Passiflora caerulea
학명
토케이소우과 (Passifloraceae)
명명자Juss. ex Roussel
하위 분류
아과Malesherbioideae
Pibirioideae
Passifloroideae
Turneroideae
이명

2. 형태

나무 또는 관목 혹은 덩굴 형태를 띤다. 잎은 단엽 또는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선명한 색깔의 꽃을 피우는 경우가 많으며, 자방은 상위이다.

3. 하위 분류

시계꽃과는 크게 3개의 아과로 나뉜다.



전체적으로 약 30속 1000여 종이 속하며, 이 중 시계꽃속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8]

3. 1. 말레셰르비아아과 (Malesherbioideae)

말레셰르비아아과 (Malesherbioideae)는 시계꽃과의 3개 아과 중 하나이다. 이 아과에는 말레셰르비아(Malesherbia) 1개 속만이 속하며, 총 24종이 포함된다.

3. 2. 투르네라아과 (Turneroideae)

투르네라아과는 약 12속 227종으로 구성된다. 이 아과에 속하는 주요 속은 다음과 같다.

  • ''아데노아'' (''Adenoa'')
  • ''아프로케타'' (''Afroqueta'')
  • ''아르보아'' (''Arboa'')
  • ''에르블리치아'' (''Erblichia'')
  • ''히알로칼릭스'' (''Hyalocalyx'')
  • ''뢰비아'' (''Loewia'')
  • ''마투리나'' (''Mathurina'')
  • ''옥소스시아'' (''Oxossia'')
  • ''피리케타'' (''Piriqueta'')
  • ''스타프이에라'' (''Stapfiella'')
  • ''스트렙토페탈룸'' (''Streptopetalum'')
  • ''트리클리케라스'' (''Tricliceras'')
  • ''투르네라'' (''Turnera'')[5]

3. 3. 시계꽃아과 (Passifloroideae)

시계꽃아과는 2개의 족으로 나뉜다.

  • Paropsieae족: 6속 약 22종
  • 안드로시포니아 ''Androsiphonia'' Stapf
  • 바르테리아 ''Barteria'' Hook.f. (동의어 ''Smeathmannia'' Sol. ex R.Br.[4] 포함)
  • 파롭시아 ''Paropsia'' Noronha ex Thouars
  • 파롭시옵시스 ''Paropsiopsis'' Engl.
  • 비리디비아 ''Viridivia'' J.H.Hemsl. & Verdc.
  • Passifloreae족: 약 10속 700종
  • 아데니아 ''Adenia'' Forssk. - 약 100종 (예: Adenia glauca, Adenia globosa, Adenia kirkii)
  • 안키스트로티르수스 ''Ancistrothyrsus'' Harms
  • 바사난테 ''Basananthe'' Peyr.
  • 크로스스테마 ''Crossostemma'' Planch. ex Benth.
  • 데이데미아 ''Deidamia'' Noronha ex Thouars
  • 딜케아 ''Dilkea'' Mast.
  • 에풀렌시아 ''Efulensia'' C.H.Wright
  • 미토스테마 ''Mitostemma'' Mast.
  • 시계꽃속 ''Passiflora'' L. - 약 570종
  • 슐레히테리나 ''Schlechterina'' Harms

3. 4. 이전 분류군

크론퀴스트 체계에서는 현재의 시계꽃아과만을 시계꽃과로 분류했다. 당시에는 꽃 등의 형태적 유사성을 근거로 박과제비꽃과와 가깝다고 보아 제비꽃목에 포함시켰다.[8]

또한, 과거 시계꽃과로 분류되었던 일부 속이 현재는 다른 과로 재분류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아바티아(Abatiala)와 아페레마(Aphaeremala)는 현재 버드나무과로 분류된다.[6]

4. 계통 분류

말피기아목 내에서 시계꽃과의 계통학적 위치는 다음과 같다.[11][12] 시계꽃과는 투르네라과, 말레셰르비아과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 이 그룹은 다시 제비꽃과와 자매 그룹 관계를 이루며, 이들 모두는 고우피아과 등 다른 여러 과들과 함께 더 큰 분기군('parietal clade')에 속한다.

시계꽃과 내부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9]


  • 가장 먼저 말레셸비아속( ''Malesherbia'' )이 분기한다.
  • 나머지 속들은 크게 터네라아과(Turneroideae)와 시계꽃아과(Passifloroideae)로 나뉜다.
  • 시계꽃아과는 다시 Paropsieae족과 시계꽃족(Passifloreae)으로 나뉜다.
  • * Paropsieae족에는 ''Paropsia'', ''Viridivia'', ''Androsiphonia'', ''Barteria'', ''Smeathmannia'' 등의 속이 포함된다.
  • * 시계꽃족(Passifloreae)은 ''Adenia'' 속과 나머지 속들을 포함하는 분기군으로 구성된다. 이 나머지 속들에는 ''Basananthe'', ''Efulensia'', ''Deidamia'', ''Crossostemma'', ''Schlechterina'', ''Ancistrothyrsus'', ''Dilkea'', ''Mitostemma'', ''Hollrungia'', 그리고 시계꽃속( ''Passiflora'' ) 등이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Family: ''Passifloraceae'' Juss. ex Roussel,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2]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onlinelibrary[...] 2013-07-06
[3] 논문 Coevolution of plants and herbivores
[4] 웹사이트 "''Smeathmannia'' R.Br.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2-01-07
[5] 웹사이트 GRIN Genera of ''Passiflor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2-01-10
[6] 웹사이트 GRIN genera sometimes placed in ''Passiflor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2-01-10
[7] 논문 "'Unknown yellow':''Pibiria'', a new genus of Passifloraceae with a mixture of features found in Passifloroideae and Turneroideae" https://doi.org/10.1[...] 2019-03-26
[8] 웹사이트 Passifloraceae Stevens, P.F. (2001 onwards). http://www.mobot.org[...] 2014-12-16
[9]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Passifloraceae sensu lato (Malpighiales) based on plastid and nuclear DNA sequences
[10] 서적 Flore du Calvados
[11] 논문 Resolving an Ancient, Rapid Radiation in Saxifragales
[12] 논문 How Much Data are Needed to Resolve a Difficult Phylogeny? Case Study in Lami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