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미엔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미엔 국립공원은 에티오피아 북서부에 위치한 국립공원으로, 침식과 융기를 반복하며 형성된 시미엔 산맥의 험준한 산세를 자랑한다. 1969년에 설립되었으며, 1978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겔라다원숭이, 에티오피아늑대, 왈리아아이벡스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특히 왈리아아이벡스와 같은 고유종이 존재한다. 1996년에는 도로 건설, 과도한 가축 방목 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2017년 에티오피아 정부의 노력으로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국립공원 관리는 지역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며, 지속 가능한 생계 수단 개발과 환경 교육을 통해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하라주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암하라주 - 암하라인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며 암하라어를 사용하고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앙을 따르며, 에티오피아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13세기 솔로몬 왕조를 건국하여 1974년까지 정치적 지배력을 유지했다. - 에티오피아의 세계유산 - 악숨
악숨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위치한 고대 악숨 왕국의 수도로, 독자적인 문자와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하여 번성했으며, 웅장한 유적과 역사적인 종교적 장소들을 통해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다. - 에티오피아의 세계유산 - 랄리벨라
랄리벨라는 게브레 메스켈 랄리벨라 왕이 건설한 "제2의 예루살렘"을 목표로 한 도시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11개의 암굴 교회와 악숨 왕국의 전통, 콥트 및 시리아 건축의 영향이 특징이다.
시미엔 국립공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시미엔 산맥 국립공원 |
IUCN 보호 지역 범주 | II |
위치 | 암하라 주, 에티오피아 |
가장 가까운 도시 | 데바르크 및 메케인 베르한 |
![]() | |
면적 | 220 제곱킬로미터 |
설립일 | 1969년 |
방문객 수 (2016년) | 26,000명 |
지정 정보 | |
유형 | 자연 |
기준 | (vii), (x) |
지정 연도 | 1978년 |
지역 | 아프리카 |
위험에 처한 유산 지정 기간 | 1996년-2017년 |
지리 정보 | |
![]() | |
![]() | |
생태 | |
주요 서식 동물 | 와리아아이벡스 사반나다이커 |
2. 형성
시미엔 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시미엔 산맥의 여러 산들은 오랜 세월에 걸쳐 침식과 융기를 반복하였으며, 반복적인 침식 작용으로 에티오피아고원에 들쭉날쭉한 산봉우리, 깊은 계곡과 협곡, 가파른 절벽이 만들어졌다. 시미엔 산맥은 최고봉 라스다셴산(4550m)과 브와힛산(4437m)을 비롯한 고도 4400m대의 험준한 산맥이다. 이 지역에서는 2000년 전부터 농업이 이루어졌다.
시미엔 산맥의 여러 산들은 오랜 세월을 거쳐 침식과 융기를 반복하였으며, 반복적인 침식 작용으로 에티오피아고원에 들쭉날쭉한 많은 산봉우리, 깊은 계곡과 협곡, 가파른 절벽을 만들어 냈다. 시미엔 산맥은 고도 4400m대의 험준한 산맥으로 최고봉은 라스다셴산(4550m)이다. 라스다셴산과 브와힛산(4437m)을 비롯한 여러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에서는 2000년 전부터 농업이 이루어졌다.
시미엔 국립공원의 생태는 아프리카 고산 지대의 독특한 환경을 반영한다. 식생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뉜다. 1900-3000m의 산지 숲에는 노간주나무, 아프리카 적목, 아프리카 올리브, 워터베리 등이 자란다. 2700-3700m의 에리카 벨트 또는 아프리카 고산대에는 황무지 숲과 고산 식생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3700-5433m의 아프로알파인 지역에는 산지 사바나와 나무 헤스, 거대 로벨리아, 노란 앵초 등이 자란다.
3. 지리
시미엔 국립공원은 시미엔 산맥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에티오피아 북서부의 곰다르 주에서 120km 떨어져 있다. 이곳은 에티오피아 북부 고원 위에 솟아 있는 시미엔 산괴 내에 위치해 있다. 이 고원은 약 3천만 년 전 고생대에 형성된 화산 홍수 현무암으로 이루어졌다.[6] 이 산괴 자체는 거대한 순상 화산의 잔재이다.[1] 수백만 년에 걸쳐 에티오피아 고원의 심한 침식으로 톱니 모양의 산봉우리, 깊은 계곡, 1,500미터 높이의 가파른 절벽이 생겨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 중 하나를 만들어냈다.
시미엔 지역은 구멍이 많은 현무암이 풍부하며 이상적인 집수 분지를 제공한다. 물은 마이샤샤 강에 의해 보존되며, 국립공원을 북에서 남으로 흐른다. 그 결과, 국립공원은 야생동물과 식물이 풍부하다.
4. 생태
겔라다개코원숭이, 에티오피아늑대, 왈리아아이벡스, 메넬리크부시벅 등 21종의 대형 포유류가 서식하며, 이들 대부분은 시미엔 산맥 고유종이다. 특히 에티오피아늑대, 겔라다개코원숭이, 메넬리크부시벅, 왈리아아이벡스는 에티오피아 고원 고유 포유류이다. 이외에도 올리브비비, 검댕이원숭이, 표범, 카라칼, 서벌, 아프리카 야생고양이, 점박이하이에나, 황금자칼 등 희귀 포유류와 바위너구리, 사슴, 클립스프링어와 같은 작은 초식동물도 서식한다.
아비시니아딱따구리, 수염수리, 황갈색수리, 베르호독수리, 검은날개사랑앵무, 에티오피아검은머리굴뚝새 등 400종의 조류가 서식한다.
4. 1. 식물
식생은 아프리카 고산림, 황무지 숲, 고산 식생이 혼합되어 있다. 고지대에는 산지 사바나와 나무 헤스(에리카 아르보레아), 거대 로벨리아(로벨리아 린코페탈룸), 노란 앵초(프리물라 베르티실라타), 헬리크리섬속, 숙녀의 망토(alchemilla), 그리고 이끼(이끼, 그림미아과)가 있다. 이끼는 고산 지역의 나무를 덮고 있다. 공원 전체의 식생은 산지 숲(1900-3000m), 에리카 벨트 또는 아프리카 고산대(2700-3700m), 아프로알파인(3700-5433m)의 3개 구역으로 나뉜다. 산지 숲에는 노간주나무(주니페루스 프로세라), 아프리카 적목(하게니아 아비시니카), 아프리카 올리브(올레아 아프리카나), 무화과(''피쿠스'' spp), 워터베리(시지기움 기니엔세)가 있다. 코코나(솔라눔 세실리스텔라툼), 아비시니아 로즈(로사 아비시니카), 카우슬립(프리물라 베르티실라타), 쐐기풀(우르티카)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관목도 있다.[7] 능선과 협곡에는 흩어진 초원, 숲, 덤불이 있다. 한때 세인트 존스 워트(히페리쿰'' spp.) 숲은 해발 3,000m에서 3,800m까지 자랐지만, 지금은 거의 사라졌다. 정확한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4. 2. 동물
겔라다개코원숭이, 에티오피아늑대(시멘 여우라고도 불림), 왈리아아이벡스, 부시벅(메넬리크부시벅) 등 21종의 대형 포유류가 시미엔 국립공원 경계 내에 서식한다.[8] 이들 대부분은 시미엔 산맥 고유종이며, 특히 에티오피아늑대, 겔라다개코원숭이, 메넬리크부시벅, 왈리아아이벡스는 에티오피아 고원 고유 포유류이다. 올리브비비, 검댕이원숭이, 표범, 카라칼, 서벌, 아프리카 야생고양이, 점박이하이에나, 황금자칼 등도 희귀 포유류에 속한다. 바위너구리, 사슴, 클립스프링어와 같은 작은 초식동물도 시미엔 산맥 경사면에 서식한다.[1]
2015년 탐사에서는 11종의 설치류와 2종의 뒤쥐가 기록되었는데, 이들은 모두 에티오피아 고원 고유종이며 그중 7종은 시미엔 산맥에서만 관찰되었다.[9] 여기에는 ''Arvicanthis abyssinicus''와 ''Crocidura baileyi''가 포함되며, ''Crocidura'' 속에 속하는 새로운 종의 뒤쥐가 확인되었을 수도 있다.[1]
시미엔 국립공원에는 아비시니아딱따구리, 수염수리, 황갈색수리, Rüppell's vulture, 베르호독수리, 검은날개사랑앵무, 에티오피아검은머리굴뚝새, 유라시아매, Lanner falcon, 점심때매, 두꺼운부리까마귀 등 400종의 조류가 서식한다.[1][10]
5. 역사
시미엔 국립공원은 1969년에 설립되었으며, 클라이브 니콜이 자신의 경험을 담아 쓴 책 ''From the Roof of Africa''(1971)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시미엔 지역은 최소 2,000년 동안 사람이 거주하며 경작되어 왔다. 처음에는 침식이 고원 계곡의 완만한 경사면에서 시작되어 드러났지만, 나중에는 가파른 경사면으로 확대되었다.
이 국립공원은 1978년에 뛰어난 생물 다양성과 장관을 이루는 풍경으로 인해 유네스코에 의해 최초로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곳 중 하나였다.[4] 이 지역 고유종의 심각한 개체수 감소로 인해 1996년에 위험에 처한 세계 유산 목록에 추가되었다가, 종들의 개체수가 안정됨에 따라 2017년에 이 목록에서 삭제되었다.[5]
이 산지에는 4,000m 지대에서도 거주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2,000년 전부터 이 땅에서 근근이 농경을 해왔다고 여겨지지만, 농지 확대가 환경 악화에 박차를 가하는 면이 지적되었다. 또한 1993년까지 이어진 에리트레아 독립을 둘러싼 내전도 환경을 크게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1996년에 위험 유산으로 등록되었으나, 주민 대부분은 강제 이주의 대상이 되었고 대상이 되지 않은 사람들은 지금도 산지에서 살고 있다.
6. 세계유산 등재
시미엔 국립공원은 1978년 뛰어난 생물 다양성과 장관을 이루는 풍경으로 인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4]
6. 1. 등재 기준
시미엔 국립공원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1]- VII. 특별한 자연미와 심미적 중요성을 지닌 빼어난 자연 현상이나 지역.
- X. 과학적 또는 보전적 관점에서 뛰어난 보편적 가치가 있는 멸종 위기종을 포함하는 곳을 비롯하여, 생물 다양성의 현장 보전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자연 서식지.

6. 2. 위기 유산 등재 및 해제
1996년 도로 건설, 과도한 가축 방목, 농지 개발, 왈리아아이벡스 등 대형 포유류 개체수 감소, 1993년까지 이어진 에리트레아 독립을 둘러싼 내전으로 인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분류되었다.[1]세계유산위원회는 2017년 7월 4일, 에티오피아 정부가 공원 내 간선도로 교통난을 완화하고 대체도로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함에 따라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서 삭제하였다.[1]
7. 보전
시미엔 산 국립공원은 1969년에 설립되었으며, 국립 보호 구역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1] 국립공원 관리는 공원의 대표적인 종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경작지 확대, 과도한 가축 방목, 과도한 천연 자원 활용으로 인한 공원 자원에 대한 압력을 줄이기 위해 지역 주민들과 긴밀히 협력한다.[1] 특히 지역 협력은 국립공원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방지하고 지속 가능한 생계 수단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
8. 논란
참조
[1]
간행물
The characteristics, length of stay and motivation of foreign tourists who visit Simien Mountains National Park, World Heritage Site, Ethiopia
https://www.ajhtl.co[...]
[2]
웹사이트
WordTravels Ethiopia Travel Guide
http://www.wordtrave[...]
2008-06-22
[3]
서적
Ethiopia: The Bradt Travel Guide
Bradt
2009
[4]
웹사이트
Simien National Park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9-12
[5]
웹사이트
Ethiopian World Heritage site, Simien National Park no longer in danger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7-07-04
[6]
논문
Geoheritage conservation in Ethiopia: the case of the Simien Mountains
http://pressto.amu.e[...]
2012-03-01
[7]
웹사이트
Simien plants
http://www.simienmou[...]
[8]
웹사이트
Relationship between Topographic Variables and Land Cover in the Simien Mountains National Park, a World Heritage Site in Northern Ethiopia
https://www.research[...]
[9]
논문
Small terrestrial mammal distributions in Simien Mountains National Park, Ethiopia: a reassessment after 88 years
2020-07-03
[10]
서적
A Glimpse at Biodiversity Hotspots of Ethiopia
http://ewnhs.org.et/[...]
Ethiopian Wildlife & Natural History Society
[11]
논문
Guillaume Blanc. The Invention of Green Colonialism. (Translated by Hellen Morrison.) Cambridge, UK: Polity Press, 2022. 180 pp. Maps. Notes. Index. £15.99. Paper.
https://www.cambridg[...]
2023-03-06
[12]
웹사이트
Simien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04-26
[13]
뉴스
Ethiopian World Heritage site, Simien National Park no longer in danger (Tuesday, 4 July 2017)
http://whc.unesco.or[...]
세계유산센터
2017-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