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곳 중 보존 상태, 환경 변화, 자연재해, 분쟁 등으로 인해 위협받는 유산을 의미한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위원회를 통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을 관리하며, 등재된 유산의 보존 노력을 지원한다.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지정 사유는 주변 정세 불안정, 자연환경 파괴, 분쟁 및 전쟁, 개발 및 관리 부실 등이 있다. 2024년 5월 기준, 예루살렘 구시가지와 성벽, 찬찬, 아일-테네레 자연 보호 구역 등 전 세계 여러 유산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과거에는 갈라파고스 제도, 쾰른 대성당, 두브로브니크 등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가 해제된 사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찬찬
찬찬은 페루 북부 해안에 위치한 치무 왕국의 수도였던 고대 도시 유적지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어도비 도시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정교한 도시 계획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지만 기후 변화로 훼손 위협에 처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마노보 군다 세인트 플로리스 국립공원
마노보 군다 세인트 플로리스 국립공원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부에 위치하며 차드와의 국경에 인접하고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사헬 지대, 열대 우림의 생태적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지만 불법 방목과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1997년 위험 유산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기준 9, 10을 충족하며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세계유산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세계유산
키르기스스탄은 문화유산 2건, 자연유산 1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술라이만투 성산,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톈산산맥 서부 지역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 세계유산 목록 - 남아메리카의 세계유산
남아메리카의 세계유산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카리브해 지역의 유네스코 지정 유산으로, 각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문화유산, 독특한 자연환경을 보여주는 자연유산, 그리고 문화적·자연적 가치를 함께 지닌 복합유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존 노력이 필요한 위험에 처한 유산들도 포함되어 국제적인 협력이 요구된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낡은 정보를 포함한 문단 - 옥천군
옥천군은 충청북도 남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백제와 신라의 각축장이었고 조선 태종 때 옥천이라는 지명을 얻어 현재는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서 경부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가 지난다.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 |
---|---|
개요 | |
유형 | 국제 협약 |
공식 명칭 |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협약 |
비준 | 1972년 11월 16일 |
목적 | 뛰어난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 및 자연 유산 보호 |
관련 기구 | 유네스코 세계 유산 위원회 자문 기구 (IUCN, ICOMOS, ICCROM) |
등재 기준 | 문화 유산 (i ~ vi), 자연 유산 (vii ~ x) |
위험에 처한 유산 | 특정 요인으로 인해 가치가 훼손될 우려가 있는 유산 |
위험 요인 | 무분별한 개발 환경 오염 자연 재해 무력 충돌 관리 소홀 밀렵 |
등재 절차 | 각 국가의 잠정 목록 제출 추천서 제출 자문 기구의 평가 세계 유산 위원회의 심사 및 결정 |
등재 효과 | 국제적 관심과 지원 관광 수입 증대 보존 및 관리 노력 강화 |
등재 취소 | 가치가 심각하게 훼손된 경우 |
등재 예시 | 쾰른 대성당 (독일)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코모에 국립공원 (코트디부아르) |
통계 | |
총 유산 수 | 1,199개 (2024년 기준) |
문화 유산 | 933개 |
자연 유산 | 227개 |
복합 유산 | 39개 |
위험에 처한 유산 | 56개 |
삭제된 유산 | 3개 |
가장 많은 유산을 보유한 국가 | 이탈리아 (59개) |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 | |
정의 | 세계 유산 협약에 따라 등재된 유산 중 심각한 위험에 직면한 유산 목록 |
목적 | 국제적 지원 및 협력 촉진 위험 요인 해결 노력 장려 유산 보호의 중요성 강조 |
등재 기준 | 심각한 훼손 또는 파괴의 가능성 보존 및 관리 노력의 부족 무력 충돌, 자연 재해, 환경 오염 등 외부 요인 |
등재 절차 | 세계 유산 위원회의 결정 해당 국가의 동의 필요 |
등재 효과 | 국제적 관심과 지원 증가 긴급 보존 조치 시행 위험 요인 해결 노력 강화 |
해제 조건 | 위험 요인 해소 및 가치 회복 |
해제 절차 | 세계 유산 위원회의 결정 |
등재 및 해제 현황 | 매년 변경될 수 있음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세계 유산 목록 유네스코 세계 유산 협약 |
2.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등재 기준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위원회가 지정하며, 심각한 위험에 직면하여 보존에 어려움을 겪는 세계유산을 의미한다. 이러한 위험 요소에는 자연재해, 전쟁, 도시 개발, 환경 오염 등이 포함된다. 다음은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을 보여주는 표이다.
국가 | 유산명 | 주요 위험 요인 |
---|---|---|
예루살렘[230] | 예루살렘 구시가지와 성벽 | 주변 정세 불안정 |
페루 | 찬찬 유적 지구 | 해풍 등에 의한 건재 열화 |
기니/ 코트디부아르 | 님바산 엄정 자연 보호 구역 | 자원 개발, 난민 유입 등에 의한 환경 악화 |
니제르 | 아일-테네레 자연 보호 구역 | 투아레그족 독립 문제 관련 치안 악화 |
콩고 민주 공화국 | 비룽가 국립공원 | 난민 대량 유입 등에 의한 환경 악화, 불법 숯 거래 등 |
가람바 국립공원 | 밀렵에 의한 북부 흰코뿔소의 급감[231] | |
오카피 야생 생물 보호 구역 | 밀렵 | |
카후지-비에가 국립공원 | 관광객이 가져온 전염병 등으로 인한 고릴라 감소 |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마노보-군다 상 플로리스 국립공원 | 밀렵, 치안 악화 |
예멘 | 고대 도시 자비드 | 도시화에 따른 전통적 도시 경관 변화 |
이집트 | 아부 메나 | 지하 수위 상승에 의한 붕괴 위기 |
아프가니스탄 | 자암의 미나레트와 고고 유적군 | 치안 악화, 침수 피해 |
바미안 계곡의 문화 경관과 고대 유적군 | 탈레반에 의한 석상 폭파 | |
이라크 | 아슈르 (칼아트 셰르카트) | 댐 건설 계획에 따른 수몰 위기 |
베네수엘라 | 코로와 그 항구 | 폭우 피해, 주변 개발 |
세르비아 | 코소보 중세 건축물군 | 치안 악화 |
이라크 | 도시 유적 사마라 | 주변 정세 불안정 |
미국 |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 수생 생물의 생태계 악화[232] |
마다가스카르 | 아치나나나 열대우림 | 불법 벌채 및 밀렵 |
인도네시아 | 수마트라 열대 우림 유산 | 밀렵 및 불법 벌채 등 |
온두라스 | 리오 플라타노 생물권 보호구역 | 밀렵 및 불법 벌채 등[233] |
파나마 | 파나마의 카리브해 측 요새군 | 보존 계획 부실 등 |
말리 | 아스키아의 무덤 | 말리 북부 분쟁 |
통북투 | 말리 북부 분쟁[234] | |
솔로몬 제도 | 동 렌넬 | 산림 벌채 |
시리아 | 고대 도시 다마스쿠스 | 시리아 내전 |
고대 도시 보스라 | 시리아 내전 | |
팔미라 유적 | 시리아 내전 | |
고대 도시 알레포 | 시리아 내전 | |
크라크 데 슈발리에와 칼랏 앗 사를라 아딘 | 시리아 내전 | |
시리아 북부 고대 마을군 | 시리아 내전 | |
탄자니아 | 셀루스 사냥 보호 구역 | 밀렵 횡행 |
볼리비아 | 포토시 시가지 | 세로 리코 광산 관리 부실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올리브와 와인의 땅 - 예루살렘 남부 바티르의 문화 경관 | 지역 정세에 따른 완전성과 진정성에 대한 위협 |
예멘 | 사나 구시가지 | 지역 정세에 따른 완전성과 진정성에 대한 위협 |
시밤의 옛 성벽 도시 | 지역 정세에 따른 잠재적 위협 | |
이라크 | 하트라 | ISIL에 의한 파괴 활동 |
말리 | 제네 구시가지 | 정세 불안 |
우즈베키스탄 | 샤흐리샤브스 역사 지구 | 과도한 관광 개발 우려 |
리비아 | 렙티스 마그나의 고고 유적 | 정정 불안 |
사브라타의 고고 유적 | 정정 불안 | |
키레네의 고고 유적 | 정정 불안 | |
타드라르트 아카쿠스의 암각화 유적군 | 정정 불안 | |
가다메스 구시가지 | 정정 불안 |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난마돌: 동미크로네시아의 제사의 중심지 | 맹그로브 번성 등 보존 상황 우려 |
오스트리아 | 비엔나 역사 지구 | 도시 개발로 인한 경관 훼손 우려 |
팔레스타인 | 헤브론(알 할릴) 구시가지 | 주변 정세 |
케냐 | 투르카나 호수 국립공원군 | 댐 건설에 의한 환경 악화 |
멕시코 | 캘리포니아 만의 섬과 자연 보호 구역군 | 바키타 멸종 위험 |
루마니아 | Roșia Montană|로시아 몬타나ro의 광산 경관 | 채굴 관련 투자 분쟁 해결 국제 센터 소송 중 |
예멘 | 마리브의 고대 사바 왕국 기념 건축물군 | 예멘 내전에 의한 환경 악화 |
رشيد كرامي|라시드 카라미ar 국제 박람회장 | 보존 환경 악화 및 주변 개발 가능성에 따른 잠재적 위기 | |
우크라이나 | 오데사 역사 지구 | 러시아에 의한 군사 침공 |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과 관련 수도원군 및 키예프-페체르스크 대수도원 | 러시아에 의한 군사 침공 | |
리비우 역사 지구군 | 러시아에 의한 군사 침공 | |
팔레스타인 | 성 힐라리온 수도원 / 테르 움므 아메르 | 2023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전쟁 |
등록기간
3.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 (2024년 5월 기준)
번호 유산명 국가 등재 연도 (위험) 사유 1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2007–2010 외래종 유입, 관광객 증가, 과도한 어획 2 쾰른 대성당 독일 2004–2006 대성당 인근 고층 건물 건설 계획 (계획 중단) 3 코토르 몬테네그로 1979–2003 1979년 지진 피해 4 주지 국립 조류 보호 구역 세네갈 1984–1988, 2000–2006 댐 건설 계획 (1984-1988), 외래종 침입 및 물 관리 문제 (2000-2006) 5 응고롱고로 보호지역 탄자니아 1984–1989 보존 상태 저하 6 아보메 왕궁 베냉 1985–2007 자연재해 및 부적절한 복원 7 바흘라 요새 오만 1988–2004 요새 및 주변 지역의 악화 8 비엘리치카 소금광산 폴란드 1989–1998 습기로 인한 광산 손상 9 팀북투 말리 1990–2005 사막화 및 관리 부족 10 두브로브니크 크로아티아 1991–1998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11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크로아티아 1992–1997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으로 인한 잠재적 위협 12 스레바르나 자연보호구 불가리아 1992–2003 생태계 악화 13 앙코르 유적 캄보디아 1992–2004 효과적인 법적 보호 및 관리 체계 구축 필요 14 상가이 국립공원 에콰도르 1992–2005 밀렵, 무단 방목, 도로 건설 15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미국 1993–2007, 2010~ 허리케인 피해, 수질 악화 및 생태계 변화 16 옐로스톤 국립공원 미국 1995–2003 수질 오염, 관광객 증가 17 이치케울 국립공원 튀니지 1996–2006 댐 건설로 인한 담수 유입 감소 및 염분 증가 18 리오 플라타노 생물권보호지역 온두라스 1996–2007, 2011~ 불법 벌채, 농업 확장, 밀렵 19 부트린트 알바니아 1997–2005 관리 및 보존 미흡 20 이구아수 국립공원 브라질 1999–2001 불법 도로 개통, 헬리콥터 운행 21 르웬조리 산악 국립공원 우간다 1999–2004 치안 불안 및 관리 부족 22 함피 인도 1999–2006 교량 건설로 인한 유적 훼손 위협 23 라호르성과 샬라마르 정원 파키스탄 2000-2012 역사적 유물 파괴 및 주변 벽 악화 24 티파사 알제리 2002–2006 관리 부실, 도시 개발 압력 25 카트만두 계곡 네팔 2003–2007 전통적 요소의 손실 및 유산의 진정성 저하 26 마나스 야생동물 보호지역 인도 1992-2011 밀렵, 공원 인프라 피해 27 필리핀의 계단식 논 코르디레라스 필리핀 2001-2012 체계적인 관리 계획 부재 28 예수의 탄생지: 베들레헴의 성탄 교회와 순례 경로 팔레스타인 2012–2019 건물 누수로 인한 피해 29 킬와 키시와니 유적과 송고 므나라 유적 탄자니아 2004-2014 침식 및 식물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한 유적의 지속적인 악화
4. 과거에 위험에 처했던 세계유산 (일부)
1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2007–2010 2 쾰른 대성당 독일 2004–2006 3 코토르 몬테네그로 1979–2003 4 주지국립조류보호지 세네갈 1984–1988 5 응고롱고로 보호지역 탄자니아 1984–1989 6 아보메의 왕궁들 베냉 1985–2007 7 바흘라 요새 오만 1988–2004 8 비엘리치카 소금광산 폴란드 1989–1998 9 팀북투 말리 1990–2005 10 두브로브니크 크로아티아 1991–1998 11 플리트비체 국립공원 크로아티아 1992–1997 12 스레바르나 자연보호구 불가리아 1992–2003 13 앙코르 유적 캄보디아 1992–2004 14 상가이 국립공원 에콰도르 1992–2005 15 에버글레이즈 국립공원 미국 1993–2007 16 옐로스톤 국립공원 미국 1995–2003 17 이슈켈 국립공원 튀니지 1996–2006 18 리오 플라타노 생물권보호지역 온두라스 1996–2007 19 부트린트 알바니아 1997–2005 20 이구아수 국립공원 브라질 1999–2001 21 르웬조리 산악국립공원 우간다 1999–2004 22 함피 인도 1999–2006 23 주지 국립조류보호지 세네갈 2000–2006 24 티파사 알제리 2002–2006 25 카트만두 계곡 네팔 2003–2007 26 마나스 야생동물 보호지역 인도 1992-2011 27 라호르성과 샬라마르 정원 파키스탄 2000-2012 28 필리핀의 계단식 벼 경작지 코르디레라스 필리핀 2001-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