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하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는 민족으로, 암하라어를 사용하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앙을 따른다. 에티오피아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13세기 솔로몬 왕조를 건국하고 에티오피아 제국을 건설하여 1974년까지 정치적 지배력을 유지했다. 암하라족은 셈족의 후예로 아랍인들은 이들을 아비시니아족이라고 불렀으며, 2020년 티그라이 분쟁에서 학살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하라주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암하라주 - 티그라이 전쟁
티그라이 전쟁은 2020년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이 에티오피아 국방군 기지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에티오피아군, 에리트레아군, TPLF 간의 전쟁 범죄 혐의와 인도적 위기를 초래했고, 2022년 휴전 협정 이후에도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 - 에티오피아의 민족 - 티그라이인
티그라이인은 에티오피아 북부에 거주하며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악숨 제국의 계승자로 여겨지며, 에티오피아 인구의 일부를 차지하고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가 대다수이며,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은 에티오피아 정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 에티오피아의 민족 - 오로모인
오로모인은 에티오피아와 케냐에 주로 거주하며 독특한 가다 시스템과 태음태양력을 사용하는 쿠시계 민족으로, 다양한 종교를 믿고 정치적 소외와 인권 침해를 겪어왔으나 최근 정치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 암하라인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민족 이름 | 암하라 |
| 현지 이름 | ዐምሐራ |
| 인구 | 19,867,817명 (2007년) |
| 주요 거주 지역 | 에티오피아 |
| 해외 거주 지역 | 248,199명 30,395명 8,620명 4,515명 1,515명 |
| 사용 언어 | 암하라어 |
| 종교 | 기독교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슬람교 (수니파) 유대교 (하야노트) |
| 관련 민족 | 아가우족 아르곱바족 베타 이스라엘 구라게족 티그라이인 티그리냐족 자이족 기타 에티오셈족 및 쿠시족 |
| 역사 | |
| 역사적 배경 | 에티오피아의 여러 황제들이 암하라 출신이었음.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 역사적으로,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의 정치, 문화,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 |
| 문화 | |
| 언어 |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 중 하나임. |
| 종교 | 주로 에티오피아 정교회를 믿음. 이슬람교와 유대교를 믿는 소수의 암하라족도 있음. |
| 사회 | 에티오피아 사회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함. 에티오피아의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침. |
2. 역사
암하라족은 아랍인들이 '아비시니아족'이라고 부르며, 현재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한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남아라비아에서 홍해를 건너와 그곳에 살던 쿠시족과 융합하여 2세기에서 9세기까지 악숨 왕국을 세웠다.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는 서로 다르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비잔틴 교회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암하라족은 오랫동안 지배 민족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암하라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역사적으로 월로(Wollo) 주 (베테 암하라)에 위치한 중세 지방이 "암하라"로 불렸으며, 현재 암하라 주는 뎀비야, 베겜더, 고잠, 월로, 라스타, 쇼아, 세미엔 주, 앙곳, 와그 주 등 여러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41]
9세기 경, 암하라 지역에는 하이크 호에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이 세워지는 등 기독교 악숨 왕국의 영향이 나타났다.[42] 콤볼차 남쪽 10km 지점에서는 기원후 3세기 경의 게타 사자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악숨 왕국 이전 시대의 유물일 가능성도 있다.[43][44] 1998년에는 남부 월로 등지에서 고대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어 악숨 문명이 앙곳 남쪽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45]
칼 부처에 따르면, 800년경 악숨은 멸망에 가까워졌고, 악숨 엘리트들은 에티오피아 중부를 선호하여 악숨을 떠났다.[46] 기독교 가정들은 남쪽의 암하라와 북부 쇼아로 이주했으며, 이는 왕국의 남쪽 이동과 관련이 있다.[47] 악숨 왕국 멸망 이후, 암하라의 정치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는데, 기독교 에티오피아 국가의 정치 중심지가 자그웨 왕조 지역인 라스타로 이동했기 때문이다.[48][49]
자그웨 왕조에 이어 13세기에 들어서면서 솔로몬 왕조 에티오피아 제국을 건국하고, 이슬람교도와 싸우면서 기독교 신앙을 유지해 왔으나, 16세기에 오로모인 유입으로 왕권이 약화되어 군웅할거 시대가 200년 정도 지속되었다.
19세기 중엽, 테오드로스 2세가 나타나 암하라 지역을 통일하고 솔로몬 왕조를 중흥시켰으며, 오로모 등 다른 민족을 정복했다. 이후 하일레 셀라시에가 폐위된 1974년까지 암하라족 귀족 계급이 에티오피아 전토를 지배하는 체제가 계속되었다. 군사 정권 역시 구성원 대부분이 암하라족이었으며, 암하라어 교육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암하라족 우위의 상황은 계속되었다.
2020년, 티그라이 분쟁이 발발하여 티그라이 주 서부 마이카드라 마을에서 암하라족이 집중적으로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느 세력에 의한 살해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50]
2. 1. 기원과 형성
암하라족은 셈족 정복자의 후손으로,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남아라비아에서 홍해를 건너와 그곳에 살던 쿠시족과 융합하여 정치, 문화적 우위를 확립했다.[22] 2세기에서 9세기에는 악숨 왕국을 세웠다.[22]암하라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12세기 초 자그웨 왕조 중기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1128년경 암하라인이 '와르기 땅'에서 와르지 사람들과 갈등을 빚었다는 기록이 있다.[22] 13세기 또는 14세기 자료인 테클레 하이마노트 성인의 기록에서는 베테 암하라를 9세기 중반의 위치로 언급하고 있다.[24]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셈어파의 남부 언어로, 구라게어, 아르고바어 등과 함께 분류된다.[25][26][27] 기원후 1세기 이전 어느 시점에 에티오피아-셈어파의 북부와 남부 가지가 갈라졌다.[27][28] 당시의 사회적 계층화로 인해, 쿠시어파의 아가우족은 남부 셈어를 받아들여 셈족 인구와 혼합되었다.[29][30][31][32] 따라서 암하라어는 쿠시어의 기층과 셈어의 상층으로 발전했다.[33][34] 7세기 악숨 왕국의 중심지가 남쪽으로 이동하고 원시 암하라인이 통합되고 기독교화되면서, 암하라어에 게에즈어 어휘가 널리 사용되었다.[37][38][39] 기원후 9세기경에는 베테 암하라 지역에 암하라라는 언어적으로 독립된 민족 집단이 존재했다.[28]
기원전 10세기경에는 이미 현재의 거주지에 정착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악숨 왕국을 건국하여 무역으로 번영했으나, 이후 10세기에 멸망했다. 자그웨 왕조에 이어 13세기에 솔로몬 왕조 에티오피아 제국을 건국하고 이슬람교도와 싸우면서 기독교 신앙을 유지했다.
2. 2. 악숨 왕국과 자그웨 왕조
아랍인들이 '''아비시니아족'''이라고 부르는 암하라족은 현재 에티오피아 인구의 30%를 차지한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남부에서 홍해를 건너와 쿠시족과 융합하여 2세기에서 9세기까지 악숨 왕국을 세웠다.
9세기 경, 암하라 지역에는 하이크 호에 이스티파노스 수도원이 세워지는 등 기독교 악숨 왕국의 영향이 나타났다. 콤볼차 남쪽 10km 지점에서는 기원후 3세기 경의 게타 사자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악숨 왕국 이전 시대의 유물일 가능성도 있다. 1998년에는 남부 월로의 아타티야 무덤 주변 등지에서 고대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토기에 새겨진 장식과 상징은 악숨 문명이 앙곳 남쪽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준다.
칼 부처에 따르면, 800년경 악숨은 멸망에 가까워졌고, 인구 자원은 유목민들의 약탈을 막기에 부족했다. 악숨 엘리트들은 에티오피아 중부를 선호하여 악숨을 떠났고, 기독교 가정들은 점차 남쪽의 암하라와 북부 쇼아로 이주했다. 이러한 인구 이동은 왕국의 남쪽 이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하라의 기독교화는 악숨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악숨 왕국 멸망 이후, 암하라의 정치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는데, 이는 기독교 에티오피아 국가의 정치 중심지가 북부의 악숨에서 자그웨 왕조 지역인 라스타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암하라 귀족들은 왕권 다툼에서 랄리벨라 왕자를 지지했고, 이는 암하라어를 ''레사나 네구스''(왕의 언어)로 만들고 암하라 귀족들을 왕국의 최고직에 임명하는 결과로 이어졌다.[50][51]
2. 3. 솔로몬 왕조와 에티오피아 제국
이쿠노 암락은 베테 아마라(암하라 가문) 출신의 왕자로, 솔로몬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기원후 1270년 솔로몬 왕조를 세웠다.[52] 초기 솔로몬 왕조 통치자들은 창시자인 이쿠노 암락의 기원 때문에 "암하라의 왕"으로 불렸으며, 그들의 추종자들은 "암하라"라고 불렸고, 새로운 땅을 정복하면서 이 새로운 이름을 가지고 다녔다. 이 시기에는 기독교 봉건 문화와 암하라어(이후 공용어가 됨)의 채택이 특징적이었다. 이 비교적 작은 지방의 인구가 제국 내 지배 집단이 되었다.[54]
이 무렵 중세 아랍 역사가들은 기독교 에티오피아가 "암하라의 군주"의 주권 아래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새로운 솔로몬 왕조가 당대 사람들의 눈에는 베테 아마라 출신으로 보인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이집트 역사가 알무파달 이븐 아비 알파다일은 704년 히즈리(기원후 1304-1305년)에 아비시니아 황제를 "알말릭 알암하리" 혹은 "암하라 왕"이라고 불렀다.[55] 1436년 이븐 타그리비르디는 예샤크 황제의 죽음에 관한 구절을 쓰면서 그를 암하라의 군주, "하체, 아비시니아 왕, 이교도이자 아비시니아의 암하라 군주가 (이 해에) 죽었다. 그의 영지는 그가 사드 아드딘 술탄, 자바르타의 군주에 대항하여 벌인 전쟁 후에 훨씬 확장되었다."라고 언급했다.[55]
14세기 이후 암하라와 토착 아가우 사이의 문화적 접촉과 상호 작용이 가속화되었다. 아가우족이 암하라어를 채택하고 정교회로 개종하면서 암하라 문화에 점점 동화되었다. 가파트과 아르고바와 같은 다른 남세미트어 사용자들도 암하라어를 채택하고 암하라 사회에 동화되기 시작했다. 16세기 말까지 고잠, 라스타, 베겜더 지역의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기독교 암하라어 사용자로 구성되었다.[56]
에티오피아에 관한 모든 저술에서 에티오피아 기독교 제국의 역사에서 암하라인의 정치적 지배력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까지의 기독교와 이슬람 서면 전통과 14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에티오피아 연대기에 따르면 "암하라"는 지역을 가리키는 말이지 민족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다. 17세기 이전 에티오피아에서 암하라는 제국의 중심지이자 군주제의 요람으로 묘사되었다. 중세 유럽 지도는 에티오피아 제국 내에서 암하라가 지방들 중 "왕국"으로서 더 높은 지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탈리아 (베네치아) 지도 제작자 프라 마우로는 1460년 유명한 마포몬도에서 "Regno Hamara" 혹은 "암하라 왕국"을 언급한다. 암하라에 대한 중요한 정보는 히오브 루돌프의 ''히스토리아 에티오피카''에서 제공되는데, 그 자료는 암하라 출신인 아바 고르고리오스 자신으로부터 온 것이다. ''히스토리아 에티오피카'' 지도에서 암하라는 서쪽의 아바이 강, 북쪽의 바실로 강, 동쪽의 아파르 저지대, 남쪽의 아와시 강 사이에 위치한다. 이 지방은 월로의 대부분과 북부 셰와를 포함했으며, 하이크 호와 유명한 이스티파노스 수도원 지역을 포함했다.[56]


암하라 군주들은 계속해서 지역을 옮겨 다녔는데, 16세기의 정치적 혼란 이전까지는 이파트, 셰와, 다와로의 남쪽 지역을 특히 선호했으며, 그 후 베겜더 지방이 1630년대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에티오피아 정치의 왕궁 도시인 곤다르의 본거지가 되었다. 암하라어 사용자의 광범위한 영토 내에서 특정 지역은 자치적인 정치 중심지로 발전했다. 타나 호수 남쪽의 고잠 지방은 통치자들의 왕조를 발전시켜 에티오피아 제국 내에서 강력한 왕국이 되었다. 셰와의 멘즈 지역은 사흘레 셀라시에 왕, 메넬리크 2세 황제,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로 이어지는 정치 왕조 발전의 중심지가 되었다.[57]
암하라인은 에티오피아 사회의 정치 중심지를 장악하고 동화, 정복, 혼인을 통해 그들의 언어와 많은 관습을 베테 아마라 본국 경계 너머로 널리 퍼뜨렸다. 이러한 확장은 더 큰 에티오피아 정치의 여러 요소를 하나로 묶는 응집력 있는 힘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응집력은 에티오피아 국가가 19세기에 근대 국가 건설 과정에 참여하면서 유럽 식민 열강의 잠재적 위협에 맞서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노예 무역 폐지, 새로운 통신 및 운송 시스템 구축, 학교와 병원 설립, 현대 정부 기관 설립 등 다양한 근대화 노력을 촉진했다.[57]
기원전 10세기경에는 이미 현재의 거주지에 정착해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악숨 왕국을 건국하여 무역으로 번영했으나, 이후 10세기에 멸망했다. 자그웨 왕조에 이어 13세기에 들어서면서 솔로몬 왕조 에티오피아 제국을 건국하고, 이슬람교도와 싸우면서 기독교 신앙을 유지해 왔으나, 16세기에 오로모인 유입으로 왕권이 약화되어 군웅할거의 시대가 200년 정도 지속되었다.
19세기 중엽, 테오드로스 2세가 나타나 아므하라 지역을 통일하고 솔로몬 왕조를 중흥시켰으며, 더 나아가 오로모 등 다른 민족을 정복했다. 이후 하일레 셀라시에가 폐위된 1974년까지 아므하라인 귀족 계급이 에티오피아 전토를 지배하는 체제가 계속되었다.
2. 4. 근대화와 군사 정권
1270년부터 1974년까지 암하라족은 완전한 지배 민족이었다. 19세기 중반기까지만 해도 영토 싸움이 치열했고 심지어 두 부족간 대립까지 잇따랐다. 하지만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모두 공통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같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있다.19세기 중엽, 테오드로스 2세가 나타나 아므하라 지역을 통일하고 솔로몬 왕조를 중흥시켰으며, 더 나아가 오로모 등 다른 민족을 정복했다. 이후 하일레 셀라시에가 폐위된 1974년까지 아므하라인 귀족 계급이 에티오피아 전토를 지배하는 체제가 계속되었다.
제정이 바뀌어 수립된 군사 정권도 구성원의 대부분이 아므하라인이었으며, 중앙 집권을 의도하여 아므하라어 교육을 전국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아므하라인 우위의 상황은 계속되었다.
2020년, 에티오피아 정부군과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이 교전하는 티그라이 분쟁이 발발했다. 티그라이 주 서부 마이카드라 마을에서는 아므하라인이 집중적으로 노려져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느 세력에 의한 살해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50]
2. 5. 민족주의의 부상과 현대
1270년부터 1974년까지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의 지배 민족이었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까지 아라비아 남부 지역에서 홍해를 건너와 이미 그곳에 살고 있던 쿠시족과 흡수되면서 정치-문화적인 우위를 확립하였고, 2~9세기에는 악숨 왕국을 세웠다. 암하라어가 공용어가 된 것은 암하라족이 오랫동안 지배 민족으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19세기 중반기까지만 해도 영토 싸움이 치열했고 심지어 두 부족간 대립까지 잇따랐지만,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모두 공통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같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있다.19세기 중엽, 테오드로스 2세가 나타나 암하라 지역을 통일하고 솔로몬 왕조를 중흥시켰으며, 더 나아가 오로모 등 다른 민족을 정복했다. 이후 하일레 셀라시에가 폐위된 1974년까지 암하라족 귀족 계급이 에티오피아 전토를 지배하는 체제가 계속되었다.
제정이 바뀌어 수립된 군사 정권도 구성원의 대부분이 암하라족이었으며, 중앙 집권을 의도하여 암하라어 교육을 전국적으로 확대함으로써 암하라족 우위의 상황은 계속되었다.
2020년, 에티오피아 정부군과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이 교전하는 티그라이 분쟁이 발발했다. 티그라이 주 서부 마이카드라 마을에서는 암하라족이 집중적으로 노려져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어느 세력에 의한 살해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150]
3. 사회와 문화
암하라인의 가정생활에서는 가장에게 모든 특권과 권한이 주어진다. 상속은 부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결혼한 부부는 보통 남편 가족의 집과 가까운 곳에서 사는 것이 일반적이다.[16] 결혼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이 있다.
-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하는 쿠르반
- 가장 보편적인 결혼 형태인 세미아나 (종교 의식 없이 하는 결혼)
- 다모즈 (돈을 주고 하는 일시적인 결혼)
초혼은 부모가 정하며, 세미아나나 다모즈 결혼은 60~90%가 이혼으로 끝난다. 하지만 쿠르반은 신 앞에서 맺은 성스러운 결혼이므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우자 한쪽이 사망한 후에도 재혼할 수 없다.[100][101][102][103]
암하라인은 전통적으로 고원 지대에서 밭농사를 짓는 농민이며, 현재도 9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식은 테프라는 곡물로 만든 인제라이다. 암하라인은 인제라를 매우 좋아하여 다른 곡물이 들어와도 수확량이 적은 테프 재배를 멈추지 않았으며, 암하라 문화의 확산으로 현재 인제라는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먹고 있다. 소, 말, 염소, 당나귀와 같은 가축도 사육하며, 보리, 밀, 옥수수도 재배한다.
3. 1. 사회 구조
1270년부터 1974년까지 암하라족은 완전한 지배 민족이었다. 19세기 중반기까지만 해도 영토 싸움이 치열했고 심지어 두 부족간 대립까지 잇따랐다. 하지만 농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모두 공통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같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있다. 주로 옥수수·밀·보리·수수와 이 지방의 주요작물인 테프를 생산한다.[62][58]암하라족의 사회구조는 주인과 예속인, 상급자와 하급자 사이에 맺어진 강한 개인적인 관계로 이루어져 있었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지위는 갖고 있는 토지의 크기와 정비례하기 때문에 상인처럼 토지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영향력이 거의 없었다.
대지주나 토지를 갖고 있는 귀족은 고대 암하라족과 티그레족의 봉건 전사 계급을 계속 유지시키는 계층이었다. 토지는 황제를 위한 군대 복무의 대가로 귀족에게 주어졌으나, 현재는 소작인이 토지를 경작한다.

암하라어로 "노예"를 뜻하는 ''바리아''(barya)로도 알려진 이들은 에티오피아 남부 내륙의 노예 습격 중에 사로잡혔다. 전쟁 포로도 노예의 또 다른 원천이었지만, 이러한 포로들의 인식, 대우 및 의무는 현저하게 달랐다.[60] 레빈에 따르면, 대 에티오피아의 광범위한 노예 제도는 1930년대에 공식적으로 종식되었지만, 전 노예, 그들의 자손, 그리고 사실상의 노예들은 사회 계층에서 유사한 위치를 계속 유지했다.[61]
노예보다 높은 계급의 암하라 카스트 제도는 다음과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했다. (1) 혼인 제한, (2) 계층적 지위, (3) 식사 공유 제한, (4) 오염 개념, (5) 전통적인 직업, (6) 상속된 카스트 구성원.[62][63] 학자들은 암하라인과 다른 아프로-아시아어 사용 에티오피아 민족 집단 사이에 엄격하고, 혼인 제한이 있으며, 직업적으로 폐쇄적인 사회적 계층화가 존재했다는 점을 인정한다. 일부는 이를 경제적으로 폐쇄적이고, 혼인 제한이 있으며, 직업적 소수 민족이 있는 계급 제도로 분류하는 반면,[64][65] 데이비드 토드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 제도를 카스트 기반으로 명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6][67][68]
3. 2. 가족과 결혼
암하라족의 가정생활에서는 모든 특권과 권한이 가장에게 주어진다. 상속은 부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결혼한 부부는 보통 남편 가족의 집과 가까운 곳에서 산다. 암하라족의 결혼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하는 쿠르반
- 가장 보편적인 결혼 형태인 세미아나 (종교 의식에 따르지 않고 하는 결혼)
- 다모즈 (돈을 주고 하는 일시적인 결혼)
초혼은 모두 부모가 정한다. 세미아나나 다모즈 결혼은 60~90%가 이혼으로 끝나지만, 신 앞에서 성스럽게 맺은 쿠르반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우자 한쪽이 죽은 뒤에 다른 한쪽이 재혼할 수 없다. 남편이 죽은 뒤에도 배우자는 재혼하지 못한다.
암하라 문화는 혈족 관계를 인정하지만,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다른 민족 집단과 달리 그 역할이 상대적으로 작다. 가족 내 관계가 가장 중요하며, 암하라 사회의 주요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기능은 혈족 관계에 기반하지 않는다. 오히려 개인의 능력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도널드 레빈(Donald Levine)은 암하라 사회에서 성직자의 영향력이 "의례적 순결, 교리적 지식, 기적을 행할 능력, 도덕적 지침을 제공할 능력"에 기반해 왔다고 말한다.[16] 암하라 문화의 사회적 관계는 주로 계층적 패턴과 개인주의적 연합에 기반한다.[16]
가족과 친척들은 종종 '세마냐(semanya)'(80일 계약 결혼, '칼 키단(kal kidan)'이라고도 함)를 주선하는데, 이는 가장 흔한 형태의 결혼이며 이혼이 허용된다.[100] 교회에서 성사되며 이혼이 금지되는 '쿠르반(qurban)'은 주로 정교회 사제들 사이에서 행해진다.[101][102] 부계 혈통이 일반적이다.[101] 아내는 상속권이 없었지만, 임시 결혼인 '다모즈(damoz)' 기간 동안 아이가 생긴 경우, 그 아이는 아버지 재산의 일부를 청구할 수 있었다.[102][103]
3. 3. 종교
수 세기 동안, 암하라인의 주요 종교는 기독교였으며, 에티오피아 정교회 테와헤도 교회는 국가 문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마라 주 인구의 82.5%가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였고, 17.2%가 무슬림, 0.2%가 개신교(펜타이 참조), 0.5%가 유대인(베타 이스라엘 참조)이었다.[74]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부활절과 주현절은 예배, 축제, 춤으로 기념되는 가장 중요한 축제이다. 또한 일 년 내내 많은 축제일이 있으며, 이때는 채소나 생선만 먹을 수 있다.
결혼은 종종 중매결혼이며, 남성들은 늦어도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결혼한다.[75] 전통적으로 소녀들은 14세에 결혼했지만, 20세기에 최소 결혼 연령이 18세로 상향 조정되었고, 이는 제국 정부에 의해 시행되었다. 교회 결혼식 후에는 이혼이 좋지 않게 여겨진다.[75] 각 가족은 결혼식 후 별도의 결혼 축하연을 개최한다.
출산 시, 사제가 가족을 방문하여 아기를 축복한다. 산모와 아이는 신체적, 정서적 건강을 위해 출산 후 40일 동안 집에 머문다. 아기는 (남자아이는 40일, 여자아이는 80일)에 세례를 받기 위해 교회로 데려간다.[76]
4세기 중엽에 콥트파 기독교가 전래되어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형성되었다. 이후, 암하라인 대부분은 현재에도 에티오피아 정교회 신자이다.
3. 4. 언어
암하라족은 암하라어(''아마리냐'', ''아마리나'')를 모어로 사용한다. 에티오피아 인구의 29.3%가 암하라어를 사용한다.[69] 암하라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셈어 계열에 속하며, 에티오피아 셈어 그룹 중 가장 큰 언어이다.[70]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5,7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으며(모어 사용자 3,234만 5,260명 + 제2언어 사용자 2,510만 명),[14] 모어 및 제2언어 사용자 수를 기준으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아랍어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셈어이다.에티오피아와 이스라엘의 많은 에티오피아 유대인 공동체는 암하라어를 사용한다.[71] 많은 라스타파리 운동 신자들은 암하라어를 신성한 언어로 여겨 제2언어로 배우고 있다.[72]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 연방 정부의 공용어이며, 에티오피아의 5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한때 초등학교 교육의 유일한 언어이기도 했지만, 많은 지역에서 오로모어와 티그리냐어와 같은 지역 언어로 대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하라어는 여전히 암하라 주, 베니샹굴-구무즈 주, 감벨라 주 및 남부 민족, 국민, 인민 주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73] 암하라어는 게에즈 문자에서 약간 수정된 문자(Fidal)를 사용하여 표기되는데, 이는 아부기다이다.
3. 5. 음식
암하라 요리는 다양한 채소 또는 매운 고기 반찬과 메인 요리로 구성되며, 보통 왓(wat)이라고 하는 걸쭉한 스튜를 인제라 위에 얹어 먹는다. 인제라는 테프 가루로 만든 지름 30~45cm 정도의 큰 사워도우 플랫브레드(팬케이크 모양)이다. 전통적인 인제라 요리를 여러 명이 함께 먹을 때는 보통 메소브(공동 식기 바구니)에서 먹는데, 각자 오른손만 사용하여 가까운 쪽의 인제라를 떼어내 중앙에 있는 스튜에 찍어 먹는다. 렌틸콩, 껍질을 벗긴 완두콩 가루, 곡물 등 다양한 채식 스튜도 있으며, 인제라 및/또는 빵과 함께 제공된다.[104][105]아브라함계 종교를 믿는 암하라인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돼지고기와 모든 종류의 조개류를 먹지 않는다. 암하라 정교회 기독교인들은 부활절과 성령강림절 사이의 50일을 제외하고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에 고기와 유제품(달걀, 버터, 우유, 치즈 등)을 섭취하지 않는다. 다른 날에는 고기와 유제품을 먹을 수 있다. 금식 기간에는 다양한 채식 요리가 제공된다.[104][105]
에티오피아는 부나 수출국이지만 국내 소비자 기반도 매우 크다. 사교 모임에서 암하라인들은 커피 의식이라고 알려진 독특하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부나를 마신다. 먼저 커피를 볶은 다음 갈아서 제베나(커피 포트)에 끓는 물과 함께 넣는다. 준비가 되면 작은 잔에 세 번까지 따라서 사람들에게 제공한다.[104][105]
이 의식은 일반적으로 집안 여자 또는 여자 주인이 행하며 영광으로 여겨진다. 암하라 여성들은 이 행사를 위해 전통 의상인 케미스를 차려 입는다. 그 외에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음료로는 텔라(맥주)와 테지(꿀 와인)가 있으며, 주요 종교 축제, 성인의 날 및 결혼식에서 제공되고 마신다.[104][105]

다양한 채소, 페타 치즈, 빵과 함께 제공되는 콩 요리이며, 베르베레 향신료와 올리브 오일로 맛을 냅니다.
암하라인은 전통적으로 고원 지대에서 밭농사를 짓는 농민이며, 현재도 90% 이상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식은 테프라는 곡물로 만든 인제라이다. 암하라인은 인제라를 매우 좋아하여 다른 곡물이 들어와도 수확량이 적은 테프의 재배를 멈추지 않았다. 암하라 문화의 확산으로 현재 인제라는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먹고 있다. 또한, 소, 말, 염소, 당나귀와 같은 가축도 사육하며, 보리, 밀, 옥수수도 재배한다.
4. 논란과 쟁점
암하라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란과 쟁점이 존재한다.
- 암하라족 정체성 논쟁: 암하라족이 단일 민족 집단인지, 아니면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집단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암하라족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가졌다고 보지만,[108] 다른 학자들은 공통 조상, 영토, 종교 등 객관적인 민족 표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113]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암하라'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민족 명칭이 되었다는 연구도 있다.[114]
- 암하라족의 지배적 역할과 소수 민족 문제: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역사에서 오랫동안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이는 소수 민족과의 관계에서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 1991년 군사 정권 붕괴 이후에도 암하라어는 공용어로 남아있고, 암하라 문화는 널리 퍼져 있다. 2020년 티그라이 분쟁 중에는 암하라족이 집중 공격 대상이 되기도 했다.[150]
- 암하라 민족주의와 에티오피아 국가 정체성: 암하라 민족주의는 에티오피아 국가 정체성과 복잡하게 얽혀 있다. 2000년대 이후, 특히 티그라이 전쟁을 거치면서 암하라 민족주의가 확산되었고, 파노와 같은 민병대가 조직되기도 했다. 이는 오로모 해방군 등 다른 민족주의 단체와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4. 1. 암하라족 정체성 논쟁
에티오피아의 30%를 차지하는 암하라족은 아랍인에게 '''아비시니아족'''으로 불린다.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는 서로 다르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비잔틴 교회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암하라족은 오랫동안 지배 민족으로 살아왔기 때문에 암하라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남부에서 홍해를 건너온 셈족 정복자의 후손으로, 쿠시족과 융합하여 악숨 왕국을 세웠다.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셈어파의 남부 언어로, 구라게어, 아르고바어 등과 함께 분류된다.[25][26][27]
암하라족 정체성에 대한 논쟁은 여러 관점에서 제기된다.
- 마코넨 마이클(2008)은 암하라 정체성이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다는 주장과, 이를 거부하고 독립적인 민족 집단으로 존재한다는 주장이 있다고 언급했다.[106]
- 기드온 P.E. 코헨(2000)은 암하라가 에티오피아 전역에 분포하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개인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고려할 때, 민족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고 말했다.[108]
- 지그프리드 파우젠왕(2005)은 제국 확장 이후 북부 암하라 문화로의 동화로 인해, 현대 에티오피아에서 암하라라는 용어가 농민인 암하라 민족 집단과 암하라어를 공통 언어로 채택한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도시 사람들의 혼합 집단을 구분한다고 결론지었다.[110]
- 솔로몬 가쇼는 대부분의 암하라어 사용자들이 출생지를 기준으로 자신을 확인하며, "암하라의 지배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암하라어를 사용하는 다민족 집단의 언어적, 문화적 지배"라고 답했다.[112]
- 테게네 테카(1998)는 암하라인이 공통 조상, 영토, 종교 등 객관적인 민족 표식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암하라 정체성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113]
- 인류학자 도널드 레빈(2003)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암하라]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민족 명칭이 되었다고 언급했다.[114]
- 타켈레 타데세는 암하라어 사용자들이 "융합된 집단"으로 구성된 "초민족 집단"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115]
- 17세기 아비시니아 여행가 아바 고르고리오스는 히오브 루돌프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혈통이 존경받는 부족인 베테 아므하라 출신이라고 밝혔다.[116]
- 1898년 루돌프 호 근처에서 러시아 장교 알렉산더 불라토비치는 투르카나족과 웰데 기요르기스 아보예의 부대 사이의 대화를 기록했는데, 여기서 암하라 부대는 자신들을 메넬리크 2세의 백성이라고 밝혔다.[117]
- 졸라 모게스는 2018년 암하라 민족운동의 설립과 2010년대 파노 민족 민병대의 부상과 함께 암하라 민족주의와 민족 의식이 등장했다고 언급한다.[118]
- 아마누엘 테스파예는 젊은 세대가 암하라 정체성을 선언하고 정치적으로 조직하는 데 문제가 없지만, 나이든 암하라 인구는 범에티오피아 민족주의를 선호한다고 썼다.[119]
티그라이 전쟁 당시 금기시되었던 아마라 민족주의가 확산되었다. 아마라족과 아게우족 민간인들은 (TPLF) 반군으로부터 지역을 방어하고, 웰카이트-테게데와 라야 아제보 지역을 되찾기 위해 무기를 들었다. 월로, 고잠, 곤다르, 셰와 출신의 연합 민병대는 파노라는 이름으로 하나가 되었다.
티그라이 전쟁 이후 에티오피아 국방군과 아마라 파노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2023년 4월 아마라 전쟁이 시작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오로모 해방군과 연계된 오로모 민족주의 단체들이 오로미아에서 아마라 여성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벌인 공격은 아마라 지역 전역에 분노를 야기했고, 더 많은 아마라 사람들이 아마라 민족주의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4. 2. 암하라족의 지배적 역할과 소수 민족 문제
암하라족은 현재 에티오피아 인구의 30%를 차지하며, 오랫동안 지배 민족으로 군림해왔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남부에서 홍해를 건너와 쿠시족과 융합하여 악숨 왕국을 건설하는 등 정치, 문화적 우위를 확립했다.[106] 1270년부터 1974년까지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의 지배 민족이었으며, 19세기 중반까지 영토 분쟁과 부족 간 대립을 겪기도 했다.[107]암하라족의 사회 구조는 주인과 예속인, 상급자와 하급자 간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토지 소유 여부가 지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대지주와 귀족은 고대 암하라족과 티그레족의 봉건 전사 계급을 유지하는 계층이었고, 황제를 위한 군 복무의 대가로 토지를 받았다.
그러나 암하라족이 단일한 민족 집단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일부는 암하라 정체성이 여러 민족으로 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이들은 독립적인 민족 집단으로서 암하라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108][109]
메넬리크 2세의 확장 이후, 많은 사람들이 북부 암하라 문화에 동화되면서, "암하라"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두 집단을 가리키게 되었다. 하나는 농민 중심의 암하라 민족 집단이고, 다른 하나는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도시인들의 혼합 집단이다.[110]
일부 학자들은 암하라족이 공통 조상, 영토, 종교 등 객관적인 민족 표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며, 암하라족을 민족 집단으로 보기 어렵다고 본다.[113] 그러나 암하라 정체성이 존재한다는 주장도 있다.[113]
인류학자 도널드 레빈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암하라"라는 용어가 일반적인 민족 명칭이 되었다고 언급하면서도, 암하라어를 사용하는 샤완 사람들이 다른 지역의 암하라어 사용자들보다 암하라어를 사용하지 않는 샤완 사람들에게 더 가깝다고 느낀다고 지적했다.[114]
티그라이 전쟁을 거치면서, 금기시되었던 아마라 민족주의가 확산되었다. 아마라족과 아게우족 민간인들은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으로부터 지역을 방어하고, TPLF에 의해 강제 병합되었던 웰카이트와 라야 아제보 지역을 되찾기 위해 무기를 들었다. 여러 지역 출신의 민병대는 파노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전쟁 이후 에티오피아 국방군이 파노의 무장 해제를 강요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고, 2023년 아마라 전쟁이 발발했다. 또한, 오로모 해방군과 연계된 오로모 민족주의 단체들이 오로미아 지역에서 아마라족을 대상으로 공격을 벌이면서, 아마라 민족주의가 더욱 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1991년 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 군사 정권 붕괴 이전까지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제국의 건국 시대부터 지배 계급을 배출해왔다. 현재에도 에티오피아의 공용어는 암하라어이며, 암하라 문화는 에티오피아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 1995년 민족별 주 재편성 이후, 암하라족은 암하라 주에 거주하지만, 제국 시대 지배 계급으로서 에티오피아 전역에 흩어져 살고 있다.
2020년 티그라이 분쟁 중에는 암하라족이 집중적으로 공격받아 학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150]
4. 3. 암하라 민족주의와 에티오피아 국가 정체성
암하라족은 현재 에티오피아 인구의 약 30%를 차지하며, 오로모족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 아랍인들은 이들을 '''아비시니아족'''이라고 불렀다. 암하라어와 티그리냐어는 서로 다르지만, 에티오피아 정교회와 관련이 있으며, 비잔틴 교회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암하라족은 오랫동안 지배 민족이었기 때문에 암하라어가 공용어가 되었다. 이들은 기원전 6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남부에서 홍해를 건너와 쿠시족과 융합하여 악숨 왕국을 세운 셈족 정복자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암하라족이 에티오피아의 지배 계층으로 오랫동안 군림하면서, 암하라 민족주의는 에티오피아 국가 정체성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암하라 정체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2000년대 이후 암하라 민족주의는 더욱 뚜렷해졌다. 특히 2010년대 파노 민족 민병대의 부상과 2018년 암하라 민족운동의 설립은 이러한 경향을 보여준다.[118]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암하라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119]
티그라이 전쟁 (2020-2022) 동안 암하라 민족주의는 더욱 확산되었다. 암하라족 민간인들은 (TPLF)으로부터 지역을 방어하고, 웰카이트와 라야 아제보 지역을 되찾기 위해 무장했다. 월로 주, 고잠, 곤다르, 셰와 출신의 민병대는 파노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전쟁 이후 에티오피아 국방군과 파노 간의 갈등은 2023년 아마라 전쟁으로 이어졌다.
지난 10년 동안 오로모 해방군과 연계된 오로모 민족주의 단체들이 오로미아에서 암하라족을 대상으로 벌인 공격은 암하라 민족주의 확산의 또 다른 원인이 되었다.
1995년 에티오피아는 민족별로 주가 재편성되었고, 암하라족에게는 암하라 주가 할당되었다. 그러나 암하라족은 에티오피아 제국 시대부터 전역에 흩어져 살았기 때문에, 다른 주에도 상당수의 암하라족이 거주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anguages spoken in American Households, 2020.
https://data.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
웹사이트
Statistics Canada 2021
https://www150.statc[...]
Government of Canada
2024-06-22
[3]
웹사이트
https://www.ethnolog[...]
2016-11-30
[4]
간행물
The People of Australia Statistics from the 2011 Census
https://www.border.g[...]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16-11-30
[5]
웹사이트
Kieli sukupuolen mukaan maakunnittain ja kunnittain 1990 - 2017
http://pxnet2.stat.f[...]
2019-01-24
[6]
웹사이트
All Ethiopian Jews must be brought home to Israel
https://www.jpost.co[...]
2021-11-18
[7]
서적
Institutional Change in the Horn of Africa: The Allocation of Property Right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8]
기타
Following the BGN/PCGN romanization employed for Amharic geographic names in British and American English.
[9]
서적
Ethiopia in Change
https://books.google[...]
British Academic Press
1994-10-15
[10]
간행물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4-10-29
[11]
간행물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2009–2013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6-11-30
[12]
서적
The Peoples of Af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13]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eb.archive.[...]
2021-04-12
[14]
웹사이트
Amharic
https://www.ethnolog[...]
[15]
서적
Understanding contemporary Ethiopia
Hurst & Company
2015
[16]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6-12-28
[17]
서적
Language in Ethiop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Rebels and Separatists in Ethiopia: Regional Resistance to a Marxist Regime
https://books.google[...]
Rand
[19]
논문
"Unconventional Canadians": Second-generation "Habesha" Youth and Belonging in Toronto, Canada
[20]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1]
서적
Wax & gold : tradition and innovation in Ethiopian culture.
1965
[22]
서적
IL SULTANATO DELLO SCIOA NEL SECOLO XIII
[23]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Clarendon Press
[24]
서적
The Life of Takla Haymanot in the Version of Dabra Libanos and the Miracles of Takla Haymanot in the Version of Dabra Libanos, and the Book of the Riches of Kings
[25]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An International Handbook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
[26]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Routledge
[27]
서적
Ethiopian Semitic: Studies in Classif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c. 500 B.C. to A.D. 10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29]
서적
Ethiopian Semitic: Studies in Classif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0]
백과사전
Amharic: History and dialectology of Amharic
[31]
서적
Semitic languages in contact
https://books.google[...]
Brill
2015
[32]
웹사이트
Amhara Definition, History, & Cultur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19
[33]
서적
Ethiopian Semitic: Studies in Classif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Origin of Amharic
The Red Sea Press
[35]
서적
Understanding Contemporary Ethiopia: Monarchy, Revolution and the Legacy of Meles Zenawi
C. Hurst & Co.
2015
[36]
서적
Ethiopian Semitic: Studies in Classif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Origin of Amharic
The Red Sea Press
[38]
서적
Semitic languages in contact
https://books.google[...]
Brill
2015
[39]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1270-1527
Clarendon Press
[40]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Harrassowitz Verlag
[41]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Volume I (Routledge Revivals): Nubia and Abyssin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42]
서적
Church and State in Ethiopia
Clarendon Press
[43]
학술지
Le lion de Kombolcha et le léopard d'Aksum : des félins rupestres paléochrétiens ?
https://www.research[...]
2011-01
[44]
서적
Ethiopia
Bradt Travel Guides
[45]
학술지
A Short History of the Argobba
https://www.persee.f[...]
2000
[46]
학술지
Rise and Fall of Axum, Ethiopia: A Geo-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1981
[4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From c. 500 B.C. to A.D. 10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48]
서적
The Origin of Amharic
The Red Sea Press
2014
[49]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50]
서적
The Oromo of Ethiopia
[51]
서적
The Origin of Amharic
The Red Sea Press
2014
[52]
학술지
Fear God, Honor the King: The Use of Biblical Allusions in Ethiopian Historical Literature, Part I
1986
[53]
백과사전
Zagwe dynasty | Solomonic dynasty, Lalibela, Axumite Empir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54]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55]
서적
Islam: Yesterday and Today translated by Emran Waber
https://drive.google[...]
Istituto Per L'Oriente
[56]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57]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58]
서적
Social stratification in Africa
https://books.google[...]
New York: The Free Press
[59]
서적
Revolutionary Ethiopia: from empire to people's republic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60]
서적
Ethiopia: the era of the princes: the challenge of Islam and re-unification of the Christian Empire, 1769–1855
https://books.google[...]
Praeger
[61]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2]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thiopian Studi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64]
서적
The Making of Modern Ethiopia: 1896–1974
https://books.google[...]
The Red Sea Press
[65]
학술지
The status of craftsmen among the Konso of south-west Ethiop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6]
학술지
Caste i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Greater Ethiopia: The Evolution of a Multiethnic Socie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8]
서적
The Archaeolog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69]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7 Report, National
http://catalog.ihsn.[...]
Central Statistical Agency
2016-12-13
[70]
웹사이트
Amharic language
http://www.ethnologu[...]
Ethnologue
1999-02-19
[71]
서적
Languages in Jewish Communities, Past and Present
Walter De Gruyter
[72]
웹사이트
Bernard Collins (The Abyssinians) Interview
http://www.reggae.be[...]
Jah Rebel
2011-11-04
[73]
서적
Native Peoples of the World
Sharpe Reference, an imprint of M.E. Sharpe, Inc.
[74]
웹사이트
FDRE States: Basic Information – Amhara
http://www.ethiopar.[...]
2006-03-26
[75]
웹사이트
African Marriage ritual
http://www.africanma[...]
2011-02-09
[76]
서적
The World and Its Peoples: Africa, North and East, Part 2, Volume 23
https://books.google[...]
Greystone Press
1967
[77]
웹사이트
Amharic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4-03-07
[78]
서적
A New History of Ethiopia. Being a Full and Accurate Description of the Kingdom of Abyssinia, Vulgarly, Though Erroneously Called the Empire of Prester John.
Samuel Smith Booksellers
[79]
서적
"Gorgoryos"
Harrassowitz
[80]
서적
Lexicon Grammaticorum: A bio-bibliographical companion to the history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9-06-02
[81]
서적
"Afäwarq Gäbrä Iyäsus"
Harrassowitz Verlag
[82]
서적
African Theatre Histories 1850-1950
https://www.cambridg[...]
Boydell & Brewer
2010
[83]
논문
The Origin and Development Amharic Literatuhe
http://etd.aau.edu.e[...]
Addis Ababa University
1981-05
[84]
서적
[85]
학술지
Investigating qәñәt in Amhara secular music: An acoustic and historical study
https://www.persee.f[...]
[86]
학술지
The "Azmari", Poet-Musician of Ethiopia
1975-01
[87]
서적
Ethiopia: history, culture and challeng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17
[88]
CiteSeerX
FNRS-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
[89]
웹사이트
Kay Kaufman Shelemay-Ethiopia: Empire and Revolution
http://www.afropop.o[...]
[90]
뉴스
Samuel Yirga Ushers in a Golden Age of Ethiopian Music
https://www.npr.org/[...]
[91]
웹사이트
How Ethiopian jazz got its unique sound
https://exploreparts[...]
2018-07-18
[92]
서적
Proceedings of the XV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Hamburg, July 20-25, 2003
Harrassowitz
2006
[93]
웹사이트
Getatchew Mekuria, leeuw der leeuwen
https://writteninmus[...]
[94]
서적
Sing and Sing On: Sentinel Musicians and the Making of the Ethiopian American Diaspora
[95]
웹사이트
Line-up
https://www.leguessw[...]
[96]
웹사이트
Continuity and change: Some aspects of Ethiopian music in Australia
https://minerva-acce[...]
[97]
웹사이트
Ethiopian Music | Brilliant Ethiopia
https://www.brillian[...]
[98]
서적
Music and messaging in the African political arena
IGI Global
2019
[99]
웹사이트
Teddy Afro bashes government with a critical new single
https://addiszeybe.c[...]
2022-06-23
[100]
서적
Ethnographic Survey of Africa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101]
웹사이트
Amhara peopl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102]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s: Africa and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G.K. Hall
[103]
학술지
Amhara Marriage: The Stability of Divorce
Wiley-Blackwell
[104]
웹사이트
Ethiopian Treasures- Culture
http://www.ethiopian[...]
[105]
서적
Food Cultures of the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06]
논문
Who is Amhara?
[107]
논문
Who is Amhara?
https://www.tandfonl[...]
2021-06-28
[108]
논문
Language and Ethnic Boundaries: Perceptions of Identity Expressed through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Language Education in Southern Ethiopia
[109]
논문
Amhara nationalism: The empire strikes back
[110]
논문
The two-faced Amhara identity
[111]
논문
Ethnicity as a Hindrance for Understanding Ethiopian History: An Argument Against an Ethnic Late Nineteenth Century
[112]
서적
The Rising Tide of Cultural Pluralism: The Nation-State at Ba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3]
서적
Ethnicity and the State in Eastern Africa
Nordiska Afrikaininstutet
[114]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A-C
[115]
서적
New Trends in Ethiopian Studies: Paper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Ethiopian Studies
Red Sea Press
[116]
서적
Travelers in Ethiopia
[117]
서적
Ethiopia Through Russian Eyes Country in Transition, 1896-1898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2000
[118]
뉴스
Shaping Amhara nationalism for a better Ethiopia
https://www.ethiopia[...]
Ethiopia Insight
2020-11-28
[119]
뉴스
Commentary: The Birth of Amhara Nationalism: Causes, Aspirations, and Potential Impacts
https://addisstandar[...]
2021-06-25
[120]
논문
Early Back-to-Africa Migration into the Horn of Africa
2014-06-12
[121]
논문
Ancient west Eurasian ancestry in southern and eastern Africa
2014-02-18
[122]
웹사이트
The Heights We Go To
https://www.archaeol[...]
2023-10-28
[123]
웹사이트
How the Amhara Breathe Differently Razib Khan
https://www.discover[...]
2023-10-28
[124]
논문
Ethiopians and Khoisan Share the Deepest Clades of the Human Y-Chromosome Phylogeny
2002-01-01
[125]
논문
Phylogeographic Analysis of Haplogroup E3b (E-M215) Y Chromosomes Reveals Multiple Migratory Events Within and Out Of Africa
http://www.familytre[...]
[126]
논문
Origin, Diffusion, and Differentiation of Y-Chromosome Haplogroups E and J: Inferences on the Neolithization of Europe and Later Migratory Events in the Mediterranean Area
2004-05-01
[127]
서적
Abyssinia's Samuel Johnson: Ethiopian Thought in the Making of an English Author
2012
[128]
서적
Barefoot Runner: The Life of Marathon Champion Abebe Bikila
Serpent's Tail
[129]
서적
Identity Jilted, Or, Re-imagining Identity?: The Divergent Paths of the Eritrean and Tigrayan Nationalist Struggles
1998
[130]
웹사이트
Amhara Contributions to Ethiopian Civilization
http://www.ethiopian[...]
2020-12-13
[131]
뉴스
Asrat Woldeyes
https://www.theguard[...]
2015-02-09
[132]
웹사이트
Belay Zeleke
http://www.ethiopian[...]
2015-02-09
[133]
웹사이트
Lebna Dengel – Ethiopian Ruler
http://epicworldhist[...]
[134]
서적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5-06-18
[135]
서적
Histoire générale de l'Afrique noire de Madagascar et de ses archipels Tome I : Des origines à 1800
P.U.F Paris
[136]
웹사이트
Gelila Bekele – Ethiopia – Interview with Model Gelila Bekele
http://www.amharictu[...]
2017-01-06
[137]
웹사이트
Model Gelila Bekele Interview ( VIDEO) in Amharic - Ethiopiaforums.com
http://ethiopiaforum[...]
2010-11-11
[138]
웹사이트
Senamirmir Projects: Interview with Dr. Getatchew Haile
http://www.senamirmi[...]
2015-02-09
[139]
서적
"Intellectual Outlook of Kebede Michael"
2015
[140]
서적
Peace and War: Cross-Cultural Perspectives
https://archive.org/[...]
1986
[141]
서적
Jazz Transatlantic
2017
[142]
서적
Travels to Discover the Source of the Nile
1805
[143]
서적
Islam in Ethiopia
Geoffrey Cumberlege for the University Press
1952
[144]
서적
Be Not Thy Father's Son
2011
[145]
서적
Vitae Sanctorum Indigenarum: I Acta S. Walatta Petros, Ii Miracula S. Zara-Baruk
L. Durbecq
1954
[146]
서적
Peasant Revolution in Ethiopia: The Tigray People's Liberation Front, 1975–1991
1997
[147]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 Company
2006
[14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Ethiopia
Scarecrow Press
2013
[149]
서적
The Falashas: A Short History of the Ethiopian Jews
https://archive.org/[...]
Frank Cass
1996
[150]
웹사이트
エチオピア虐殺、連邦政府側も? 食い違う証言 報復連鎖で紛争悪化の恐れ
https://www.afpbb.co[...]
AFP
2020-12-30
[151]
웹인용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4-10-29
[152]
서적
Ethiopia in Change
https://books.google[...]
British Academic Press
1994-10-15
[153]
뉴스
One to five: Ethiopia gets four new federal working languages
https://www.africane[...]
2021-06-01
[154]
간행물
Detailed Languages Spoken at Home and Ability to Speak English for the Population 5 Years and Over: 2009–2013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6-11-30
[155]
서적
The Peoples of Afric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