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봉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봉승은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영화 각색가, 영화 기획가, 영화감독, 극작가, 수필가, 대중음악 작사가이다.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57년 시인으로 등단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역사 관련 저서와 드라마 각본 집필에 두각을 나타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 드라마 《수사반장》, 《한명회》, 《장희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대학교 동문 - 안혜경
안혜경은 2004년 방송 데뷔 후 다양한 프로그램 MC와 드라마, 영화, 연극 출연을 통해 방송인과 배우로 활동하며 2023년 SBS 연예대상 센추리클럽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연예인이다. - 강릉대학교 동문 - 서영은 (소설가)
서영은은 1969년 등단하여 자아 갈등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리얼리즘 소설가로 평가받으며, 이상문학상과 연암문학상을 수상했고 소설가 김동리와 결혼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영월 신씨 - 신기남
신기남은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5, 16, 17,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열린우리당 의장,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소설가로도 데뷔했다. - 영월 신씨 - 신건 (법조인)
신건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국가정보원장을 거쳐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민간인 불법사찰 문제를 제기하다가 2015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유승희
유승희는 광명시의원으로 정계 입문 후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민주통합당 소속 서울 성북구 갑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여성 정치 참여 확대, 서민 경제 활성화,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활동과 법안 발의 및 정책 연구에 참여했으며, 기초의원 여성 공천 할당, 미군 기지촌 여성 문제 공론화 등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교수 - 한송
한송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코네티컷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 학장, 총장을 역임하며 대학 행정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치의학자이다.
신봉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봉승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강원도 명주군 옥계면 현내리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직업 | 시인 문학평론가 소설가 역사가 대중음악 작사가 영화감독 영화 기획가 영화 각본가 극작가 수필가 문학 교육가 대학 교수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경희대학교 대학원 문학 석사 |
종교 | 불교 |
필명 | 아호(雅號)는 초당(艸堂)·취영(翠影)·한월당(閑月堂) |
활동 기간 | 1957년~2016년 |
장르 | 소설 역사극문학 시문학 희곡 문학평론 영화감독 시나리오 수필 |
배우자 | 남옥각(南玉珏) |
자녀 | 1남 2녀 |
웹사이트 | 문학과 역사의 만남 艸堂 신봉승 先生 문학관 |
경력 | |
주요 경력 | 한국사극문학박물관 이사장 세종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교수 동국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객원교수 경희대 국어국문학과 객원교수 강릉대 국어교육학과 특임강사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특임강사 추계예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석좌교수 |
2. 학력
3. 주요 경력
연도 | 내용 |
---|---|
1957년 | 시인으로 등단 |
1960년 | 문학평론가로 등단 |
1963년 | 소설가로 등단 |
영화 《두고 온 산하》 시나리오 작가 데뷔 | |
영화 《사랑은 주는 것》 영화 각색가 데뷔 | |
1964년 | 최희준의 《월급봉투》 작사, 대중음악 작사가 데뷔 |
1970년 | 영화 《Expo 70 동경 작전》 영화 기획가 데뷔 |
영화 《해변의 정사》 영화감독 데뷔 | |
1971년 | 극작가로 등단 |
1973년 | 수필가로 등단 |
4. 작품 활동
신봉승은 영화, 드라마, 저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국 역사와 사회를 깊이 있게 다룬 작가이다.
=== 영화 각본 ===
=== 드라마 ===
- 1971년 《수사반장》[2]
- 1973년 《113 수사본부》
- 1976년 《꽃사슴》
- 1977년 《타국》
- 1977년 《옥녀》
- 1978년 《연지》
- 1979년 《하얀 민들레》
- 1979년 《안국동 아씨》
- 1980년 《석유》
- 1980년 《고운님 여의옵고》
- 1980년 《간양록》
- 1980년 《고독한 영웅》
- 1981년 《교동 마님》
- 1982년 《풍운》
-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 추동궁 마마》
-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 뿌리깊은 나무》
- 1984년 《동토의 왕국》
- 1984년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 풍란》
-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 임진왜란》
- 1986년 《조선왕조 오백년 - 회천문》
- 1986년 《조선왕조 오백년 - 남한산성》
- 1988년 《조선왕조 오백년 - 인현왕후》
- 1988년 《조선왕조 오백년 - 한중록》
- 1989년 《조선왕조 오백년 - 파문》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
- 1991년 《유심초》
- 1994년 《한명회》
- 1995년 《찬란한 여명》
- 2002년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
- 2003년 《장희빈》
=== 드라마 원작 ===
=== 저서 ===
- 《조선왕조오백년》
- 1996년, 《신봉승의 조선사 나들이》
- 1998년, 《역사 그리고 도전》
- 2006년, 《조선의 마음》
- 2006년, 《나라를 세웠으면 역사를 고쳐야지 : 흐름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 2007년, 《일본을 답하다》
- 2009년, 《조선도 몰랐던 조선》
- 2009년, 《조선 지식인의 리더십 : 신봉승의 한국사 바로 읽기》
- 2009년, 《조선 정치의 꽃, 정쟁》
- 2010년, 《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 2011년, 《역사란 무엇인가 : 신봉승의 역사 바로 읽기》
- 2011년, 《국가란 무엇인가 : 신봉승의 한국형 리더십 강의》
- 2012년, 《세종,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다》
4. 1. 저서
- 《조선왕조오백년》
- 1996년, 《신봉승의 조선사 나들이》
- 1998년, 《역사 그리고 도전》
- 2006년, 《조선의 마음》
- 2006년, 《나라를 세웠으면 역사를 고쳐야지 : 흐름으로 읽는 조선의 역사》
- 2007년, 《일본을 답하다》
- 2009년, 《조선도 몰랐던 조선》
- 2009년, 《조선 지식인의 리더십 : 신봉승의 한국사 바로 읽기》
- 2009년, 《조선 정치의 꽃, 정쟁》
- 2010년, 《문묘 18현 : 조선 선비의 거울》
- 2011년, 《역사란 무엇인가 : 신봉승의 역사 바로 읽기》
- 2011년, 《국가란 무엇인가 : 신봉승의 한국형 리더십 강의》
- 2012년, 《세종, 대한민국 대통령이 되다》
4. 2. 영화 각본
4. 3. 드라마
- 1971년 《수사반장》[2]
- 1973년 《113 수사본부》
- 1976년 《꽃사슴》
- 1977년 《타국》
- 1977년 《옥녀》
- 1978년 《연지》
- 1979년 《하얀 민들레》
- 1979년 《안국동 아씨》
- 1980년 《석유》
- 1980년 《고운님 여의옵고》
- 1980년 《간양록》
- 1980년 《고독한 영웅》
- 1981년 《교동 마님》
- 1982년 《풍운》
-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 추동궁 마마》
- 1983년 《조선왕조 오백년 - 뿌리깊은 나무》
- 1984년 《동토의 왕국》
- 1984년 《조선왕조 오백년 - 설중매》
-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 풍란》
- 1985년 《조선왕조 오백년 - 임진왜란》: 임진왜란을 다루면서 이순신 장군뿐만 아니라 민중들의 항쟁을 함께 조명하여 민족의 저력을 보여주었다.
- 1986년 《조선왕조 오백년 - 회천문》
- 1986년 《조선왕조 오백년 - 남한산성》
- 1988년 《조선왕조 오백년 - 인현왕후》
- 1988년 《조선왕조 오백년 - 한중록》
- 1989년 《조선왕조 오백년 - 파문》
- 1990년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쇄국정책을 균형 있게 다루면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조선이 처한 어려움을 보여주었다.
- 1991년 《유심초》
- 1994년 《한명회》: 한명회의 부정적인 면모와 함께 그의 정치적 업적을 객관적으로 조명하려 했다.
- 1995년 《찬란한 여명》
- 2002년 《너희가 나라를 아느냐》
- 2003년 《장희빈》: 장희빈을 단순한 악녀가 아닌, 시대적 상황과 권력 투쟁의 희생양으로 묘사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4. 4. 드라마 원작
2004년 이환경이 극본을 쓴 영웅시대는 한국 경제 발전 주역들의 이야기를 다루면서, 개발 시대의 명암을 함께 보여주었다.참조
[1]
뉴스
辛奉承씨 日영화臺本쓴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8-05-03
[2]
문서
제2대 집필 작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