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익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익성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선조의 딸 정숙옹주와 혼인하여 동양위에 봉해졌다. 광해군 때 폐모론을 반대하고,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서 척화론을 주장하며 주화파 대신들을 비판했다. 시론을 주도했다는 이유로 김상헌, 최명길 등과 함께 선양으로 잡혀갔으나 소현세자의 덕으로 풀려났다. 효성이 지극하고 글과 글씨에 능했으며, 저서로 《낙전당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8년 출생 - 로버트 필머
로버트 필머는 17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로, 아담으로부터 시작된 가부장적 권위의 계승으로 왕권을 옹호하는 왕권신수설을 주장하여 당대 정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588년 출생 - 레 경종
레 경종은 1599년부터 1619년까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황제였으며, 권신 찐뚱에 의해 허수아비 황제 역할을 하다가 찐뚱 암살 시도 실패 후 협박으로 자결했으며, 사후 묘호를 받지 못했으나 아들 대에 묘호가 추존되었다. - 조선의 부마 - 윤사로
윤사로는 세조의 계유정난 공신으로 의정부 좌찬성 등 요직을 역임하며 세조 정권에 기여하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는 등 권력층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조선왕조실록에 영민함과 청렴함이 기록됨과 동시에 재산 축적에 대한 비판도 함께 제시된 조선 전기의 인물이다. - 조선의 부마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644년 사망 - 숭정제
숭정제는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내우외환 속에서 명나라 멸망의 책임을 지고 자결했으며, 그의 죽음은 명나라 멸망을 상징하고 청나라의 중국 지배의 계기가 되었다. - 1644년 사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신익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익성 |
한자 표기 | 申翊聖 |
작위 | 조선 선조의 부마 |
호칭 | 동양위 |
출생일 | 1588년 11월 16일 (음력) |
사망일 | 1644년 8월 2일 (음력) |
![]() | |
가계 | |
아버지 | 신흠 |
어머니 | 전의 이씨 |
가문 | 평산 신씨 |
배우자 | 정숙옹주 |
자녀 | 5남 4녀 |
아들 | 신면, 신변, 신경, 신최, 신향 |
딸 | 신혜순, 신경강, 신순강, 신지강 |
기타 정보 | |
시호 | 문충(文忠) |
2. 생애
신익성은 효성이 지극했으며 글과 글씨에 능했다. 저서로는 《낙전당집》이 있다.
2. 1. 정치 활동과 척화신으로서의 면모
신익성은 12세에 정숙옹주와 결혼하여 동양위(東陽尉)에 봉해졌으며[2], 광해군 때 폐모론을 적극 반대하였다.[3] 1627년에 정숙옹주와 사별하였고[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서 왕을 모시고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주화파 대신들이 세자를 적에게 인질로 보내 화의를 맺자고 주장하자 칼로 위협까지 해가며 반대하였다. 후에 시론을 주도하였다는 이유로 김상헌, 최명길 등과 함께 선양으로 잡혀갔으나[5], 소현세자의 덕으로 무사하였다.[6]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신승서(申承緖, 1531~1572) | |
조모 | 은진 송씨(1531~1572) | 송기수의 딸 |
외조부 | 이제신(李濟臣, 1536~1583) | |
외조모 | 목천 상씨(~1593) | 상붕남의 딸 |
매형 | 박호(朴濠, 1586~1667) | 누나 신씨의 남편[7] |
매제 | 조계원(1592~1670) | 여동생 신씨의 남편, 조창원의 동생 |
매제 | 박의(朴漪, 1600~1644) | 여동생 신씨의 남편, 박동량의 아들 |
제수 | 양주 조씨 | 동생 신익전(1605~1660)의 처, 조창원의 딸, 장렬왕후의 언니 |
매제 | 강문성(姜文星, ?~1646) | 여동생 신씨의 남편, 소현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오빠 |
매제 | 이욱(李旭, 1607~1682) | 여동생 신씨의 남편, 세종의 아들 밀성군의 7세손 |
3. 1. 부모와 형제자매
항목 | 내용 |
---|---|
아버지 | 신흠(1566~1628) |
어머니 | 전의 이씨(1566~1623) |
누나 | 신씨(1587~1618)[7] |
여동생 | 신씨(1592~1655) |
여동생 | 신씨 |
동생 | 신익전(1605~1660) |
여동생 | 신씨 |
여동생 | 신씨(?~1660) |
3. 2. 배우자와 자녀
- 부인: 정숙옹주 (1587~1627) - 선조와 인빈 김씨의 셋째 딸
- * 장녀: 신혜순(申惠順, 1604년생, 조졸)
- * 차녀: 신경강(申敬康, 1606~1649)
- ** 사위: 홍명하(1608~1668)
- * 장남: 신면(申冕, 1607~1652) - 김자점의 옥사 때 처형됨
- ** 며느리: 해평 윤씨(海平 尹氏) - 윤훤[8]의 딸이며 심의겸의 외손녀
- * 차남: 신변(申昪, 1610~1664)
- ** 며느리: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민구의 딸
- * 3남: 신경(申炅, 1613~1664)
- ** 며느리: 창원 황씨(昌原 黃氏) - 황일호의 딸
- ** 며느리: 청주 한씨(淸州 韓氏) - 한립의 딸
- * 3녀: 신순강(申順康, 1615년생)
- ** 사위: 강문두(姜文斗, ?~1646) - 소현세자빈 민회빈 강씨의 동생
- * 4녀: 신지강(申止康, 1617~1667)
- ** 사위: 김좌명(1616~1671) - 명성왕후의 큰아버지
- * 4남: 신최(申最, 1619~1658)
- ** 며느리: 청송 심씨(靑松 沈氏) - 심희세[9]의 딸이며 심의겸의 손녀
- * 5남: 신향(申晑, 1623~1642)
- ** 며느리: 선산 김씨(善山 金氏) - 김세렴의 딸
참조
[1]
서적
《국역 국조인물고》 권63 노난시 입절 정토인(虜難時立節征討人) 피구인부(被拘人附) 신익성의 비명(碑銘)
[2]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선조 119권, 32년(1599 기해 / 명 만력(萬曆) 27년) 11월 26일(신미) 2번째기사
[3]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광해 124권, 10년(1618 무오 / 명 만력(萬曆) 46년) 2월 9일(기해) 7번째기사
[4]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17권, 5년(1627 정묘 / 명 천계(天啓) 7년) 11월 6일(기사) 2번째기사
[5]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43권, 20년(1642 임오 / 명 숭정(崇禎) 15년) 12월 11일(병자) 1번째기사
[6]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44권, 21년(1643 계미 / 명 숭정(崇禎) 16년) 2월 11일(을해) 1번째기사
[7]
문서
《유인 신씨 묘지(孺人申氏墓誌)》
[8]
문서
정묘호란의 패전의 책임을 묻고 처형됨
[9]
문서
구사맹의 외손자이자 조선 인조|인조의 이종 사촌동생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