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원 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 황씨는 황석기, 황충준, 황양충을 시조로 하는 3파로 구성된 한국의 성씨이다. 한나라 관리였던 황락이 신라에 귀화하여 창원 황씨의 기원이 되었으며, 1408년 의창과 회원이 창원으로 통합되면서 창원 황씨로 통합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황석기, 황충준, 황양충의 후손들을 비롯하여 근현대 인물인 황인엽, 황예지, 황민현 등이 있다. 창원 황씨는 공희공파, 시중공파, 호장공파로 나뉘며, 각 파는 항렬자를 사용한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경상남도 창원시 주변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인구 비율이 높으며, 조선 왕실과도 인척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원 황씨 - 황석영
    황석영은 만주 출생으로 한국 전쟁을 겪고 성장하여 사회 현실과 시대상을 반영하는 소설을 쓴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창원 황씨 - 황교안
    황교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검사 시절 공안 사건 담당, 법무부 장관 및 국무총리 역임,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자유한국당 대표를 지냈으며, 보수 진영의 대표적 인물이자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다.
창원 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창원 황씨
원어명창원 황씨 (昌原 黃氏)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창원시
시조

관련 인물황인엽
황민현
황미영
황예지 (Itzy)
웹사이트창원 황씨 대종회
중시조
순위

2. 역사

창원 황씨는 황석기, 황충준, 황양충을 각각 시조로 하는 3파가 있다.[1][2]

황락은 한나라의 관리로, 서기 28년 베트남으로 가던 중 표류하여 신라귀화하여 씨족을 시작했다. 창원 황씨의 시조는 황락의 후손인 황석기, 황충준, 황양충이다.[1][2]

2. 1. 기원

창원 황씨는 황석기(黃石奇), 황충준(黃忠俊), 황양충(黃亮沖)을 각각 시조로 하는 3파가 있다.[1][2]

황락(黃洛)은 한나라의 관리로, 서기 28년 베트남으로 가던 중 표류하여 신라귀화한 후 씨족을 시작했다. 창원 황씨의 시조는 황락의 후손인 황석기, 황충준, 황양충이다.[1][2]

2. 2. 분파

창원 황씨는 각각 시조가 다른 3개의 파로 구성되어 있다.

  • 공희공파(恭僖公派) 시조 '''황석기'''는 1349년(충정왕 1)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졌고, 1358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다.[8]
  • 시중공파(侍中公派) 시조 '''황충준'''은 고려 충렬왕 때에 문하부판문하시중(門下府判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8]
  • 호장공파(戶長公派) 시조 '''황양충'''은 고려시대 창원에서 호장을 역임하였다.[8]


원래는 회원 황씨(檜原 黃氏)였고, 당황(唐黃 : 중국에서 이주한 황씨)으로 불렸다. 1408년(태종 8) 의창과 회원이 창원으로 합쳐진 후 창원 황씨(昌原 黃氏)로 통합되었다.

3. 주요 인물

창원 황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시대 인물들과 근현대 인물들이 있다.


  • 고려시대 주요 인물
  • 공희공파 시조 '''황석기'''(黃石奇)는 고려 충정왕 때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졌고,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다.
  • 시중공파 시조 '''황충준'''(黃忠俊)은 고려 충렬왕 때에 문하부판문하시중(門下府判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 호장공파 시조 '''황양충'''(黃亮沖)은 고려시대 창원에서 호장을 역임하였다.


조선시대 인물들은 하위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3. 1. 조선시대

본래 회원 황씨(檜原 黃氏)는 당나라에서 이주한 황씨라 하여 당황(唐黃)으로 불렸고, 의창 황씨(義昌 黃氏)는 토착 황씨라 하여 토황(土黃)으로 불렸다.[8] 1408년(태종 8) 의창과 회원이 창원으로 합쳐진 후 창원 황씨(昌原 黃氏)로 통합되었다.

조선시대 창원 황씨의 분파와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시조주요 인물
공희공파황석기(黃石奇)황상, 황형(黃衡), 황기(黃琦), 황신(黃愼)
시중공파황충준(黃忠俊)황거정(黃居正), 황림(黃琳), 황흠(黃欽), 황자(黃梓), 황인검, 황인점, 화유옹주
호장공파황양충(黃亮沖)황사우(黃士祐), 황응규(黃應奎), 황섬(黃暹), 류영경


  • 공희공파: 시조 황석기(黃石奇)는 1349년(충정왕 1)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졌고, 1358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다. 황석기의 아들 황상(黃裳)은 문하찬성사·서강도원수 등을 지냈다. 황석기의 아들 황창의 증손 황형(黃衡)은 공조판서를, 황형의 아들 황기(黃琦)는 직제학·대사간을 거쳐 도승지 ·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황형의 증손 황신(黃愼)은 1588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회원부원군(檜原府院君)으로 봉해졌으나, 계축옥사 때 유배되었다.

  • 시중공파: 시조 황충준(黃忠俊)은 고려 충렬왕 때에 문하부판문하시중(門下府判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 황충준 이후 세계가 확실하지 않아 고려 때 공부상서(工部尙書) 정토장군(征討將軍)을 지낸 황신(黃信)을 기세조로 한다. 황신의 아들 황거정(黃居正)은 조선 개국공신에 녹훈되었고,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에 이르렀다. 황거정의 6대손 황림(黃琳)은 1590년(선조 23)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으로 책록되고 의성군(義城君)으로 봉해졌으며,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황흠(黃欽, 1639년 ∼ 1730년)은 숙종 때 이조판서에 오르고, 황흠의 손자인 황자(黃梓)는 호조참판을 지냈다. 황자의 큰아들 황인검은 형조판서를 지냈고, 둘째 아들 황인점은 영조의 딸 화유옹주와 결혼하여 창성위(昌城尉)에 봉해졌다.

  • 호장공파: 시조 황양충(黃亮沖)은 고려시대 창원에서 호장을 역임하였다. 황양충의 후손 황사우(黃士祐, 1486년 ~ 1536년)가 중종 때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호조·예조·이조의 판서를 지내고 우찬성에 올랐다. 황사우의 아들 황응규(黃應奎)는 주세붕·이황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임진왜란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을 거쳐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가 되었다. 황응규의 아들 황섬(黃暹)은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고, 소북파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류영경(柳永慶)의 처남으로서 부제학·대사헌이 되었으나, 계축옥사 이후 낙향하여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3. 2. 근현대

4. 항렬자

창원 황씨는 각 파별로 항렬자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항렬자는 이름에 특정 글자를 넣어 가문의 세대를 나타내는 표식이다.

공희공파와 시중공파의 항렬표는 각각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황충준 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6]

○세손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
행렬자인(仁)기(基)종(鍾)연(淵)수(秀)
휴(休)
성(性)
열(烈)
규(圭)
치(致)
선(善)
현(鉉)
순(淳)
태(泰)
동(東)
근(根)
희(熙)
영(榮)
균(均)
곤(坤)
진(鎭)용(溶)
한(漢)
권(權)
주(柱)
섭(燮)
엽(燁)
배(培)
훈(壎)
호(鎬)
은(銀)
택(澤)
윤(潤)
식(植)
표(杓)
노(魯)
혁(爀)


4. 1. 공희공파

본래는 회원 황씨(檜原 黃氏)였고, 당황(唐黃 : 중국에서 이주한 황씨)으로 불렸다.[8] 1408년(태종 8) 의창과 회원이 창원으로 합쳐진 후 창원 황씨(昌原 黃氏)로 통합되었다.

공희공파 시조 '''황석기'''(黃石奇)는 1349년(충정왕 1) 회산군(檜山君)에 봉해졌고, 1358년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다.

황석기의 아들 황상(黃裳)은 문하찬성사·서강도원수 등을 지냈다. 황석기의 아들 황창의 증손 황형(黃衡)은 공조판서를, 황형의 아들 황기(黃琦)는 직제학·대사간을 거쳐 도승지·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황형의 증손 황신(黃愼)은 1588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공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하였고, 회원부원군(檜原府院君)으로 봉해졌으나, 계축옥사 때 유배되었다.

공희공파(중시조로 1세) 항렬표는 다음과 같다.

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
한(漢)
口희(熙)
덕(德)
口주(周)
기(基)
口우(祐)
종(鍾)
口익(益)
인(寅)
口식(植)
용(容)
口환(煥)
교(敎)
口규(圭)
진(鎭)
口석(錫)
순(淳)
口원(源)
상(相)
口근(根)
사(思)
口희(熙)
재(在)
口계(桂)
호(鎬)
口수(銖)
태(泰)
口철(澈)
영(榮)
口동(東)
희(憙)
口열(烈)
규(圭)
口배(培)
석(錫)
口흠(欽)
수(洙)
口태(泰)
영(榮)
口표(杓)


4. 2. 시중공파

본래는 의창 황씨(義昌 黃氏)였고, 토황(土黃 : 토착 황씨)으로 불렸다.[6] 1408년(태종 8) 의창과 회원이 창원으로 합쳐진 후 창원 황씨(昌原 黃氏)로 통합되었다.[6]

시중공파 시조 '''황충준'''(黃忠俊)은 고려 충렬왕 때에 문하부판문하시중(門下府判門下侍中)을 역임하였다.[6]

황충준 이후 세계가 확실하지 않아 고려 때 공부상서(工部尙書) 정토장군(征討將軍)을 지낸 황신(黃信)을 기세조로 한다.[6]

황신의 아들 황거정(黃居正)은 조선 개국공신에 녹훈되었고,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에 이르렀다.[6]

황거정의 6대손 황림(黃琳)은 1590년(선조 23) 광국공신(光國功臣) 3등으로 책록되고 의성군(義城君)으로 봉해졌으며,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6]

황흠(黃欽, 1639년 ∼ 1730년)은 숙종 때 이조판서에 오르고, 황흠의 손자인 황자(黃梓)는 호조참판을 지냈다.[6] 황자의 큰아들 황인검은 형조판서를 지냈고, 둘째 아들 황인점은 영조의 딸 화유옹주와 결혼하여 창성위(昌城尉)에 봉해졌다.[6]

  • 시중공파(중시조로 1세)

15세16세17세18세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
인(仁)기(基)종(鍾)口연(淵)口수(秀)
口휴(休)
口성(性)
口열(烈)
규(圭)
치(致)
口선(善)
口현(鉉)
口순(淳)
口태(泰)
口동(東)
口근(根)
희(熙)
영(榮)
口균(均)
口곤(坤)
口진(鎭)용(溶)
한(漢)
口권(權)
口주(柱)
口섭(燮)
口엽(燁)
口배(培)
口훈(壎)
口호(鎬)
口은(銀)
口택(澤)
口윤(潤)
口식(植)
口표(杓)
口로(魯)
口혁(爀)


  • 황충준 파


○세손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
행렬자[6]인(仁)기(基)종(鍾)연(淵)수(秀)
휴(休)
성(性)
열(烈)
규(圭)
치(致)
선(善)
현(鉉)
순(淳)
태(泰)
동(東)
근(根)
희(熙)
영(榮)
균(均)
곤(坤)
진(鎭)용(溶)
한(漢)
권(權)
주(柱)
섭(燮)
엽(燁)
배(培)
훈(壎)
호(鎬)
은(銀)
택(澤)
윤(潤)
식(植)
표(杓)
노(魯)
혁(爀)


5. 인구 분포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창원 황씨는 많은 자치단체의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 미만이지만, 경상남도 창원시 주변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는 1%를 넘고 있다. 전국에서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함안군 (1,251명, 총 인구의 2.05%)이다.[1]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황 黃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회산황씨 족보-내력 http://hoesanhwang.c[...] 2022-11-28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5] 웹사이트 황씨종친회 http://www.hwang.or.[...] 2022-09-04
[6] 웹사이트 족보상식, 항열표 http://www.cwhwang.o[...] 2024-03-12
[7]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8] 웹인용 http://www.surname.i[...] 2023-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