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성군은 조선 세종대왕의 서5남으로, 신빈 김씨의 소생이며 계양군 등과 형제 관계이다. 1442년 밀성군에 봉해졌으며, 문종의 병을 낫게 하는 등 왕실의 총애를 받았다. 예종 때 숙부의 예우를 받았고, 남이의 옥사 때 익대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성종 때 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그의 장남 운산군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이 되었다. 사후에는 하남시 초이동에 묘소가 조성되었으며, 하남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시호는 효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79년 사망 - 안토넬로 다 메시나
안토넬로 다 메시나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로, 플랑드르 회화의 영향을 받아 유화 기법을 발전시키고 이탈리아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탈리아 회화의 간결함과 플랑드르 회화의 세밀한 묘사가 결합된 독특한 화풍으로 알려져 있다. - 1479년 사망 - 귀성군
귀성군 이준은 조선 세종의 손자이자 이시애의 난 평정에 공을 세운 인물이지만, 왕의 재목이라는 칭송으로 유배를 겪고 사후 복관되었으며, 권력 남용으로 민심을 잃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430년 출생 - 조반니 벨리니
조반니 벨리니는 베네치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유화 기법을 통해 색채와 빛의 조화를 이루었으며, 특히 '사크라 콘베르사치오네' 구도의 작품으로 베네치아 회화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1430년 출생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밀성군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밀성군 |
한자 | 密城君 |
휘 | 침(琛) |
작위 | 조선 세종의 왕자 |
생애 | |
출생일 | 1430년 |
사망일 | 1479년 2월 1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세종 |
어머니 | 신빈 김씨 |
배우자 |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
자녀 | 4남 2녀 |
2. 생애
세종대왕의 서5남으로 어머니는 신빈 김씨이다. 계양군 등의 친동생이다.
1442년 밀성군에 봉해졌으며,[2] 1444년 민승서(閔承序)의 딸과 혼인하였다.[3] 슬하에 운산군, 춘성군, 수안군, 석양군 등 4남 2녀를 두었다. 1452년 병이 들자 이복형 문종이 안평대군에게 명하여 승려들을 모아 흥천사에서 기도하게 하여 병이 나았다.[4] 문종은 크게 기뻐하며 밀성군의 처형 두 사람에게 관작을 내리고,[4] 내의 전순의(全循義)에게도 안장을 얹은 말을 하사하였다.[5] 1467년(세조 13)에 오위도총부 도총관을 지냈다.[6]
조선 예종 즉위년(1468) 11월에 예종으로부터 숙부의 예우를 받았다. 1469년 남이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세종대왕의 영릉을 경기도 광주군에서 여주군으로 이장하는데 참여하였다. 그해 도제조와 오위도총부도총관에 임명되었다.
이복동생 수춘군을 불쌍히 여겨 남몰래 제사를 지냈으며, 셋째아들 수안군 상이 수춘군의 제사를 봉사하였다. 1691년(숙종 17) 사육신 등이 신원되면서 수춘군도 신원, 복권되었고, 수춘군의 봉사손을 정하는데 밀성군 집안에서 제사지낸 사연을 누군가 숙종에게 아뢰어 수안군을 수춘군의 후계로 삼게 했다. 1469년 성종 즉위 후 1470년(성종 1) 순성경제명량좌리공신에 책록되었다. 장남 운산군은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정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2. 1. 사후
시신은 경기도 광주군 서부면 초이리 3-4번지(현, 하남시 초이동 319-10번지) 기자산(其自山)에 안장되었다. 하남시 향토유적 제2호로 지정되었다. 바로 시호가 내려져 첫 시호는 장효(章孝)였는데, 뒤에 효희(孝僖)로 개정되었다. 뒤에 그의 묘소 뒷편 언덕에 장남 운산군 계의 묘소가 조성되었다.3. 평가
형제간에 우애가 있어 문종, 세조 등의 총애를 받았으며 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사신은 밀성군의 인품에 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사신(史臣)이 논평하기를, "이침(李琛)은 현명하고 분명하여 일을 처리하는 재간이 있어, 세조(世祖)가 재능과 덕량이 있다고 여겼다. 모든 큰 일이 있으면 반드시 명하여 종실(宗室) 속에 임하게 하여 가장 위임(委任)을 받았으며, 치산(治産)하는 데 부지런하여 가산(家産)이 아주 부유하였다." 하였다.[1]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부왕 | 세종 | 조선의 제4대 왕 |
생모 | 신빈 김씨 | |
형 | 계양군 이증 | |
형 | 의창군 이공 | |
남동생 | 익현군 이연 | |
남동생 | 영해군 이장 | |
남동생 | 담양군 이거 | |
부인 |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 판윤 증 찬성 민승서의 딸 |
장남 | 운산군 이계 | |
며느리 | 신천군부인 현풍 곽씨 | 주부 곽득륜의 딸 |
며느리 | 오천군부인 연일 정씨 | 군수 정자숙의 딸 |
차남 | 춘성군 이당 | 태조의 8남 의안대군의 봉사손으로 출계 |
3남 | 수안군 이당 | 이복 남동생 수춘군의 양자로 출계 |
4남 | 석양군 이격 | 요절 |
장녀 | 하씨 | 동지 진주 하씨 하한문의 처 |
차녀 | 안씨 | 판서 순흥 안씨 안우하의 처 |
참조
[1]
조선왕조실록
성종 10년 1월 1일 기사
1479-01-01
[2]
조선왕조실록
세종 24년 7월 3일 기사
1442-07-03
[3]
조선왕조실록
세종 26년 8월 24일 기사
1444-08-24
[4]
조선왕조실록
문종 2년 3월 12일 기사
1452-03-12
[5]
조선왕조실록
문종 2년 4월 13일 기사
1452-04-13
[6]
조선왕조실록
세조 13년 1월 2일 기사
1467-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