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기능 곡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장 기능 곡선은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그래프로, 일반적으로 전부하(우심방압 또는 중심정맥압)를 가로축, 심박출량 또는 일회박출량을 세로축으로 나타낸다. 이 곡선은 낮은 전부하에서 심박출량이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고원에 이르는 형태를 보이며, 프랑크-스탈링 법칙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자율 신경계의 활동 변화는 심장 기능 곡선을 변화시키며, 심부전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도 곡선의 변화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심장 기능 곡선 | |
---|---|
개요 | |
정의 | 심장 기능 곡선은 심박출량(CO)과 우심방압(RAP)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특징 | 이 곡선은 심장의 펌프 능력을 평가하고, 혈액량, 혈관저항, 심장 수축력 변화에 따른 심박출량 변화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
곡선의 형태 | |
x축 | 우심방압(RAP) (mmHg) |
y축 | 심박출량(CO) (L/min) |
일반적인 형태 | 우심방압이 증가함에 따라 심박출량이 증가하지만, 특정 지점 이후에는 증가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보인다. |
심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혈액량 | 혈액량 증가 시 곡선이 위쪽으로 이동, 감소 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
혈관저항 | 혈관저항 증가 시 곡선이 아래쪽으로 이동, 감소 시 위쪽으로 이동한다. |
심장 수축력 | 심장 수축력 증가 시 곡선이 위쪽으로 이동, 감소 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
임상적 의의 | |
심부전 | 심부전 환자의 경우 심장 기능 곡선이 우측 하단으로 이동한다. |
수액 요법 | 수액 요법 시 심장 기능 곡선의 변화를 통해 적절한 수액량 조절이 가능하다. |
약물 치료 | 강심제 투여 시 심장 기능 곡선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
2. 곡선의 모양
심장 기능 곡선은 일반적으로 가로축에 전부하(주로 우심방압 또는 중심정맥압)를, 세로축에 심박출량 또는 일회박출량을 나타낸다. 곡선은 낮은 전부하에서 가파르게 상승하다가 고원(plateau) 형태를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곡선은 비교적 낮은 충만 압력에서 가파른 관계를 보이며, 더 이상 늘어날 수 없는 고원 상태를 보여주며, 따라서 압력 증가가 출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파른 관계가 있는 압력은 건강한 인간의 생명 동안 발견되는 정상 범위의 우심방압(RAP) 내에 있다. 이 범위는 약 -1에서 +2 mmHg이다. 더 높은 압력은 일반적으로 심부전과 같은 조건에서 심장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모든 혈액을 앞으로 펌프질할 수 없어서 우심방과 주요 정맥에 압력이 쌓이는 질병에서만 발생한다. 목 정맥 부종은 종종 이러한 유형의 심부전의 지표이다.
낮은 우심방압에서 이 그래프는 프랑크-스탈링 기전을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2] 즉, 심장으로 더 많은 혈액이 돌아올수록 외부 신호 없이 더 많은 혈액이 펌프질된다.
2. 1. 프랭크-스탈링 법칙
심장 기능 곡선의 기본적인 원리는 프랭크-스탈링 법칙으로 설명된다.[2] 프랭크-스탈링 법칙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정맥환류량)이 증가하면 심근 섬유가 늘어나 더 강한 수축을 일으켜 심박출량이 증가한다는 원리이다.이 곡선은 비교적 낮은 충만 압력에서 가파른 관계를 보이며, 더 이상 늘어날 수 없는 고원 상태를 보여주며, 따라서 압력 증가가 출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파른 관계가 있는 압력은 건강한 인간의 생명 동안 발견되는 정상 범위의 우심방압(RAP) 내에 있다. 이 범위는 약 -1에서 +2 mmHg이다. 더 높은 압력은 일반적으로 심부전과 같은 조건에서 심장이 자신에게 돌아오는 모든 혈액을 앞으로 펌프질할 수 없어서 우심방과 주요 정맥에 압력이 쌓이는 질병에서만 발생한다. 목 정맥 부종은 종종 이러한 유형의 심부전의 지표이다.
2. 2. 가이튼 도표 (Guyton Diagram)
3. 심장 기능 곡선의 변화
자율 신경계의 활동 증가 및 미주 신경 톤 감소와 같은 외적 요인들은 심장이 더 자주, 더 강력하게 박동하게 한다. 이는 심장 기능 곡선을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심장이 비교적 낮은 우심방압에서도 필요한 심박출량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심박수가 고원에 도달하기 전에 증가하고, 프랭크-스타링의 원리 효과를 얻기 위해 우심방압(RAP)이 크게 상승하여 심장을 더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련의 심장 기능 곡선이 나타난다.
생체 내 교감 신경계의 심근 내 유출은 아마도 동방 결절이 푸르키네 섬유로 분기되는 오랜 설명으로 가장 잘 설명될 것이다. 심근 내 부교감 신경의 유입은 아마도 미주 신경과 척수 부신경절의 영향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다.
3. 1. 자율신경계의 영향
자율 신경계의 활동 증가는 심장이 더 자주, 더 강력하게 박동하게 하여 심장 기능 곡선을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심장이 비교적 낮은 우심방압에서도 필요한 심박출량을 처리할 수 있게 한다. 심박수가 고원에 도달하기 전에 증가하고, 프랭크-스타링의 원리 효과를 얻기 위해 우심방압(RAP)이 크게 상승하여 심장을 더 늘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련의 심장 기능 곡선이 나타난다.교감 신경계의 심근 내 유출은 동방 결절이 푸르키네 섬유로 분기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부교감 신경의 심근 내 유입은 미주 신경과 척수 부신경절의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자율신경계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2. 심부전
4. 임상적 의의
참조
[1]
저널
A critical analysis of the view that right atrial pressure determines venous return
http://jap.physiolog[...]
2003-03
[2]
웹사이트
Cardiac Basic Physiology
http://www.healthsys[...]
[3]
사전
cardiac function curve
https://www.kmle.co.[...]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4]
저널
A critical analysis of the view that right atrial pressure determines venous return
http://jap.physiolog[...]
2024-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