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호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호섭은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한국 의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호동소학교와 광성상업학교를 졸업하고, 1913년 경성의학전문학교를 우등 졸업했다. 이후 동경제국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과 의사로 활동했으며, 경성의학전문학교 조교수를 거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광복 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대한내과학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조선의학협회 등에서 초대 회장을 맡았고, 에비슨기념회 이사장, 보건장학회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의학의 기반을 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의학자 - 윤일선
윤일선은 한국 근대 병리학 및 해부학의 선구자이자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한 교육자로, 한국 의학 교육과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해방 후 서울대학교에서 한국 의학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여 한국 과학기술 발전에 헌신하였다. - 일제강점기의 의학자 - 이갑성
이갑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자 해방 후 정치인으로, 3·1 운동 당시 기독교 대표로 활동하고 해방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정치 활동을 전개했으나, 만년에 일제 밀정 활동 의혹으로 논란이 되었다. - 서울효제초등학교 동문 - 채상병
채상병은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로, 2002 인터컨티넨탈컵 국가대표, 두산 베어스 주전 포수, 삼성 라이온즈 선수로 활동했으며 연세대학교 출신 야구 국가대표팀 출신으로 2015년부터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 서울효제초등학교 동문 - 백재호
백재호는 신일고, 동국대 시절 뛰어난 활약을 보인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코치로, 롯데 자이언츠, 현대 유니콘스,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에서 코치로 활동했고, 한화 이글스에서 통산 타율 .245, 68홈런을 기록, 1998년 아시안 게임 야구 국가대표팀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경성의학전문학교 (서울) 동문 - 최규옥
최규옥은 강원도 양구 출신으로 의료계와 정계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로,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강원도지사, 농림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 경성의학전문학교 (서울) 동문 - 이기령 (과학자)
이기령은 경성제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나가사키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생화학자로서, 서울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지냈다.
심호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심호섭 |
![]() | |
출생일 | 1890년 |
사망일 | 1973년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분야 | 의학 |
직업 | 의학자, 대학 교수, 대학 총장 |
학력 | 호동소학교 졸업 광성상업학교 졸업 (우등생으로 졸업)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 의학진사(醫學進士, 의학사, 우등 졸업) 일본 동경제국대학 의학부 내분비분야 의학박사 |
2. 학력
1906년 호동소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광성상업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하였다. 1913년에는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훗날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를 의학진사(醫學進士, 의학사) 제3회 졸업생으로 우등 졸업하였다. 1926년 일본 동경제국대학 의학부에서 내분비분야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63년 연세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13년 조선총독부의원 조수 겸 제생원(濟生院) 의원을 역임하였다. 또한 같은 해 조선총독부의원 정신병과 의원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1915년에는 한성의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3. 생애 및 경력
1916년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가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면서 조교수로 임명되었는데, 14명의 조교수 중 유일한 한국인이었다. 그러나 민족차별 등의 이유로 얼마 지나지 않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훗날의 연세대학교 의료원)로 자리를 옮겼다. 1919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내과 및 신경과 강사로 부임하였고, 1920년에는 조교수, 1927년에는 내과학교실 주임교수가 되었다.
1933년 한성의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1934년부터 1935년까지는 한성의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35년부터 1945년 10월까지 서울 관철동에서 내과의원을 개설하고 진료사업을 하였다.
1945년 9월 대한신경정신의학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 1945년 10월 7일부터 1946년 8월 21일까지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했다. 1945년 12월 23일 대한내과학회 초대 회장이 되었다.
1946년 8월 22일 경성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통합되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신설되자, 1946년 10월 22일부터 1947년 10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초대 학장을 맡았다. 1947년 5월에는 조선의학협회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그는 재단법인 에비슨기념회 이사장, 보건장학회 이사장, 대한의학협회 명예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의학계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3. 1. 일제강점기 활동
심호섭은 1913년 조선총독부의원 조수 겸 제생원(濟生院) 의원을 역임하였다. 또한 같은 해 조선총독부의원 정신병과 의원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1915년에는 한성의사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16년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가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면서 조교수로 임명되었는데, 14명의 조교수 중 유일한 한국인이었다. 그러나 민족차별 등의 이유로 얼마 지나지 않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훗날의 연세대학교 의료원)로 자리를 옮겼다. 1919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내과 및 신경과 강사로 부임하였고, 1920년에는 조교수, 1927년에는 내과학교실 주임교수가 되었다.
1933년 한성의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1934년부터 1935년까지는 한성의사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35년부터 1945년 10월까지 서울 관철동에서 내과의원을 개설하고 진료사업을 하였다.
3. 2. 광복 이후 활동
1945년 9월 대한신경정신의학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다.[1] 1945년 10월 7일부터 1946년 8월 21일까지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했다.[2] 1945년 12월 23일 대한내과학회 초대 회장이 되었다.[3]
1946년 8월 22일 경성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통합되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신설되자, 1946년 10월 22일부터 1947년 10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초대 학장을 맡았다.[4] 1947년 5월에는 조선의학협회 초대 회장에 취임했다.
그는 재단법인 에비슨기념회 이사장, 보건장학회 이사장, 대한의학협회 명예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의학계 발전에 기여했다.
3. 3. 민족 차별에 대한 저항
1916년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경성의학전문학교 조교수가 된 심호섭은 얼마 뒤 사직하고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로 옮겼다. 주변에서 그 이유를 묻자, 심호섭은 일본인 간호부가 함부로 대하는 것을 참기 어려웠다고 답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사이의 '지휘-복종' 관계보다도 일본인과 한국인 사이의 '민족 차별 의식'이 더 근본적이었던 것이다.
4. 평가 및 업적
심호섭은 19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정신과 의사가 되었고, 1916년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경성의학전문학교 조교수가 되었다. 1920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에 취임하여, 1935년까지 많은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1927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내과학교실 주임교수로서, 교육연구, 임상지도에 많은 업적을 세웠다.
사회활동분야에 있어 1915년 12월 한성의사회(漢城醫師會) 창립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1933년 부회장, 1934년 ~ 1935년에는 회장직을 맡았다. 1947년 5월 조선의학협회 초대 회장에 선출되었고 그뒤 회장 중임을 거듭하였으며 광복 후에 의학계의 주도역을 맡았다. 한편, 재단법인 에비슨기념회 이사장, 보건장학회 이사장, 대한의학협회 명예회장 등 봉사직을 맡기도 하는 등 대한민국 의학의 기반을 닦아놓은 대한민국 의학의 아버지로 불렸다.
5. 일화
1916년 한국인으로서는 유일하게 경성의학전문학교 조교수가 된 심호섭은 얼마 뒤 사직하고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로 옮겼다. 주변에서 그 이유를 묻자, 심호섭은 일본인 간호부가 함부로 대하는 것을 참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의사와 간호사 사이의 ‘지휘 - 복종’ 관계보다도 일본인과 한국인 사이의 ‘민족 차별 의식’이 더 근본적이었다.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역사
http://medicine.snu.[...]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한내과학회
https://terms.naver.[...]
[4]
웹사이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역사
http://medicine.sn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