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둥이자리 뮤는 쌍둥이자리에 위치한 적색 거성으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되었다. 전통적으로 테자트(Tejat) 또는 테자트 포스테리어(Tejat Posterior)로 불렸으며,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에서 '테자트'를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중국어로는 '정수(井宿)'의 첫 번째 별로 불린다. 겉보기 등급은 약 2.9등급이며, 72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느린 불규칙 변광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근거성열성 - 궁수자리 VX
궁수자리 VX는 천문학 연구 대상인 변광성으로, 관련 데이터는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고 연구 결과는 학술지에 발표된다. - 점근거성열성 - 극락조자리 세타
극락조자리 세타는 밝기가 4.58등과 5.34등 또는 4.65등과 6.20등 사이에서 변하는 SRB형 반규칙 변광성인 적색 거성으로, 불규칙한 변광 주기를 갖는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느린 불규칙 변광성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쌍둥이자리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 쌍둥이자리 - 정수 (별자리)
정수는 이십팔수 중 하나로, 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 등 여러 현대 별자리에 걸쳐 있는 20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농경 시기 예측이나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천문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된다.
쌍둥이자리 뮤 | |
---|---|
위치 | |
![]() | |
관측 정보 | |
별자리 | 쌍둥이자리 |
겉보기 등급 | 2.75 - 3.02 |
특징 | |
분광형 | M3 III |
U-B 색지수 | +1.924 |
B-V 색지수 | +1.643 |
변광성 유형 | LB |
측정 | |
시선 속도 | 54.38 km/s |
고유 운동 (적경) | +56.39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110.03 mas/yr |
연주 시차 | 14.08 mas |
절대 등급 | −1.42 |
물리적 특징 | |
질량 | 1.9 M☉ |
반지름 | 107.7 R☉ |
광도 | 1,692 L☉ |
표면 온도 | 3,643 K |
표면 중력 | 0.82 |
금속 함량 [Fe/H] | -0.03 |
자전 속도 | 8.4 km/s |
나이 | 알 수 없음 |
명칭 | |
고유 명칭 | 테야트 (Tejat) |
기타 명칭 | 뮤 Gem μ Gem 13 Geminorum ADS 4990A BD+22°1304 CCDM J06230+2230A FK5 241 HD 44478 HIP 30343 HR 2286 SAO 78297 WDS J06230+2231A |
2. 명칭
쌍둥이자리 뮤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4][3] WDS J06230+2231은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등재된 쌍성 명칭이다. 이중성 구성 요소 명칭인 WDS J06230+2231A 및 BC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채택한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의 규칙에서 파생되었다.
쌍둥이자리 뮤는 전통적으로 '테자트(Tejat)' 또는 '테자트 포스테리어(Tejat Posterior)'로 불렸으며, 이는 의미가 불분명한 고대 남부 아랍어 'tiḥyāt'에서 유래했다.[3] '칼스(Calx, 라틴어로 '발뒤꿈치'를 의미)', '피쉬 파이(Pish Pai, 페르시아어로 پیشپای('pīshpāy', '앞다리'를 의미))', '누하타이(Nuhatai, 아랍어로 'Al Nuḥātai', 'Al Nuḥāt', '낙타의 혹'의 이중형)'라는 명칭도 사용되었다.
과거 에타 별을 '테자트 프라이어(Tejat Prior)', 쌍둥이자리 뮤를 '테자트 포스테리어(Tejat Posterior)'라고 부르기도 했으나, 2016년 에타 별에 '프로푸스(Propus)'라는 고유명이 부여되면서 '테자트'는 쌍둥이자리 뮤만을 가리키게 되었다. 2017년 2월 1일 국제천문연맹(IAU)은 '테자트'를 쌍둥이자리 뮤 A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중국어에서 井宿중국어()는 '우물 (별자리)'을 의미한다. 쌍둥이자리 뮤는 井宿一중국어(, )이라고 불린다.[1][2]
2. 1. 명칭의 유래와 변천
쌍둥이자리 뮤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4][3] WDS J06230+2231은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 있는 쌍성 명칭이다. 이중성 구성 요소의 명칭인 WDS J06230+2231A와 BC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채택한 워싱턴 다중성 목록(WMC)에서 사용된 규칙에서 파생되었다.쌍둥이자리 뮤는 전통적으로 테자트(Tejat) 또는 테자트 포스테리어(Tejat Posterior)로 불려왔으며, 이는 의미가 불분명한 오래된 남부 아랍어 단어 ''tiḥyāt''에서 유래했다. 칼스(Calx, '발뒤꿈치'를 의미하는 라틴어), 피쉬 파이(Pish Pai, 페르시아어로 پیشپای('pīshpāy', '앞다리'를 의미)), 누하타이(Nuhatai, 아랍어로 'Al Nuḥātai', 'Al Nuḥāt', '낙타의 혹'의 이중형)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과거에는 인접한 에타 별을 '테자트 프라이어'(Tejat Prior), 쌍둥이자리 뮤를 '테자트 포스테리어'(Tejat Posterior)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2016년 에타 별에 '프로푸스(Propus)'라는 고유명이 부여되면서 '테자트'는 쌍둥이자리 뮤 별만을 지칭하게 되었다. 2017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테자트'를 쌍둥이자리 뮤 A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중국어에서 井宿중국어 ()는 '우물 (별자리)'을 의미한다. 쌍둥이자리 뮤는 井宿一중국어 (, )로 불린다.[1][2]
3. 특징
쌍둥이자리 뮤는 적색 거성으로 별의 분광형은 M3 III이며, 표면 온도는 3,773 K이다. 이는 태양보다 밝지만 더 차갑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점근 거성가지에 있으며, 탄소와 산소의 불활성 핵을 둘러싼 동심원 껍질을 따라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이 별은 LB형의 느린 불규칙 변광성이다. 밝기는 72일 주기로 겉보기 등급 +2.75에서 +3.02 사이에서 변하며, 2,000일의 장기적인 변동 주기도 보인다.
3. 1. 물리적 특성
쌍둥이자리 뮤는 평균 겉보기등급이 2.9로 쌍둥이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별이다. 황도에서 남쪽으로 0.8도 떨어져 있으므로 달과 드물게 행성에 의해 엄폐될 수 있다. 지구에서 보면 가스와 먼지에 의해 소광되어 밝기가 0.07등급 감소한다.이 별은 LB형의 느린 불규칙 변광성으로, 밝기는 72일 주기로 겉보기 등급 +2.75에서 +3.02 사이에서 변하며, 2,000일의 장기적인 변동 주기도 보인다. 별의 분광형은 M3 III인 적색 거성으로, 표면 온도는 3,773 K이다. 이는 태양보다 밝지만 더 차갑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점근 거성가지에 있으며, 탄소와 산소의 불활성 핵을 둘러싼 동심원 껍질을 따라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있다.
쌍둥이자리 뮤는 태양보다 1,540배 이상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시직경은 0.0135초이다. 지구에서 봤을 때 다른 항성보다 5배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에서 2분 각도로 떨어져 위치하는 9등급 별은 실제로 쌍둥이자리 뮤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측된다.
3. 2. 위치 및 관측
지구에서 볼 때, 쌍둥이자리 뮤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약 0.8도 떨어져 있어 달이나 행성에 의한 엄폐 현상이 드물게 일어난다. 중간 가스와 먼지로 인해 밝기가 약 0.07등급 감소하는 소광 현상이 나타난다. 겉보기 등급은 평균 약 2.9등급으로 쌍둥이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별이다.지구에서 2분 거리에 9등급의 별이 위치하지만, 이는 쌍둥이자리 뮤와 물리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2]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3]
웹인용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4]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https://archive.org/[...]
Sky Pub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