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둥이자리 에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둥이자리 에타는 쌍둥이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되었다. 전통적으로 프로푸스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프로푸스를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이 별은 반규칙 변광성이자 식 변광성으로, 약 231일의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약 8년 주기로 식 현상이 나타난다. 주성은 점근거성가지(AGB) 단계에 있는 M형 별이며, 동반성 두 개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쌍성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식쌍성 - 황소자리 제타
황소자리 제타는 황소자리에 있는 단선 분광 쌍성계로, 주성 황소자리 제타 A는 태양 질량의 11배가 넘는 거성이며 빠른 자전 속도, 특이한 화학적 특징, 방출선을 보이고 예로부터 중국 천문학에서 천관으로 불렸다. - 준규칙 변광성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준규칙 변광성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밝은 적색 초거성이자 'α Orionis'로 불리며, 1603년 요한 바이어에 의해 명명되었고,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중세 라틴어 번역 과정에서 오역되었으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까지 감광 현상으로 주목받았고,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다. - 쌍둥이자리 - 폴룩스 (항성)
폴룩스는 쌍둥이자리에 있는 밝은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두 배, 반지름의 아홉 배에 달하며 외계 행성 폴룩스 b를 거느리고 있다. - 쌍둥이자리 - 정수 (별자리)
정수는 이십팔수 중 하나로, 쌍둥이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 등 여러 현대 별자리에 걸쳐 있는 20개의 별자리로 구성되어 농경 시기 예측이나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는 데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천문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도구로 사용된다.
쌍둥이자리 에타 | |
---|---|
명칭 | |
별칭 | 프로푸스, 프레아페스, 테야트 프리오르, 피시 파이 |
바이어 명명법 | η Geminorum (쌍둥이자리 에타) |
플램스티드 명명법 | 7 Geminorum (쌍둥이자리 7) |
HD | HD 42995 |
HR | HR 2216 |
BD | BD+22°1241 |
HIP | HIP 29655 |
SAO | SAO 78135 |
CCDM | CCDM J06149+2230 |
ADS | ADS 4841 |
관측 정보 | |
별자리 | 쌍둥이자리 |
적경 (J2000.0) | A: B: |
적위 (J2000.0) | A: B: |
겉보기 등급 | A: 3.15–3.9 B: 6.04 |
변광성 유형 | SRA + EA |
특징 | |
분광형 | M2 IIIa (Aa), A (Ab), G0 III (B) |
B-V 색 지수 | 해당 없음 |
U-B 색 지수 | 해당 없음 |
위치 정보 | |
시선 속도 | 해당 없음 |
고유 운동 (적경) | -59.530 ± 1.450 mas/yr |
고유 운동 (적위) | -7.766 ± 1.385 mas/yr |
연주 시차 | 8.48 ± 1.23 mas |
절대 등급 | -1.87 |
궤도 요소 (Ab) | |
주성 | Aa |
공전 주기 | 8.161 일 |
궤도 이심률 | 0.5507 |
장반축 | 0.077 AU |
근점 통과 시각 | JD 2444489.1 |
K1 | 9.438 km/s |
근일점 인수 | 174.20° |
궤도 요소 (B) | |
주성 | A |
공전 주기 | 473.7 년 |
궤도 이심률 | 0.54 |
장반축 | 1.08 arcsec |
물리적 특성 (Aa) | |
질량 | 5.1 태양 질량 |
반지름 | 275+66-49 태양 반지름 |
광도 | 10,276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3,502 K |
금속 함량 | +0.04 |
표면 중력 | 해당 없음 |
자전 속도 | 해당 없음 |
나이 | 0.81 Gyr |
물리적 특성 (Ab) | |
질량 | 2 태양 질량 |
반지름 | 1.65 태양 반지름 |
표면 온도 | 9,000 K |
광도 | 16 태양 광도 |
2. 명명법
쌍둥이자리 에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전통적으로 프로푸스(Propus), 테자트 프라이어(Tejat Prior), 프라에페스(Praepes), 피쉬 파이(Pish Pai) 등으로 불렸다. 프로푸스는 그리스어로 '앞발'을 의미하며, 피쉬 파이는 페르시아어로 '앞발'을 뜻하는 Pīshpāy에서 유래했다.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 이름에 관한 실무그룹(WGSN)을 조직하여 별의 고유 명칭을 표준화했으며, 프로푸스를 이 별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다.
쌍둥이자리 에타는 쌍둥이자리에서 카스토르 쪽 발 부근에 위치하며, μ Gem에서 서쪽으로 약 2도, 밝은 산개성단인 M35에서 동남쪽으로 약 2도 떨어져 있다. 두 별 사이에는 여러 개의 희미한 성운 지역이 있다. η 쌍둥이자리 바로 서쪽에는 초신성 잔해 껍질인 IC 443이 있고, μ 쌍둥이자리 주변 동쪽에는 방출 성운인 S249가 있으며, 그 사이에는 7등급의 12 쌍둥이자리 주변에 작은 희미한 방출 성운인 IC 444가 있다.
1865년 율리우스 슈미트는 쌍둥이자리 에타가 변광성임을 처음 보고했다. 슈미트와 다른 관측자들은 밝기 변화를, 일정한 밝기의 긴 극대와 크기 및 모양이 크게 변하는 극소, 그리고 약 231일 주기를 갖는 것으로 묘사했다. 이 별은 반규칙 변광성과 식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 식의 주기는 약 8년으로, 보이지 않는 동반성의 궤도에 해당한다. 식 현상은 처음에는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특별한 프로젝트를 통해 1980년 2월, 1988년 4월, 2012년 10월의 식 현상을 잘 관측할 수 있었다. 식 현상의 깊이는 약 0.5등급이며 지속 시간은 수 주이다.
쌍둥이자리 에타는 세 개의 별로 구성된 삼중성계이다. 주성 A는 반규칙 변광성이며, 분광형은 M형이다. 동반성 B는 1881년 S.W. Burnham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겉보기 등급은 6등급, 분광형은 G0형 거성으로 추정된다. 주성 A와 약 474년 주기로 공전한다.
쌍둥이자리 에타는 현재 점근거성가지 단계에 있으며, 원래 주계열성에서 이었던 고도로 진화된 F ~ A형 분광형의 별이다. 주 구성 요소는 점근 거성이다.
USS 프로푸스(AK-132)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미국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이다.[1]
[1]
간행물
VSX : Detail for eta Gem
https://www.aavso.or[...]
2024-06-25
이 별은 알레나(γ Gem), 테자트 포스테리어(μ Gem), ν Gem, 알지르(ξ Gem)와 함께 아랍의 별자리 알 하나(Al Han'ah)를 구성했다. 알 하나는 '낙타의 목에 있는 낙인'을 의미한다. 이들은 또한 알 누하타이(Al Nuḥātai)와도 관련이 있는데, 이는 '낙타의 혹'을 의미하는 알 누하트(Al Nuḥāt)의 이중 형태이다.
중국 별자리에서 이 별은 유에(Yuè)의 유일한 구성원이다. 유에는 중국어로 'Battle Axe'를 의미한다.
3. 위치 및 관측
쌍둥이자리 에타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0.9도 떨어져 있으므로 달에 의해 엄폐될 수 있으며, 드물게는 행성에 의해서도 엄폐될 수 있다. 마지막 행성 엄폐는 1910년 7월 27일 금성에 의해 일어났으며, 그 이전에는 1837년 7월 11일 수성에 의해 일어났다. 1781년 윌리엄 허셜이 천왕성을 발견한 곳도 이 별 근처이다.
4. 변광성
반규칙적인 변화는 SRa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진폭과 광도 곡선 모양에 약간의 변화가 있는 비교적 예측 가능한 주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변광성은 미라 변광성과 매우 유사하다고 여겨지지만 진폭이 더 작다. 주요 주기는 평균 234일로 정밀하게 조정되었다.
5. 항성계
또 다른 동반성은 주성 A와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며, 분광 관측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 1902년 윌리엄 월레스 캠벨이 발견하였고, 주기는 약 2983일(약 8년)이다. 이 동반성은 M형 왜성으로 추정되며, 원반별로 둘러싸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
6. 진화
7. 기타
참조
[2]
간행물
3377072212925223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