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가루 노부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가루 노부야스는 히로사키 번의 6대 다이묘로, 1739년에 태어나 1784년에 사망했다. 1744년 아버지 쓰가루 노부아키의 사망으로 6세의 나이에 번주 자리에 올랐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히로사키 번은 기근, 지진, 화산 폭발 등 잇따른 재해로 인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부패한 가신들의 부정부패로 인해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텐메이 대기근으로 인해 막대한 빚을 지게 되었고, 재정 개혁을 시도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했다. 그의 뒤는 장남 쓰가루 노부아키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요시
쓰가루 노부요시는 에도 시대 초 히로사키 번의 2대 번주로, 번 내 소동을 겪으면서 경제 발전과 문화 진흥에 힘썼으나, 고집 세고 거친 성격으로 '조팟파리 영주'라는 평을 받았다. - 히로사키번주 - 쓰가루 노부유키
쓰가루 노부유키는 히로사키 번의 10대 번주로, 방탕한 생활과 무능함으로 번의 재정을 악화시켜 막부로부터 강제 은거 명령을 받았으며, 요타카노도노라는 별칭으로도 불린다. - 1739년 출생 - 쇼보쿠왕
쇼보쿠왕은 류큐 왕국 제2쇼씨 왕조의 제13대 국왕으로 쇼케이왕의 장남이며, 왕비와 부인, 처를 두었고 5남 3녀를 두었다. - 1739년 출생 - 조지 클린턴
조지 클린턴은 1739년 뉴욕에서 태어나 프랑스-인디언 전쟁 참전, 변호사 활동을 거쳐 뉴욕 주지사와 부통령을 역임했으며, 미국 헌법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고 1812년에 사망한 미국의 정치가이다. - 1784년 사망 - 새뮤얼 존슨
새뮤얼 존슨은 18세기 영국의 저명한 작가, 시인, 비평가, 사전 편찬가로서, 9년간 편찬한 영어 사전과 《런던》, 《인간 욕망의 허무》, 《라셀라스, 아비시니아 왕자》, 《영국 시인전집》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제임스 보스웰의 전기 《새뮤얼 존슨 전》으로 그의 삶과 업적이 알려져 있다. - 1784년 사망 -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며, 특히 《백과전서》 편집을 주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집대성하는 데 기여했다.
쓰가루 노부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쓰가루 노부야스 |
로마자 표기 | Tsugaru Nobuyasu |
출생 | 1739년 4월 5일 |
사망 | 1784년 2월 22일 |
국적 | 일본 |
관직 | |
직업 | 다이묘(1744–1784) |
봉록 | 히로사키 번 |
종5위 하 엣추노카미 | (従五位下越中国守) |
가문 | |
씨족 | 쓰가루 씨 |
아버지 | 쓰가루 노부아키 |
형제 | 센고쿠 요시히사 |
배우자 | 시라카와 번다이묘 마쓰다이라 아키노리의 딸 |
자녀 | 쓰가루 노부아키라, 아베 마사토모의 계실, 호리 지카타다의 정실, 호리 지카타다의 계실, 나스 스케아키라의 부인 등 |
경력 | |
전임 | 쓰가루 노부아키 |
후임 | 쓰가루 노부아키라 |
기타 | |
묘소 | 도쿄도다이토구 우에노의 진료인 |
계명 | 계향원전매계상훈대거사 (戒香院殿梅渓常薫大居士) |
2. 생애
쓰가루 노부야스는 히로사키 번의 6대 다이묘인 쓰가루 노부아키의 장남으로, 아버지가 4세 때 사망하여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았다. 1746년까지는 증조부 쓰가루 노부히사가, 이후 성년이 될 때까지는 가문의 원로 가신들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1753년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에게 공식적으로 알현했다.
노부야스는 지진, 화산 폭발, 이와키 산의 악천후와 반복되는 흉작으로 인해 황폐화된 영지를 물려받았다. 영지는 의 부채를 지고 있었고, 많은 원로 가신들은 부패하여 영지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특히 세 명의 원로 가신은 에도의 상인들과 결탁하여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영지의 쌀 비축량을 모두 판매, 1781년 텐메이 대기근에 영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수천 명이 굶어 죽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1784년 노부야스는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영지와 그가 안고 있던 문제들은 외아들 쓰가루 노부아키라에게 남겨졌다.[1]
2. 1. 어린 시절과 번주 즉위
겐분 4년(1739년) 2월 27일, 히로사키 번의 6대 번주 쓰가루 노부아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엔쿄 원년(1744년) 8월 2일, 아버지 노부아키가 26세로 요절하여 6세의 나이로 가독을 상속했다. 일족 쓰가루 아키노리[1]에게 3000표(俵)를 나누어주었으나, 이듬해 아키노리가 사망하면서 본 번으로 되돌아갔다. 호레키 3년(1753년) 2월 18일, 9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시게에게 어알현했다. 같은 해 12월 18일, 종5위하 도사노카미에 서임되었다.2. 2. 잇따른 재난과 가신들의 부정부패
쓰가루 노부야스의 치세 동안, 히로사키 번은 기근 등 천재지변이 잇따라 영지가 황폐해졌고, 빚은 에 달했다. 게다가 번 중신 3명이 상인과 결탁하여 번 내의 쌀을 매점하여 에도로 매각하여 폭리를 취하는 등, 번정에 부정이 일어났다.[1] 메이와 3년(1766년) 7월 8일, 지진으로 인해 히로사키 성이 붕괴되어 수복 비용으로 막부로부터 을 차입했다. 텐메이 원년(1781년)부터 일어난 텐메이 대기근은 번에 치명타를 입혔다. 텐메이 3년 12월 25일(1784년), 막부로부터 기근 대책을 위해 을 차입했다.2. 3. 텐메이 대기근과 재정 개혁 시도
히로사키 번은 노부야스의 치세 동안 기근 등 천재지변이 잇따라 영지가 황폐해졌고, 빚은 에 달했다. 게다가 번 중신 3명이 상인과 결탁하여 번 내의 쌀을 매점하여 에도로 매각해 폭리를 취하는 등 번정에 부정이 일어났다.[1] 메이와 3년(1766년) 7월 8일, 지진으로 히로사키 성이 붕괴되어 수복 비용으로 막부로부터 을 차입했다. 텐메이 대기근(1781년)은 번에 치명타를 입혔다. 텐메이 3년 12월 25일(1784년), 막부로부터 기근 대책을 위해 을 차입했다. 이러한 빚을 갚기 위해 노부야스는 재정 개혁에 착수하려 했지만, 그 직후 텐메이 4년(1784년)에 급사하였다.2. 4. 사망과 가계
쓰가루 노부야스는 1784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외아들인 쓰가루 노부아키라에게 가문과 그가 안고 있던 문제들을 남겼다.[1] 노부야스는 아들 하나와 딸 셋을 두었다.[1] 그의 묘는 도쿄 다이토구의 신료인(간에이 사의 부속 사찰)과 히로사키의 쓰가루 가문 사찰인 초쇼지(Chōshō-ji)에 있다.[1]항목 | 내용 |
---|---|
아버지 | 쓰가루 노부아키 |
어머니 | 불상 |
정실 | 아야히메 - 마쓰다이라 아키노리의 딸 |
측실 | 카키, 묘센인 - 아오키 스케에몬의 여동생 |
자녀 | 내용 |
장남 | 쓰가루 노부아키라 (1762-1791) |
장녀 | 아베 마사토모 계실 |
차녀 | 호리 치카타다 정실 |
3녀 | 호리 치카타다 계실 |
4녀 | 나스 스케아키 처 |
3. 가계
관계 이름 아버지 쓰가루 노부아키 어머니 불명 정실 아야히메 - 마쓰다이라 아키노리의 딸 측실 가키, 묘센인 (아오키 스케에몬의 여동생) 장남 쓰가루 노부아키라 (1762년 ~ 1791년) 생모 불명의 자녀
4. 쓰가루 노부야스로부터 偏諱를 받은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