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니 디드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 예술 평론가이며 백과사전 편집자였다. 그는 샹파뉴의 랑그르에서 태어나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파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후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디드로는 장 자크 루소와 친구가 되었고, 소피 볼랑과 연애했으며, 딸 앙젤리끄를 얻었다. 그는 《백과전서》 편찬을 주도하며 종교적 관용, 사상의 자유, 과학과 기술의 가치를 옹호했으나, 프랑스 지배 계층의 반발을 사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 러시아 예카테리나 2세의 후원을 받아 말년을 보냈으며, 1784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디드로는 유물론과 무신론에 가까운 철학 사상을 펼쳤으며, 예술 비평과 연극 이론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작으로는 소설 《수녀》, 《라모의 조카》,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 《부갱빌 여행기 보유》 등이 있다.

2. 생애

디드로는 평생 동안 여러 친구와 연인을 두었다. 1742년 장 자크 루소와 카페 드 라 레장스에서 만나 친구가 되었고,[8] 마들렌 드 퓌지외, 소피 볼랑 등과 연애를 했다. 특히 소피 볼랑에게 보낸 편지들은 "18세기의 문학적 보물 중 하나"로 여겨질 만큼 솔직하며, 당시 파리 철학계 인물들의 일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소피 볼랑과의 만남은 디드로가 죽을 때까지 이어졌다.

32세에 거의 극빈 상태에서 백과전서 편집을 맡게 된 디드로는 장 르 롱 달랑베르의 도움을 받고, 몽테스키외, 루소, 케네, 뷔퐁 등 180여 명의 집필자를 동원하였다. 백과전서는 18세기의 새로운 학문·사상·기술을 집대성하고, 인간적인 지식의 모든 부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그의 최대 업적이었다. 그러나 백과전서프랑스 혁명을 사상적으로 준비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당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종교계와 특권 계급으로부터 많은 탄압을 받았다. 디드로는 거듭된 출판 탄압과 집필자들의 이탈 속에서도 백과전서 (1751년-1772년)를 완결하는 대업을 이루었다.

의 표지


1751년,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

러시아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와 개인적으로 교류했던 디드로는 1765년, 딸의 결혼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신의 장서를 예카테리나 2세에게 팔았다. 그러나 이 계약은 디드로가 생존하는 동안에는 그 장서를 곁에 두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어 있었으며, 실제로는 예카테리나로부터의 자금 원조의 성격을 띠었다. 이러한 원조에 보답하기 위해, 디드로는 『백과전서』 완결 후인 1773년 러시아를 방문하기도 했다.

1773년~1774년 드니 디드로의 파리에서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의 여정. '''파란색 선'''은 1773년 6월 3일부터 1773년 10월 9일까지의 여정을, '''빨간색 선'''은 1774년 3월 5일부터 1774년 10월 21일까지의 귀국 여정을 나타낸다.


디드로는 폐색전증으로 1784년 7월 31일에 파리에서 사망하여 생 로슈 성당에 묻혔다.[47] 그의 머리카락 일부가 예카테리나에게 보내져서 러시아 국립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그는 팡테옹에 묻히길 거부했지만 프랑스에서는 종종 팡테옹에 옮기자는 논의가 나오고 있다.[47]

2. 1. 초기 생애

디드로는 1713년 샹파뉴랑그르에서 칼장수의 아들로 태어났다. 6남매 중 네 명이 살아남았는데, 드니 디드로는 맏이었다. 디드로는 두 살 어린 여동생 데니스 디드로(Denise Diderot, 1715–1797)를 '여자 소크라테스'라 종종 부를 정도로 존중하곤 했다.[7]

랑그르 시내 광장 9번지: 배경 오른쪽에는 디드로의 생가가 있다


디드로 동상, 출생지 랑그르에 있다


디드로는 12세 때 랑그르의 예수회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교구 참사원이던 외삼촌 디디에 비뉴롱의 자리를 잇길 바랐던 아버지의 의도였으나 디드로는 그 뜻에 따르지 않고 보헤미안 생활을 하다가 아버지에 의해 감금당하기까지 했다. 끝내 디드로는 성직자가 되지 않았으며 성직자의 수도생활이 인간 본성에 얼마나 반하는가에 대해 천착하게 되었다. 훗날 디드로의 아버지는 남동생 디디에-피에르 디드로(Pierre-Didier Diderot, 1722–1787)를 신부로, 여동생 안젤리크 디드로(Angélique Diderot, 1720–1749)를 수녀로 만들었다. 하지만 젊고 밝았던 안젤리크가 수녀원에서 미치고 병들어 죽게 되자 디드로의 비판적인 생각은 더욱 강해지고 이것은 평생의 주제가 된다.[79] 소설 수녀가 나오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1732년에 문학 학사 학위를 받고 파리의 Collège d'Harcourt에 입학해 지망하던 신학은 포기하고 대신 법학을 공부했다. 법학도 조금 공부하다가 그만두곤 그는 1734년부터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 대서소, 가정교사, 서점 점원 등 생계를 위해 여러 가지 일을 전전했다. 전문직 취업을 포기한 것에 분개한 아버지가 의절했기 때문에 그는 이후 10년간 빈곤에 시달려야 했다.[8]

1742년에 그는 카페 드 라 레장스에서 체스 게임을 보고 커피를 마시면서 만난 장 자크 루소와 우정을 쌓았다.[8] 1743년에 독실한 기독교인이며 3년 연상인 안-앙투아네트 샹피옹(Anne-Antoinette Champion, 1710–1796)과 결혼하게 되는데 그녀는 낮은 신분, 저학력에 아버지도 없고 지참금도 없었으므로 아버지가 반대했고 따라서 더욱 아버지와 멀어지는 계기가 되었다.[8]

2. 2. 보헤미안 시기와 결혼

1734년부터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디드로는 대서소, 가정교사, 서점 점원 등 생계를 위해 여러 가지 일을 했다. 전문직 취업을 포기한 것에 분개한 아버지가 의절했기 때문에 이후 10년간 빈곤에 시달려야 했다.[79]

1742년에 장 자크 루소와 친구가 되었다.[8] 1743년에는 독실한 기독교인이며 3년 연상인 안투아네트 샹피옹과 결혼했는데, 그녀는 낮은 신분, 저학력에 아버지도 없고 지참금도 없었으므로 아버지가 반대했고, 따라서 디드로는 아버지와 더욱 멀어졌다.[79][8]

2. 3. 친구와 연인

1742년에 장 자크 루소와 카페 드 라 레장스에서 만나 친구가 되었다.[8] 디드로는 마들렌 드 퓌지외, 소피 볼랑 등과 연애를 했다. 디드로가 소피 볼랑에게 보낸 편지들은 "18세기의 문학적 보물 중 하나"로 여겨질 만큼 솔직함으로 유명하며, 당시 파리 철학계 인물들의 일상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소피 볼랑과의 만남은 이후 디드로가 죽을 때까지 이어진다.

2. 4. 『[[백과전서]]』 편찬



서적상 겸 인쇄업자였던 앙드레 르 브르통은 드니 디드로에게 에프라임 챔버스의 ''백과사전, 또는 예술과 과학의 보편 사전(Cyclopaedia, or Universal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의 프랑스어 번역 출판 사업을 제안했다.[3] 이 사업은 처음에는 영국인 존 밀스가 시작했고, 그 뒤를 독일인 고트프리트 셀리우스가 이었다.[3] 디드로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변형시켰다. 그는 르 브르통을 설득하여 문예 공화국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통합하는 새로운 작품을 출판하게 했다. 출판업자들은 처음 계획했던 것보다 더 큰 사업 자금을 마련했다. 장 르 롱 달랑베르는 디드로의 동료가 되도록 설득되었고,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1750년, 정교한 안내서가 이 사업을 발표했고, 1751년에 첫 번째 권이 출판되었다.[3] 이 작품은 당시로서는 파격적이고 진보적이었다. 디드로는 "백과사전은 지금까지 그러한 프로젝트를 실행하지 못한 것을 보충해야 하며, 학술원에서 다루는 분야뿐만 아니라 인간 지식의 모든 분야를 포괄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괄적인 지식은 "사람들의 일반적인 사고방식을 바꿀 수 있는 힘"을 줄 것이다.[25] 이 작품은 학문과 무역에 관한 정보를 결합했다. 디드로는 각 주제 영역 내의 지식의 풍부함을 강조했다. 모든 사람이 이러한 통찰력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이다.

디드로는 32세에 거의 극빈 상태에서 백과전서의 편집을 맡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장 르 롱 달랑베르의 도움을 얻고, 몽테스키외, 루소, 케네, 뷔퐁 등 180여 명의 집필자를 동원하였다. 이 <백과전서>는 18세기의 새로운 학문·사상·기술을 집대성하고, 인간적인 지식의 모든 부분을 모아 놓은 책으로 그의 최대 업적이었다.

디드로의 『백과전서』는 시작부터 논란에 휩싸였는데, 1752년 법원에 의해 이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두 번째 권이 완성되자마자 편집자가 종교와 자연법에 관해 작성한 내용과 관련하여 반역적인 내용에 대한 비난이 제기되었다. 디드로는 구금되었고, 그의 집은 이후 기사를 위한 원고를 찾기 위해 수색되었다. 그러나 수색은 성과가 없었는데, 원고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원고는 뜻밖의 공모자, 즉 수색을 처음 명령했던 크레티앙 드 라무아뇽 말제르브의 집에 숨겨져 있었다. 말제르브는 확고한 절대주의자이자 군주에게 충성했지만, 이 문학 프로젝트에 동정적이었다.[26] 그의 지원과 영향력 있는 다른 공모자들의 지원과 함께 프로젝트는 재개되었다. 디드로는 자신의 노력으로 돌아왔지만 끊임없이 논란에 휩싸였다.

이 20년은 디드로에게 끊임없는 고된 노동의 시간일 뿐만 아니라 괴롭힘과 박해, 친구들의 배신이었다. 교회 측은 철학적 적들을 위한 떠오르는 요새로 여겨지는 『백과전서』를 혐오했다. 1757년까지 그들은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는데, 구독자가 2,000명에서 4,000명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대중적 영향력과 권력 측면에서 이 작품의 성장을 보여주는 척도였다.[3] 디드로는 『백과전서』가 프랑스 국민에게 세상의 모든 지식을 제공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백과전서』는 종교적 관용, 사상의 자유, 과학과 산업의 가치를 당연하게 여겼기 때문에 프랑스의 지배 사회 계층(귀족)을 위협했다.[27] 그것은 국가 정부의 주요 관심사가 국가의 일반 국민이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백과전서』는 사회에 반대하는 조직적인 음모자들의 작품이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위험한 사상이 공개 출판으로 인해 실제로 위협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1759년, 『백과전서』는 공식적으로 탄압되었다.[3] 이 포고령은 작업을 중단시키지 않았지만, 은밀하게 진행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증가했다. 장 르 롱 달랑베르는 이 사업에서 손을 떼었고, 튀르고를 포함한 다른 강력한 동료들은 평판이 나빠진 책에 더 이상 기여하기를 거부했다.

장 르 롱 달랑베르가 백과전서 관련 업무들을 도중에 포기하고, 튀르고를 비롯한 몇몇 인사들도 악평을 받고 있던 백과전서에 대한 기고를 거부하자, 디드로는 혼자서 수백 편의 글을 써나가기 시작했다. 짧은 글들도 있었지만, 거의 대부분 꽤나 긴 글들이었다. 게다가 다른 기고자들 원고의 고증 작업을 대신하면서 다듬는 도중 시력에 손상을 입기도 하였다. 그는 낮에는 작업장에서 각종 시스템에 대해 익히고, 밤에는 낮에 익힌 것들을 글로 풀어내는 식으로 집필을 계속해 나갔다. 실로 미치지 않으면 할 수 없었던 그 작업 사이에도 경찰을 비롯한 각종 사람들로부터 지속적인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끝이 나지 않을 것 같던 작업이 끝났지만 결국 그의 고행은 빛을 발하지 못했다. 권력의 비위를 건드릴까 두려웠던 출판업자들이 위험성 있는 텍스트 일부를 제거하고 출판했기 때문이다. 쓰라린 20여 년이 남긴 기념비는 이렇게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었다.

2. 5. 후원과 러시아 여행

예카테리나 2세는 디드로가 돈이 필요하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서재를 사들여 그가 죽을 때까지 관리인으로 임명하고 연봉 1,000 리브르를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50년 치 연봉을 선불로 지불했다.[8] 1766년, 예카테리나 2세는 디드로가 《백과전서》 편집에 대한 연간 수수료를 받지 못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가 자신의 사서로서 봉사한 것에 대한 선불로 50000L를 받도록 조치했다.[8]

디드로는 여행을 싫어했지만, 예카테리나 2세를 방문해야 했다. 1773년 10월 9일,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했고 다음 날 예카테리나 2세를 만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여러 차례 토론을 벌였다. 그녀의 궁정에서 5개월 동안 머무는 동안 그는 거의 매일 그녀를 만났다. 그는 나중에 이 대화들을 '남자와 남자' 사이의 대화였다고 말했다.

그는 때때로 그녀의 허벅지를 때리며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제프랭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예카테리나 2세는 다음과 같이 썼다.

논의된 주제 중 하나는 러시아를 유토피아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디드로의 아이디어였다. 생 퀴르 백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예카테리나 2세는 디드로의 조언을 따르면 그녀의 왕국에 혼란이 초래될 것이라고 썼다.

드니 디드로는 귀국하면서 예카테리나 2세에게 여행 경비로 1,500 루블을 요청했다. 예카테리나 2세는 그에게 3,000 루블과 값비싼 반지를 하사하고, 파리까지 호위할 장교를 붙여주었다. 그는 파리에 도착한 후 예카테리나 2세를 기리는 찬사를 썼다.

1784년 7월, 예카테리나 2세는 디드로의 건강이 좋지 않다는 소식을 듣고 그가 《리슐리외 거리》의 호화로운 스위트룸으로 이사하도록 조치했다. 디드로는 그곳으로 이사한 지 2주 후인 1784년 7월 31일에 사망했다.

디드로의 마지막 저작 중 하나는 "폐하의 법률 제정에 관한 훈령에 대하여"라는 노트였다. 이 러시아에 대한 논평은 예카테리나 2세가 나카즈(지령)에서 했던 몇 가지 주장에 대한 답변을 담고 있었다.[39] 디드로는 예카테리나 2세가 상황과 훈련으로 인해 분명히 전제적이었지만, 본질적으로 폭군적인 것은 아니라고 썼다. 따라서 그녀가 러시아에서 전제 정치를 파괴하려 한다면, 그녀는 왕위를 포기하고 군주제를 부활시키려는 사람을 모두 파괴해야 했다.[39] 그녀는 "국민 외에는 진정한 주권자가 없고, 국민 외에는 진정한 입법자가 있을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해야 했다.[40] 그녀는 독립적인 법적 틀을 설정하고 "우리 국민과 이 국민의 주권자인 우리는 동일하게 판단되는 이 법률에 함께 맹세한다"라는 문구로 시작하는 새로운 러시아 법전을 만들어야 했다.[40] 《나카즈》에서 예카테리나 2세는 "입법은 국가 정신을 따라야 한다"고 썼다.[40] 디드로의 반박은 입법이 국가 정신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그는 불필요하게 끔찍한 공개 처형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주장했다.[41]

결국 디드로는 이 노트를 예카테리나 2세에게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는 사망한 후 다른 서류와 함께 그녀에게 전달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그 노트를 읽고 격노하며, 그것이 신중함, 통찰력, 진실성이 결여된 앞뒤가 맞지 않는 횡설수설이라고 언급했다.[42]

2. 6. 말년과 죽음

디드로는 1784년 7월 31일 파리에서 폐색전증으로 사망하여 생 로슈 성당에 묻혔다.[47] 그의 상속자들은 그의 방대한 장서를 예카테리나 2세에게 보냈고, 예카테리나 2세는 그것을 러시아 국립 도서관에 보관하게 했다. 그는 팡테옹에 묻히길 거부했지만 프랑스에서는 종종 팡테옹에 옮기자는 논의가 나오고 있다.[47]

디드로의 유해는 1793년 묘 도굴꾼들에 의해 파헤쳐져 시신이 성당 바닥에 남겨졌다. 그 후 그의 유해는 당국에 의해 공동 묘지로 옮겨졌을 것으로 추정된다.[48]

3. 철학 사상

드미트리 레비츠키의 ''드니 디드로'' 초상화 (1773), 제네바 미술 및 역사 박물관 소장


디드로는 이신론에서 시작하여 유물론무신론으로 사상이 발전했다. 파라켈수스에 관심을 갖기도 했지만, 신비주의와 오컬트는 반대하며 이성에 기반한 철학을 추구했다.[44]

디드로는 ''백과전서'' 편찬을 후세를 위한 싸움으로 생각했고, 자신의 철학적 노력이 미래에 인정받을 것이라고 확신하며 "후세는 철학자에게 종교인이 가진 '저 세상'과 같다"고 말했다.

디드로 사상의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46]

  • 신이 없는 세상에서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 우리는 예술을 어떻게 감상해야 하는가?
  • 우리는 무엇이며 어디에서 왔는가?
  • 섹스와 사랑은 무엇인가?
  • 철학자는 어떻게 정치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가?

3. 1. 이신론에서 유물론으로

디드로는 초기에는 이신론적 경향을 보였다. 1746년에 저술한 최초의 독창적인 작품인 『철학적 사상』에서 디드로는 이성과 감정의 조화를 주장했다. 그는 감정이 없으면 미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숭고한 작품을 창작할 가능성이 없다고 보았지만, 훈련 없는 감정은 파괴적일 수 있으므로 이성을 통해 감정을 통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디드로는 이 책을 쓸 당시 유신론자였기 때문에, 유신론을 옹호하고 무신론을 반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또한 기독교에 대한 비판도 포함되어 있다.

1747년, 디드로는 『회의주의자의 산책』을 썼다.[15] 이 작품에서 유신론자, 무신론자, 범신론자는 신의 본질에 대해 대화를 나눈다. 유신론자는 설계 논증을 제시하고, 무신론자는 우주가 물리학, 화학, 물질, 운동으로 더 잘 설명된다고 주장한다. 범신론자는 마음과 물질의 우주적 통일성이 신이라고 말한다. 이 작품은 183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는데, 지역 경찰이 기독교에 대한 공격으로 여겨 원고를 압수했거나, 당국이 디드로에게 출판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강요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1749년, 디드로는 『맹인에 관한 서한』을 통해 독창적인 사상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책은 추론과 지각(오감)을 통해 얻는 지식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눈먼 영국 수학자 니컬러스 손더슨[19]은 지식이 감각에서 비롯되므로 수학만이 시력을 가진 사람과 자신이 동의할 수 있는 유일한 형태의 지식이라고 주장하며, 눈먼 사람들은 촉각을 통해 읽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제안한다. 조너선 이스라엘에 따르면, 『맹인에 관한 서한』이 주목할 만한 이유는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 이론을 명확히 제시했기 때문이다.[20]

이 책은 죽어가는 눈먼 철학자 손더슨이 섭리론을 믿도록 설득하려는 유신론 성직자의 주장을 거부하는 장면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손더슨은 신의 창조나 초자연적인 개입 없이 종의 자연 발생과 진화를 설명하는 스피노자주의 자연주의자이자 숙명론자의 주장을 펼친다. 유물론적 "생각하는 물질" 개념이 옹호되었고, "설계 논증"은 공허하고 설득력이 없다고 비판받았다.[21]

디드로는 젊은 시절 볼테르이신론적 "영국 숭배"를 따랐지만, 점차 유물론무신론으로 나아갔다. 1747년 저서인 『회의주의자의 산책』의 두 번째 부분의 철학적 논쟁에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다.[43] 디드로는 파라켈수스의 작품에 약간의 관심을 보였지만,[44] 신비주의와 오컬트에 반대했으며, 종교적 진실 주장은 이성의 영역에 속해야 한다고 믿었다.

1754년 저서인 ''자연 해석에 관하여''에서 디드로는 자연, 진화, 유물론, 수학, 실험 과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상세히 설명했다.[45]

3. 2. 자연과 인간

디드로는 『자연 해석에 관하여』(1754)에서 자연, 진화, 유물론, 수학, 실험 과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상세히 설명했다.[45] 그는 자연의 통일성에 대해 "전체에 대한 생각이 없으면 철학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썼고, "모든 것이 변하고, 모든 것이 지나가며, 전체만 남는다"고 했다.[18] 그는 분자의 시간적 본성에 대해 글을 썼고, 변화하지 않는 세균의 무한 퇴행으로 유기체가 미리 형성된다는 견해인 포개짐을 거부했다. 그는 광물과 종을 스펙트럼의 일부로 보았고, 자웅동체에 매료되었다. 자연의 유연성에 대한 그의 견해는 진화의 발견을 예고했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다윈주의는 아니다.[18]

과학 역사가 컨웨이 지르클은 디드로가 초기 진화 사상가였다고 썼으며, 그의 자연 선택에 대한 묘사가 "너무나 명확하고 정확해서, 그의 시대 이후에 수집된 증거가 없더라도 그의 결론을 논리적인 필연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처럼 보일 정도"라고 언급했다.[22]

3. 3. 윤리와 도덕

디드로는 젊은 시절 볼테르이신론을 따랐지만, 점차 유물론무신론으로 나아갔다. 그는 종교적 진실 주장은 신비로운 경험이 아닌 이성의 영역에 속해야 한다고 믿었다.[43][44]

앤드루 S. 커런에 따르면, 디드로 사상의 주요 질문은 "신이 없는 세상에서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였다.[46] 디드로는 ''백과전서''를 통해 후세가 자신의 노력을 알아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는 "후세는 철학자에게 종교인이 가진 '저 세상'과 같다"고 말했다.

4. 예술론

드니 디드로는 그림의 ''문학적, 철학적, 비평적 통신''에 기고한 살롱 비평("살롱 평")을 통해 근대 미술 비평의 시조로 여겨진다. 그의 비평론은 『회화론』(1766년 간행)으로 집약되었다.[3]

디드로 시대는 문학, 조형 미술(회화, 조각, 건축), 음악을 하나로 묶는 근대적인 예술 개념이 확립되던 시기였다. 근대 예술 개념의 핵심은 회화나 조각을 "머리의 일"로 격상시키는 데 있었다.

디드로는 백과전서 제2권(1752년 간행)에 「미」 항목을 집필하여 미의 근거를 탐구했다. 그는 미를 정의하는 데 필요한 성질로 질서, 관계, 균형 등을 제시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모든 아름다운 존재에 공통된 성질은 '관계의 관념'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미의 유동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며, 뇌우나 폭풍우처럼 질서나 대칭이 없는 존재에서도 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67] 그는 미가 이성보다는 감정의 문제로 여겨지는 경향을 지적하며, "확정하기 어렵지만 인정하기 쉽고, 그 지각에 쾌감이 따르기 때문에, 미는 이성보다는 오히려 감정의 문제라고 추측되었다"라고 말했다.[70] 그는 미에 대한 의견 차이는 지각된 관계의 다양성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으며, "동일 대상 안에 완전히 똑같은 관계를 지각하고, 그것과 똑같은 정도로 아름답다고 판단하는 사람은, 아마 이 지상에 두 사람 없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73]

『회화론』은 철학적인 회화론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그는 시 등을 논할 때 사용되던 수사학적 개념을 버리고 회화를 순수하게 회화로서 논했다. 『회화론』의 마지막 장에서 디드로는 다시 한번 미의 근거에 대해 논하며, "하지만 만약 취미가 변덕스러운 것이고, 미에 대해서는 영원하고 불변의 규칙 따위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모든 원리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고 질문한다.[74] 그는 미를 진, 선과 결합시킴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는 "진, 선, 미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 두 가지 질에 뭔가 드물고 놀라운 상황을 더해보라. 진은 미가 될 것이고, 선은 미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75] 취미란 "경험을 거듭함으로써, 진이나 선이 그것을 아름답게 하는 상황과 함께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것에 즉각적이고 강하게 감명을 받게 되는, 그렇게 몸에 밴 능력"이라고 정의했다.[76]

디드로는 회화를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서는 그 대상인 자연의 구조 혹은 비밀에 통달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의 회화론의 과제는 자연 법칙을 잘 아는 과제와 겹쳐졌다.[77] 사사키 켄이치는 이러한 미와 자연 법칙의 조응이 디드로의 미학적 사색에서 중심적인 주제를 이루었다고 지적한다.[78]

4. 1. 미술 비평

그뢰즈의 감상주의, 특히 한때 디드로의 정부였던 그의 아내를 그린 그림에 디드로는 감사했다.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에 따르면, 디드로의 보고서는 프랑스인들에게 새로운 방식으로 웃는 법을 알게 했고, 사람들에게 아이디어를 통해 색의 신비와 의미를 소개했다. 안 루이즈 제르멘 드 스탈은 "디드로 이전에는 그림에서 칙칙하고 생명이 없는 색상 외에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습니다. 그들에게 입체감과 생명을 부여한 것은 그의 상상력이었고, 나는 그의 천재성에 힘입어 거의 새로운 감각을 얻었습니다."라고 썼다.[3]

1759년, 그림은 디드로에게 ''문학적, 철학적, 비평적 통신''(La Correspondance littéraire, philosophique et critique)을 위해 루브르 박물관에서 열리는 2년마다 열리는 미술 전시회(살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해 달라고 요청했다. 디드로는 1759년부터 1771년까지, 그리고 1775년과 1781년에 살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디드로의 보고서는 "통신에 가장 유명한 기고"가 되었다.[33]

디드로는 1765년 살롱 보고서에 ''회화론''(Essai sur la peinture)을 부록으로 첨부하여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회화론''을 "웅장한 작품이며, 화가에게도 불타는 조명의 횃불이지만, 시인에게도 더욱 유용하게 말한다"라고 묘사했다.

장바티스트 그뢰즈(1725–1805)는 디드로가 가장 좋아했던 동시대 예술가였다.[34]

4. 2. 연극론

1757년, 디드로는 희곡 《사생아》와 이 작품의 의도와 기법을 분석한 〈사생아에 관해서의 도르바르와의 대화〉를 출판했다. 이듬해에는 희곡 《가족의 아버지》와 더 조직적인 연극론인 〈극예술론〉을 발표했다.

디드로는 연극에서 인간의 보편적인 성격보다는 시대, 국가, 직업, 지위에 따라 특정한 처지에 놓인 인간을 묘사하고자 했다. 이는 관념적, 추상적인 인간성 파악에서 벗어나 리얼리즘적 방향으로 나아간 것이다. 또한 시민 도덕을 강조하고 이를 무대에서 읊는 긴 대사를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시민 생활을 다룬 이 새로운 연극을 정극(正劇)이라 칭하고, 이에 어울리는 산문 사용을 권장했다.

디드로의 연극관은 볼테르에 비해 혁신적이었지만, 여전히 고전주의적 희극 요소를 많이 남기고 있었다. 예를 들어, 그의 정극은 비극과 희극이라는 기존 장르를 파괴한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시민적 비극' 혹은 '성실한 희극'을 포함하는 중간 장르를 창시한 것이었다. 또한 고전극의 중요한 규칙인 '삼일치(三一致)의 법칙'도 합리적인 것으로 보았다.

《가족의 아버지》는 1761년 프랑스 극장에서 상연되어 당시로서는 성공했지만, 지나치게 도덕적이고 예술적 가치가 낮아 오늘날에는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사생아》는 더욱 서투른 작품으로, 1771년 프랑스 극장에서의 상연은 배우들의 적대감정으로 인해 실패했다.

디드로는 감상적인 희곡 《사생아》(1757)와 《가족의 아버지》(1758)를 썼으며, "《사생아》에 관한 대화"를 포함하여 연극 이론과 실제에 대한 에세이를 썼다. 여기서 그는 희극과 비극 사이의 현실적인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진지한 장르'라는 새로운 드라마의 원리를 발표했다. 이는 고전 프랑스 무대의 형식적인 관습과 대립하는 것이었다. 1758년, 디드로는 4면 벽의 개념을 도입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3면 박스 세트 무대 앞의 가상의 "벽"으로, 관객이 앞무대 극장에서 연극의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35][36][37] 그는 또한 1770년에서 1778년 사이에 쓰여졌지만, 1830년에 사후에 처음 출판된 《배우의 역설》(Paradoxe sur le comédien)을 썼는데, 이 에세이는 위대한 배우들이 자신이 보여주는 감정을 경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연기 이론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드라마적 에세이이다. 이 에세이는 또한 "l'esprit de l'escalier"(또는 "계단의 정신")이라는 용어가 유래된 곳으로도 주목할 만하다. 이는 너무 늦게 완벽한 답변을 생각해내는 곤경을 묘사하기 위해 영어에서도 사용되는 프랑스어 용어이다.

5. 주요 저작

디드로는 백과전서 편찬 외에도 철학, 소설, 희곡, 미술 비평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작을 남겼다. 그의 글은 우아한 소품에서부터 철학적 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실험적인 작품이 많다.

디드로의 주요 저작
제목연도내용
『회의주의자의 산책』1747유신론, 무신론, 범신론 등 신의 본질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한 대화 형식의 작품
맹인에 관한 서한1749추론과 오감을 통해 얻는 지식의 관계를 다룬 글로,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 이론을 제시하여 주목받았다.[20]
『자연의 해석에 대한 생각들』1754
수녀1760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소설
라모의 조카1761∼1773호라티우스풍자시를 연상시키는 "파르스-비극"
달랑베르의 꿈1769물질의 궁극적인 구성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다룬 대화[3]
부갱빌 여행기 보유1772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1771∼1774
『배우의 역설』1773위대한 배우는 자신이 보여주는 감정을 느끼지 않으면서 연기한다는 이론을 제시한 에세이[35][36][37]



디드로의 문학 작품 대부분은 실험적이며 명확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으며, 사후에 간행된 저작도 많다.

5. 1. 철학 및 사상 관련 저작

디드로는 여러 철학 및 사상 관련 저작을 남겼다. 1746년에 쓴 첫 저작인 철학적 사상(Pensées philosophiques)에서는 이성과 감정의 조화를 강조했다.[82][83] 감정이 없다면 도덕성이 나빠지고 훌륭한 작품을 만들기 어렵지만, 훈련되지 않은 감정은 파괴적일 수 있으므로 이성이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이신론자였던 디드로는 이신론을 옹호하고 무신론을 비판했지만, 기독교에 대한 비판도 담았다.[84]

1747년에는 회의주의자의 산책(Promenade du sceptique)을 썼는데,[15] 여기서는 유신론자, 무신론자, 범신론자가 신의 본질에 대해 대화한다. 유신론자는 설계 논증을, 무신론자는 물리학, 화학, 물질, 운동으로 우주를 설명한다. 범신론자는 마음과 물질이 영원히 함께 존재하며 우주를 구성하는 것이 신이라고 주장한다. 이 작품은 1830년까지 출판되지 못했다.

맹인에 관한 서한(Lettre sur les Blind) (1749)에서는 추론과 오감을 통해 얻는 지식의 관계를 다루었다. 눈먼 영국 수학자 니컬러스 손더슨[19]은 지식이 감각에서 비롯되므로 수학만이 시력을 가진 사람과 자신이 동의할 수 있는 유일한 지식 형태라고 주장하며, 눈먼 사람도 촉각으로 읽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에세이는 유전적 변이와 자연 선택 이론을 제시하여 주목받았다.[20]

1754년에는 『자연 해석에 대한 생각들』(Pensées sur l'interprétation de la nature)을 썼다.

1769년에는 달랑베르의 꿈(Le Rêve de d'Alembert)을 썼는데, 여기서는 물질의 구성과 삶의 의미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다루었다.[3]

5. 2. 문학 작품


  • 수녀 (1760)
  • * 이봉지 역. ''수녀''. 장원. 1760/1993
  • 라모의 조카 (1761∼1773)
  • * 황현산 역. ''라모의 조카''. 세계사/고려대학교출판부. 1761~1773/1998/2006
  •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 (1771∼1774)
  • * 김희영 역. ''운명론자 자크''. 현대소설사. 1773/1992
  • 부갱빌 여행기 보유 (1772)
  • * 정상현 역. ''부갱빌 여행기 보유''. 도서출판 숲. 1772/2003


드니 디드로의 소설은 문학 소비를 위한 작품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그의 동료인 크루아마르 후작을 파리로 다시 유인하기 위한 정교한 장난으로 시작되었다. ''수녀''는 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다.

''라모의 조카''(프랑스어: ''Le Neveu de Rameau'')는 호라티우스의 ''풍자시''를 연상시키는 "파르스-비극"이다.

디드로의 대부분의 문학 작품은 실험적이며 명확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사후에 간행된 저작도 많다.

5. 3. 예술 관련 저작

디드로는 1759년부터 1781년까지 살롱전에 대한 비평을 작성하여 《문학적, 철학적, 비평적 통신》에 기고했다.[33] 그의 살롱 비평은 당대 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1765년 살롱 보고서에는 『회화론』(Essai sur la peinture)을 부록으로 첨부하여 예술적 아름다움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이 책을 "화가에게도 불타는 조명의 횃불이지만, 시인에게도 더욱 유용하게 말한다"라고 묘사했다. 디드로는 장바티스트 그뢰즈의 그림, 특히 그의 아내를 그린 그림에 감탄했다.[34]

디드로는 희곡 《사생아》(1757)와 《가족의 아버지》(1758)를 쓰고, "《사생아》에 관한 대화"를 통해 정극(正劇)이라는 새로운 드라마 장르를 제시했다.[35][36][37] 또한, 1758년 4면 벽의 개념을 소개하여 관객이 연극 속 사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35][36][37]

1770년에서 1778년 사이에 쓰여진 《배우의 역설》(Paradoxe sur le comédien)은 위대한 배우들이 자신이 보여주는 감정을 느끼지 않으면서 연기한다는 이론을 제시한 에세이이다.[35][36][37]

6. 유산과 영향

장-프랑수아 마르몽텔과 앙리 마이스터는 디드로와 지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고 언급했다. 돌바크의 살롱에 정기적으로 참석했던 앙드레 모렐레는 "그곳에서 나는... 디드로가 철학, 예술, 문학의 문제에 대해 논하는 것을 들었고, 그의 풍부한 표현력, 유창함, 영감 어린 모습으로 오랫동안 우리의 주의를 사로잡았다."라고 썼다.[49] 디드로의 동시대인이자 라이벌이었던 장 자크 루소는 그의 저서 《고백》에서 몇 세기 후 디드로는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에게 주어졌던 것만큼 후세에 의해 존경받을 것이라고 썼다.

독일에서는 괴테, 실러, 레싱이 디드로의 저작에 대한 존경심을 표명했고, 괴테는 디드로의 《라모의 조카》를 "뛰어난 사람의 고전적인 작품"이라고 칭하며 "디드로는 디드로이며, 독특한 개인이다. 그와 그의 일에 대해 비난하는 사람은 속물이다."라고 말했다.[50] 프랑스 혁명 동안 무신론이 인기를 잃으면서, 디드로는 비난을 받았고 성직자에 대한 과도한 박해의 책임자로 여겨졌다.[51]

오노레 드 발자크, 외젠 들라크루아, 스탕달, 에밀 졸라, 쇼펜하우어는 디드로를 존경했다.[52] 오귀스트 콩트에 따르면, 디드로는 흥미진진한 시대의 가장 뛰어난 지식인이었다. 역사학자 쥘 미슐레는 그를 "진정한 프로메테우스"라고 묘사하며 디드로의 사상이 미래에도 계속 영향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를 마르크스는 디드로를 자신의 "가장 좋아하는 산문 작가"로 선택했다.[53]

오티스 펠로스와 노먼 토리는 디드로를 "프랑스 18세기의 가장 흥미롭고 도발적인 인물"이라고 묘사했다.[54]

1993년, 미국의 작가 캐슬린 쉰은 뉴욕의 학문적 삶을 풍자한 소설 ''라모의 조카딸''을 출판했는데, 이 소설은 한 여성이 디드로의 ''라모의 조카''를 (상상 속에서) 18세기 포르노 패러디한 것에 대한 연구를 한다는 설정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은 미치코 카쿠타니에 의해 ''뉴욕 타임스''에서 "학문적 정신에 대한 날렵한 철학적 풍자"이자 "현대 매너의 매혹적인 코미디"라고 칭찬받았다.[55]

프랑스 작가 에릭엠마누엘 슈미트는 ''르 리베르탱''(''The Libertine'')이라는 연극을 썼는데, 이 연극은 디드로의 삶의 하루를 상상하며, 여성 화가와의 가상의 만남이 성적으로 고조되지만, ''백과전서'' 편집 요구에 의해 중단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56] 이 연극은 1997년 파리의 테아트르 몽파르나스에서 초연되었으며, 디드로 역에 베르나르 지로도, 테르부슈 부인 역에 크리스티안 코엔디가 출연했고, 비평가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57]

2013년, 디드로 탄생 3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고향 랑그르에서는 그를 기리는 일련의 행사를 개최했으며, 그의 과거와 관련된 장소, 특히 그의 누이 앙젤리크가 서약을 했던 수도원의 유적을 강조하는 도시 오디오 투어를 제작했다.[58] 2013년 10월 6일, 계몽주의 운동에 대한 디드로의 기여에 초점을 맞춘 계몽주의 박물관인 메종 데 뤼미에르 드니 디드로가 랑그르에서 개관했다.[59] 프랑스 정부는 그의 탄생 300주년을 기념하는 것을 고려했지만,[60] 실현되지 못했다.

7. 각주

이 섹션은 본문에 사용된 각주를 모아놓은 곳이다.

참조

[1] 서적 Diderot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웹사이트 Denis Diderot {{!}} Biography, philosophy, Works, Beliefs, Enlightenment,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6-25
[3] 백과사전 Diderot, Denis
[4] 웹사이트 Diderot op de Kneuterdijk (1) http://blog.kb.nl/di[...] 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2013-10-25
[5] 서적 The Enlightenment Penguin
[6] 잡지 How the Man of Reason got Radicalized https://www.newyorke[...] 2019-02-27
[7] 서적 Diderot: The Testing Years, 1713–1759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9] 서적 Diderot Oxford
[10]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11]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12] 잡지 A Majestic Literary Fossil http://www.harpers.o[...] 2006-09-24
[13]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14] 서적 The Story of Philosophy DK Publishing, Inc.
[15] 서적 Diderot Alfred A. Knopf
[16]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17] 서적 Exoticism in the Enlightenment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16-12-12
[18] 서적 The Edge of Objectivity: An Essay in the History of Scientific Ideas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 서적 Imagine there's no heaven: how atheism helped create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4-06-21
[20] 문서 Diderot's contemporary, also a Frenchman, Pierre Louis Maupertuis—who in 1745 was named Head of the Prussian Academy of Science under Frederic the Great—was developing similar ideas. These proto-evolutionary theories were by no means as thought out and systematic as those of Charles Darwin a hundred years later.
[21] 서적 Radical Enlightenment: Philosophy and the Making of Modernity 1650–1750 Oxford University Press
[22] 학술지 Natural Selection before the 'Origin of Specie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41-04-25
[23]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24] 서적 The Age of Voltaire: The Story of Civilization, Volume IX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5] 서적 The Birth of Oriental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6]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27] 서적 Books: A Living History Getty Publishing
[28] 뉴스 'Beware the affluence of gold': on reading Diderot in the age of Trump https://www.theguard[...] 2018-12-15
[29] 서적 Diderot: A Critical Biography Knopf
[30] 서적 The Inn and the Traveller: Digressive Topographies in the Early Modern European Novel Legenda
[31] 서적 Rameau's Nephew and First Satire Oxford UP
[32] 서적 Le Neveu de Rameau et autres dialogues philosophiques Gallimard
[33] 웹사이트 Grimm's Heirs http://text-patterns[...] 2014-02-11
[34] 서적 French Eighteenth-Century Painters Cornell Paperbacks
[35] 서적 Theories of Performance Sage
[36] 서적 Studying plays Arnold
[37] 서적 Reaching a critical mass: a critical analysis of television entertainment https://archive.org/[...] L. Erlbaum Associates
[38]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39]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40]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41] 서적 Diderot: 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42]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43] 서적 Enlightenment Contested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7
[45]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46]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47] 학술지 In the Panthéon https://web.archive.[...] 2013-01-27
[48]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49] 서적 Diderot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0] 서적 Goethe and Rousseau: Resonances of the Mind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15
[51] 서적 Diderot and the Art of Thinking Freely Other Press
[52] 서적 Diderot: A Critical Biography Knopf
[53] 서적 Karl Marx: His Life and Thought Harper & Row
[54] 간행물 Diderot Studies
[55] 웹사이트 Specials https://www.nytimes.[...]
[56] 웹사이트 Theatre http://www.eric-emma[...]
[57] 웹사이트 Eric-Emmanuel Schmitt http://www.theatreon[...]
[58] 웹사이트 Club de trading IQ Option & eToro Diderot https://web.archive.[...] Club basé à Diderot Langres 2014-05-14
[59] 웹사이트 Diderot 2013, Langres en fête http://champagne-ard[...] France 3 Grand Est 2023-06-23
[60] 뉴스 Diderot, an American Exemplar? Bien Sûr! https://ghostarchive[...] 2013-01-24
[61] 백과사전 Denis Diderot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10-02
[62] 서적 Le Neveu de Rameau http://www.denis-did[...] Les Trésors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63] 웹사이트 A Philosophical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Settlements and Trade of the Europeans in the East and West Indies http://www.wdl.org/e[...] 2013-08-30
[64] 백과사전 Philip Denis Diderot French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65] 문서 命名したのはディドロ本人ではなく、カナダの人類文化学者であるグラント・マクラッケン。ディドロのエッセイからこの名称がとられている。
[66] 문서 項目「美」は中川久定が訳担当。
[67] 문서 同上書、337頁。
[68] 문서 同上書、348頁。
[69] 문서 同上書、349頁。
[70] 문서 同上書、339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그림에 관하여 岩波文庫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논문 Diderot et la Religieuse PUF.
[80] 백과사전
[81] 웹사이트 A Majestic Literary Fossil http://www.harpers.o[...] Harper's New Monthly Magazine 2006-09-24
[82] 서적 Diderot:A Critical Biography Alfred A. Knopf
[83] 서적 The Story of Philosophy DK Publishing, Inc.
[84] 서적 The Story of Civilization Volume 9:The Age of Voltaire Simon&Schuster
[85] 서적 출판기획물의 세계사 커뮤니케이션북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