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스타시오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713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된 인물로, 즉위 전에는 관료와 황실 서기관으로 활동했다. 그는 전임 황제의 종교 정책을 되돌리고, 우마이야 왕조의 위협에 대비하여 국방을 강화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로도스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폐위되었고, 이후 복위를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역사적으로는 레오 3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19년 사망 - 고왕
고왕은 발해를 건국한 인물로,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당나라에 저항하여 698년 발해를 건국하고, 713년 당 현종으로부터 발해군왕으로 책봉받았다. - 7세기 출생 - 신문왕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 즉위하여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왕권 강화, 국학 설립을 통한 유교 교육 강화,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 9주 5소경 체제 완성, 고구려 유민 포용 정책 등을 통해 신라의 통일 국가 기틀을 다진 신라의 제31대 왕이다. - 7세기 출생 - 보니파시오
보니파시오는 8세기 잉글랜드 출신 선교사로, 윈프리트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게르마니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를 정비했으며, 교황으로부터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을 받고 게르마니아 선교 주교로 임명되어 프랑크 왕국과 협력하여 선교하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8세기 동로마 황제 - 레온 3세
레온 3세는 8세기 초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이슬람 제국의 침공을 막아냈지만, 말년의 성상 파괴 운동으로 동서 교회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 8세기 동로마 황제 - 콘스탄티노스 6세
콘스탄티노스 6세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어머니 이리니와 권력 다툼, 간통 논쟁, 불가리아 원정 실패 등으로 혼란을 야기하다가 이리니의 반란으로 폐위되어 사망했다.
아나스타시오스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아르테미우스 아나스타시우스 |
칭호 | 로마인의 황제 |
배우자 | 이레네 |
통치 | |
즉위 | 713년 6월 4일 |
퇴위 | 715년 말 |
이전 통치자 | 필리피코스 |
다음 통치자 | 테오도시우스 3세 |
생애 | |
출생 | 알 수 없음 |
사망 | 719년 6월 1일 |
사망 장소 | 콘스탄티노폴리스 성 사도 교회(현재의 터키 이스탄불) |
매장 날짜 | 알 수 없음 |
매장 장소 | 알 수 없음 |
가문 | |
왕가 | 알 수 없음 |
왕조 | 20년 무정부 시대 |
아버지 | 알 수 없음 |
어머니 | 알 수 없음 |
2. 생애
아나스타시오스 2세(Ἀρτέμιοςel; 아르테미스의 남성형)는 선대 황제 시절 관료와 황실 서기관(''아세크레티스'')으로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4] 그의 재임 기간은 비잔틴 제국에서 20년 무정부 시대라고 알려진 격동과 불안의 시기와 일치했다. 마지막 세습 통치자였던 유스티니아누스 2세가 처음 폐위된 후, 제국은 695년부터 713년까지 4명의 통치자가 빠르게 교체되는 혼란을 겪었다. 네 번째 통치자였던 필리피쿠스는 유스티니아누스 2세를 두 번째로 폐위시키는 데 성공했다.
필리피쿠스는 정교회를 따르는 제국 인구 대다수에게 불리한 정책을 채택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교회 총대주교를 폐위시키고 단의론자 총대주교를 임명했는데,이는 제국 내, 특히 정교회 인구 사이에서 상당한 반대에 직면했으며, 로마 교회로부터도 반발을 샀다. 또한 필리피쿠스는 불가르족으로부터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방어하기 위해 아나톨리아에서 발칸 반도로 군사 자원을 전환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으로 제국의 동부 전선은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진격에 취약해졌다.[5]
713년, 트라키아에 주둔한 옵시키온 ''테마'' 소속 군대는 황제 필리피쿠스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가 반란을 주도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리고 황제에게 요구되는 신체적 결함이 없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요구 사항에 따라 필리피쿠스는 눈이 멀게 되었다.[6] 실명 처리된 다음 날, 음모자들은 새로운 황제로 아르테미오스를 선택했고,[7] 그는 이후 재위명 아나스타시오스를 채택했다.
아나스타시오스는 자신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향후 쿠데타를 방지하기 위해 필리피쿠스에 대한 음모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장교들을 실명시키고 추방했다.[8]
2. 1. 즉위 전
2. 2. 즉위 (713년)
동로마 제국의 안정을 꾀하고자 했던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전임자가 시행한 종교 개혁을 되돌리고자 하였다. 제6차 공의회의 결정을 지지하고 단의론을 따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6세를 해임, 715년에 정통 총대주교 게르마누스를 임명했다.[8]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통 신자들 사이의 불안을 잠재우고, 황제로서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정통주의를 옹호함으로써 가톨릭 칼케돈 기독교와의 단기적인 분열을 해결하고 교황 콘스탄티누스의 승인을 얻어 정통성을 강화했다.[8]우마이야 왕조의 위협에 대응하여,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제국의 방어 강화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 다마스쿠스와의 외교적 노력이 실패하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복원, 공성 장비 건설, 식량 비축, 동로마 함대 재건 등 방어 전략을 추진했다.[8] 715년 칼리프 알-왈리드 1세가 죽자, 시리아를 침략하고 함대를 로도스에 집중시켜 적의 해군 자산을 파괴하도록 지시했다.[2][7] 이는 칼리프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고 새로운 정권의 힘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2. 3. 종교 정책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동로마 제국의 안정을 위해 전임자가 시행한 종교 개혁을 되돌리고자 했다. 제6차 공의회의 결정을 지지하고 단의론을 따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6세를 해임하고, 715년에 정통 총대주교 게르마누스를 임명했다.[8]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통 신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고, 황제로서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또한, 가톨릭 칼케돈 기독교와의 단기적인 분열을 해결하고, 교황 콘스탄티누스의 승인을 얻어 자신의 정통성을 더욱 공고히 했다.[8]2. 4. 국방 정책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동로마 제국의 안정을 꾀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전임자가 시행한 종교 개혁을 되돌리고자 제6차 공의회의 결정을 지지하고 단의론을 따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6세를 해임하고, 715년에 정통 총대주교 게르마누스를 임명했다.[8]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정통 신자들 사이의 불안을 잠재우고, 황제로서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가톨릭 칼케돈 기독교와의 단기적인 분열을 해결하고, 교황 콘스탄티누스의 승인을 얻어 자신의 정통성을 더욱 강화했다.종교 개혁 외에도, 아나스타시오스는 우마이야 왕조의 위협에 맞서 제국의 방어를 강화했다. 우마이야 왕조는 714년에 갈라티아까지 진출하며 제국을 육지와 바다로 포위했다. 아나스타시오스는 평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하였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복원, 공성 장비 건설, 식량 비축, 동로마 함대 재건 등 방어 전략을 시작했다.[8] 715년 칼리프 알-왈리드 1세가 죽자, 아나스타시오스는 이수리아의 레오 휘하의 군대를 시리아에 파견하고, 함대를 로도스에 집중시켜 적의 해군 자산을 파괴하도록 지시했다.[2][7] 이는 칼리프에게 빼앗긴 영토를 되찾고, 새로운 정권의 힘을 과시하기 위함이었다.
2. 5. 폐위 (715년)
로도스에서 옵시키온 군대 사이에서 아나스타시우스의 즉위 이후 행위에 대한 불만으로 반란이 일어났고, 이 반란 중 해군 제독 요한이 살해되었다.[2] 반란군은 아나스타시우스를 폐위하고 새로운 황제인 테오도시우스 3세를 옹립하기로 결정했다.[2]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세금 징수원이었던 테오도시우스 3세가 새로운 황제로 선포되었다.[2] 6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콘스탄티노폴리스는 테오도시우스에게 점령당했다.[2] 한편, 아나스타시우스는 니케아로 도망쳤지만 결국 새로운 황제의 권위에 굴복해야 했다.[2] 그는 테살로니카에 있는 수도원으로 은퇴했다.[2] 테오파네스 콘페소르는 아나스타시우스의 통치가 1년 3개월 동안 지속되었으며, 이는 715년 9월에 그의 권력에서 제거되었음을 시사한다고 전한다.[7] 하지만, 715년 11월이라는 다른 날짜도 가능하다.[7]2. 6. 복위 시도와 죽음 (719년)
테오도시우스 3세가 폐위된 이후, 레오 3세는 통치 기간 동안 두 번의 위기에 직면했다. 우마이야 칼리파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했을 때와 시칠리아 주둔 군대가 수도 함락을 오인하여 새 황제를 지지한다고 선언했을 때였다.[3] 이러한 혼란 속에서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719년 비잔틴 제국의 왕위를 되찾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다.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불가리아의 테르벨 (혹은 코르메시)에게 지원을 요청하여 상당한 병력과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3][9]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성벽 사령관 니케타스 안트라카스에게 성문을 열어달라는 메시지를 보냈으나, 메시지가 가로채져 니케타스는 참수되었다.[3] 결국 아나스타시오스 2세와 공모자들은 불가리아인들에 의해 레오 3세에게 넘겨졌고,[4] 719년,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니케타스 쉴리니타스와 테살로니키 대주교 등 다른 공모자들과 함께 처형되었다.[8]
3. 역사적 평가
아나스타시오스 2세는 그의 사후 수십 년이 지나 테오파네스 고백자(Theophanes the Confessor)와 니케포로스 총대주교의 저작을 통해 역사적인 관심을 받았다. 비잔틴 역사를 광범위하게 다루는 이 학자들은 아나스타시오스 2세를 자신의 저술에 포함시켰지만, 그들의 초점은 그의 재위 기간을 넘어 확장되었다. 특히 그들의 기록은 아나스타시오스가 레오 3세에 대항하여 시작한 반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테오파네스와 니케포로스는 실제 사건과 저술 사이의 근접성 때문에, 아나스타시오스에 대한 후속 연구의 주요 자료로 자주 참고된다.[3]
역사 기록이 1900년대에 접어들면서 아나스타시오스 2세에 대한 내용은 더 광범위한 시대적 맥락 속에서 다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10] 그의 재위는 전임자인 필리피쿠스에 대한 설명 직후에 논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기록에서 아나스타시오스는 종종 필리피쿠스에 비해 비교적 호의적인 시각으로 묘사되었다.[7] 또한 아나스타시오스 재위 기간 동안의 불가리아의 행위를 다룬 일부 연구에서도 그의 재위가 언급되었다.[3]
최근 자료들은 아나스타시오스 2세에게 더 적은 분량을 할애하며, 종종 백과사전 항목이나 레오 3세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논의에 국한된다.[9][8] 아나스타시오스의 성격이나 업적에 대한 언급 없이 간략하게 언급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11] 아나스타시오스 2세에게 할애된 문헌의 양이 제한적인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레오 3세가 일반적으로 아나스타시오스가 실패한 부분을 성공적으로 이룬 황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레오 3세와 그의 업적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등장하면서 아나스타시오스 2세에게는 학술적인 관심이 덜 쏠리게 되었다. 또한, 아나스타시오스의 짧은 재위 기간과 주요 자료의 부족이 그가 상대적으로 적은 역사적 조명을 받게 된 원인이 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John Wiley & Sons
[2]
간행물
Anastasius II
[3]
논문
Monoxyla, Slavs, Bulgars, and the Coup Organised by Artemios-Anastasios II (719)
1998
[4]
서적
Byzantine Macedonia: Identity Image and History
BRILL
[5]
웹사이트
Philippikos (711–713)
https://www.doaks.or[...]
2022-10-16
[6]
서적
The Making of Eastern Europe: From Prehistory to Postcommunism
Macmillan Press
[7]
논문
Philippicus, Anastasius II and Theodosius III
1976
[8]
웹사이트
Anastasius II
http://www.roman-emp[...]
Australian Catholic University
2020-10-17
[9]
서적
Constantinople AD 717–18: The Crucible of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03-19
[10]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Macmillan press
[11]
서적
The Chronographia of George the Synkellos and Theophanes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