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티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라티아는 고대 아나톨리아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비티니아와 파플라고니아, 동쪽으로는 폰토스와 카파도키아, 남쪽으로는 킬리키아와 리카오니아, 서쪽으로는 프리기아에 접해 있었다. 이 지역은 기원전 3세기에 정착한 켈트족의 일파인 갈라티아인들의 거주지였으며, 수도는 안키라(현재 앙카라)였다. 켈트족은 헬레니즘 시기에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아 헬레노갈라타이 또는 갈로그래키로 불리기도 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로마의 속주로 편입되어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갈라티아인들은 로마에 충성했지만, 2세기 경에는 헬레니즘화되었고, 언어와 문화는 점차 사라져 아나톨리아의 그리스어 사용 인구에 동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카라주의 역사 - 앙카라 전투
앙카라 전투는 1402년 티무르와 오스만 제국의 바예지드 1세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티무르의 승리, 바예지드 1세의 포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내전이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 앙카라주의 역사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 갈라티아 - 텍토사게스족
텍토사게스족은 기원전 3세기 갈리아 툴루즈 지역에서 기원한 켈트족의 일파로, 발칸 반도 침략 후 소아시아로 이동하여 갈라티아인을 형성하고 앙키라를 중심으로 갈라티아 영토의 중심부를 차지했다. - 갈라티아 - 톨리스토보기이족
앙카라 서쪽 에스키셰히르 주 일대에 거주했던 톨리스토보기이족은 켈트족의 일파로, 기원전 279년 델포이 약탈에 가담하며 역사에 등장했고 로마에 대항하여 강력한 국가로 통합되었으며, 그 명칭은 켈트조어 어근에서 유래되었다. - 기원전 1세기 폐지 - 헤로데 왕국
헤로데 왕국은 기원전 1세기 후반부터 기원후 1세기 초반까지 로마 제국의 클라이언트 왕국으로, 헤로데 1세가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되어 시작되었으며 그의 사후 분할 통치되다가 유대 속주로 편입되었다. - 기원전 1세기 폐지 - 리케이온
리케이온은 고대 아테네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설립한 철학 학교이자 토론 장소로, 다양한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지원을 받아 도서관을 운영했으나, 서기 267년 침략으로 파괴되었다.
갈라티아 | |
---|---|
개요 | |
위치 | 중앙아나톨리아, 튀르키예 |
존속 기간 | 기원전 280년–기원전 64년 |
사용 언어 | 갈라티아어, 고대 그리스어 |
아케메네스 사트라피 | 카파도키아 |
로마 속주 | 갈라티아 |
역사 | |
성립 | 기원전 3세기 |
민족 이동 | 켈트족의 갈리아에서 아나톨리아로의 이동 |
갈라티아인 | 톨리스토보기족 텍토사게스족 트로크미족 |
수도 | 안키라 (현재의 앙카라) |
주요 도시 | 페시누스 고르디온 타비아 |
문화 | |
언어 | 갈라티아어 (소멸) |
종교 | 켈트 다신교, 이후 기독교 |
지리 | |
위치 | 아나톨리아 중앙 고원 |
인접 지역 | 카파도키아 파플라고니아 프리기아 리카오니아 |
기타 | |
관련 항목 | 갈라티아서 골로새서 아나톨리아의 역사적 영역 |
고대 지명 | |
다른 표기 | grc, Galatia |
2. 지리
갈라티아는 북쪽으로 비티니아와 파플라고니아, 동쪽으로 폰토스와 카파도키아, 남쪽으로 킬리키아와 리카오니아, 서쪽으로 프리기아에 접해 있었다. 수도는 안키라(오늘날 튀르키예의 수도인 앙카라)였다.
기원전 2세기 초, 갈라티아인들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로마-시리아 전쟁에서 로마에 패배하면서(기원전 189년) 군사력이 약화되었다. 이후 그들은 종종 폰토스에 굴복하기도 했지만,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에는 반항하여 로마를 지원함으로써 해방되었다. 기원전 64년, 갈라티아는 로마의 동맹국(속국)이 되었고, 옛 왕국은 해체되어 3명의 부족장이 다스리게 되었다.[11]
3. 켈트족 갈라티아
3. 1. 기원과 이동
"갈라티아인"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의 세 켈트족, 즉 텍토사게스, 트로크미, 톨리스토보기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3] 기원전 1세기경, 켈트족은 너무나 헬레니화되어 일부 그리스 작가들은 그들을 ''헬레노갈라타이''(Ἑλληνογαλάται)라고 불렀다.[4][11] 로마인들은 그들을 ''갈로그래키''라고 불렀다.[11]
기원전 4세기경, 켈트족은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트라키아인 및 그리스인과 접촉했다.[5] 기원전 380년, 그들은 달마티아 (오늘날의 크로아티아) 남부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고, 고대 세계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가 켈트족 기원의 단검을 사용한 누군가에게 암살당했다는 소문이 돌았다.[6][7] 아리아노스는 "이오니아 해안에 정착한 켈트족"이 기원전 335년 게타이와의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만나러 온 사람들 중 하나였다고 기록했다.[8] 몇몇 고대 기록에서는 켈트족이 시라쿠사의 디오니시우스 1세와 동맹을 맺고 마케도니아인과 함께 테베에 대항하여 싸우기 위해 그들을 파견했다고 언급하고 있다.[9] 기원전 279년, 두 켈트족 파벌은 브레누스의 지도 아래 연합하여 불가리아 남부에서 그리스 국가들을 향해 남쪽으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리비우스에 따르면, 이 주력 집단에서 상당한 규모의 세력이 분리되어 소아시아로 향했다.[10]
수년 동안, 비잔티온과 칼케돈을 포함한 헬레스폰토스 도시 연맹은 켈트족이 소아시아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11][2]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와 그의 형제 지포에테스 사이의 권력 투쟁 과정에서, 니코메데스 1세는 20,000명의 갈라티아 용병을 고용했다. 갈라티아인들은 레오노리우스와 루타리우스가 각각 이끄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보스포루스 해협과 헬레스폰토스 해협을 건너갔다. 기원전 277년, 적대 행위가 끝나자 갈라티아인들은 니코메데스 1세의 통제에서 벗어나 시리아에서 안티오코스가 지배를 굳히는 동안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갈라티아인들은 키지쿠스, 일리온, 디디마, 프리에네, 두아테이라 및 리쿠스 강가의 라오디케아를 약탈했으며, 에리트라이 시민들은 그들에게 몸값을 지불했다. 기원전 275년 또는 269년, 안티오코스의 군대는 사르디스 평원에서 코끼리 전투에서 갈라티아인과 맞붙었다. 전투 이후 켈트족은 결국 갈라티아로 알려지게 된 지역인 북부 프리기아에 정착했다.
이 갈리아인들은 당시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그리스에 침입한 사람들 중 일부이다. 이 그룹은 기원전 279년에 트라키아로 이주했으며, 기원전 278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아나톨리아에 나타났다. 비티니아의 왕위 쟁탈전에 끌어들여졌지만, 그 후에도 그들은 용맹한 전사로서 존경받았으며, 페르가몬 왕국 등 아나톨리아 제국을 둘러싼 싸움에 용병 또는 동맹군으로 종종 참여했다.
그들은 약 1만 명의 전사 및 그 가족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텍토사게스, 트로크미, 톨리스토보기이 3부족으로 나뉘어 있었다. 마케도니아·그리스에 침입한 그룹은 곧 격퇴되었지만, 아나톨리아 중부에 이주한 갈리아인은 원래 프리지아의 동부에 정착하여 왕국을 세웠고, 이곳이 갈라티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3. 2. 헬레니즘화
"갈라티아인"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의 세 켈트족, 즉 텍토사게스, 트로크미, 톨리스토보기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3] 기원전 1세기경, 켈트족은 너무나 헬레니화되어 일부 그리스 작가들은 그들을 ''헬레노갈라타이''(Ἑλληνογαλάται)라고 불렀다.[4][11] 로마인들은 그들을 ''갈로그래키''라고 불렀다.[11] 켈트족은 헬레니즘 소아시아에 광범위하게 통합되었지만, 그들의 언어적,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했다.[2]
수년 동안, 비잔티온과 칼케돈을 포함한 헬레스폰토스 도시 연맹은 켈트족이 소아시아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11][2]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와 그의 형제 지포에테스 사이의 권력 투쟁 과정에서, 니코메데스 1세는 20,000명의 갈라티아 용병을 고용했다. 갈라티아인들은 레오노리우스와 루타리우스가 각각 이끄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보스포루스 해협과 헬레스폰토스 해협을 건너갔다. 기원전 277년, 적대 행위가 끝나자 갈라티아인들은 니코메데스의 통제에서 벗어나 시리아에서 안티오코스가 지배를 굳히는 동안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갈라티아인들은 키지쿠스, 일리온, 디디마, 프리에네, 두아테이라 및 리쿠스 강가의 라오디케아를 약탈했으며, 에리트라이 시민들은 그들에게 몸값을 지불했다. 기원전 275년 또는 269년, 안티오코스의 군대는 사르디스 평원에서 코끼리 전투에서 갈라티아인과 맞붙었다. 전투 이후 켈트족은 결국 갈라티아로 알려지게 된 지역인 북부 프리기아에 정착했다.
3. 3. 주변국과의 관계
갈라티아인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인들이 아나톨리아의 세 켈트족, 즉 텍토사게스, 트로크미, 톨리스토보기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2][3] 기원전 1세기경, 켈트족은 헬레니즘화되어 일부 그리스 작가들은 그들을 ''헬레노갈라타이''(Ἑλληνογαλάται)라고 불렀다.[4][11] 로마인들은 그들을 ''갈로그래키''라고 불렀다.[11]
기원전 4세기경, 켈트족은 발칸 반도로 진출하여 트라키아인 및 그리스인과 접촉했다.[5] 기원전 380년, 그들은 달마티아 (오늘날의 크로아티아) 남부 지역에서 전투를 벌였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아버지인 필리포스 2세가 켈트족 기원의 단검을 사용한 누군가에게 암살당했다는 소문이 돌았다.[6][7] 아리아노스는 "이오니아 해안에 정착한 켈트족"이 기원전 335년 게타이와의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만나러 온 사람들 중 하나였다고 기록했다.[8]
수년 동안, 비잔티온과 칼케돈을 포함한 헬레스폰토스 도시 연맹은 켈트족이 소아시아로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11][2] 비티니아의 니코메데스 1세는 그의 형제 지포에테스와의 권력 투쟁 과정에서 20,000명의 갈라티아 용병을 고용했다. 기원전 277년, 갈라티아인들은 니코메데스의 통제에서 벗어나 시리아에서 안티오코스가 지배를 굳히는 동안 소아시아의 그리스 도시들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275년 또는 269년, 안티오코스의 군대는 사르디스 평원에서 코끼리 전투에서 갈라티아인과 맞붙었다. 전투 이후 켈트족은 북부 프리기아에 정착했고, 이곳은 갈라티아로 알려지게 되었다.
갈리아인들은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그리스에 침입한 사람들 중 일부이다. 이들은 기원전 279년에 트라키아로 이주했으며, 기원전 278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아나톨리아에 나타났다. 비티니아의 왕위 쟁탈전에 끌어들여졌지만, 용맹한 전사로서 페르가몬 왕국 등 아나톨리아 제국을 둘러싼 싸움에 용병 또는 동맹군으로 참여했다.
기원전 2세기 초에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와 동맹을 맺었지만, 로마-시리아 전쟁에서 로마에 패했다(기원전 189년). 이후 군사력이 저하되어 폰토스에 굴복했지만, 폰토스 왕 미트리다테스 6세 시대에 반항하여 로마를 지원하여 해방되었다. 기원전 64년에 로마의 동맹국(속국)이 되었고, 옛 왕국은 해체되어 3명의 부족장이 지배했다.
4. 로마 속주 갈라티아
요세푸스는 성경 속 인물 고멜을 갈라티아(또는 일반적으로 갈리아)와 연관시켰다. 그는 "고멜은 그리스인들이 지금은 갈라티아인, [골족]이라고 부르지만, 당시에는 고메리트족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을 세웠다"[15]라고 썼다. 다른 이들은 고멜을 킴메르인과 연관시키기도 한다.
386년에서 395년 사이의 행정 개편으로 두 개의 새로운 속주, 즉 ''갈라티아 프리마''와 ''갈라티아 세쿤다'' (''살루타리스''라고도 함)가 설치되었으며, 여기에는 프리기아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4. 1. 로마 편입
데이오타루스가 사망한 후, 갈라티아 왕국은 아민타스에게 주어졌다. 그는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로마 군대에서 보조 지휘관이었으며 마르크 안토니우스의 호의를 얻었다.[13] 기원전 25년 아민타스가 사망하자, 갈라티아는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로마 제국에 편입되어 로마 속주가 되었다.[14] 수도 안키라(현재의 앙카라) 근처에서 왕의 상속자인 퓔라메네스는 아우구스투스를 기리기 위해 프리기아 신인 멘의 사원을 재건하여 충성의 표시로 삼았다(아우구스투스의 업적). 갈라티아에 있는 이 사원의 벽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주요 자료인 ''업적''이 보존되어 현대에 전해졌다. 로마에 그처럼 열정적으로 충성하는 속주는 거의 없었다.아민타스는 프리지아 등으로 영토를 확장했지만, 기원전 25년 그가 죽자 왕국은 로마에 유증되어 "갈라티아 속주"가 되었다. 여기에는 본래의 갈라티아 외에 프리지아의 일부도 포함되었다. 갈라티아인들은 로마에 매우 순종적이었고, 갈리아-로마 양쪽 문화가 융합된 문화 (유럽의 갈로-로마 문화와 유사한)가 번성했다.
4. 2. 초기 기독교
사도 바울은 선교 여행 중에 갈라티아를 방문했으며,[16] 그곳의 기독교인들에게 갈라디아서를 썼다. 바울로는 1세기 중반에 갈라티아(갈라테야) 땅에 기독교 전도를 했다. 2차 선교 여행에서 바울과 그의 동역자들은 제우스·헤르메스라는 그리스 신의 화신으로 칭송받기도 했다 (사도행전). 바울이 쓴 '갈라디아서'의 수신지는 본래의 갈라티아 (북부)가 아니라, 원래 프리지아였던 남부 지방이라는 설도 있다.4. 3. 언어와 문화
갈라티아인들은 원래 강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서기 2세기까지 동화되어 아나톨리아의 헬레니즘 문명에 헬레니즘화되었다.[17] 사도 바울은 선교 여행 중에 갈라티아를 방문했으며,[16] 그곳의 기독교인들에게 갈라디아서를 썼다. 1세기 중반에 갈라티아(갈라테야) 땅에 기독교 전도를 했다. 제2차 전도에서 그들은 제우스·헤르메스라는 그리스 신의 화신으로 칭송받았다고 한다 (사도행전). 그가 쓴 '갈라디아서'의 수신지는 본래의 갈라티아 (북부)가 아니라, 원래 프리지아였던 남부 지방이라는 설도 있다.제롬 (347–420 AD) 시대에도 갈라티아어를 사용했는데, 그는 안키라의 갈라티아인과 트리어 (현재 라인란트)의 트레베리족이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썼다(''갈라디아서 주해'', 2.3, c. 387년에 작성).[17] 히에로니무스 시대(387년경)에도 갈라티아어는 사용되었으며, 그는 "앙키라와 트리어 (현재 독일)에서 같은 켈트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썼다.
갈라티아 민족의 운명은 다소 불확실하지만, 결국 아나톨리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구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갈라티아인들이 그 후 어떻게 되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리스어, 그 후에는 터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언어학자 이즈미 히사노스케는 갈라티아인은 고대 켈트어로 "용자, 전사"를 의미한다고 했다.[18]
4. 4. 쇠퇴
데이오타루스가 사망한 후, 갈라티아 왕국은 아민타스에게 주어졌다. 그는 브루투스와 카시우스의 로마 군대에서 보조 지휘관이었으며 마르크 안토니우스의 호의를 얻었다.[13] 기원전 25년 아민타스가 사망한 후, 아우구스투스는 갈라티아를 로마 제국에 편입하여 로마 속주로 만들었다.[14]사도 바울은 선교 여행 중에 갈라티아를 방문했으며,[16] 그곳의 기독교인들에게 갈라디아서를 썼다. 1세기 중반, 바울로는 갈라티아(갈라테야) 땅에 기독교 전도를 했다. 2차 전도에서 그들은 제우스·헤르메스라는 그리스 신의 화신으로 칭송받았다고 한다 (사도행전). 그가 쓴 '갈라디아서'의 수신지는 본래의 갈라티아 (북부)가 아니라, 원래 프리지아였던 남부 지방이라는 설도 있다.
원래 강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서기 2세기까지 갈라티아인들은 동화되어 아나톨리아의 헬레니즘 문명에 헬레니즘화되었다.[17] 갈라티아인들은 성 제롬 (347–420 AD) 시대에도 갈라티아어를 사용했는데, 그는 안키라의 갈라티아인과 트리어 (현재 라인란트)의 트레베리족이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썼다(''갈라디아서 주해'', 2.3, c. 387년에 작성). 히에로니무스 시대(387년경)에도 "앙키라와 트리어 (현재 독일)에서 같은 켈트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기록되었다.
행정 개편(c. 386–395)에서 두 개의 새로운 속주, 즉 ''갈라티아 프리마''와 ''갈라티아 세쿤다'' 또는 ''살루타리스''가 그 뒤를 이었으며, 여기에는 프리기아의 일부가 포함되었다. 갈라티아 민족의 운명은 다소 불확실하지만, 결국 아나톨리아의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구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서적
El Dorado-Greaves
https://books.google[...]
C. A. Nichols Company
1894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Bible and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5-15
[3]
서적
Galatians
Routledge
1998
[4]
문서
See Diod.5.32-3; Just.26.2. Cf. Liv.38.17; Strabo 13.4.2.
[5]
문서
See The Periplus of Scylax (18-19)
[6]
문서
See Diod. 16, 94, 3
[7]
서적
The Celts
Random House Incorporated
1999
[8]
문서
See also Strabo, vii, 3, 8.
[9]
문서
Justin, xx, 4, 9; Xen., Hell., vii, 1, 20, 31; Diod., xv, 70. For a full discussion see [[Henri Hubert]], The Rise of the Celts, 1966 pp. 5-6
[10]
서적
The Ancient Celts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4-10
[11]
서적
The Manipulative Mode: Political Propaganda in Antiquity : a Collection of Case Studies
Brill
2005-01
[12]
서적
Galatians
https://archive.org/[...]
Augsburg Publishing House
1985-01-01
[13]
웹사이트
Asia Minor Coins – Amyntas
http://www.asiaminor[...]
[14]
간행물
Galatia
[15]
문서
Antiquities of the Jews
[16]
문서
Acts 16:6 and Acts 18:23
http://www.biblegate[...]
[17]
웹사이트
Galatia
https://www.britanni[...]
[18]
서적
ヨーロッパの言語
岩波書店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