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다.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델로스 섬에서 태어났으며, 님프들을 거느리고 사냥을 즐겼다. 주요 신화로는 오리온, 악타이온, 칼리스토와 관련된 이야기가 있으며, 숭배는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이루어졌다.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으며, 에페소스, 아테네 등지에서 다양한 축제가 열렸다. 예술 작품에서 아르테미스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되며, 현대에는 소행성, 크레이터, 생물 분류, 우주 계획 등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의 여신 - 디아나
디아나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달, 출산의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동일시되며, 숲과 사냥, 출산 등을 관장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고 현대에도 숭배된다. - 개의 여신 - 헤카테
헤카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땅, 바다, 하늘에서 권능을 부여받았으며, 경계, 교차로, 마법 등과 관련되어 횃불, 열쇠 등을 상징하고 문학 작품과 현대 신이교주의에서도 나타난다. - 아르테미스 - 디아나
디아나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달, 출산의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동일시되며, 숲과 사냥, 출산 등을 관장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고 현대에도 숭배된다. - 아르테미스 - 포트니아 테론
포트니아 테론은 고대 그리스에서 숭배받던 "동물들의 여주인"이라는 의미의 여신으로,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고 다스리며 풍요와 권위를 상징한다. - 고양이의 여신 - 무트
무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어머니'를 뜻하며 테베 삼주신 중 아몬의 아내로 숭배받던 여신으로, 독수리 날개를 가진 여성이나 다양한 동물로 표현되며 '이집트의 여주인' 등으로 불렸다. - 고양이의 여신 - 바스테트
바스테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암사자 전사이자 태양신으로 숭배받다가 고양이 모습으로 변화한 여신으로, 하 이집트의 수호신이자 파라오와 라를 수호하며 다산, 출산, 풍요를 상징했다.
아르테미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사냥 · 동물 · 숲 · 처녀성 · 달 · 풍요의 여신 |
그룹 | 여신, 올림포스 12신(도데카테온) |
로마자 표기 | Artemis |
그리스어 표기 | Ἄρτεμις |
일본어 표기 | アルテミス |
한국어 표기 | 아르테미스 |
로마 신화 | 디아나 |
주요 상징 | 활 화살 수사슴 사냥개 달 |
거주지 | 올림포스 |
무기 | 금으로 만든 활과 화살 |
가족 관계 | |
부모 | 제우스와 레토 |
형제자매 | 아폴론 |
신화 속 역할 | |
담당 영역 | 사냥, 貞潔, 달, 자연, 야생 동물, 치유, 갑작스러운 죽음, 동물, 젊은 여성, 궁술, 출산 |
숭배 중심지 | 에페소스 |
기타 | |
![]() | |
![]() | |
행성 | 달 |
탈것 | 네 마리의 황금 뿔 사슴이 끄는 황금 전차 |
동물 | 사슴, 뱀, 개, 멧돼지, 염소, 곰, 메추라기, 검독수리, 뿔닭 |
나무 | 사이프러스, 야자, 호두나무 |
2. 어원 및 명칭
"아르테미스"(명사, 여성)라는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거나 알 수 없다.[6][7] R.S.P. 비크스는 'e'/'i'의 교체가 그리스 이전 기원을 가리킨다고 제안했다.[8] 아르테미스는 리디아에서 'Artimus'로 숭배되었다.[9][10] 게오르기오스 바비니오티스는 어원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이 이름이 이미 미케네 그리스어에 기록되어 있으며 그리스 이전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7]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는 사냥과 순결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여겨진다. 아르테미스의 제사는 여성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신화에서는 님프들을 거느리고 아르카디아의 산과 들을 누비며 사슴을 사냥하지만, 때로는 사람들에게도 화살을 겨누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아폴론과 함께 데로스 섬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후대의 전승이며, 어머니 레토가 헤라의 질투를 피해 방황하던 중 오르티기아 섬에서 먼저 아르테미스가 태어나고, 그 후 데로스 섬에서 아폴론이 태어났다.
이 이름은 그리스어의 'árktos'("곰")( PIE *''h₂ŕ̥tḱos''에서 유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아테네( 브라우로니아)에서 여신이 가지고 있던 곰 숭배와 신석기 시대 아르쿠디오티사 동굴의 유적, 그리고 원래 아르테미스에 관한 이야기였던 칼리스토 이야기(아르카디아의 별칭 '칼리스토')[11]를 통해 뒷받침된다. 이 숭배는 매우 오래된 토템적이고 주술적인 의식의 잔재였으며, 다른 인도-유럽 문화(예: 갈리아의 아르티오)에서 더 널리 발견되는 더 큰 곰 숭배의 일부를 형성했다.
J.T. 야블론스키에 따르면, 이 이름은 또한 프리기아어이며 크세노폰의 왕족 칭호 'Artemas'와 비교될 수 있다.[17] 찰스 앤손은 이 이름의 원시 어근은 페르시아어 *''arta'', *''art'', *''art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며, 이는 모두 "위대한, 훌륭한, 신성한"을 의미하므로 아르테미스는 "에페소스에서 숭배되었던 것처럼 자연의 위대한 어머니와 동일해진다".[17]
고대 그리스 작가들은 민간어원을 통해 아르테미스(도리아어 ''Artamis'')를 ἄρταμοςgrc, ''artamos'', 즉 "정육점"[18][19] 또는 플라톤이 ''크라튀로스''에서처럼 ἀρτεμήςgrc, ''artemḗs'', 즉 "안전한", "무사한", "다치지 않은", "순수한", "티 없는 처녀"와 연결시켰다.[20][17][21]
3. 신화
이때 아르테미스는 갓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의 산고에 함께하며, 산파 역할을 했다. 이 신화에서 그녀에게 생식과 출산을 관장하는 여신의 측면을 볼 수 있다. 더욱이, 아직 어린 시절에 제우스를 찾아 만나 애비라와 짧은 튜닉, 사냥용 장화를 얻고, 임산부의 수호신이 되는 것을 제우스에게 요청했다고 한다. 아폴론과 함께 행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어머니를 모욕한 니오베의 자녀들과 대결한 전설이 전해진다. 또한 아르테미스의 분노에 닿아 불행을 당한 자로는 영웅 오리온과 악타이온의 전설이 있다.
아르테미스는 오비디우스(Ovidius)가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에서 서사시적인 연애담을 묘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오리온과의 연애 이야기 등이 전해진다.
칼리스토(Kallistō)는 아르카디아의 뉘뻬였지만, 정결을 서약하고 아르테미스를 따랐다. 제우스는 모습을 바꾸어 칼리스토에게 접근하여 그녀를 사랑했다. 이렇게 두 사람 사이에 아르카디아의 조상이 되는 아르카스가 태어났지만, 아르테미스는 이를 분노하여 그녀를 암곰으로 만들었다(일설에는 헤라가, 또는 제우스 자신이 암곰으로 만들었다고 한다).[377] 칼리스토는 아르테미스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고도 하고, 아들 아르카스가 그것을 알지 못하고 곰으로 생각하여 그녀를 죽였다고도 한다.
제우스는 칼리스토를 불쌍히 여겨 하늘로 올려 큰곰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아들 아르카스는 작은곰자리가 되었다(참고로 목동자리도 아르카스의 모습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칼리스토는 원래 "아르테미스 칼리스테"(Artemis Kallistē, 가장 아름다운 아르테미스)이며, 아르테미스 자신이었다고 생각된다.
악타이온()은 아폴론의 아들 아리스타이오스와 카드모스의 딸 아우토노에 사이에서 태어난 사냥꾼이었다. 그는 키타이론 산에서 50마리의 사냥개를 데리고 사냥을 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아르테미스가 샘에서 목욕하는 모습을 엿보게 되어 여신의 나체를 보았다. 아르테미스는 분노하여 악타이온을 사슴으로 변하게 하고, 그가 데리고 있던 50마리의 사냥개들에게 습격하게 했다. 사냥개들에게 악타이온은 갈기갈기 찢겨 죽었다.[378]
오리온()은 포세이돈의 아들이다. 그는 육지와 바다 모두 걸을 수 있었고, 엄청난 괴력의 소유자로, 굵은 곤봉을 사용하여 산짐승을 사냥하는 그리스 최고의 사냥꾼이었다.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와 그리스 최고의 사냥꾼 오리온은 점차 친해졌고, 신들 사이에서도 두 사람은 곧 결혼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그러나 아르테미스의 쌍둥이 동생(오빠)인 아폴론은 거친 오리온을 싫어했고, 순결을 관장하는 처녀 여신인 그녀에게 연애가 허락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관계를 달가워하지 않았다. 하지만 아르테미스는 아폴론의 속셈을 개의치 않았다.
그러자 아폴론은 계략을 써서 아르테미스를 속이는 폭거를 저질렀다. 아폴론은 아르테미스의 활솜씨를 일부러 비웃으며, 바다에 들어가 머리만 수면 위에 내밀고 있는 오리온을 가리키며 "저것을 쏠 수 있겠느냐"고 도발했다. 오리온은 아폴론의 계략으로 멀리 있었기 때문에, 아르테미스는 그것이 오리온인지 몰랐다.
아르테미스는 화살을 쏘았고, 오리온은 화살에 맞아 죽었다. 여신이 오리온의 죽음을 알게 된 것은 다음 날 오리온의 시체가 해변에 떠밀려 온 후였다. 아르테미스는 후에 신이 될 정도의 실력을 가진 의사 아스클레피오스를 찾아가 오리온의 부활을 요청했지만, 저승의 왕 하데스가 그것에 반대했다.
아르테미스는 아버이자 신들의 왕인 제우스에게 호소하지만, 제우스도 죽은 자의 부활을 허락할 수 없었고, 대신 오리온을 하늘로 올려 별자리로 만들어 아르테미스를 위로했다. 전갈자리는 아폴론이 계략을 써서 오리온을 공격하게 하고 그가 바다에 들어가게 만든 전갈이라고 여겨졌다. 그 때문에 오리온자리는 지금도 전갈자리가 떠오르면 그곳에서 도망치듯 서쪽으로 진다.
3. 1. 탄생
헤라는 레토가 임신한 쌍둥이들이 아버지인 제우스 다음가는 권력을 누리게 될 것이라는 예언을 듣고 큰 뱀 피톤에게 레토를 끊임없이 쫓아다니면서 햇빛이 닿는 곳 어디에서도 해산을 막으라고 명령했다.[188] 출산이 임박하자 레토는 해산할 장소를 찾아 헤매다 오르튀기아 섬에 당도했다. 레토가 발을 디디자 포세이돈이 섬 위로 파도를 솟구치게 하여 햇빛을 막아주었고, 레토는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을 수 있었다.[188]
그리스 신화에는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의 탄생에 대해 여러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모두 제우스와 레토의 딸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라는 점에는 동의한다.[188]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는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이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자매임을 확인하지만, 그들이 쌍둥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는다.[189]
칼리마쿠스에 따르면, 헤라는 레토가 육지나 섬에서 출산하는 것을 금했지만, 델로스 섬은 이를 거역하고 레토가 그곳에서 출산하도록 허락했다. 호메로스 찬가에 따르면, 아르테미스와 쌍둥이가 태어난 섬은 오르튀기아였다.[190][191] 고대 크레타 역사에서 레토는 파이스토스에서 숭배되었고, 크레타 신화에서 레토는 오늘날 팍시마디아로 알려진 섬에서 아폴론과 아르테미스를 낳았다.
아이네이스 3권 72행에 대한 세르비우스의 주석은 섬의 고대 이름 오르튀기아[192]를 설명하면서 제우스가 레토를 메추라기(''ortux'')로 변신시켰다고 주장한다.[193]
대부분의 이야기는 아르테미스를 장녀로 묘사하며, 동생 아폴론의 출산에서 어머니의 산파가 된다고 한다. 세르비우스는 아르테미스가 먼저 태어났는데, 그 이유는 처음에는 아르테미스가 상징하는 달인 밤이 있었고, 그다음에 아폴론이 상징하는 태양인 낮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194] 그러나 핀다로스는 두 쌍둥이가 밝은 빛 속으로 들어왔을 때 태양처럼 빛났다고 썼다.
어려운 출산 후 레토는 쌍둥이를 데리고 소아시아 남서쪽 끝에 있는 리키아로 건너가 샘물에서 아이들을 씻기고 물을 마시려고 했다. 그러나 현지 리키아 농민들은 샘 바닥의 진흙을 휘저어 쌍둥이와 어머니가 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다. 레토는 리키아 사람들이 환대를 베풀기를 거부한 것에 분노하여 그들을 모두 개구리로 변신시켜 영원히 샘 주변에서 헤엄치고 뛰어다니도록 저주했다.[195]
3. 2. 유년기
아르테미스는 3살이 되자 아버지 제우스에게 영원한 처녀성을 선물로 달라고 졸랐다. 크레타 섬에서 9살 된 시녀들을 골랐으며, 키클롭스를 찾아가 활과 화살을 받았다. 아르테미스는 성능을 시험해보고자 화살을 쏘아보았는데, 첫 번째 화살과 두 번째 화살은 나무에 맞았고, 세 번째 화살은 짐승에 맞았으며, 네 번째 화살은 부정한 자들의 도시에 떨어졌다고 한다.
3. 3. 주요 신화
아르테미스는 레토가 헤라의 질투를 피해 방황하던 중 오르티기아 섬에서 먼저 태어났고,, 이후 델로스 섬에서 아폴론이 태어날 때 산파 역할을 했다. 제우스를 찾아가 애비라와 짧은 튜닉, 사냥용 장화를 얻고, 임산부의 수호신이 되는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니오베는 레토보다 자신이 더 많은 자식을 낳았다고 자랑했고, 이에 분노한 레토는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에게 벌을 내리라고 했다.[214] 아르테미스와 아폴론은 니오베의 딸과 아들을 모두 활로 쏘아 죽였다.[215] 남편 암피온은 자살했고, 니오베는 바위로 변했다.[215]
아르테미스를 섬기는 칼리스토는 제우스에게 유혹당해 임신했고, 아르테미스는 처녀성을 지키지 못했다는 이유로 그녀를 쫓아냈다.[236] 헤라는 칼리스토를 곰으로 만들었고, 칼리스토는 아들 아르카스를 낳았다.[227] 제우스는 칼리스토와 아르카스를 우주로 올려보내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로 만들었다.[228]
사냥꾼 악타이온은 아르테미스가 목욕하는 모습을 보았고, 분노한 아르테미스는 그를 사슴으로 만들어 사냥개들에게 찢겨 죽게 했다.[201][202]
아르테미스는 오리온과 함께 사냥하는 것을 좋아했지만, 아폴론은 아르테미스가 오리온과 사랑에 빠질까 봐 우려했다.[223] 아폴론은 아르테미스를 속여 오리온을 쏘아 죽이게 했고,[223] 아르테미스는 오리온을 오리온자리로 만들었다.[217]
강의 신 알페우스는 아르테미스를 사랑했지만, 그녀의 마음을 얻을 수 없었다.[377] 아르테미스는 알페우스의 의도를 의심하고 얼굴에 진흙을 묻혀 그가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게 했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알페우스가 아르테미스의 시녀 아레투사를 강간하려 했고, 아르테미스는 그녀를 샘으로 변신시켰다.[377]
티탄 이아페투스의 아들 부파고스는 아르테미스를 강간하려고 했지만, 아르테미스는 그의 생각을 읽고 그를 죽였다.[198]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의 아들로, 아르테미스의 추종자가 되어 그녀를 즐겁게 했다.[196] 아르테미스는 스카만드리우스에게 궁술을 가르쳤다.[197] 브로테아스는 아르테미스를 존경하지 않았고, 아르테미스는 그를 미치게 만들어 불 속으로 걸어 들어가게 했다.[198]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에 따르면, 시프로이테스는 사냥 중에 목욕하는 아르테미스를 보고 여자로 변신했다.[199] 아르테미스는 칼리돈을 돌로 변하게 했다.[200]
아이스킬로스는 액타이온 신화에 대해 "개들이 그들의 주인을 완전히 파괴했다"라고 언급했다.[205] 에우리피데스는 ''바카이''에서 액타이온이 아르테미스보다 더 뛰어난 사냥꾼이라고 주장했다고 썼다.[207] 칼리마쿠스는 액타이온이 숲에서 목욕하는 아르테미스를 우연히 만났다고 했다.[208]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액타이온이 아르테미스와 결혼을 제안했다고 썼다.[209] 히기누스는 액타이온이 아르테미스를 강간하려고 시도했다고 언급한다.[210]
오비디우스는 액타이온이 우연히 아르테미스를 발견했다고 썼다.[211][212] 파우사니아스는 액타이온이 세멜레와 결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르테미스가 그에게 사슴가죽을 던졌다고 말한다.[213]
오토스와 에피알테스는 아르테미스와 헤라를 납치하겠다고 자랑했다.[188] 아르테미스는 사슴으로 변신하여 그들이 서로를 죽이게 했다.[188]
아도니스 이야기의 일부 버전에서는 아르테미스가 멧돼지를 보내 그를 죽였다.[242] 다른 버전에서는 아레스가 아도니스를 죽였다.[243]
폴리폰테는 아르테미스와 함께 순결한 삶을 추구했고, 아프로디테는 그녀에게 저주를 내렸다.[244] 코로니스는 아폴론의 연인이었지만 불륜을 저질렀고, 아르테미스는 그녀를 죽였다.[245] 로도피스와 에우티니쿠스는 순결을 서약했지만 사랑에 빠졌고, 아르테미스는 로도피스를 분수로 만들었다.[246][247]
티폰이 올림푸스를 공격했을 때, 아르테미스는 고양이로 변신했다.[248] 에케메이아가 아르테미스를 숭배하지 않자, 아르테미스는 그녀를 화살로 쏘았다.[250]
아르테미스는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 편에 섰다.[31] 아가멤논이 신성한 사슴을 죽이고 자신이 더 나은 사냥꾼이라고 자랑하자, 아르테미스는 바람을 잠재워 그리스 함대의 출항을 막았다.[251] 예언자 칼카스는 아가멤논의 딸 이피게네이아를 희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251]
신화의 일부 버전에서는 아르테미스가 이피게네이아를 사슴으로 대체했지만, 다른 버전에서는 이피게네이아가 희생되도록 허락했다.[251] 아이네이아스는 아르테미스, 레토, 아폴론의 도움을 받았다.
''신들의 전투'' 동안, 아르테미스는 헤라와 싸웠다.[322] 헤라는 아르테미스의 손목을 잡고 그녀의 활로 때렸다.[252] 아르테미스는 울면서 제우스에게 달려갔고, 레토는 활과 화살을 집어 들었다.[253]
4. 숭배
숲과 언덕의 여신 아르테미스는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받았다.[254] 고대 스파르타인들은 새로운 군사 작전을 시작하기 전에 수호 여신 중 한 명으로서 그녀에게 제사를 지냈다. 아르테미스를 기리는 아테네 축제에는 엘라페볼리아, 무니키아, 카리스테리아, 브라우로니아가 포함되었다. 아르테미스 오르티아 축제는 스파르타에서 거행되었다. 사춘기 이전과 사춘기 아테네 소녀들은 여신을 위해 1년 동안 브라우론의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봉사하도록 보내졌으며, 이 기간 동안 소녀들은 "아르크토이"(작은 암곰)로 알려졌다.[255]
아르테미스는 에일레이티이아와 함께 주요 출산과 조산 여신 중 한 명으로 숭배받았다. 성공적인 출산 후 그녀의 신전에 옷을 봉헌하는 것은 고전 시대에 흔했다.[256]
그녀가 주로 사냥과 야생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형제인 아폴론과 마찬가지로 춤, 음악, 그리고 노래와도 관련이 있었다. 그녀는 종종 님프들과 함께 노래하고 춤을 추거나, 델포이에서 뮤즈와 그레이스의 합창을 이끄는 모습으로 보인다. 스파르타에서는 결혼 적령기의 소녀들이 그녀를 위해 "파르테네이아"(소녀 합창곡)를 공연했다.[53]
고전 시대 아테네에서는 그녀가 헤카테와 동일시되었다. 아르테미스는 또한 카리아티스(카리아)를 흡수했다.
처녀임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자들과 고대 주석들 모두 아르테미스(Artemis)를 대지모신 원형과 연결짓고 있다. 아르테미스는 전통적으로 다산과 관련되어 있으며, 여성들의 출산을 돕도록 기원의 대상이었습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리스 극작가 아이스킬로스는 아르테미스를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와 동일시했습니다. 아르카디아의 아르테미스 신앙인들은 또한 전통적으로 그녀를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와 관련지었습니다. 소아시아에서는 그녀가 키벨레와 아나히타(이란) 등 현지 대지모신들과 종종 혼동되었습니다.[312]
에페소스의 숲과 산야의 처녀 여신 아르테미스의 이미지·원형과는 다르다. 또한, 출산의 여신이기도 했던 아르테미스의 원형과도 상당히 다르다.
기독교의 사도인 바울은 『에페소서』를 통해 에페소스 사람들에게 기독교인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바울이 아르테미스 신앙과 정면으로 맞서 싸웠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사도행전』은 에페소스의 여신 신앙의 모습을 우상숭배로 기록하고 있다. 여신의 장엄한 신전은 기독교가 지중해 세계로 전파됨과 함께 신앙의 장소가 아니게 되었고, 결국 고트족의 침략으로 잿더미가 되었다.
4. 1. 주요 숭배 지역
터키 이오니아의 에페소스에 있는 아르테미스 신전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였다.[314] 델로스를 제외하면 아르테미스 숭배의 가장 잘 알려진 중심지였을 것이다. 이곳에서 이오니아인들이 아르테미스와 동일시했던 여신은 주로 프리고의 여신 키벨레와 유사한 대지모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고대 신전에서는 그녀의 신상이 여러 개의 큰 구슬로 장식된 "에페소스의 여신"으로 묘사되었다.[314] 1987년에서 1988년 사이에 아르테미시온 유적지에서 발굴 작업을 통해 원래 나무 조각상 (''xoanon'')에 걸려 있던 많은 눈물 방울 모양의 호박 구슬들이 확인되었는데, 이것들은 후대의 조각된 복제품에도 이어져 내려왔을 것이다.[314]사도행전에 따르면, 사도 바울의 기독교 설교에 위협을 느낀 에페소스의 금속 세공인들이 질투심에 불타 그녀를 옹호하며 폭동을 일으켰고,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는 위대하다!"고 외쳤다.[315] 아르테미스 신전의 121개 기둥 중 단 하나의 복합 기둥만이 파편들로 이루어져 신전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념물로 남아 있다.

소아시아의 고대 상업 도시 에페소스는 아르테미스 여신 숭배의 중심지였으며, 이곳에 있던 아르테미스 신전은 그 장엄함으로 고대에 유명했다. 또한, 이 신전은 현재 유적만 남아 있지만, 근처 시청에 모셔져 있던 여신의 신상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 상은 가슴 부분에 여러 개의 달걀 모양 장식이 달린 외투를 걸치고 있어 마치 "여러 개의 가슴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이 상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가슴을 가진 풍요의 여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설로는 여신에게 제물로 바쳐진 황소의 고환을 장식으로 달고 있다고도 한다.[376]
소아시아의 큐베레와 같은 대지모신 신앙과 혼합되어 독특한 아르테미스 숭배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식물의 풍요와 다산을 관장하는 대지모신으로서의 아르테미스 숭배였다. 이 신앙은 고대 그리스의 숲과 산야의 처녀 여신 아르테미스의 이미지·원형과는 다르다. 또한, 출산의 여신이기도 했던 아르테미스의 원형과도 상당히 다르다.
기독교의 사도인 바울은 『에페소서』를 통해 에페소스 사람들에게 기독교인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바울이 아르테미스 신앙과 정면으로 맞서 싸웠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사도행전』은 에페소스의 여신 신앙의 모습을 우상숭배로 기록하고 있다. 여신의 장엄한 신전은 기독교가 지중해 세계로 전파됨과 함께 신앙의 장소가 아니게 되었고, 결국 고트족의 침략으로 잿더미가 되었다.
4. 2. 숭배 의식
아르테미스는 타르겔리온(약 5월) 여섯째 날에 태어났으며, 이날은 그녀의 생일로 신성시되었다.[262]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본토와 섬, 소아시아, 남부 이탈리아 등지에서 많은 축제를 통해 숭배받았다. 이러한 축제는 대부분 봄에 열렸다.
- 아티카
- 아테네에서는 엘라페볼리온(9번째 달) 여섯째 날에 엘라페볼리아 축제가 열렸다. 이 축제는 '엘라포스'(사슴)와 관련이 있으며, 아르테미스는 사슴 사냥꾼으로 여겨졌다. 축제 기간 동안 밀가루, 꿀, 참깨로 만든 수사슴 모양의 케이크가 여신에게 바쳐졌다.[264][263][265] 아크로폴리스 근처에는 브라우로니아의 자식 숭배가 있었다.[265]
- 아그라이(아테네의 지역)에는 아르테미스-아그로테라(사냥꾼) 신전이 있었고, 보에드로미온 달 6일에 무장 행렬이 염소를 신전으로 가져와 마라톤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며 희생시켰다.[269] 이 축제는 "카리스테리아"라고 불렸으며 아테네의 "추수감사절"로도 알려져 있다.[263]
- 브라우론에서는 '아르크테이아' 축제가 유명했는데, 다섯 살에서 열 살 사이의 소녀들이 노란색 로브를 입고 곰인 척하며 놀았다. 이는 여신이 곰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역병을 보냈기 때문에 여신을 달래기 위한 것이었다.[266]
- 피레우스에서는 무니키온(10번째 달) 6일 또는 16일에 아르테미스 무니키아 축제가 열렸다. 브라우로니아와 마찬가지로 어린 소녀들이 곰으로 분장했다. 이 축제는 살라미스 해전에서 그리스 함대가 페르시아를 물리친 승리를 기념했다.[267][265]
- 미르리누스(메렌다(마르코풀로) 근처의 데메)에는 '콜라이니스' 숭배가 있었는데, 이는 에우보이아의 아르테미스 아마리시아와 동일시되며, 라프리아 의식과 유사한 동물 희생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270][265]
- 아트모니아(마루시 근처의 데메)에서는 에우보이아의 아마리시아 축제에 필적하는 아르테미스 아마리시아 축제가 열렸다.[271]
- 할라이 아라페니데스(브라우론 근처의 데메)에서는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를 기리는 타우로폴리아 축제가 열렸으며, 축제 기간 동안 인간 제사가 의식적으로 재현되었다.[265]
- 에르키아(아테네의 지역)에서는 메타게이티니온 달 16일에 아르테미스와 헤카테에게 제물을 바치는 축제가 열렸다.[263]

- 중부 그리스
- 포키스의 히암폴리스에서는 테살리아인들의 공격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여 매년 아르테미스를 기리는 엘라페볼리아-라프리아 축제가 열렸고, 전투 중 장작더미를 상기시키기 위해 모든 종류의 제물이 불태워졌다.[274]
- 포키스의 델포이에서는 '라프리오스' 달에 라프리아 축제가 열렸는데,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는 크레타 출신의 사제 '라브(르)야덴'에 의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75] 라프리아는 그리스 이전의 "동물의 여왕"이다.[265] 또한, '에우클레이아' 축제가 열렸는데, '에우클레이아'는 결혼의 여신이었다.[276]

- 고대 포키스의 티토레아에서는 이시스 축제가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축제의 개혁인 것으로 보인다.[277]
- 도리스의 에리네오스에서는 지역 달력의 '라프리오스' 달에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축제가 열렸다.[265]
- 포키스의 안티키라에서는 아르테미스-딕티나이아 숭배가 매우 존경받았다.[278]
- 보이오티아의 테베에서는 결혼 전에 신부와 신랑이 아르테미스-에우클레이아에게 예비 희생을 해야 했다.[276]
- 에우보이아의 아마린토스에서는 아르테미스 '아마리시아' 축제가 열렸는데, 라프리아 축제와 유사한 의식으로 동물들이 희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65]
- 보이오티아의 아울리스에서는 축제에서 모든 종류의 제물 동물이 여신에게 바쳐졌으며, 이 축제는 라프리아 의식의 반향으로 보인다.[279][265]
- 아이톨리아의 칼리돈은 파트라스의 아르테미스 라프리아 숭배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아이톨리아력에는 '라프리오스' 달이 있었다.[265] 도시 근처에는 아폴론 라프리우스 신전이 있었다.[280]
- 아이톨리아의 나프파크토스에서는 아르테미스 라프리아가 숭배되었다.[281]
- 아카르나니아에서는 사냥꾼 사회에서 아르테미스-아그로테라(사냥꾼)가 숭배되었다.[265]

- 펠로폰네소스
- 아카이아의 파트라스에서는 아르테미스를 기리는 라프리아 축제가 열렸는데, 매년 불을 피우는 의식이 특징적이었다. 새, 사슴, 제물 동물, 어린 늑대, 어린 곰 등이 살아있는 채로 큰 장작더미에 던져졌다.[265] 전통적으로 그녀의 숭배는 아이톨리아의 칼리돈에서 도입되었다.[281][282] 또한, 고대 아카이아에 살았던 이오니아인들은 아르테미스 '트리클라리아'의 연례 축제를 거행했으며, 분노한 여신에게 인간 희생을 했다는 전설이 있다. 새로운 신 디오니소스는 이러한 희생을 종식시켰다.[283][276]
- 코린토스에서는 '에우클레이아' 축제가 아르테미스를 기리기 위해 거행되었다.[284]
- 아카이아의 아이게이라에서는 아르테미스 아그로테라(사냥꾼) 축제가 열렸다. 시키온 사람들의 공격에 맞서 아이게이라 사람들은 염소에 횃불을 묶어 불태움으로써 적을 물리쳤다.[285]
- 스파르타에서는 아르테미스-오르티아 축제가 열렸는데, 여신은 여성 입문 의식 '파르테네이온'과 관련이 있었다.[286] 여성들은 둥근 춤을 추었고, 전설에 따르면 테세우스는 이 춤판에서 헬레네를 훔쳤다. 경쟁의 중요한 상은 낫(드레파네)이었는데, 이는 '오르티아'가 식물의 여신이었음을 나타낸다.[287]
- 스파르타에서 아믹라이로 가는 길에는 식물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코리탈리아'가 숭배되었다. 여성들은 음탕한 춤을 추었고, 축제는 나뭇잎으로 덮인 둥근 오두막에서 거행되었다. 유모들은 '티테네디아' 축제 기간 동안 코리탈리아 신전에 유아들을 데려왔다.[288]

- 라코니아와 국경을 접한 메세네에서는 아르테미스 '림나티스'(호수의) 축제가 심벌즈와 춤으로 거행되었다.[289] 이 여신은 어린 시절에서 성인으로의 전환 축제에서 젊은 여성들에게 숭배받았다.[290]
- 라코니아의 타이게토스에 있는 데레이온에서는 아르테미스-'데레아티스' 숭배가 '칼라부토이' 찬송가와 음란한 춤인 '칼라비스'로 거행되었다.[291][292]
- 라코니아의 에피다우로스 리메라에서는 아르테미스-'림나티스'가 숭배되었다.[293][265]
- 라코니아와 아르카디아 사이의 국경에 있는 카리아이에서는 나무 숭배와 관련된 식물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카리아티스' 축제가 열렸고, 매년 여성들은 '카리아티스'라는 황홀한 춤을 추었다.[294][265]
- 라코니아의 보아이에서는 아르테미스-'소테이라'(구원자) 숭배가 머틀 나무와 관련이 있었다. 만 근처 도시의 주민들이 추방되었을 때, 토끼 모양의 아르테미스가 그들을 머틀 나무로 인도했고, 그곳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295][265]
- 라코니아의 기테이온에서는 '라프리오스' 달에 아르테미스 라프리아가 숭배되었다.[265]
- 엘리스에서는 펠롭스(펠로폰네소스: 펠롭의 섬)가 피사의 주권을 획득한 후, 그의 추종자들이 아르테미스-'코르다카' 신전 근처에서 승리를 기념하며 '코르닥스'라는 독특한 춤을 추었다.[296]

- 엘리스에서는 '엘라피오스'(엘라포스:사슴) 달에 사냥의 여신인 아르테미스-'엘라피아' 축제가 열렸다.[297][265]
- 엘리스의 레트리노이에서는 아르테미스 알페아이아 축제에서 가면을 쓴 소녀들이 춤을 추었다.[297]
- 엘리스의 올림피아에서는 아르테미스 '알페아이아', '엘라피아', '다프나이아'(월계수 가지의)의 연례 축제(파네게리스)가 열렸다.[298]
- 라코니아와 국경을 접한 아르카디아의 힙수스에서는 아르테미스-딕티나와 '다프나이아'(월계수 가지의)의 연례 축제가 열렸다.[299][300][1]
- 아르카디아의 스팀팔루스에서는 아르테미스-'스팀팔리아' 축제가 카타보스레스 근처에서 물이 넘쳐 큰 늪을 만들었던 곳에서 시작되었다.[301][265]
- 아르카디아의 오르코메누스에서는 아르테미스 히므니아를 위한 신전이 세워졌고, 그곳에서 매년 축제가 거행되었다.[302]
- 라코니아로 가는 길에 아르카디아의 테게아에서는 아르테미스-'림나티스'(호수의)가 숭배되었다.[303][276]
- 아르카디아의 피갈리아에서는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아크로폴리스 정상에 아르테미스-'소테이라'(구원자) 신전과 여신상을 세우고 축제를 열었다.[304]
- 아르골리스의 트로이젠에서는 아르테미스-'사로니아' 축제가 열렸고, 신전 근처에는 바다에 빠져 죽은 사론 왕의 무덤이 있었다.[305]

- 그리스 섬
- 이카리아의 오이노에에는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 신전인 '타우로폴리온'[307]이 세워졌고, 섬 해안에는 아르테미스-'타우로폴로스'의 신성한 작은 테메노스가 있었다.[308]
- 케팔로니아에서는 브리토마르티스 전설과 관련된 아르테미스-라프리아가 숭배되었다.[309]
- 코르키라에서는 '라프리오스' 달에 아르테미스-라프리아가 숭배되었다.[1]
- 소아시아
- 이오니아의 에페소스에서는 아르테미시아라는 위대한 축제가 아르테미스를 기리기 위해 거행되었다. 신전과 도시의 부와 화려함은 아르테미스 에페시아의 힘을 보여주는 증거였다.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시아' 축제는 판헬레니즘 축제 순환의 핵심 요소로 홍보되었다.[310]
- 이오니아의 페르가에서는 아르테미스-페르가이아의 유명한 축제가 열렸다. 로마 통치하에 디아나-페르가이아는 셀레네와 동일시된다.[165]
- 카리아의 이아소스에서는 엘라페볼리온 달에 아르테미스를 기리는 엘라페볼리아 축제가 거행되었다.[265]
- 비잔티온에서는 '에우클레이오스' 달에 아르테미스-에우클레이아 축제가 열렸다.[276]
5. 상징
아르테미스는 활과 화살통으로 무장한 "아폴로우사"(여성 파괴자) 또는 "이오케아이라"(화살을 쏘는 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380] 거인들의 전쟁에서는 거인족(Gigantes) 중 하나인 그라티온을 물리쳤다. 트로이 전쟁에서 자신이 지원했던 트로이가 멸망하자 아버지 제우스에게 울며 매달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헤라에게 구타당하고 울면서 도망치는 어린 소녀로 묘사되기도 한다.[379]
에페소스에서의 아르테미스 숭배는 마르세유를 거쳐 로마로 전해졌고, 여신은 로마 신화의 디아나와 동일시되었다. 약초 알테미시아(쑥속)의 이름은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하며, 여성의 월경이나 분만을 조절하는 등 많은 효능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었다.
아르테미스는 신성한 동물로 암곰, 사슴, 사냥개를, 신성한 나무로 측백나무를 두었다.[381] 누에나방과 나방의 일종인 큰산누에나방의 학명은 ''Actias artemis''이다.
5. 1. 동물
아르테미스는 다양한 동물들과 관련이 깊은 여신이다. 호메로스는 아르테미스를 '황금 고삐의'라는 뜻의 '크리시니오스(Chrisinios)'라고 칭했다.[341]사슴은 아르테미스에게 신성한 동물이었다. 아르테미스는 황소보다 큰 몸집에 빛나는 뿔을 가진 사슴을 사랑하여 신성하게 여겼으며, 처음으로 사로잡은 동물도 사슴이었다. 그녀는 다섯 마리의 금빛 뿔을 가진 사슴을 잡아 자신의 전차에 매달았다.[343] 라프리아 축제에서 델포이의 여사제는 사슴가죽으로 덮인 전차를 타고 행렬에 참여했다.[341] 아르카디아 지역의 리코수라(Lycosura)에서는 뱀과 횃불을 들고 사슴가죽을 걸친 아르테미스가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 옆에 묘사되어 있다.[344] 헤라클레스는 케뤼네이아의 사슴(Ceryneian Hind)을 잡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아르테미스에게 용서를 구하고 사슴을 돌려주겠다고 약속했고, 아르테미스는 그를 용서했다.[346]
아르테미스는 판에게서 사냥개들을 선물받았다. 판은 아르테미스에게 흑백의 사냥개 두 마리, 붉은색 사냥개 세 마리, 얼룩덜룩한 사냥개 한 마리를 주었고, 이들은 사자까지도 사냥할 수 있었다. 또한 아르카디아 최고 품종의 암캐 일곱 마리도 선물했지만, 아르테미스는 항상 일곱 마리의 개만 데리고 사냥을 나섰다.[347]
브라우론과 피레우스의 무니키아(아르크테이아)에서 어린 처녀들은 암곰(아르크토이)으로 변장하여 아르테미스를 숭배했다.[348] 이와 관련된 기원 신화에 따르면, 아르테미스가 길들인 곰이 아테네 사람들에게 상처를 입히자, 아르테미스는 복수로 역병을 보냈다. 아테네 사람들은 신탁을 통해 역병을 끝내려면 처녀들이 아르테미스를 섬겨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49] ''무니키아'' 숭배 전설에는 곰을 죽인 사람이 자신의 딸을 희생해야 했지만, 딸 대신 염소를 희생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350]
멧돼지는 사냥꾼들이 좋아하는 동물이었고, 아르테미스의 솜씨를 기리기 위해 제물로 바쳐졌다. 오이네우스[351]와 아도니스[352]는 아르테미스의 멧돼지에게 죽임을 당했다. 오디세이아에서 아르테미스는 "짐승들의 여왕"에게 신성한 에리만토스 산의 산등성이를 따라 여행한다.[341][89] 헤라클레스는 12가지 과업 중 하나로 에리만토스 멧돼지를 죽였다.[90] 칼리돈 멧돼지 사냥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위대한 영웅적인 모험 중 하나이며, 아탈란타가 칼리돈 멧돼지를 처음으로 상처 입혔다.[353] 오비디우스는 멧돼지를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모습으로 묘사했다.[354] 아르테미스는 멜레아그로스를 애도하는 칼리돈의 공주들을 기니버드로 변신시켰다.[355]
매는 아르테미스를 포함한 많은 신들이 선호하는 새였다.[356]
아르테미스는 때때로 그리스의 이질적인 종교 의례에서 신화 속 황소 여신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아티카의 할라이 아라페니데스에서 특이한 축제가 끝날 때 인간 제물이 의식적으로 행해졌다.[181] 에우리피데스는 아르테미스의 종교 의례를 타우로스(tauros: 황소)와 브라우론에서의 이피게네이아 신화와 관련짓는다.[357][358]
|thumb|left|300px| 아폴론(왼쪽)과 아르테미스(오른쪽)가 횃불을 들고 제단 옆에 서 있는 모습. 기원전 490년 테라코타 양병(항아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맨해튼]]
아르테미스는 신성한 동물로 암곰, 사슴, 사냥개를, 신성한 나무로 측백나무를 두었다.[381]
5. 2. 무기
아르테미스는 활과 화살통으로 무장한 "아폴로우사"(여성 파괴자) 또는 "이오케아이라"(화살을 쏘는 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380] 호머는 사냥의 여신의 전차를 묘사하기 위해 '황금 고삐의'라는 뜻의 칭호인 ''크리시니오스(Chrisinios)''를 사용한다.[341] 거인들의 전쟁에서는 거인족(Gigantes) 중 하나인 그라티온을 물리쳤다.아르테미스는 사냥 창을 들고 묘사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아이톨리아의 아르테미스 숭배에서는 아르테미스 아에톨레(Artemis ''Aetole'')가 사냥 창이나 투창을 들고 묘사되었다.[56] 또한 어업의 수호 여신으로서의 숭배와 관련하여 어로 창을 들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녀를 디크티나(Diktynna)(브리토마르티스)와 관련짓는다.[99] 처녀의 춤과 노래의 여신으로서, 아르테미스는 고대 예술에서 종종 수금을 들고 묘사된다.[342]
강인함을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많지만, 트로이 전쟁에서 자신이 지원했던 트로이가 멸망하자 아버지 제우스에게 울며 매달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아르테미스는 세력이 없는 여신으로, 아르테미스 자신의 활에 헤라에게 구타당하고 울면서 도망치는 어린 소녀로 묘사되기도 한다.[379]
5. 3. 기타 상징
아르테미스는 종종 하나 또는 두 개의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없다. 아르카디아 지방의 여신은 독창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이며,[340] 아카케시움에서는 아르테미스 헤게모네(지도자)가 두 개의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177] 소포클레스는 아르테미스를 "엘라페볼로스(사슴 사냥꾼), 암피피로스(양쪽 끝에 불이 붙은)"라고 불렀으며, 이는 델포이에서 열리는 라프리아 축제의 연례 불을 상기시킨다.[359] 시칠리아의 부조에서는 여신이 한 손에는 횃불을, 다른 손에는 제물을 들고 있는데, 횃불은 제단의 불을 지피는 데 사용되었다.[110]강인함을 보여주는 일화가 많지만, 트로이 전쟁에서 자신이 지원했던 트로이가 멸망하자 아버지 제우스에게 울며 매달리기도 했다. 아르테미스는 세력이 없는 여신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자신의 활에 헤라에게 구타당하고 울면서 도망치는 어린 소녀로 묘사되기도 한다.[379] 거인들의 전쟁에서는 거인족 중 하나인 그라티온을 물리쳤다.
활과 화살통으로 무장한 "아폴로우사"(여성 파괴자) 또는 "이오케아이라"(화살을 쏘는 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380] 에페소스에서의 아르테미스 숭배는 마르세유를 거쳐 로마로 전해졌고, 여신은 로마 신화의 디아나와 동일시되었다.
약초 알테미시아(쑥속)의 이름은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하며, 여성의 월경이나 분만을 조절하는 등 많은 효능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었다. 신성한 동물은 암곰, 사슴, 사냥개이며, 신성한 나무는 측백나무이다.[381] 누에나방과 나방의 일종인 큰산누에나방의 학명은 ''Actias artemis''이다.
6. 다른 신들과의 관계
강의 신 알페우스는 아르테미스를 사랑했지만, 그녀의 마음을 얻을 수 없었다. 결국 알페우스는 그녀를 사로잡으려 했으나, 아르테미스는 얼굴에 진흙을 묻혀 그를 속였다. 다른 이야기에서는 알페우스가 아르테미스의 시녀 아레투사를 강간하려 하자, 아르테미스는 그녀를 샘으로 변신시켜 구해주었다.
티탄 이아페투스의 아들 부파고스는 아르테미스를 강간하려다 폴로이 산에서 죽임을 당했다. 다프니스(다프니스)는 헤르메스의 아들이자 아르테미스의 추종자로, 사냥에 동행하며 노래와 파이프 연주로 그녀를 즐겁게 했다.[196] 아르테미스는 스카만드리우스(스카만드리우스)에게 궁술을 가르쳤다.[197] 브로테아스(브로테아스)는 아르테미스를 존경하지 않아 미쳐서 불 속으로 걸어 들어가 죽었다.[198]
안토니누스 리베랄리스에 따르면, 시프로이테스(시프로이테스)는 사냥 중 목욕하는 아르테미스를 보고 여자로 변했다.[199] 칼리돈(칼리돈)은 알몸으로 목욕하는 아르테미스를 보고 돌로 변했다.[200]
그리스인들은 아르테미스를 달의 여신으로 여기지 않았고, 달의 여신은 셀레네였다.[316][317][318] 하지만 로마인들은 아르테미스를 셀레네와 동일시하여 달의 여신으로 인식했다.[319][320][321] 아폴론이 태양의 신 헬리오스와 연관되면서, 그의 쌍둥이 자매인 아르테미스가 달의 신 셀레네와 동일시되는 것은 자연스러웠다.[3] 아르테미스와 셀레네의 동일시는 기원전 6세기 작가 테아게네스(Theagenes of Rhegium)의 기록에서부터 나타난다.[322][323]
아르테미스가 여성의 출산과 관련되면서 월경 주기, 즉 달과 연관되게 되었다.[325] 셀레네도 출산과 관련이 있었는데, 보름달에 출산이 가장 쉽다고 믿었기 때문에 두 여신은 동일시되었다.[326][323] 키케로는 디아나(Diana)가 달인 루나(Luna)이며, 산모들이 디아나 루키페라(Diana Lucifera)를 부른다고 썼다.[327]
스트라본은 아폴론과 아르테미스가 각각 태양과 달과 관련이 있으며, 전염병과 급사의 신이라고 썼다.[328] 로마 작가들은 아르테미스/디아나의 별명 "포이베(Phoebe)"를 루나/셀레네에게 적용했고,[329] 셀레네는 "킨티아(Cynthia)"라는 아르테미스의 칭호를 차용했다.[330] 아르테미스, 셀레네, 헤카테는 세 가지 모습을 가진 여신으로 여겨졌다.[331]
헤카테는 갈림길, 경계, 유령, 마법의 여신이었다.[337] 아르테미스는 포트니아 테론이라는 그리스 이전 여신을 흡수했는데, 그녀는 다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29] 일부 학자들은 헤카테가 아르테미스가 올림포스 신전에 편입되기 전의 아르테미스의 한 측면이었다고 믿는다.[339]
두 여신 모두 횃불을 들고 개를 데리고 다녔다. 아르카디아의 아르테미스 ''헤게모네''는 두 개의 횃불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40] 소포클레스는 아르테미스를 양손에 횃불을 들고 있다는 의미인 ''암피피로스''라고 불렀다.[140] 아테네의 케라메이코스에서는 아르테미스가 헤카테와 명확하게 동일시된다. 테살리아에서는 ''페라이아''라는 별칭을 가진 에노디아가 헤카테와 동일시된다.[167]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아르테미스는 사냥과 순결을 관장하는 여신이며, 님프들을 거느리고 사냥을 한다. 데로스 섬에서 아폴론과 함께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오르티기아 섬에서 먼저 태어나 어머니 레토의 산파 역할을 했다는 전승도 있다. 아폴론과 함께 어머니를 모욕한 니오베의 자녀들과 대결하거나, 오리온과 악타이온 등에게 불행을 안겨주기도 했다.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가 멸망하자 제우스에게 울며 매달리거나, 헤라에게 구타당하고 울면서 도망치는 어린 소녀로 묘사되기도 한다.[379] 거인들의 전쟁에서는 그라티온을 물리쳤다. 활과 화살통으로 무장한 "아폴로우사"(여성 파괴자) 또는 "이오케아이라"(화살을 쏘는 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380]
에페소스에서의 아르테미스 숭배는 마르세유를 거쳐 로마로 전해졌고, 로마 신화의 디아나와 동일시되었다. 약초 알테미시아(쑥속)의 이름은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했다. 신성한 동물은 암곰, 사슴, 사냥개이며, 신성한 나무는 측백나무이다.[381]
7.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청동기 시대 동안 "짐승의 여왕"은 특이한 왕관을 쓰고 두 마리의 사자 사이에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스 고대 미술에서 아르테미스의 가장 오래된 묘사(기원전 550년경)는 그녀를 포트니아 테론("짐승의 여왕")으로 묘사한다. 날개 달린 여신이 사슴과 암사자를 손에 들고 있거나, 때로는 암사자와 수사자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포트니아 테론은 다이몬과 가까운 유일한 그리스 여신이며, 때때로 고르곤의 머리를 가지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고르곤은 그녀의 먼 조상이다. 이 날개 달린 아르테미스는 아르테미스 오르티아로서 감사의 표시로 남아 있으며, 스파르타 근처에 신전이 있었다.
그리스 고전 미술에서는 보통 사냥하는 처녀로, 젊고 키가 크고 날씬하며, 짧은 치마[360]를 입고, 사냥용 장화, 화살통, 금색이나 은색 활[361]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종종 사격 자세로 묘사되며, 사냥개나 사슴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달의 여신으로 묘사될 때는 긴 로브를 입고, 때로는 베일로 머리를 가리기도 했다. 그녀의 어두운 면은 일부 도자기 그림에서 드러나는데, 그녀는 니오베의 딸들과 같이 젊은 처녀와 여성을 죽이는 여신으로, 화살이 젊은 여성들을 죽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아르테미스는 고전 미술에서 때때로 초승달 달의 왕관을 쓰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루나 등 다른 여신들에서도 볼 수 있다.
2007년 6월 7일, 로마 시대의 청동 조각상인 ''아르테미스와 사슴''이 뉴욕 주 소더비 경매장에서 알브라이트녹스 미술관에 의해 2550만 달러에 팔렸다.
7. 1. 고대
청동기 시대 동안 "짐승의 여왕"은 특이한 왕관을 쓰고 두 마리의 사자 사이에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스 고대 미술에서 아르테미스의 가장 오래된 묘사(기원전 550년경)는 그녀를 포트니아 테론("짐승의 여왕")으로 묘사한다. 날개 달린 여신이 사슴과 암사자를 손에 들고 있거나, 때로는 암사자와 수사자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포트니아 테론은 다이몬과 가까운 유일한 그리스 여신이며, 때때로 고르곤의 머리를 가지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고르곤은 그녀의 먼 조상이다. 이 날개 달린 아르테미스는 아르테미스 오르티아로서 감사의 표시로 남아 있으며, 스파르타 근처에 신전이 있었다.
그리스 고전 미술에서는 보통 사냥하는 처녀로, 젊고 키가 크고 날씬하며, 짧은 치마[360]를 입고, 사냥용 장화, 화살통, 금색이나 은색 활[361]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종종 사격 자세로 묘사되며, 사냥개나 사슴과 함께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달의 여신으로 묘사될 때는 긴 로브를 입고, 때로는 베일로 머리를 가리기도 했다. 그녀의 어두운 면은 일부 도자기 그림에서 드러나는데, 그녀는 니오베의 딸들과 같이 젊은 처녀와 여성을 죽이는 여신으로, 화살이 젊은 여성들을 죽이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아르테미스는 고전 미술에서 때때로 초승달 달의 왕관을 쓰고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것은 루나 등 다른 여신들에서도 볼 수 있다.
2007년 6월 7일, 로마 시대의 청동 조각상인 ''아르테미스와 사슴''이 뉴욕 주 소더비 경매장에서 알브라이트녹스 미술관에 의해 2550만 달러에 팔렸다.
7. 2. 근현대
근현대 시기에는 아르테미스를 주제로 한 다양한 예술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회화에서는 기욤 세냐크, 루카 페니, 안톤 라파엘 멩스, 제임스 워드, 샤를 메니에, 쥘 조제프 르페브르, 알렉상드르 자크 샹트롱, 쥘 엘리 드로네, 폴 보드리, 루이 미셸 반 루, 잠피에트리노, 도메니키노 등 여러 화가들이 아르테미스를 묘사했다. 조각에서는 루브르 박물관,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바티칸 박물관, 룩셈부르크 공원,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등에서 아르테미스 조각상을 찾아볼 수 있다.
8. 현대적 의의
1868년 발견된 소행성인 105 아르테미스와 2010년 명명된 달의 작은 크레이터인 아르테미스(크레이터)가 있다.[362] 1980년에는 금성 표면의 거의 원형 균열인 아르테미스 카스마와 아르테미스 카스마에 대부분 둘러싸인 타원형 지형인 아르테미스 코로나가 기술되었다.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의 아타카마 패스파인더 익스페리먼트(APEX)에는 볼로미터 카메라(ArTeMiS)가 2010년 설치되었다.[362]
생물 분류학적 속인 브라인쉬림프속(''Artemia'')은 아르테미스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르테미아이과(Artemiidae)를 구성하는 유일한 속이다. 브라인 쉬림프(brine shrimp)로 알려진 수생 갑각류 중 가장 잘 알려진 종인 ''소금물장구벌레''(''Artemia salina'')는 1758년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Systema Naturae'')에서 처음 기술하였다. 이들은 염호에 서식하며, 에게해 연안의 에페소스 근처에서 발견된다.
아르테미스 계획은 2025년 이전에는 불가능하지만 "최초의 여성과 다음 남성"을 달 남극 지역에 착륙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진행 중인 유인 우주 비행 계획이다.[363] 이 계획은 미국 NASA, 미국 민간 우주 비행 기업 및 유럽 우주국,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캐나다 우주국과 같은 국제 파트너들이 수행하고 있다.[364]
8. 1. 페미니즘적 관점
8. 2. 환경 보호
참조
[1]
웹사이트
Artemis Myths, Symbols, & Meaning
https://www.britanni[...]
2021-07-06
[2]
서적
Merriam-Webster's Encyclopedia of Literature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995
[3]
웹사이트
s.v. Artemis
https://www.perseus.[...]
[4]
서적
Bibliotheca
[5]
웹사이트
p.21–32
https://www.perseus.[...]
[6]
백과사전
Artemis
http://www.etymonlin[...]
[7]
사전
Άρτεμις
Κέντρο Λεξικολογίας
[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9]
서적
The Luwian Population Groups of Lycia and Cilicia Aspera during the Hellenistic Period
Leiden
[10]
서적
Etyma Graeca
https://books.google[...]
W. de Gruyter
[11]
서적
The Nature of Shamanism: Substance and function of a religious metapho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2]
간행물
Ann. Scuola Pisa
[13]
간행물
Aevum
[14]
학술지
In search of Anatolian Apollo
[15]
학술지
The Mycenaean Greek vocabulary
[16]
학술지
A-TE-MI-TO and A-TI-MI-TE
[17]
사전
Artemis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18]
사전
ἄρταμος
[19]
사전
Ἄρτεμις
[20]
서적
Myth, Ritual, and Religion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21]
사전
ἀρτεμής
[22]
서적
Dictionnaire étymologique complémentaire de la langue grecque
https://archive.org/[...]
[23]
학술지
Artemis and her family
http://hdl.handle.ne[...]
[24]
서적
The origins of Greek religion
[25]
서적
Geschichte
[26]
서적
Geschichte
[27]
서적
Suidas s.v
[28]
서적
Geschichte
[29]
서적
Geschichte
[30]
학술지
The Atalanta Legend in Art and Literature
[31]
웹사이트
Iliad 6.200
https://www.perseus.[...]
[32]
서적
Translation by Hugh G. Evelyn-White
[33]
서적
Geschichte
[34]
서적
Geschichte
[35]
서적
Geschichte
[36]
서적
Geschichte
[37]
서적
Geschichte
[38]
서적
Geschichte
[39]
서적
Greek Religion and Culture, the Bible, and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BRILL
[40]
서적
Geschichte
[41]
웹사이트
Pausanias 1.29.2
https://www.perseus.[...]
[42]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43]
웹사이트
Hera and Leto
http://lucianofsamos[...]
[44]
서적
Odyssey
[45]
서적
Metamorphoses
[46]
서적
The origins of the Greek religion
https://books.google[...]
[47]
서적
Greek religion
[48]
학술지
Handmaidens of Artemis?
[49]
서적
Geschichte
[50]
서적
Geschichte
[51]
서적
The city states
Ernest Benn Limited
[52]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C.H. Beck Verlag
[5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54]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www.ancientli[...]
[55]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56]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57]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58]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59]
서적
Polytheism and Society in Athe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Women of Classical Mythology: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ABC-CLIO
[61]
서적
Geschichte
[62]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63]
서적
Geshichte
[64]
서적
Trach.214
http://www.perseus.t[...]
[65]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66]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67]
서적
Schol.ad.Theocr. ii 12
[68]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69]
서적
Geschichte
[70]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71]
웹사이트
Pausanias 2.30.3
http://www.perseus.t[...]
[72]
서적
Strabo Geographica
[73]
웹사이트
Pausanias 2.27.4
http://www.perseus.t[...]
[74]
서적
Hesych
[75]
서적
Themistocles
[76]
웹사이트
Pausanias 3.25.3
http://www.perseus.t[...]
[77]
서적
Geschichte
[78]
서적
The Sacred and the Feminine in Ancient Greece
Routledge
[79]
논문
Iphigeneia and the Bears of Brauron
[80]
논문
Iphigenia in the Iliad and the Architecture of Homeric Allusion
https://muse.jhu.edu[...]
2022-00-00
[81]
서적
Iphigeneia among the Taurrians
[82]
웹사이트
βουλαία
http://www.perseus.t[...]
[83]
서적
Geschichte
[84]
웹사이트
βουληφόρος
http://www.perseus.t[...]
[85]
웹사이트
Καρύαι
http://www.perseus.t[...]
[86]
서적
Restless Dead: Encounters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n Ancient Gree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7]
서적
Geschichte
[88]
웹사이트
Chitonia
https://www.perseus.[...]
[89]
웹사이트
Odyssey 6.102
http://www.perseus.t[...]
[90]
서적
The Heroes of the Greeks
https://archive.org/[...]
[91]
웹사이트
Iliad 21.480-21.485
https://www.perseus.[...]
[92]
웹사이트
Pausanias 2.28.2
http://www.perseus.t[...]
[93]
웹사이트
Pausanias 3.18.4
http://www.perseus.t[...]
[94]
서적
When the bad bleeds
https://books.google[...]
Bonn University Press
[95]
서적
Geschichte
[96]
웹사이트
Daphnaea
http://www.perseus.t[...]
[97]
서적
Geschichte
[98]
웹사이트
καλλαβίς
http://www.perseus.t[...]
[99]
서적
Geschichte
[100]
서적
Hymn III V
[101]
서적
The origins of the Greek religion
https://books.google[...]
[102]
서적
Webster's New Universal Unabridged Dictionary
https://archive.org/[...]
Barnes & Noble
[103]
서적
Geschichte
[104]
웹사이트
Sophocles's Trach.214
http://www.perseus.t[...]
[105]
서적
proteleia gamon
[106]
Perseus
Arist.20
http://www.perseus.t[...]
[107]
Book
Nilsson, Vol I, p 493.
[108]
Perseus
γάμελα
http://www.perseus.t[...]
[109]
journal
The politics of weddings at Athens: an iconographic assessment
https://centaur.read[...]
2005
[110]
Book
Nilsson, Geschichte, Vol. I, p.80, 81
[111]
Perseus
Pausanias 8.41.4-8.41.6
http://www.perseus.t[...]
[112]
Perseus
Pausanias 8.37.1
http://www.perseus.t[...]
[113]
Book
Nilsson, Geschichte, Vol. I, p.251, 252
[114]
Perseus
ελεία
http://www.perseus.t[...]
[115]
Perseus
Hemeresia
http://www.perseus.t[...]
[116]
Perseus
Pausanias 8.14.5
http://www.perseus.t[...]
[117]
Book
Nilsson, "Geschichte", Vol I, p.89-90
[118]
Book
Women of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3
[119]
Perseus
Pausanias 8.13.1
http://www.perseus.t[...]
[120]
Book
A Prolegomena to the Study of Greek Religion
1903
[121]
Perseus
Iliad 24.603
https://www.perseus.[...]
[122]
website
Travels in the Morea: with a map and plans
https://books.google[...]
2020-01-16
[123]
Perseus
Pausanias 3.14.2
http://www.perseus.t[...]
[124]
Perseus
Pausanias 8.35,8
http://www.perseus.t[...]
[125]
Book
Nilsson,"Geschichte", Vol I p.214
[126]
Perseus
Iliad 16.183
http://www.perseus.t[...]
[127]
Perseus
κολαινίς
http://www.perseus.t[...]
[128]
Book
Nilsson, Geschichte Vol I, p.783 :Aristophanes,Lysistr. V 641, V 388
[129]
Perseus
Clouds 52
http://www.perseus.t[...]
[130]
Perseus
γενετυλλις
http://www.perseus.t[...]
[131]
Perseus
Pausanias 8.23.6
http://www.perseus.t[...]
[132]
Book
Nilsson, Geschichte Vol I, p.161, 490
[133]
Perseus
κόρδαξ
http://www.perseus.t[...]
[134]
Perseus
ειρισιώνη
http://www.perseus.t[...]
[135]
Book
A similar custom exists in modern Greece, at the beginning of May. The May-wreath is hanged over the door of house
[136]
Book
Nilsson (1967), Geschichte Vol I, p.123, 490
[137]
Book
Hesych. Kyrritoi, the buffoons with the wooden faces who celebrate the "Korythalia"
[138]
Book
Heshych. Tavris (tavros:bull), a phallic dance of the people of Taras
[139]
Perseus
λαφρία
http://www.perseus.t[...]
[140]
Perseus
Pausanias 7.18.11-7.18.12
http://www.perseus.t[...]
[141]
서적
Gods, Heroes and Tyrants: Greek chronology in chaos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9
[142]
서적
Geschichte
[14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44]
웹사이트
Aelian: Various Histories. Book XIII, Ch. 1
http://penelope.uchi[...]
penelope.uchicago.edu
2021-03-08
[145]
학술지
The Atalanta Legend in Art and Literature
1989
[146]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47]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48]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49]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0]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1]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2]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3]
서적
Porphyr.Antr
[154]
서적
The Goddesses and Gods of Old Europe: Myths and Cult Im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5]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6]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7]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58]
서적
Euripides Herc. Fur.
[159]
서적
Apollodorus the Library
G. P. Putnam's Sons
[160]
학술지
Masks and Maidens: Women and the Sanctuary of Artemis Orthia
2014
[161]
서적
Plutarch Arist.
[162]
서적
From Artemis to Diana: The Goddess of Man and Beast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16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64]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65]
서적
Götter, Städte, Feste. Kleinasiatische Münzen der römischen Kaiserzeit
Staatliche Münzsammlung
[166]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67]
학술지
Apollo, Enodia and fourth century Thessaly
[168]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69]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70]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171]
서적
Geschichte
[172]
서적
Geschichte
[173]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74]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75]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176]
서적
Geschichte
[177]
웹사이트
Pausanias 8.37.1, 8.37.6
http://www.perseus.t[...]
[178]
웹사이트
Pausanias 8.228-8.22.9
http://www.perseus.t[...]
[179]
웹사이트
Euripidis, Iphigenia in Tauris 1170-1179
http://www.perseus.t[...]
[180]
웹사이트
Pausanias 3.16.7
http://www.perseus.t[...]
[181]
웹사이트
Euripides,Iphigeneia in Tauris 1450-1460
http://www.perseus.t[...]
[182]
서적
IX
[183]
웹사이트
τοξίτης
http://www.perseus.t[...]
[184]
웹사이트
τοξίας
http://www.perseus.t[...]
[185]
웹사이트
Pausanias 7.20.1-7.20.2
http://www.perseus.t[...]
[186]
웹사이트
Pausanias 7.19.1-7.19.6
http://www.perseus.t[...]
[187]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Corythallia
https://www.perseus.[...]
[188]
서적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0-01-01
[189]
서적
Iliad and Theogony
https://www.perseus.[...]
[190]
서적
Homeric Hymn to Apollo and Orphic Hymn to Leto
https://www.perseus.[...]
[191]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2]
서적
Homeric Hymn
[193]
서적
Children of the Gods
[194]
웹사이트
Commentary on Virgil's Aeneid 3.73
http://www.perseus.t[...]
[195]
학술지
The Arrival of the Goddess Leto in Lycia
http://www.jstor.org[...]
Franz Steiner Verlag
2023-02-13
[196]
웹사이트
Historic Library 4.84.1
https://penelope.uch[...]
[197]
웹사이트
Iliad 5.50
https://topostext.or[...]
[198]
학술지
Fire-Festivals in Ancient Greece and Epitome 2.2
https://www.perseus.[...]
1923-01-01
[199]
서적
https://books.google[...]
[200]
웹사이트
De fluviis 22
http://data.perseus.[...]
[201]
학술지
The Failure of Orpheus
1994-01-01
[202]
서적
Homo Neca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01-01
[203]
학술지
Aktaion and a Lost 'Bath of Artemis'
1990-01-01
[204]
웹사이트
3.4.4
http://www.perseus.t[...]
[205]
서적
Aeschylus: Agamemnon, Libation-Bearers, Eumenides, Fragments
https://ryanfb.githu[...]
Harvard University Press
1926-01-01
[206]
서적
https://books.google[...]
[207]
웹사이트
Bacchae 330-342
http://www.perseus.t[...]
[208]
웹사이트
Hymn 5 On the Bath of Pallas 109-115
https://archive.org/[...]
[209]
웹사이트
Historic Library 4.81.3-5
https://penelope.uch[...]
[210]
웹사이트
Fabulae 181
https://topostext.or[...]
[211]
백과사전
Actaeon
[212]
서적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213]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14]
서적
Iliad
[215]
서적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216]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17]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218]
서적
Fasti
https://www.poetryin[...]
[219]
서적
[220]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221]
서적
Phaenomena
https://topostext.or[...]
[222]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23]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24]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www.perseus.[...]
[225]
서적
Bibliotheca
https://books.google[...]
[226]
서적
Astronomia
https://books.google[...]
[227]
서적
[228]
서적
Astronomia
https://archive.org/[...]
[229]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30]
서적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31]
서적
Fabulae
https://www.perseus.[...]
[232]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233]
서적
[234]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235]
서적
[236]
서적
Bibliotheca
https://archive.org/[...]
[237]
서적
De Astronomica
https://www.perseus.[...]
[238]
서적
Bibliotheca
https://www.perseus.[...]
[239]
서적
Posthomerica
https://books.google[...]
[240]
서적
Fabulae
https://books.google[...]
[241]
서적
[242]
서적
The Deipnosophists
https://www.perseus.[...]
[243]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244]
서적
https://topostext.or[...]
[245]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https://www.perseus.[...]
[246]
서적
The Greek romances of Heliodorus, Longus and Achilles Tatius; comprising the Ethiopics; or, Adventures of Theagenes and Chariclea; The pastoral amours of Daphnis and Chloe; and The loves of Citopho and Leucippe
https://archive.org/[...]
G. Bell and Sons
1901
[247]
학술지
Paul, Artemis, and the Jews in Ephesu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1996
[248]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249]
서적
Greco-Egyptian Interactions: Literature, Translation, and Culture, 500 BC-AD 3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2-19
[250]
서적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251]
웹사이트
FAVOUR OF ARTEMIS: Greek mythology
http://www.theoi.com[...]
Theoi.com
2011-01-28
[252]
서적
Iliad
http://www.perseus.t[...]
[253]
서적
Iliad
http://www.perseus.t[...]
[254]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55]
서적
Children and Childhood in Classical Athen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0
[256]
논문
Childbirth Votives and Rituals in Ancient Greece
https://etd.ohiolink[...]
University of Cincinnati
2007
[257]
서적
https://books.google[...]
[258]
서적
Bibliotheca
[259]
학술지
The J. Paul Getty Museum Journal
https://books.google[...]
[260]
서적
https://books.google[...]
[261]
웹사이트
SOL Search
https://www.cs.uky.e[...]
[262]
서적
https://books.google[...]
[263]
웹사이트
Ancient Athenian Festival Calendar
http://www.wintersca[...]
Winterscapes.com
2007-07-24
[264]
웹사이트
Elaphebolia
http://www.hellenion[...]
2020-04-20
[265]
서적
[266]
서적
The Sacred and the Feminine in Ancient Greece
Routledge
1998
[267]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http://www.ancientli[...]
1870
[268]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69]
백과사전
Agroteras Thusia
Encyclopædia Britannica
[270]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71]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272]
서적
Forlorn hopes: Phocian despair (Φωκική απόνοια)
[273]
서적
Pausanias
http://www.perseus.t[...]
[274]
서적
[275]
서적
Gods, Heroes and Tyrants: Greek chronology in chaos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09
[276]
서적
[277]
서적
Pausanias
http://www.perseus.t[...]
[278]
서적
Pausanias
http://www.perseus.t[...]
[279]
서적
Pausanias
http://www.perseus.t[...]
[280]
서적
[281]
웹사이트
Pausanias 4.31.7
http://www.perseus.t[...]
[282]
서적
Ritual and Communication in Gra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Open editions books
2013
[283]
웹사이트
Pausanias 7.19.1–7.19.4
http://www.perseus.t[...]
[284]
간행물
Xenophon Hellenica 4.4.2
[285]
웹사이트
Pausanias 7.26.2-7.26.3
http://www.perseus.t[...]
[286]
서적
The Cosmos in Ancient Greek religious experi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287]
서적
Geschichte
[288]
서적
Choruses of Young women in Ancient Greece
https://books.google[...]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1
[289]
웹사이트
Pausanias 4.4.2
http://www.perseus.t[...]
[290]
서적
Findings of cultic traditions for goddess Artemis
https://greece.chs.h[...]
Center for Hellenic studies in Greece. Harvard University.
2018
[291]
웹사이트
Pausanias 3.20.7
http://www.perseus.t[...]
[292]
서적
Geschichte
[293]
웹사이트
Pausanias 3.23.10
https://www.perseus.[...]
[294]
웹사이트
Pausanias 3.10.7
http://www.perseus.t[...]
[295]
웹사이트
Pausanias 3.22.11-3.22.12
https://www.perseus.[...]
[296]
웹사이트
Pausanias 6.21.11-6.22.1
https://www.perseus.[...]
[297]
웹사이트
Pausanias 6.22.8-6.22.10
https://www.perseus.[...]
[298]
간행물
Strabo VIII p.343
[299]
웹사이트
Pausanias 3.24.9
https://www.perseus.[...]
[300]
웹사이트
Pausanias 3.24.8
https://www.perseus.[...]
[301]
웹사이트
Pausanias 8.22.8
https://www.perseus.[...]
[302]
웹사이트
Pausanias 8.13.1
https://www.perseus.[...]
[303]
웹사이트
Pausanias 8.53.11
https://www.perseus.[...]
[304]
웹사이트
Pausanias 8.39.5
https://www.perseus.[...]
[305]
웹사이트
SARON, Greek Mythology Index
http://www.mythindex[...]
Mythindex.com
2011-01-28
[306]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Emergence of Macedon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307]
간행물
Strabo (xiv.1.19)
[308]
간행물
Hot Springs and Healing: A Preliminary Answer
1961
[309]
서적
Antonin. Lib 40
[310]
서적
Natural History
35–93
[311]
서적
Theater and Autocracy in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22
[312]
서적
Near Eastern equivalents to Artemis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313]
서적
The Homeric hymns
https://www.worldcat[...]
Penguin Books
2003
[314]
웹사이트
"Potnia Aswia: Anatolian Contributions to Greek Religion" by Sarah P. Morris
https://web.archive.[...]
2014-01-06
[315]
성경
Acts
[316]
서적
Sacks (1995)
[317]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318]
서적
Drawing Down the Moon: Witches, Druids, Goddess-Worshippers, and Other Pagans in America Today, Revised and Expanded Edition
Beacon Press
[319]
서적
Shen (2018)
[320]
서적
Lexicon Iconographicum Mythologiae Classicae (LIMC)
Artemis Verlag
[321]
서적
Nile into Tiber: Egypt in the Roman World. Proceedings of the II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sis Studies, Faculty of Archaeology, Leiden University, May 11–14 2005
https://archive.org/[...]
Brill
[322]
서적
Scholia on the Iliad
https://archive.org/[...]
[323]
서적
https://books.google[...]
[324]
서적
https://books.google[...]
[325]
서적
https://books.google[...]
[326]
서적
Chrysippus
https://archive.org/[...]
[327]
서적
De Natura Deorum
https://topostext.or[...]
[328]
서적
Geographica
https://www.perseus.[...]
[329]
서적
https://archive.org/[...]
[330]
서적
https://books.google[...]
[331]
서적
Commentary on the Aeneid
http://www.perseus.t[...]
[332]
논문
An Exciting Provocation: John F. Miller's 'Apollo, Augustus, and the Poets.'
http://www.jstor.org[...]
[333]
서적
Carmen Saeculare
https://www.thelatin[...]
[334]
서적
Aeneid
https://topostext.or[...]
[335]
서적
https://www.perseus.[...]
[336]
서적
https://books.google[...]
[337]
서적
https://archive.org/[...]
[338]
웹사이트
https://www.perseus.[...]
2017-05-05
[339]
서적
A Handbook of Greek Religion
American Book Company
[340]
서적
Geschichte
[341]
서적
Geschichte
[342]
서적
Religion of the Gods: Ritual, Paradox, and Reflexivity
https://books.google[...]
[343]
서적
Hymn 3 to Artemis
http://www.katinkahe[...]
[344]
웹사이트
http://www.perseus.t[...]
[345]
서적
The city states
Ernest Benn Ltd
[346]
서적
Olympian Odes
http://www.perseus.t[...]
[347]
서적
Hymn 3 to Artemis
http://www.katinkahe[...]
[348]
서적
[349]
서적
Suda
https://topostext.or[...]
[350]
서적
Geschicte
[351]
서적
Iliad
https://topostext.or[...]
[352]
서적
Bibliotheca
http://www.perseus.t[...]
[353]
서적
[354]
서적
Metamorphoses
http://data.perseus.[...]
[355]
서적
Transformations
https://topostext.or[...]
[356]
서적
On Animals
http://www.attalus.o[...]
[357]
서적
Geschichte
[358]
서적
Pausanias
http://www.perseus.t[...]
[359]
서적
Trach.
http://www.perseus.t[...]
[360]
서적
Iliad
[361]
서적
Hymn 3 to Artemis
[362]
웹사이트
APEX – Artemis
http://www.apex-tele[...]
Apex-telescope.org
2010-01-11
[363]
웹사이트
NASA delays human lunar landing to at least 2025
https://spacenews.co[...]
2021-11-09
[364]
웹사이트
https://www.nasa.gov[...]
NASA
2019-05-19
[365]
서적
Theogony
[366]
서적
Odyssey
http://data.perseus.[...]
[367]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68]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69]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370]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371]
서적
ギリシャ神話 <付 北欧神話>
社会思想社
[372]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373]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74]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75]
서적
[376]
서적
魔女はなぜ人を喰うか
大和書房
[377]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78]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79]
서적
イーリアス
[380]
서적
ギリシア神話
青土社
[381]
서적
図解雑学 ギリシア神話
ナツメ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