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네가와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네가와 전투는 1570년 6월에 벌어진 전투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 나가마사,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이끄는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간의 전투이다. 오다 노부나가는 아사쿠라 씨를 공격하기 위해 에치젠으로 진격했으나, 아자이 나가마사의 배신으로 인해 위기에 처했다. 전투는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은 이후에도 시가의 진에서 저항하며 오다 군에 큰 피해를 입혔다. 이 전투는 아자이 가문의 몰락을 가속화시켰으며, 이후 노부나가 포위망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0년 분쟁 - 북방 7년 전쟁
    북방 7년 전쟁은 1563년부터 1570년까지 덴마크-노르웨이와 스웨덴이 스웨덴의 세력 확장 견제와 발트 해 영향력 강화를 둘러싸고 벌인 전쟁으로, 슈테틴 조약으로 종결되었으나 양국에 국력 소모와 갈등을 남겼다.
  • 아사쿠라씨 -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의 당주로, 문화와 외교에 능했으나 우유부단한 태도와 군사적 능력 부족으로 가문을 멸망시켰다.
  • 아사쿠라씨 - 아사쿠라 다카카게 (1493년)
    아사쿠라 다카카게는 센고쿠 시대 에치젠국의 슈고 다이묘로서 혼란스러운 주변 지역 군사 개입과 교토와의 연계를 통해 아사쿠라 가문의 세력을 확장하고 문화적 번영을 이끌었으나, 잦은 출병과 경제적 부담, 가신들과의 불화 등 어려움도 겪었다.
아네가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아네가와 전투
관련 시기센고쿠 시대
아자이(동쪽)와 아사쿠라(서쪽) / 오다(동쪽), 도쿠가와(서쪽) 및 이나바(남동쪽)
날짜1570년 7월 30일
위치오미국 나가하마 인근 비와호 근처 아네가와
결과오다 씨 - 도쿠가와 씨 연합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오다 씨 / 도쿠가와 씨
교전국 2아자이 씨 / 아사쿠라 씨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오다 노부나가
하시바 히데요시
삿사 나리마사
이나바 요시미치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시카와 가즈마사
사카이 다다쓰구
혼다 다다카쓰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모리 요시나리
사카이 마사히데
사이토 도시하루
시바타 가쓰이에
사쿠마 노부모리
하치야 요리타카
기노시타 히데요시
니와 나가히데
와다 고레마사
야나다 히로마사
주조 이에타다
우지이에 보쿠젠
안토 모리나리
이케다 쓰네오키
오가사와라 나가타다
우도노 우지나가
교전국 2 지휘관아자이 나가마사
이소노 가즈마사
가이호 쓰나치카
미야베 게이준
아카오 기요쓰나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쿠라 가게타케
롯카쿠 요시카타
롯카쿠 요시하루
호리 히데무라
아쓰지 사다유키
신조 나오요리
엔도 나오쓰네
마가라 나오타카
도도 다카토라
마가라 나오즈미
미타무라 구니사다
노무라 나오타카
오노기 히데토시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28,000명 (오다 군 23,000명, 도쿠가와 이에야스 군 5,000명) / 13,000 ~ 40,000명 (오다 10,000명, 도쿠가와 3,000명 (미카와 이야기), 오다 불명, 도쿠가와 5,000 ~ 6,000명 (핫토리 한조 무공기), 오다 불명, 도쿠가와 5,000명 (호안 신장기), 오다 35,000명, 도쿠가와 5,000명 (고요 군감))
교전국 2 병력18,000명 / 13,000 ~ 30,000명 (아사쿠라 8,000명, 아자이 5,000명 (신장 공기), 아사쿠라 15,000명, 아자이 5,000 ~ 6,000명 (쓰다 문서), 아사쿠라 15,000명, 아자이 8,000명 (마스다 가문 문서), 30,000명 (모리 가문 문서), 아사쿠라 15,000 ~ 16,000명, 아자이 6,000 ~ 7,000명 (연대기 초절), 아사쿠라 10,000여 명 + 아자이 8,000여 명 (남부 문서), 아사쿠라 불명, 아자이 10,000명 (마쓰다이라 기록), 30,000명 (미카와 이야기), 8,000 ~ 10,000명 (핫토리 한조 무공기), 아사쿠라 20,000명, 아자이 불명 (호안 신장기), 아사쿠라 15,000명, 아자이 3,000명 (고요 군감))
사상자 규모
교전국 1 사상자사망 800명
교전국 2 사상자사망 1,700명 / 1,100 ~ (1,100명 (신장 공기), 8,000명 (마스다 가문 문서), 아사쿠라 5,000 ~ 9,600명 + 아자이 7,000 ~ 8,000명 (고토쓰구쿄키), 수천 명 (연대기 초절), 6,000명 (일본 예수회 연보))

2. 배경

오와리 출신의 센고쿠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스루가국이마가와 요시모토의 공격을 격퇴하고, 사이토씨(斎藤氏)가 다스리는 미노국을 제압한 뒤, 상락을 목표로 오미로 침공하였다. 침공에 앞서 북 오미를 다스리던 아자이 나가마사에게 여동생 오이치노카타를 시집보내어 인척관계를 맺고, 아자이 가문의 원군을 얻어 공통의 적인 남 오미의 유력 다이묘 롯카쿠 요시카타 부자를 격파하고, 에이로쿠 11년(1568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받들어 상락하였다.

그 뒤, 노부나가의 상락 요구를 거절하며 노부나가와 대립각을 세우던 에치젠국아사쿠라씨(朝倉氏)에 대하여, 겐키 원년(1570년) 4월에 노부나가는 에치젠으로 침공을 개시하였다. 아자이 가문은 나가마사의 조부 아자이 스케마사 대부터 아사쿠라 가문과 주종관계·인척관계 등으로 인연이 깊었기 때문에, 나가마사는 노부나가를 배반하여 에치젠을 공격하는 오다 군의 배후를 습격하였다.

오다 군은 아사쿠라 가문과의 전투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으나, 나가마사의 배반으로 졸지에 협공을 당하게 되어 전황이 단숨에 일변하여 노부나가는 위험한 상황에 빠졌으나, 가네가사키(金ヶ崎)에 남아 아사쿠라 군의 추격을 죽음으로 막은 휘하들의 결사적인 퇴각전으로 목숨을 구했다(가네가사키 전투).

3. 전투

오다 노부나가가 가네가사키 전투의 보복을 위해 군비를 재정비하고 북오미로 출진하자, 오다군의 전력을 두려워한 사카타군의 호리 히데무라 등이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인 오다니성까지 진군한 오다 군에 맞서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일족인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총대장으로 삼아 병력을 파견하였다. 6월 27일에는 노부나가 측에도 맹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군을 이끌고 가세하였다. 다음날인 6월 28일, 아네가와 강변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 28,000명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18,000명이 비와호로 흐르는 아네가와를 끼고 대치하였다.

전투는 평지전으로 도쿠가와 군 대 아사쿠라 군, 오다 군 대 아자이 군의 구도로 벌어졌다. 도쿠가와 군의 사카이 다다쓰구, 오가사와라 나가타다 부대가 아사쿠라 군에 공격을 가한 것을 시발점으로 전투가 시작되었다. 아자이 군은 오다 군에 비해 병력에서는 열세였으나, 아자이 군의 선봉 이소노 가즈마사가 이끄는 아자이 가문의 정예부대가 오다 군 선봉 사카이 마사히사 부대를 돌파한 것을 시작으로, 파죽지세로 이케다 쓰네오키, 기노시타 도키치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바타 가쓰이에의 진을 차례차례 격파하여 오다 군의 13단 진 중 11단까지 쳐부수는 맹공을 보였다. 그러나 오다 군의 후방에서 요코야마 성의 견제를 맡고 있던 이나바 잇테쓰 등의 구원으로 오다 군은 간신히 위기를 벗어났다.

한편, 도쿠가와 군과 교전중이던 아사쿠라 군은 병력 수로는 우세하였다. 그러나, 이유는 불명이지만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스스로 전선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사기가 낮아, 도쿠가와 군은 고전하면서도 정면 돌파를 강행한 혼다 다다카쓰와 우회하여 아사쿠라의 배후를 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이끈 도쿠가와 가문 하타모토 정예 부대의 활약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본대가 가세하여 아사쿠라 군을 격파하였다.

이나바 잇테쓰의 구원군을 시작으로 요코하마 성 공격에 참가하던 우지이에 보쿠젠, 안도 모리나리 등이 오다 군의 증원으로 가세하여, 무방비 상태인 아자이 군의 측면을 공격하자 아자이 군도 우익부터 무너져 내리기 시작하였다.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은 홋코쿠 방향으로 패주하는 동안 오다 군의 추격을 받아 다수의 전사자를 내는 결과가 되었다. 전투는 오전 5시에 시작되어 오후 2시까지 이어졌다고 전하며, 전사자는 아자이·아사쿠라 군 1,800명, 오다·도쿠가와 군 800명에 부상자는 그 3배 정도로 추정된다.[6] 전장 부근의 치하라(血原, 핏빛 평원), 치가와(血川, 핏빛 강)라는 지명에서 당시의 격전 모습이 엿보인다.

1570년 7월 30일, 오다 군과 아자이 군이 오른쪽에서 충돌하고, 도쿠가와 군과 아사쿠라 군이 왼쪽에서 격돌하면서 전투가 시작되었다. 전투는 얕은 아네 강 한가운데에서 벌어진 난전으로 번졌다. 한동안 노부나가의 군대는 아자이 군과 강 상류에서 싸웠고, 도쿠가와 군은 아사쿠라 군과 강 하류에서 싸웠다.[6]

노부나가는 하시바 히데요시에게 처음으로 병력을 이끌고 개전하도록 지시했고, 사사 나리마사는 후방 부대를 이끌었으며, 하치스카 마사카츠, 이코마 이에나가, 카와지리 히데타카, 야마우치 카즈토요도 지원했다.

도쿠가와 군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2]

지휘관역할
이시카와 카즈마사, 사카이 타다츠구선봉 부대
혼다 타다카츠, 사카키바라 야스마사후위 부대



스티븐 턴불은 이 전투에서 카즈마사, 타다츠구, 야스마사, 타다카츠를 도쿠가와 사천왕으로 간주했다.[2] 이에야스는 타다카츠와 야스마사가 이끄는 제2 부대를 아사쿠라의 좌익에 투입하여 아사쿠라 카게타케를 포위했다.[7] 전투 초기에 도쿠가와 군이 아사쿠라 군에게 밀리고 있을 때, 타다카츠는 갑자기 말을 타고 돌진하여 10,000명의 아사쿠라 군에 홀로 맞섰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본 이에야스는 즉시 병력을 이끌고 아사쿠라 군의 진격을 막고 타다카츠를 구출했다. 결국 그들은 아사쿠라 군을 격파했다. 타다카츠는 위험한 상황에서도 전투에서 살아남았다.[3]

혼다 타다카츠가 아사쿠라 군의 무사 마가라 나오타카와의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는 보고도 있다. 하지만 아사쿠라 군이 퇴각하기 시작하면서 결투는 중단되었다. 나오타카와 그의 장남 마가라 쥬로사부로(나오모토)는 아사쿠라 군의 북쪽 강둑으로의 퇴각을 엄호하다 5명의 미카와 사무라이와 대면하여 모두 전사했다.[7]

아자이 군의 사무라이 엔도 나오츠네는 노부나가의 머리를 노리려 했지만, 타케나카 한베에의 동생인 타케나카 큐사쿠에 의해 저지되었다.[6] 오다 군의 사무라이 사카이 마사히사는 이자노 카즈마사 휘하의 아자이 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사카이 큐조를 잃었다.

도쿠가와 군이 아사쿠라 군을 궤멸시킨 후, 아자이 군의 우익을 공격했고,[5] 미노 삼인방의 군대는 이나바 잇테츠 휘하에 예비대로 머물면서 아자이 군의 좌익을 공격하기 위해 진격했다. 그들은 요코야마 성을 포위하는 임무를 남겨두고 전투를 지원하여 아자이 군과 아사쿠라 군은 즉시 패배했다.[6]

시가현 나가하마시 노무라초에는 전장 기념비가 있다.[7]

3. 1. 기습설

다카자와 히토시는 아네가와 전투가 아사쿠라·아자이 군의 기습이었다는 설을 주장하고 있다.[20] 1570년 6월 27일 새벽, 아자이·아사쿠라 군은 일단 오이산에서 모습을 감췄다. 『오다 노부나가 공기』에서는 이때 상황을 "6월 27일 새벽, 진을 물리고 물러가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28일 미명에 30정 정도 다가왔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오다 군은 아자이·아사쿠라 군이 진을 물리고 퇴각했다고 생각했으나, 28일 새벽에 갑자기 30정 거리에 나타난 것이다. 오다 군은 적군이 진을 물렸다고 판단하여 요코야마성 포위 태세로 군세를 되돌렸는데, 본진의 뒤를 기습당하는 형국이 되어 양군은 진형을 정비하지 못한 채 전투에 돌입하게 되었다.[21] 한편, 아네가와 전투는 양군이 날짜를 정해놓고 벌인 합전이었다는 주장도 있다.[22]

4. 참전 무장

오다 노부나가는 가네가사키 전투에 대한 보복으로 군비를 재정비하고 북오미로 출진했다. 사카타 군의 호리 히데무라 등은 오다 군의 전력을 두려워하여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인 오다니 성까지 진군한 오다 군에 맞서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일족인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총대장으로 삼아 병력을 파견했다. 6월 27일, 노부나가 측에는 맹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군을 이끌고 합류했다. 다음 날인 6월 28일, 아네가와 강변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이 비와 호로 흐르는 아네가와를 사이에 두고 대치했다.[6]

전투는 평지전으로, 도쿠가와 군 대 아사쿠라 군, 오다 군 대 아자이 군의 구도로 벌어졌다. 아자이 군은 오다 군에 비해 병력이 열세였으나, 선봉 이소노 가즈마사가 이끄는 정예부대가 오다 군 선봉 사카이 마사히사 부대를 돌파했다. 이후 이케다 쓰네오키, 기노시타 도키치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바타 가쓰이에의 진을 차례로 격파하며 오다 군 13단 진 중 11단까지 쳐부수는 맹공을 퍼부었다. 그러나 오다 군 후방에서 요코야마 성을 견제하던 이나바 잇테쓰 등의 구원으로 오다 군은 간신히 위기를 모면했다.

하시바 히데요시는 처음으로 병력을 이끌고 전투에 참여했고, 사사 나리마사는 후방 부대를 이끌었다. 하치스카 마사카츠, 이코마 이에나가, 카와지리 히데타카, 야마우치 카즈토요도 지원에 나섰다.

도쿠가와 군은 아사쿠라 군에 맞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좌익을 형성했으며,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2]

부대지휘관
선봉 부대이시카와 카즈마사, 사카이 다다츠구
후위 부대혼다 다다카쓰,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스티븐 턴불은 이 전투에서 활약한 가즈마사, 다다쓰구, 야스마사, 다다카쓰를 도쿠가와 사천왕으로 꼽았다.[2] 이에야스는 다다카츠와 야스마사가 이끄는 제2 부대를 아사쿠라 군 좌익에 투입하여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포위하려 했다.[7]

혼다 다다카쓰가 아사쿠라 군의 무사 마가라 나오타카와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아사쿠라 군이 퇴각하면서 결투는 중단되었다.[4]

미노 삼인방 군대는 이나바 잇테쓰 휘하 예비대로 머물면서 아자이 군 좌익을 공격하기 위해 진격했다. 이들은 요코야마 성 포위 임무를 남겨두고 전투를 지원했다.[6]

아자이 군의 사무라이 엔도 나오츠네는 노부나가의 목을 노렸으나, 타케나카 한베에의 동생인 타케나카 큐사쿠에게 저지되었다.[6] 오다 군의 사무라이 사카이 마사히사는 이소노 가즈마사 휘하 아자이 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사카이 큐조를 잃었다.

4. 1. 아자이·아사쿠라 군

오다 노부나가가 가네가사키 전투의 보복으로 북 오미로 출진하자, 사카타 군의 호리 히데무라 등이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아자이 나가마사의 본거지인 오다니 성까지 진군한 오다 군에 맞서,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일족인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총대장으로 삼아 병력을 파견하였다.

6월 28일, 비와호로 흐르는 아네가와 강변에서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 28,000명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 18,000명이 대치하였다. 전투는 평지전으로 도쿠가와 군 대 아사쿠라 군, 오다 군 대 아자이 군의 구도로 벌어졌다.

도쿠가와 군의 사카이 다다쓰구, 오가사와라 나가타다 부대가 아사쿠라 군에 공격을 가한 것을 시발점으로 전투가 시작되었다. 아자이 군은 병력에서는 열세였으나, 선봉 이소노 가즈마사가 이끄는 아자이 가문의 정예부대가 오다 군 선봉 사카이 마사히사 부대를 돌파하고, 이케다 쓰네오키, 기노시타 도키치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바타 가쓰이에의 진을 차례차례 격파하여 오다 군 13단 중 11단까지 쳐부수는 맹공을 보였다. 그러나 오다 군 후방에서 요코야마 성 견제를 맡고 있던 이나바 잇테쓰 등의 구원으로 오다 군은 간신히 위기를 벗어났다.

한편, 도쿠가와 군과 교전 중이던 아사쿠라 군은 병력 수로는 우세하였다. 그러나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직접 전선에 나오지 않아 사기가 낮았다. 도쿠가와 군은 고전하면서도 정면 돌파를 강행한 혼다 다다카쓰와 우회하여 아사쿠라 군 배후를 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이끈 도쿠가와 가문 하타모토 정예 부대의 활약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본대가 가세하여 아사쿠라 군을 격파하였다.

이나바 잇테쓰의 구원군을 시작으로 요코야마 성 공격에 참가하던 우지이에 보쿠젠, 안도 모리나리 등이 오다 군 증원으로 가세하여 무방비 상태인 아자이 군 측면을 공격하자 아자이 군도 우익부터 무너져 내렸다.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은 홋코쿠 방향으로 패주하는 동안 오다 군의 추격을 받아 다수의 전사자를 냈다.

전투는 오전 5시에 시작되어 오후 2시까지 이어졌다고 전하며, 전사자는 아자이·아사쿠라 군 1,800명, 오다·도쿠가와 군 800명에 부상자는 그 3배 정도로 추정된다. 전장 부근의 치하라(血原, 핏빛 평원), 치가와(血川, 핏빛 강)라는 지명에서 당시의 격전 모습이 엿보인다.[6]

4. 1. 1. 아자이 군

오다 노부나가가 가네가사키 전투의 보복으로 북 오미로 출진하자, 사카타 군의 호리 히데무라 등이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아자이 나가마사의 본거지인 오다니 성까지 진군한 오다 군에 맞서,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일족인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총대장으로 삼아 병력을 파견하였다.

전투는 오다 군 대 아자이 군의 구도로 벌어졌다. 아자이 군은 병력에서는 열세였으나, 선봉 이소노 가즈마사가 이끄는 아자이 가문의 정예부대가 오다 군 선봉 사카이 마사히사 부대를 돌파하고, 이케다 쓰네오키, 기노시타 도키치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바타 가쓰이에의 진을 차례차례 격파하여 오다 군 13단 중 11단까지 쳐부수는 맹공을 보였다. 그러나 요코야마 성 견제를 맡고 있던 이나바 잇테쓰 등의 구원으로 오다 군은 간신히 위기를 벗어났다.

이나바 잇테쓰의 구원군을 시작으로, 요코야마 성 공격에 참가하던 우지ியே 보쿠젠, 안도 모리나리 등이 오다 군 증원으로 가세하여 무방비 상태인 아자이 군의 측면을 공격하자 아자이 군도 우익부터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은 홋코쿠 방향으로 패주하는 동안 오다 군의 추격을 받아 다수의 전사자를 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군이 아사쿠라 군을 궤멸시킨 후, 방향을 돌려 혼다 다다카쓰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의 부대를 보내 아자이 군의 우익을 공격했다.[5] 미노 삼인방의 군대는 이나바 잇테쓰 휘하에 예비대로 머물면서 아자이 군의 좌익을 공격하기 위해 진격했다. 그들은 요코야마 성을 포위하는 임무를 남겨두고 전투를 지원했다.[6] 결국 아자이 군과 아사쿠라 군은 패배했다.

아자이 군의 사무라이 엔도 나오츠네는 노부나가의 머리를 노리려 했지만, 타케나카 한베에의 동생인 타케나카 큐사쿠에 의해 저지되었다.[6] 또 다른 오다 군의 사무라이 사카이 마사히사는 이자노 카즈마사 휘하의 아자이 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사카이 큐조를 잃었다.

아네가와 전투에 참전한 아자이 군의 주요 무장은 다음과 같다.

무장
아자이 나가마사
이소노 가즈마사
아자이 마사즈미
아베 사다유키
신조 나오요리
엔도 나오쓰네
안요지 우지타네
이마무라 우지나오
유게 이에즈미
카부토 소신


4. 1. 2. 아사쿠라 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도쿠가와 군과 교전 중이던 아사쿠라 군은 병력 수로는 우세했다. 그러나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직접 전선에 나오지 않아 사기가 낮았다.[6] 도쿠가와 군은 고전하면서도 정면 돌파를 강행한 혼다 다다카쓰와 우회하여 아사쿠라 군의 배후를 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이끈 도쿠가와 가문 하타모토 정예 부대의 활약에,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본대가 가세하여 아사쿠라 군을 격파하였다.[7]

도쿠가와 군은 오다-도쿠가와 연합군의 좌익을 형성했고,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2]

부대지휘관
선봉 부대이시카와 카즈마사, 사카이 타다츠구
후위 부대혼다 다다카쓰,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이 전투에서 스티븐 턴불은 도쿠가와 사천왕으로 카즈마사, 타다츠구, 야스마사, 타다카츠를 꼽았다.[2] 이에야스는 타다카츠와 야스마사가 이끄는 제2 부대를 아사쿠라 군의 좌익에 투입하여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포위했다.[7]

혼다 다다카쓰가 아사쿠라 군의 무사 마가라 나오타카와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는 보고도 있으나, 아사쿠라 군이 퇴각하기 시작하면서 결투는 중단되었다.[4]

아사쿠라 군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아사쿠라 가게타케
  • 마에나미 신파치로
  • 마가라 나오타카
  • 마가라 나오즈미
  • 구로사카 가게히사

4. 2. 오다·도쿠가와 군

오다 노부나가의 맹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군을 이끌고 아네가와 전투에 참전했다.[6] 6월 27일 노부나가 측에 가세한 이에야스는 다음 날 아네가와 강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파견한 아사쿠라 군과 맞붙었다.

도쿠가와 군은 사카이 다다쓰구, 오가사와라 나가타다 부대가 아사쿠라 군을 공격하면서 전투를 시작했다. 병력 수에서는 아사쿠라 군이 우세했지만,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직접 전선에 나오지 않아 사기가 낮았다. 도쿠가와 군은 고전하면서도 정면 돌파를 시도한 혼다 다다카쓰와 우회하여 아사쿠라 군의 배후를 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이끄는 하타모토 정예 부대의 활약에 힘입어 승리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본대도 가세하여 아사쿠라 군을 격파했다.

이후 도쿠가와 군은 방향을 돌려 아자이 군의 우익을 공격하여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

4. 2. 1. 오다 군

오다 노부나가가 가네가사키 전투의 보복을 위해 군비를 재정비하고 북오미로 출진하자, 사카타 군의 호리 히데무라 등이 노부나가에게 항복하였다. 아자이 가문의 본거지인 오다니 성까지 진군한 오다 군에 맞서 아사쿠라 요시카게는 일족인 아사쿠라 가게타케를 총대장으로 삼아 병력을 파견하였다. 6월 27일에는 노부나가 측에도 맹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군을 이끌고 가세하였다. 다음날인 6월 28일, 아네가와 강변에서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이 비와 호로 흐르는 아네가와를 끼고 대치하였다.[6]

전투는 평지전으로 도쿠가와 군 대 아사쿠라 군, 오다 군 대 아자이 군의 구도로 벌어졌다. 아자이 군은 오다 군에 비해 병력에서는 열세였으나, 아자이 군의 선봉 이소노 가즈마사가 이끄는 아자이 가문의 정예부대가 오다 군 선봉 사카이 마사히사 부대를 돌파한 것을 시작으로, 파죽지세로 이케다 쓰네오키, 기노시타 도키치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바타 가쓰이에의 진을 차례차례 격파하여 오다 군의 13단의 진 중 11단까지 쳐부수는 맹공을 보였다. 그러나 오다 군의 후방에서 요코야마 성의 견제를 맡고 있던 이나바 잇테쓰 등의 구원으로 오다 군은 간신히 위기를 벗어났다.[6]

이나바 잇테쓰의 구원군을 시작으로 요코하마 성 공격에 참가하던 우지 ಬಿಜೆ 보쿠젠, 안도 모리나리 등이 오다 군의 증원으로 가세하여, 무방비 상태인 아자이 군의 측면을 공격하자 아자이 군도 우익부터 무너져 내리기 시작하였다.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에게 처음으로 병력을 이끌고 개전하도록 지시했고, 사사 나리마사(佐々成政)는 후방 부대를 이끌었으며, 하치스카 마사카츠(蜂須賀正勝), 이코마 이에나가(生駒家長), 카와지리 히데타카(河尻秀隆), 야마우치 카즈토요(山内一豊)도 지원했다.

오다 군의 사무라이 사카이 마사히사(酒井正久)는 이자노 카즈마사(磯野員昌) 휘하의 아자이 군의 공격을 받아 아들 사카이 큐조(酒井久蔵)를 잃었다.

미노 삼인방의 군대는 이나바 잇테쓰(稲葉一鉄) 휘하에 예비대로 머물면서 아자이 군의 좌익을 공격하기 위해 진격했다. 그들은 요코야마 성을 포위하는 임무를 남겨두고 전투를 지원했다.[6]

오다 군의 주요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4. 2. 2. 도쿠가와 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오다 노부나가의 맹우로서 군을 이끌고 아네가와 전투에 참전했다.[6] 6월 27일 노부나가 측에 가세한 이에야스는 다음 날 아네가와 강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파견한 아사쿠라 군과 맞붙었다.[6]

도쿠가와 군은 사카이 다다쓰구, 오가사와라 나가타다 부대가 아사쿠라 군을 공격하면서 전투를 시작했다. 병력 수에서는 아사쿠라 군이 우세했지만, 아사쿠라 요시카게가 직접 전선에 나오지 않아 사기가 낮았다.[2] 도쿠가와 군은 고전하면서도 정면 돌파를 시도한 혼다 다다카쓰와 우회하여 아사쿠라 군의 배후를 친 사카키바라 야스마사가 이끄는 하타모토 정예 부대의 활약에 힘입어 승리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이끄는 본대도 가세하여 아사쿠라 군을 격파했다.[7]

도쿠가와 군의 편성은 다음과 같았다.[2]

구분담당 무장
선봉 부대이시카와 카즈마사, 사카이 다다쓰구
후위 부대혼다 다다카쓰,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스티븐 턴불은 이 전투에서 활약한 가즈마사, 다다쓰구, 야스마사, 다다카쓰를 도쿠가와 사천왕으로 간주했다.[2]

전투 초반, 도쿠가와 군이 아사쿠라 군에게 밀리자, 혼다 다다카쓰는 홀로 10,000명의 아사쿠라 군에 맞서 돌진했다. 이에야스는 즉시 병력을 이끌고 다다카쓰를 구출하고 아사쿠라 군을 격파했다. 다다카쓰는 위험한 상황에서도 살아남았다.[3]

혼다 다다카쓰는 아사쿠라 군의 무사 마가라 나오타카와 일대일 전투를 벌였다는 기록도 있지만, 아사쿠라 군이 퇴각하면서 결투는 중단되었다.[4]

도쿠가와 군은 아사쿠라 군을 궤멸시킨 후, 아자이 군의 우익을 공격하여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

5. 영향

아네가와 전투에서 아자이 가문은 큰 피해를 입었다. 나가마사가 가장 신뢰했던 중신 엔도 나오쓰네와 나가마사의 친동생 아자이 마사유키를 비롯한 아자이 가문의 핵심 무장들이 전사하였다.[8] 아사쿠라 가문에서는 용맹하다고 알려진 마가라 나오타카·나오즈미 형제 등이 전사하였다.[8] 오다 군에서는 사카이 히사쓰네 등이 전사하였다.

아자이·아사쿠라 연합군은 이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히에이 산의 승병, 이시야마 혼간지잇코 잇키와 손을 잡고 비와호 서쪽의 시가 군 등에서 오다 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시가의 진). 이 전투에서 오다 군은 노부나가의 친동생 오다 노부하루와 모리 요시나리, 사카이 마사히사 등을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노부나가는 아자이·아사쿠라를 지원하는 히에이 산을 불태우는 등 주변 세력을 정리하고, 군사력만으로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아자이 가문의 내부 분열을 유도하는 모략을 실행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아네가와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이소노 가즈마사의 배신이다. 아네가와 전투의 여파로 아자이 가문의 영지는 남북으로 분단되었고, 사와 산성을 지키던 이소노 가즈마사 등은 고립되어 물자 보급이 어려웠다. 히데요시는 이를 이용하여 아자이 가문 내에 가즈마사가 내통한다는 소문을 퍼뜨렸고, 나가마사는 가즈마사의 물자 보급 요청을 거절하였다. 결국 가즈마사는 오다 군에 항복하였고, 이는 아자이 가문 멸망의 흐름을 가속화했다.

점차 약해진 아자이·아사쿠라 가문은 다케다 신겐, 혼간지 겐뇨 등과 손을 잡아 노부나가 포위망을 형성하였다.

아네가와 전투에 대해 신뢰할 만한 자료는 거의 없다.[8] 이 전투는 에도 시대 중후반에 편찬된 책들에서 생생하게 묘사되는데, 많은 이야기가 허구이다. 유일하게 가치 있는 자료는 ''신초코키''로, 전투 세부 사항에 대한 언급 없이 매우 간략하게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전투의 정확한 사상자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8]

6. 기타

아네가와 전투에서 쓰러진 장병들의 피로 붉게 물든 혈천(血川)은 아네가와 강을 따라 흘렀으나, 헤이세이 시대 이후의 조성 개수 공사로 사라졌다. 노무라 정의 옛 노무라 다리 부근이 가장 격전지였으며, 미타 정 측의 아네가와 강을 따라 이어진 격전지는 혈원공원(血原公園)이 되었다.[1]

아사이 씨 가신 노무라 히고노카미의 노무라 성 토루가 노무라 정 지역의 이와사키가, 이부키가, 타가가, 아사이 가의 부지 등을 중심으로 남아있다. 같은 미타무라 씨의 미타무라 성 토루는 미타 정 지역의 덴쇼지(伝正寺) 부지에 남아있다.[2]

아네가와 전투를 그린 일본 유일의 "아네가와 합전도 병풍"이 후쿠이 현립 역사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매년 6월 하순~7월 상순에 일반 공개된다.[3]

오다·도쿠가와 군에서 공을 세운 것으로 여겨지는 아시가루 머리 등 7명에게 노부나가가 감사장을 수여하였고, 이들은 "아네가와 칠본창"이라고 칭해졌다.[4]

『[아사이 삼대기』(17세기 후반 성립)에는 아사이 군의 이소노 가즈마사가 오다 군의 13단으로 이루어진 대비를 11단까지 무너뜨리고 노부나가의 본진까지 육박했다는 일화가 기술되어 있지만(가즈마사의 아네가와 11단 붕괴), 이것은 후세의 창작이라는 견해가 강하다.[5]

7. 관련 작품

이 전투는 ''무쌍'' 시리즈 게임에 모두 등장한다. 아자이 나가마사는 첫 번째 게임에서는 플레이할 수 없는 특별한 캐릭터였지만, ''진·삼국무쌍 2''부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하면서 전투의 중요성이 커졌다. 또한 이 전투는 픽션으로 재구성되어 ''무쌍 오로치'' 시리즈에도 등장하며, 특히 ''무쌍 오로치 3''에서 가장 유명하게 재구성되었다. 비디오 게임 결전 3에서도 이 전투를 플레이할 수 있다. 오다 노부나가와 오다 씨족의 정복에서 주인공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는 게임 ''Nioh 2''의 주요 스토리 중 하나로도 등장한다. 아네가와 전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조종하는 역사적인 전투로 토탈 워: 쇼군 2에도 등장한다.

; 보드 게임


  • 반다이 if 시리즈 - 「오다 노부나가」
  • 츠쿠다 호비 - 「노부나가 풍운록」
  • GMT Games - 「The Anegawa」 (『SAMURAI』수록), 1993년, 영어영어
  • 시뮬레이션 저널 - 「타올라라! 아네가와 전투」(『게임 저널 34호』수록), 2010년, 일본어일본어


; 소설

  • 스즈키 키이치로 - 『아네가와의 네 사람, 노부나가의 역린』 (2013년 8월 마이니치 신문사)

참조

[1] 서적 Samurai Warfare https://archive.org/[...] Arms and Armour Press 1997
[2]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5-06
[3] 서적 物語日本の歴史 16: 天下びとの時代 https://books.rakute[...] 木耳社 2024-05-22
[4] 웹사이트 「どうする家康」姉川の戦いにおける、真柄直隆と本多忠勝の一騎打ち https://news.yahoo.c[...] 渡邊大門 無断転載を禁じます。 © LY Corporation 2023-01-01
[5] 문서
[6]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7] 서적 Battles of the Samurai Arms and Armour Press
[8] 웹사이트 では、実際の戦死者の数字はどうだったのか。『日本戦史 姉川役』(1901〈明治34〉年5月発行)はもっと低く見積もり、次のような数字を挙げている。死者は北軍(長政・義景連合軍)1700余人、南軍(信長・家康連合軍)800余人 https://gentosha-go.[...] THE GOLD ONLINE 2024-03-08
[9] 서적 Shogun The Life of Tokugawa Ieyasu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24-04-29
[10] 서적 Mikawa gofudoki https://library.si.e[...] Japanese Illustrated Books from the Edo and Meiji Periods 2024-04-29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 - 甫庵信長記 https://clioimg.hi.u[...] 2018-11-28
[19] 문서
[20] 서적 新・信長公記 ブイツーソリューション
[21] 문서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