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18세기 프랑스의 초상화가이다. 'A La Toilette'라는 신사용 양품 가게 주인의 딸로 태어나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프랑수아앙드레 뱅상 부자에게 그림을 배웠다. 1783년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과 함께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으며, 여성 화가로서의 활동과 권익 신장을 위해 노력했다. 대표작으로는 '두 제자와 자화상', '마리 아델라이드 드 프랑스' 초상 등이 있으며, 루브르 박물관을 비롯한 여러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3년 사망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1803년 사망 -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는 18세기 러시아의 시인이자 번역가, 계몽주의 사상가로,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을 러시아에 전파하는 데 기여했으며 서사시 《두셴카》가 대표작이고, 초기 사회 개혁적 작품을 쓰다가 궁중 시인으로 활동하며 체제 순응적인 경향을 보였다.
  • 1749년 출생 -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알렉산드르 라디셰프는 18세기 러시아 계몽주의 사상가이자 작가로, 농노제와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모스크바까지의 여행』을 출판하여 사형 선고 후 시베리아로 유배되었으나, 귀환 후 잠시 법 개정에 참여하다 자살했으며, 그의 저서는 러시아 사회 개혁과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749년 출생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1749년 독일에서 태어난 시인, 소설가, 극작가, 과학자, 정치가로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파우스트》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연과학 연구와 정무 활동을 하였으며, 독일 고전주의 문학 확립에 기여하였다.
  • 미술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미술 -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 - 두 제자와 함께한 자화상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두 제자와 함께한 자화상,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 1785년, 두 제자는 마리-가브리엘 카페와 마리-마르그리트 카로 드 로즈몽'
본명아델라이드 라비유
출생일1749년 4월 11일
출생지프랑스, 파리
사망일1803년 4월 24일
사망지프랑스, 파리
국적프랑스
활동 분야미니어처
회화
파스텔
사조로코코에서 신고전주의
배우자니콜라 기아르 (1769년 결혼, 1779년 이혼)
프랑수아-앙드레 뱅상 (1799년 결혼)

2. 생애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A La Toilette'이라는 신사용 양품 가게 주인의 딸이었다.[2][3] 그녀는 어릴적 친구 잔 베쿠(훗날 루이 15세의 첩 마담 뒤 바리)를 만나게 되었다. 그녀는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그의 아들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에게서 미니어처 초상화와 유화를 배웠다. 18세기 관행에 따라 (주로 남성인) 스승이 여성 제자를 받아서는 안 되었기 때문에, 당시 여성은 남성과 함께 지도를 받을 수 없다고 여겨져 그녀의 훈련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라비유기아르는 청소년기에 유화가인 프랑수아-엘리에 방상에게서 미니어처 그림을 배웠고, 초기 작품은 생 뤽 아카데미에 전시되었다.[4] 1774년까지 파스텔의 대가인 캉탱 드 라 투르의 제자였다. 1776년부터 1780년까지 그녀는 어릴 적 친구였으며, 나중에 그녀의 남편이 된 프랑수아-앙드레 방상 (프랑수아-엘리에 방상의 장남)과 함께 유화를 공부하기 시작했다.[5][3]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의 초상〉, 1795년작,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 루브르 박물관. 그들은 1800년에 결혼했다.


그녀의 초기 작품들은 생 룩 아카데미(Académie de Saint-Luc)에 전시되어 있으며, 1776년 폐쇄되자, Salon de la Correspondance에 다시 전시되었다. 그녀는 루이니콜라 기아르(Louis-Nicolas Guiard)와 1769년에 결혼했다가 1779년에 이혼하게 된다. 그 이후 그녀는 그림을 가르치며 살게 되었다.[4]

1783년 5월 31일, 아델라이드는 프랑스의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의 회원이 되었다. 그녀 외에도 3명의 여성이 같은 날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는데, 그 중에는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도 있었다. 이 일은 전부 남성이었던 아카데미의 몇몇 회원들을 당혹시켰다. 당시에는 여성은 미술을 배울 기회가 적었고, 인체화를 배울 때 가장 필요한 누드 드로잉이나 크로키(Croquis)시간에 여성이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성 회원이 늘어나자 이 때부터는 여성 회원의 작품은 다른 여성 회원의 작품과 서로 비교하게 되었다.

아델라이드의 그림과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은 자주 서로 비교되곤 했는데, 대부분의 회원들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에 좀 더 좋은 평가를 주었다. 아델라이드의 초기 걸작인 '두 제자와 자화상'(Self-portrait with two pupils)은 비제 르 브룬의 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1785년 파리 살롱에 전시되었다.

자화상, 미니어처


프랑스의 루이 16세의 고모,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는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에게 정부 후원금으로 1000리브르를 주었으며 아델라이드는 그녀의 초상화와 함께 그녀의 여동생 빅토어-루이스(Victoire-Louise), 그리고 왕의 여동생이었던 엘리자베스(Élisabeth)의 초상화를 그렸다. 1788년 그녀는 훗날 루이 18세가 된 왕의 남동생 프로방스 백작을 그리게 되었다.

왕실과의 관계는 1789년에 일어난 프랑스 혁명 이후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를 정치적으로 의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793년 그녀는 그녀의 초기 왕실 초상화 작품들을 파기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그녀는 상당히 보수적인 성향이 있었으나, 1790년 초에 아카데미에게 여성들에게도 일반적인 입학이 허락될 수 있도록 캠페인을 벌였다. 1791년 살롱에서 그녀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Maximilien Robespierre)를 포함한 내셔널 아셈블리(National Assembly)의 멤버들의 초상화를 그렸다.

1793년 아델라이드와 별거중이었던 그녀의 첫 남편은 이혼하게 되었다. 1795년 그녀는 루브르에서 artist's lodging과 함께 2000 리브르의 보조금을 받았다. 아델라이드는 1800년대까지 살롱에 계속해서 초상화를 전시했다. 1799년 7월 8일 그녀는 그녀의 선생이었던 프랑수아앙드레 뱅상과 결혼한다. 이때부터 그녀는 자신의 그림에 "마담 뱅상"(Madame Vincent)으로 사인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1803년 4월 24일에 세상을 떠났다.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두 번의 결혼 모두에서 자녀를 두지 않았다.

3. 작품 활동 및 업적

1783년 5월 31일, 아델라이드는 프랑스의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왕립 회화 조각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그녀 외에도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을 포함한 3명의 여성이 같은 날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전부 남성이었던 아카데미의 몇몇 회원들을 당혹시켰다. 이 일로 인하여 여성 화가의 작품에 대한 남성 회원들의 편견에 많은 영향이 미쳤다. 당시에는 여성은 미술을 배울 기회가 적었고, 인체화를 배울 때 가장 필요한 누드 드로잉이나 크로키(Croquis)시간에 여성이 참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때까지 여성 화가의 그림은 항상 옛 시대의 거장이나 아카데미의 모든 회원들의 작품에 일일이 비교되어 혹평을 받곤 했다. 그러나 여성 회원이 늘어나자 이 때부터는 여성 회원의 작품은 다른 여성 회원의 작품과 서로 비교하게 되었다.

아델라이드의 그림과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은 자주 서로 비교되곤 했는데, 대부분의 회원들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에 좀 더 좋은 평가를 주었다. 아델라이드의 초기 걸작인 '두 제자와 자화상'(Self-portrait with two pupils)은 비제 르 브룬의 스타일에 많은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1785년 파리 살롱에 전시되었다. 아델라이드의 작품들은 현재 비제 르 브룬의 작품과 동일하게 중요한 작품들로 평가되고 있다.

프랑스의 루이 16세의 고모,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는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에게 정부 후원금으로 1000리브르를 주었으며 아델라이드는 그녀의 초상화와 함께 그녀의 여동생 빅토어-루이스(Victoire-Louise), 그리고 왕의 여동생이었던 엘리자베스(Élisabeth)의 초상화를 그렸다.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가 그린 공주의 초상화는 1787년 전시되었는데, 이 작품은 당시 그녀에게 있어 가장 야심찬 작품이었다.[5] 1788년 그녀는 훗날 루이 18세가 된 왕의 남동생 프로방스 백작을 그리게 되었다. 그녀는 백작을 역사적인 장면을 그린 작품, Réception d'un chevalier de Saint-Lazare par Monsieur, Grand maître de l'ordre의 중앙에 그려 넣었다.[5]

왕실과의 관계는 1789년에 일어난 프랑스 혁명 이후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를 정치적으로 의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793년 그녀는 그녀의 초기 왕실 초상화 작품들을 파기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그 중에는 아직 미완성이었던 예의 프로방스 백작을 그린 작품도 있었다.

그녀는 상당히 보수적인 성향이 있었으나, 1790년 초에 아카데미에게 여성들에게도 일반적인 입학이 허락될 수 있도록 캠페인을 벌였다. 1791년 살롱에서 그녀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Maximilien Robespierre)를 포함한 내셔널 아셈블리(National Assembly)의 멤버들의 초상화를 그렸다.

1793년 아델라이드와 별거중이었던 그녀의 첫 남편은 이혼하게 되었다. 1795년 그녀는 루브르에서 artist's lodging과 함께 2000 리브르의 보조금을 받았다.[4] 아델라이드는 1800년대까지 살롱에 계속해서 초상화를 전시했다.[2] 1799년 7월 8일 그녀는 그녀의 선생이었던 프랑수아앙드레 뱅상과 결혼한다. 이때부터 그녀는 자신의 그림에 "마담 뱅상"(Madame Vincent)으로 사인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1803년 4월 24일에 세상을 떠났다.[12]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의 ''아들와 함께 있는 루이즈-엘리자베스'' 초상화


3. 1. 초기 활동 및 생 뤽 아카데미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A La Toilette'이라는 신사용 양품 가게 주인의 딸이었다. 이 가게는 neuve des Petits Chapms라는 길에 있었는데, 여기서 아델라이드는 훗날 루이 15세의 첩이 된 잔 베쿠(Jeanne Bécu, 마담 뒤 바리)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 그녀는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그의 아들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에게서 미니어처 초상화와 유화를 배웠다.

1769년, 아델라이드는 루이니콜라 기아르(Louis-Nicolas Guiard)와 결혼했으나 1779년에 이혼했다. 이후 그녀는 그림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했다.

1767년, 20세의 나이로 생 뤽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전문적으로 예술을 연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받았다. 1774년, 아카데미 살롱에 작품을 전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왕립 아카데미는 이에 불쾌감을 느껴 1776년 3월 "길드, 형제단, 예술 및 공예 공동체"를 폐지하는 칙령을 발표, 1777년 생 뤽 아카데미는 문을 닫게 되었다. 아델라이드는 이에 굴하지 않고, 1776년 생 뤽 아카데미가 폐쇄되자 Salon de la Correspondance에 작품을 전시했다.

3. 2. 왕립 아카데미 회원

프랑스 파리 출신의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그의 아들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에게서 미니어처 초상화와 유화를 배웠다. 그녀의 초기 작품은 생 룩 아카데미(Académie de Saint-Luc)에 전시되었고, 1776년 아카데미가 폐쇄된 후에는 Salon de la Correspondance에 전시되었다.[5] 1783년 5월 31일, 라비유기아르는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과 함께 프랑스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4] 이는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입회였다.[4] 그러나 여성 회원의 입회는 남성 회원들의 반발을 샀고, 라비유기아르는 예술과 인격에 대한 비난을 받았다.[7] 익명의 소책자는 라비유기아르가 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 성적인 호의를 교환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8]

왕립 아카데미 입회 후, 라비유기아르는 왕실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루이 16세의 고모인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로부터 정부 후원금 1000리브르를 받았으며, 그녀와 빅토어-루이스(Victoire-Louise), 엘리자베스(Élisabeth)의 초상화를 그렸다. 1788년에는 루이 18세가 된 프로방스 백작을 역사화 Réception d'un chevalier de Saint-Lazare par Monsieur, Grand maître de l'ordre의 중앙에 그려 넣었다. 그러나 왕실과의 관계는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그녀를 정치적으로 의심받게 만들었고, 1793년에는 왕실 초상화 작품들을 파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라비유기아르는 여성의 권익 신장에 힘썼다. 1790년 초, 아카데미에 여성의 일반 입학 허용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고, 1791년 살롱에는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를 포함한 내셔널 아셈블리(National Assembly) 멤버들의 초상화를 전시했다.

3. 3. 왕실 화가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1783년 5월 31일,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을 포함한 3명의 여성들과 함께 프랑스의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남성 중심의 아카데미 회원들에게는 당혹스러운 일이었다. 당시 여성은 미술 교육의 기회가 적었고, 특히 인체화를 위한 누드 드로잉 수업 참여가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 회원이 늘어나면서 여성 화가들의 작품은 서로 비교되기 시작했다. 아델라이드의 작품은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의 작품과 자주 비교되었는데, 대체로 비제 르 브룬의 작품이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아델라이드의 초기 걸작인 '두 제자와 자화상'은 1785년 파리 살롱에 전시되었고, 현재는 비제 르 브룬의 작품과 동등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순수한 예술적 기량과 재능으로, 라비유기아르는 왕족의 화가가 되었다.[5] 그녀는 루이 16세의 고모인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와 그녀의 여동생 빅토리아 루이즈, 그리고 국왕의 여동생 엘리자베스를 포함한 왕실 후원자들을 두었으며, 정부로부터 1,000 리브르의 연금을 받았다.[5] 1787년, 그녀는 ''메담의 화가''(peintre des mesdames)가 되어 마담 아델라이드와 마담 빅투아르를 그렸다.[5] 같은 해에 완성된 아델라이드의 초상화는 당시 그녀의 가장 야심찬 작품이었다.[5] 1788년에는 훗날 루이 18세가 된 왕의 남동생 프로방스 백작을 그렸고, 역사적인 장면을 그린 작품인 '성 라자르 기사단 기사의 수락'의 중앙에 백작을 그려 넣었다.[5]

1795년, 라비유기아르는 10년간의 노력 끝에 루브르 박물관에서 화가 숙소를 얻었고,[3] 2,000 리브르의 새로운 연금을 받았다.[9] 그녀는 루브르 박물관에 자신과 제자들을 위한 아틀리에를 설립하도록 허가받은 최초의 여성 예술가였다.[9]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의 '어떤 여성의 초상', 1787

3. 4. 프랑스 혁명과 이후의 활동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1769년 루이니콜라 기아르와 결혼했다가 1779년에 이혼했다. 이후 그림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그의 아들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에게서 미니어처 초상화와 유화를 배웠으며, 초기 작품은 생 룩 아카데미(Académie de Saint-Luc)와 Salon de la Correspondance에 전시되었다.

1783년 5월 31일, 아델라이드는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을 포함한 3명의 여성과 함께 프랑스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여성 화가에 대한 남성 회원들의 편견에 영향을 미쳤는데, 당시 여성은 미술 교육 기회가 적었고 누드 드로잉 수업 참여가 금지되었기 때문이다. 여성 회원이 늘어나면서 여성 화가의 작품은 다른 여성 회원의 작품과 비교되기 시작했다. 아델라이드의 그림은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과 자주 비교되었으며, 초기 걸작인 '두 제자와 자화상'은 비제 르 브룬의 스타일에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아델라이드는 루이 16세의 고모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로부터 후원금을 받았으며, 그녀와 빅토어-루이스, 엘리자베스 등 왕실 인물들의 초상화를 그렸다. 1788년에는 루이 18세가 된 프로방스 백작을 역사화의 중앙에 그려 넣기도 했다. 그러나 왕실과의 관계는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그녀를 정치적으로 의심받게 만들었다. 1793년, 그녀는 왕실 초상화 작품들을 파기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미완성이었던 프로방스 백작의 그림도 파기해야 했다.

프랑스 혁명 동안 라비유기아르는 프랑스를 떠나지 않았지만 왕가와의 관계로 인해 정치적 혐의를 받았다.[3] 그녀는 공화국의 예술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했고, 국민의회 (프랑스 혁명)의 구성원 13명을 그렸는데, 여기에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와 알렉상드르 드 보아르네가 포함되었다.[3][8] 1790년 초, 아델라이드는 여성의 아카데미 입학 허용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으며, 1791년 살롱에서 막시밀리앵 드 로베스피에르를 포함한 내셔널 아셈블리(National Assembly) 멤버들의 초상화를 그렸다. 1792년부터 그녀는 파리와 퐁토 앙 브리 마을을 오가며 시간을 보냈다.[8][3]

1795년, 그녀는 루브르 박물관에 숙소를 얻었고, 1800년까지 살롱에 초상화를 전시했다.[4][2] 1800년, 그녀는 전 스승인 프랑수아 앙드레 뱅상과 결혼했으며, 이후 "마담 뱅상"(Madame Vincent)으로 그림에 서명했다. 그녀는 1803년 4월 24일에 세상을 떠났다.[12]

3. 5. 여성 예술가를 위한 노력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프랑수아엘리 뱅상과 그의 아들 프랑수아앙드레 뱅상에게 미니어처 초상화와 유화를 배웠다. 그녀는 1783년 5월 31일,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을 포함한 3명의 여성들과 함께 프랑스 Académie Royale de Peinture et de Sculpture의 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 당시 여성은 미술을 배울 기회가 적었고, 인체화를 배울 때 필요한 누드 드로잉이나 크로키(Croquis) 시간에 참여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여성 회원이 늘어나면서 여성 회원의 작품은 다른 여성 회원의 작품과 서로 비교하게 되었다.

아델라이드의 그림과 엘리자베스 루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은 자주 비교되었는데, 대부분의 회원들이 비제 르 브룬의 그림에 더 좋은 평가를 주었다. 아델라이드의 작품들은 현재 비제 르 브룬의 작품과 동일하게 중요한 작품들로 평가받고 있다.

마담 아델라이드 공주, 라비유기아르의 후원자 - 마리 아델라이드 드 프랑스, (–1787)


루이 16세의 고모인 마리 아델라이드 공주는 아델라이드에게 정부 후원금으로 1000리브르를 주었고, 아델라이드는 그녀의 초상화와 함께 그녀의 여동생 빅토어-루이스(Victoire-Louise), 그리고 왕의 여동생이었던 엘리자베스(Élisabeth)의 초상화를 그렸다.

라비유기아르는 어린 여성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 그녀는 여성 제자들의 교육에 헌신했으며, 왕립 아카데미에서 여성의 무제한 입학을 제안하고 운영 위원회에서 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승인을 받았다.[1] 그러나 아카데미 보수파는 이를 거부하고 라비유기아르를 비난했다.[2] 라비유기아르는 여성들을 계속 옹호하며, 재산을 빼앗긴 젊은 여성들의 교육에 관한 회고록을 국민 의회에 제출했고, 이는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의 저작물에서 언급되었다.[2]

4. 예술적 특징 및 영향

라빌-기야르는 18세기의 여성적 미덕의 경계에 종종 편안하게 들어맞지 않았다.[1] 상류층 남성과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관람객에게 어필하기 위해, 그녀는 종종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최근 유행을 그녀의 그림에 담아냈다. 그녀는 당시 유행했던 복잡한 스커트의 고급스러운 주름과 겹을 표현하는 등 세부 묘사에 능했다. 그러나 그녀는 종종 여성들이 관람자를 직접 바라보거나 낮은 넥라인을 하는 등, 여성을 묘사할 때 18세기에 흔치 않은 방식을 사용하며 반전을 주었다.

라빌-기야르의 대담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는 그녀의 자화상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평소보다 약간 더 노출되어 있지만, 문란한 행위에 대한 비난을 불러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이는 그녀의 그림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볼 수 있다.[1] 18세기의 다른 여성 예술가들의 그림과 달리, 라빌-기야르는 자신을 수동적이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아닌, 적극적으로 작업하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을 선택했다. 라빌-기야르는 또한 왕립 아카데미에 참석할 수 있는 여성의 수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제약에 맞서 싸웠다.[1]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두 명의 여성 제자를 묘사함으로써, 라빌-기야르는 더 많은 여성들이 왕립 아카데미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암시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라빌-기야르는 대담했지만, 자신의 명성을 훼손하고 예술계에서 어렵게 얻은 존경을 잃을 정도로 지나치게 대담하지는 않았다.[1]

당시 여성 예술가들은 종종 여신 미네르바와 연관되었다. 따라서 라빌-기야르와 그녀의 라이벌 엘리자베트 루이즈 비제 르 브룅은 모두 "현대 미네르바"로 불렸다.[10] 그들의 경쟁은 아카데미 회원들과 궁정의 후원자들에 의해 장려되었다.[5]

오늘날, 라빌-기야르의 걸작인 두 제자와의 자화상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그녀의 재능에 대한 최종적인 거부 이후 뉴욕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11]

4. 1. 세밀한 묘사와 화려한 색채

라비유기아르는 18세기의 여성적 미덕의 경계에 종종 편안하게 들어맞지 않았다.[1] 상류층 남성과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관람객에게 어필하기 위해, 그녀는 종종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최근 유행을 그녀의 그림에 담아냈다. 그녀는 당시 유행했던 복잡한 스커트의 고급스러운 주름과 겹을 표현하는 등 세부 묘사에 능했다. 그러나 그녀는 종종 여성들이 관람자를 직접 바라보거나 낮은 넥라인을 하는 등, 여성을 묘사할 때 18세기에 흔치 않은 방식을 사용하며 반전을 주었다.

라비유기아르의 대담함을 보여주는 또 다른 증거는 그녀의 자화상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평소보다 약간 더 노출되어 있지만, 문란한 행위에 대한 비난을 불러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이는 그녀의 그림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볼 수 있다.[1] 18세기의 다른 여성 예술가들의 그림과 달리, 라비유기아르는 자신을 수동적이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아닌, 적극적으로 작업하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것을 선택했다. 라비유기아르는 또한 왕립 아카데미에 참석할 수 있는 여성의 수를 제한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제약에 맞서 싸웠다.[1]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두 명의 여성 제자를 묘사함으로써, 라비유기아르는 더 많은 여성들이 왕립 아카데미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암시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라비유기아르는 대담했지만, 자신의 명성을 훼손하고 예술계에서 어렵게 얻은 존경을 잃을 정도로 지나치게 대담하지는 않았다.[1]

당시 여성 예술가들은 종종 여신 미네르바와 연관되었다. 따라서 라비유기아르와 그녀의 라이벌 비제르 브룅은 모두 "현대 미네르바"로 불렸다.[10] 그들의 경쟁은 아카데미 회원들과 궁정의 후원자들에 의해 장려되었다.[5]

오늘날, 라비유기아르의 걸작인 두 제자와의 자화상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그녀의 재능에 대한 최종적인 거부 이후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11]

4. 2. 여성 인물의 주체적인 표현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는 18세기의 여성적 미덕의 경계에 항상 편안하게 들어맞지 않았다.[1] 상류층 남성과 여성을 포함한 다양한 관람객에게 어필하기 위해, 그녀는 자신의 예술적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최신 유행을 그림에 담아냈다. 그녀는 당시 유행했던 복잡한 스커트의 고급스러운 주름과 겹을 표현하는 등 세부 묘사에 능했다. 그러나 그녀는 종종 여성들이 관람자를 직접 바라보거나 낮은 넥라인을 하는 등, 여성을 묘사할 때 18세기에 흔치 않은 방식을 사용하며 반전을 주었다.

라비유기아르의 대담함은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나타나는데, 평소보다 약간 더 노출되어 있지만, 문란한 행위에 대한 비난을 불러일으킬 정도는 아니다. 18세기의 다른 여성 예술가들과 달리, 라비유기아르는 자신을 수동적이고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아닌, 적극적으로 작업하는 모습으로 묘사했다. 라비유기아르는 또한 왕립 아카데미에 참석할 수 있는 여성의 수를 제한하는 것에 맞서 싸웠다. 두 제자와의 자화상에서 두 명의 여성 제자를 묘사함으로써, 더 많은 여성들이 왕립 아카데미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암시했다. 라비유기아르는 대담했지만, 자신의 명성을 훼손하고 예술계에서 어렵게 얻은 존경을 잃을 정도로 지나치게 대담하지는 않았다.

당시 여성 예술가들은 종종 여신 미네르바와 연관되었다. 라비유기아르와 그녀의 라이벌 엘리자베트 루이즈 비제 르 브룅은 모두 "현대 미네르바"로 불렸다.[10] 그들의 경쟁은 아카데미 회원들과 궁정의 후원자들에 의해 장려되었다.[5]

오늘날, 라비유기아르의 걸작인 두 제자와의 자화상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그녀의 재능에 대한 최종적인 거부 이후 뉴욕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11]

4. 3. 후대에 미친 영향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의 작품은 게티 미술관, 피닉스 미술관, 하버드 대학교 미술관, 호놀룰루 미술관, 킴벨 미술관(텍사스주 포트워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국립 미술관(워싱턴 D.C.),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여성 미술관(워싱턴 D.C.), 스피드 미술관(켄터키) 및 베르사유 등 주요 공공 컬렉션에서 소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로디옹 부인의 초상"의 초기 버전으로 추정되는 대형 파스텔화가 발굴되기도 했다.

주디 시카고의 설치 미술 작품 ''디너 파티''에서는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자리 설정 아래에 라비유기아르가 등재되어 있으며, ''헤리티지 플로어''의 999개 타일 중 하나에 묘사되어 있다.

5. 주요 작품



6. 작품 소장처

게티 미술관, 피닉스 미술관, 하버드 대학교 미술관, 호놀룰루 미술관, 킴벨 미술관(텍사스주 포트워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루브르 박물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국립 미술관(워싱턴 D.C.), 바르샤바 국립 박물관, 여성 미술관(워싱턴 D.C.), 스피드 미술관(켄터키) 및 베르사유 등에서 아델라이드 라비유기아르의 작품을 찾아볼 수 있다. 최근에는 "클로디옹 부인의 초상"의 초기 버전으로 추정되는 대형 파스텔화가 발굴되었다.

라비유기아르는 주디 시카고의 설치 미술 작품 ''디너 파티''에 등장하는 인물이며, ''헤리티지 플로어''의 999개 타일 중 하나에 묘사되어 있다. 그녀는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자리 설정 아래에 등재되어 있다.

참조

[1] 문서 Auricchio
[2] 서적 Concise Dictionary of Women Artists Taylor & Francis Group 2001
[3] 웹사이트 Labille-Guiard [née Labille], Adélaïde https://www.oxfordar[...]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eoclassical Art and Architecture Rowman & Littlefield Unlimited Model 2020
[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ococo Art Scarecrow Press, Incorporated 2011
[6] 문서 Pajou sculpted the father of Adélaïde Labille-Guiard, Claude Edme Labille, described as a fashion merchant, in 1784; the marble bust was exhibited at the Paris Salon of 1785, and is now in the Louvre https://collections.[...]
[7] 서적 Elisabeth Louise Vigée-Lebrun Parkstone International 2018
[8] 간행물 Labille-Guiard, Adélaïd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1-01
[9] 서적 50 women artists you should know https://archive.org/[...] Prestel 2008
[10] 서적 Women, Art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in Eighteenth-Century Europe Taylor & Francis Group 2003
[11] 서적 Broad strokes: 15 women who made art and made history (in that order) Chronicle Books 2017
[12] 논문 Adélaïde Labille-Guiard's Pastel Studies of the Mesdames de France 2008
[13] 웹사이트 Adélaïde Labille-Guiard https://whatname.com[...]
[14] 웹사이트 Adelaide Labille-Guiard http://www.brooklynm[...] Brooklyn Museum 2011-12-13
[15] 문서 Chicago, 157–1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