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무는 아시리아 사료에 이름이 언급되는 인물로, 나이리 여러 부족을 이끌고 아시리아에 저항했다. 그는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와 동시대 인물로, 살마네세르 3세의 나이리 원정에서 아시리아에 대항했지만, 우라르투의 세력이 약해 아시리아의 침략을 막지 못했다. 아라무는 아르메니아인의 전설상 시조 아람의 원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라르투의 왕 - 사르두리 2세
    사르두리 2세는 우라르투의 왕으로 아르기슈티 1세의 뒤를 이어 즉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최대 세력권을 구축했으나,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패배하며 왕국은 쇠퇴하고 그의 아들 루사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 우라르투의 왕 - 루사스 2세
    루사 2세는 우라르투의 왕으로, 쇠퇴해가는 나라를 부흥시키기 위해 여러 활동을 펼쳤으나 쇠퇴를 막지 못했으며, 그의 사후 왕위 계승 논란이 있었다.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기원전 9세기 통치자 - 디도 (카르타고)
    디도는 카르타고를 건설한 전설적인 인물로, 오빠 피그말리온에 의해 남편이 살해된 후 아프리카 해안으로 도망쳐 카르타고를 건국했으며,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에서 아이네이아스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가 묘사된다.
  • 셈족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셈족 - 시온주의
    시온주의는 예루살렘의 시온산을 의미하며, 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의 국가 재건 운동을 가리키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운동이다.
아라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칭호
통치 기간기원전 858년 – 기원전 844년
즉위왕국 건국
퇴위루티프리 또는 사르두리 1세
상세 정보
시대 이름고대

2. 생애

아라마는 아시리아 기록에 등장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나이리 부족들을 이끌고 아시리아에 저항했다. 나이리 부족들은 아람과 루티프리 아래 두 세력으로 통합되어 중앙 집권 국가를 이루어 나갔다.

아라마 시대에 나이리 부족들은 남쪽 아시리아의 공격을 받았다. 아라마는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재위: 기원전 858년-824년)와 동시대 인물로, 그의 통치 기간을 기록한 연대기에 등장한다. 아람은 아시리아에 저항했지만, 우라르투의 힘은 약했고, 아시리아 군의 침입과 가축 약탈을 막지 못했다.

살마네세르 3세는 즉위 직후인 기원전 858년에 나이리를 공격하여 아시리아 국경의 수흐니이 요새를 파괴하고 "나이리의 바다" (반 호)에 도달했다. 그러나 아람은 도망쳐서 우라르투 세력을 완전히 억누르지 못했다.

기원전 856년, 살마네세르는 다시 나이리를 공격했다. 아시리아 군은 아라마가 있는 알자슈쿤(우라르투어: Arsis-sa|아르시스-사urart, 아르메니아어: Արզաշկուն)을 공격하여 3400명을 죽이고 전차와 가축을 빼앗았다. 아시리아 군은 다시 반 호에 도달했지만, 연대기의 승리 기록과는 달리 우라르투 군은 정면 대결을 피하고 산에서 게릴라전을 펼쳤기 때문에, 아시리아는 우라르투를 완전히 정복하지 못했다.[1]

2. 1. 초기 생애와 나이리 부족 연합

아라마에 관해서는 아시리아 사료에 이름이 보일 뿐 자세한 것은 전혀 밝혀지지 않았지만, 나이리 여러 부족을 이끌고 아시리아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나이리 여러 부족은 아람과 루티프리 아래 두 개의 세력으로 수렴되어 중앙 집권화된 국가 조직을 정비해 가게 되었고, 기원전 844년경에 아람에서 루티프리의 아들 사르두리 1세에게 왕권이 이양된 것으로 보인다. 아람 시대의 우라르투의 수도는 아직 투슈파에 있지 않았고, 투슈파로 천도된 것은 사르두리 1세 시대이다.

아라마 시대에 나이리의 여러 부족은 남쪽의 아시리아의 공격에 노출되어 있었다. 아라마는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재위: 기원전 858년-824년)와 동시대 인물로, 그 치세를 기록한 연대기에 등장한다. 아람은 아시리아에 저항했지만 우라르투의 세력은 아직 약했고, 항상 아시리아 군에 의한 본토 침입과 말이나 소와 같은 가축의 약탈을 허용했다.

살마네세르 3세는 즉위 직후인 기원전 858년에 나이리로 원정하여 아시리아와의 국경에 있는 수흐니이의 요새를 공략했다. 아시리아 군은 요새를 파괴하고 "나이리의 바다" (반 호)에 도달했다. 그러나 아람은 도망쳤기 때문에 우라르투의 세력을 억누를 수 없었다.

그 때문에 2년 후(기원전 856년)에 다시 살마네세르는 나이리에 대한 원정을 실시했다. 아시리아 군은 아라마가 있는 알자슈쿤(우라르투어: Arsis-sa|아르시스-사urart, 아르메니아어: Արզաշկուն)의 도시로 향해 아라마가 탈출한 이 도시를 공략하고 3400명을 쓰러뜨리고 그 전차와 가축을 빼앗았다고 한다. 아시리아 군은 이번에도 반 호에까지 도달했지만, 아시리아의 연대기에 있는 찬란한 승리라는 기술과는 달리, 우라르투 군은 정면으로 맞서는 것을 피하고 산에 숨어 게릴라전을 펼쳤기 때문에, 아시리아 군의 원정은 이번에도 우라르투 격멸이라는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다.

아시리아에 대해 나이리의 여러 부족은 연합하여 맞섰고, 그 통제의 필요상, 오합지졸이었던 나이리족은 통일된 군대의 모습을 갖추어 갔다고 생각된다. 정강한 아시리아 군에 맞서기 위해 가죽 무기는 청동, 이윽고 로 바뀌어 갔고, 그 성과는 다음 시대인 사르두리 1세 시대에 발휘되게 된다.

2. 2. 아시리아와의 전쟁

아라마는 아시리아의 기록에 등장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나이리 부족들을 이끌고 아시리아에 저항했다. 나이리 부족들은 아람과 루티프리 아래 두 세력으로 통합되어 중앙 집권 국가를 이루어 나갔다. 기원전 844년경 아람에서 루티프리의 아들 사르두리 1세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아람 시대의 우라르투 수도는 투슈파가 아니었고, 사르두리 1세 때 투슈파로 수도를 옮겼다.

아라마 시대에 나이리 부족들은 남쪽 아시리아의 공격을 받았다. 아라마는 아시리아 왕 살마네세르 3세(재위: 기원전 858년-824년)와 동시대 인물로, 그의 통치 기간을 기록한 연대기에 등장한다. 아람은 아시리아에 저항했지만, 우라르투의 힘은 약했고, 아시리아 군의 침입과 가축 약탈을 막지 못했다.

살마네세르 3세는 즉위 직후인 기원전 858년에 나이리를 공격하여 아시리아 국경의 수흐니이 요새를 파괴하고 "나이리의 바다" (반 호)에 도달했다. 그러나 아람은 도망쳐서 우라르투 세력을 완전히 억누르지 못했다.

기원전 856년, 살마네세르는 다시 나이리를 공격했다. 아시리아 군은 아라마가 있는 알자슈쿤(우라르투어: ''Arsis-sa'', 아르메니아어: Արզաշկուն)을 공격하여 3400명을 죽이고 전차와 가축을 빼앗았다. 아시리아 군은 다시 반 호에 도달했지만, 연대기의 승리 기록과는 달리 우라르투 군은 정면 대결을 피하고 산에서 게릴라전을 펼쳤기 때문에, 아시리아는 우라르투를 완전히 정복하지 못했다.

나이리 부족들은 아시리아에 맞서 연합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통일된 군대를 갖추게 되었다. 강력한 아시리아 군에 대항하기 위해 가죽 무기는 청동으로, 그리고 로 바뀌었고, 이러한 발전은 다음 시대인 사르두리 1세 시대에 결실을 맺게 된다.[1]

3. 아르메니아 역사와의 관계

아라마(아람)는 아르메니아인의 전설상의 시조 아람의 원형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우라르투 왕의 아람은 아르메니아인도 아니고, 구약성서의 아람인과도 관련이 없다.[1] 아르메니아의 역사가 호레나치의 『역사』에서는 아람을 아르메니아인의 시조 하이크의 5대 후손으로 보고 있으며, 18세기 아르메니아의 역사가 미카엘 참치안은 아람을 기원전 19세기경의 인물로 여겼다.[1]

4. 참고 문헌


  • Пиотровский Б. Б.|피오트롭스키 B. B.|반 왕국(우라르투), 동방 문학 출판사, 모스크바, 1959ru[1]
  • 埋もれた古代王国の謎 幻の国ウラルトゥを求めて|우즈마레타 코다이 오코쿠노 나조 겐소노 쿠니 우라루투오 모토메테|묻힌 고대 왕국의 수수께끼 환상의 나라 우라르투를 찾아서일본어 (보리스 보리소비치 피오트롭스키 저, 카토 큐조 역, 이와나미 서점, ISBN 9784000001601)[2]
  • Меликишвили Г. А.|멜리키슈빌리 G. A.|우라르투 쐐기 문자, 소련 과학 아카데미 출판사, 모스크바, 1960ru[3]

참조

[1] 서적 History in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Studies Association 1975
[2] 서적 The Ancient Assyrians
[3] 간행물 From Sargon of Agade and the Assyrian Kings to Khusrau I and Beyond https://www.academia[...] 2012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3rd Edi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5] 서적 The Kingdom of Armenia: New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
[6]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the Peoples and Places of Ancient Western Asia Taylor & Francis 2009
[7] 서적 Archaeology of Iran in the Historical Period 2020
[8] 문서 "Արամ" in Hayocʿ Anjnanunneri Baṙaran Yerevan State University 1926-35
[9] 문서 1970
[10] 문서 История Древнего Востока «Высшая школа» 1970
[11] 간행물 The Indo-European and Ancient Near Eastern Sources of the Armenian Epic https://www.academia[...] 2002
[12] 간행물 Toward the Origins of the Armenian People: The Problem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Proto-Armenians: A Critical Review https://www.academia[...] 2007
[13] 서적 Who's Who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1-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