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독자적인 어파를 형성한다. 5세기에 기록된 성경 번역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고유한 아르메니아 문자를 사용한다. 동아르메니아어와 서아르메니아어 두 가지 표준 문어 형태로 나뉘며, 아르메니아, 터키, 아르메니아 디아스포라 등에서 사용된다. 동사 활용이 복잡하며, 다양한 격변화와 어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르메니아어는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어, 그리스어, 오스만 터키어, 프랑스어, 라틴어, 러시아어 등 여러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했지만, 고유한 특징을 상당 부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공화국'을 뜻하는 단어는 다른 언어권의 'Respublic' 계열이나 중동의 '줌후리엿'과 달리 독자적인 Hanrapetut῾yun|한라페투티윤hy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아르메니아어는 아르메니아와 터키 등지에서 모국어로 사용되며, 전 세계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활발히 사용된다. 에스놀로그 (2023년 제26판)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서아르메니아어 사용자는 약 158만 명, 동아르메니아어 사용자는 약 370만 명으로, 총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는 약 528만 명에 이른다.
2. 역사
1915년 오스만 제국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과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라는 비극적인 역사 속에서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 결과 조지아 문자처럼 고유 문자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었다. 현대에 이르러 아르메니아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동아르메니아어는 1922년에서 1924년 사이에 문자 개혁을 거쳤으나, 주로 해외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서아르메니아어는 전통적인 철자법을 고수하고 있다.
2. 1. 분류 및 기원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독립된 한 갈래를 형성한다.[17] 이 언어는 어족 내에서 독특한 음운 변화를 보여 언어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 아르메니아어는 중설화가 전설화보다 두드러지지만, 특정 하위 그룹에 속하지는 않는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아르메니아어가 그리스어(프리기아어 포함), 알바니아어, 인도이란어파와 방언적으로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한다.[18][19][20][21][22][23] 이러한 가설적 방언 그룹 내에서 원시 아르메니아어는 원시 그리스어(전설 하위 그룹)와 원시 인도이란어(중설 하위 그룹) 사이에 위치했을 것으로 본다.[22] 한편, 로널드 I. 킴(Ronald I. Kim)은 아르메니아어가 발트-슬라브어파와 공유하는 독특한 형태론적 발전을 지적하기도 했다.[24]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는 아르메니아어가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많은 유사성을 공유한다고 지적했다.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어 어휘는 서부 중세 이란어, 특히 파르티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25] 파르티아어와의 언어 접촉은 파생 형태론과 구문에도 영향을 미쳤으나, 어휘만큼은 아니었다.[26] 그 외에도 그리스어(6세기), 페르시아어, 시리아어, 튀르크어(11세기), 프랑스어(십자군 시대부터 현대까지), 라틴어(16세기 ~ 18세기), 러시아어(현대) 등 여러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해 왔다. 그러나 '공화국'을 뜻하는 단어가 다른 많은 언어에서 'Respublic'과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것과 달리 아르메니아어에서는 Hanrapetut῾yun(한라페투티윤)으로 표기되는 등, 고유한 어휘도 상당수 유지하고 있다. 이는 중동에서 사용하는 '줌후리엿'과도 다르다.
특히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에 속하는 페르시아어로부터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19세기 말까지 아르메니아어는 이란어군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독일의 언어학자 하인리히 휩슈만(Heinrich Hübschmann)이 차용어를 분리하는 연구를 통해 아르메니아어가 인도이란어파에 속하지 않는 독립된 어파임을 밝혀냈다.
아르메니아어는 오랜 문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는 5세기에 번역된 성경이다. 같은 시기(5세기)에 번역된 ''알렉산드로스 로망스''의 아르메니아어 판본도 중요한 초기 문헌이다. 아르메니아인 자체는 기원전 6세기 베히스툰 비문이나 크세노폰의 기원전 4세기 저작 ''아나바시스''에도 언급될 정도로 오래전부터 역사에 등장했지만,[31] 아르메니아어로 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르메니아 사원의 석판에 새겨진 것으로 알려진 메헤나기르(Mehenagir)이다.[32] 현재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알파벳은 405년 메스롭 마슈토츠가 창제했으며, 당시에는 36개의 문자로 이루어졌다. 그는 조지아 문자와 카프카스 알바니아 문자의 창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1915년 오스만 제국에 의한 아르메니아 대학살과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통치라는 비극적인 역사 속에서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조지아 문자처럼 꾸준히 유지될 수 있었다.
현재 아르메니아어는 역사적 변천 과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동아르메니아어와 서아르메니아어는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서로 노출되면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27][28][29]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이 두 주요 방언 외에도 세분화된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홈셰트시와 같이 다른 방언들과 상호 이해가 어려운 방언도 있다.[30] 일부 학자들은 현재는 사멸한 무슈키어가 아르메니아어의 한 갈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33]
2. 2. 초기 접촉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독립된 분파로[17], 독특한 음운 변화 때문에 언어학자들의 주요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아르메니아어가 발트-슬라브어파와 형태론적으로 유사한 발전을 공유한다고 지적하기도 한다.[24]
아르메니아어는 오랜 문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은 5세기에 번역된 성경이다. 같은 시기에 알렉산더 대왕의 생애를 다룬 ''아르메니아 알렉산더 로망스'' 역시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되었다. 아르메니아 알파벳은 405년 메스롭 마슈토츠에 의해 창제되었으며, 초기에는 36개의 문자로 구성되었다.
초기 아르메니아어는 주변의 여러 언어와 접촉하며 영향을 주고받았다. W. M. 오스틴(1942)은 아르메니아어와 아나톨리아어족 사이에 초기 접촉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34] 아르메니아어에는 아나톨리아어족 언어, 특히 루위아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보이는 단어들이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히타이트어로부터의 차용 가능성도 제시한다.[35] 대표적인 예로 아르메니아어 ''xalam''("두개골")은 히타이트어 ''ḫalanta''("머리")와 연관된 것으로 여겨진다.[36]
소련의 언어학자 이고르 디아코노프(1985)는 고전 아르메니아어에 카르트벨리어파와 북동 카프카스어족에서 유래한 "카프카스어 기층"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7] 또한 그는 기원전 2천년기 아르메니아 고원 지역에 거주했던 후르리-우라르투어족의 영향으로 사회, 문화, 동식물 관련 어휘가 아르메니아어에 유입되었다고 보았다. 그 예로 ''ałaxin''("여자 노예" ← 후르리어 ''al(l)a(e)ḫḫenne''), ''cov''("바다" ← 우라르투어 ''ṣûǝ''("(내륙) 바다")), ''ułt''("낙타" ← 후르리어 ''uḷtu''), ''xnjor''("사과나무" ← 후르리어 ''ḫinzuri'') 등을 들었다. 디아코노프는 이 단어들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아르메니아어로 발전하는 과정의 특징적인 음운 변화를 겪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문자 기록 이전이지만 원시 아르메니아어 단계 이후에 차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흐라치 마르티로시안과 같은 현대 언어학자들은 디아코노프가 제시한 단어들 중 상당수의 후르리-우라르투어 및 북동 카프카스어 기원을 부정하고, 대신 아르메니아어 고유의 어원을 제시하며 오히려 이 단어들이 아르메니아어에서 해당 언어들로 차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38] 예를 들어 "독수리"를 뜻하는 ''arciv''는 우라르투어 ''Arṣibi''와 북동 카프카스어 ''arzu''의 기원으로 여겨졌으나, 실제로는 원시 인도유럽어 ''*h₂r̥ǵipyós''에서 유래했으며 산스크리트어(ऋजिप्य, ''ṛjipyá''), 아베스타어(''ərəzifiia''), 그리스어(αἰγίπιος, ''aigípios'') 등에도 동계어가 존재한다.[39][40] 마르티로시안과 아르멘 페트로시안 등은 우라르투어에서 아르메니아어로 차용된 단어뿐 아니라, 반대로 아르메니아어에서 우라르투어로 차용된 문법적 요소나 고유 명사, 지명, 신의 이름 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예로 우라르투어의 접속사 ''eue''("그리고")는 가장 오래된 우라르투어 기록에서도 확인되는데, 아르메니아어 եւ|yevhy (궁극적으로 원시 인도유럽어 ''*h₁epi''에서 유래)에서 차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38][41][22][42][43]
아르메니아어 어휘는 역사적으로 서부 중세 이란어파, 특히 파르티아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25] 이 영향은 파생 형태론과 구문에도 미쳤으나 어휘만큼 크지는 않았다.[26] 이란어군과의 이러한 깊은 연관성 때문에 초기 일부 학자들(파울 드 라가르드, F. 뮐러 등)은 아르메니아어를 이란어군의 한 갈래로 잘못 분류하기도 했다.[44] 아르메니아어의 독립성은 1875년 언어학자 하인리히 휘프슈만이 비교 언어학 방법을 통해 아르메니아어 어휘 속 이란어 차용어를 두 개의 층으로 구분해내면서 명확히 밝혀졌다.[44][45] 그는 아르메니아어가 종종 하나의 개념에 대해 이란어계 형태소와 비이란어계 형태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비이란어계 요소들이 이란어와는 다른 일관된 원시 인도유럽어 패턴을 따르고 굴절 형태론 역시 이란어와 다르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그리스어, 페르시아어, 시리아어 등과의 접촉을 통해 외래어가 유입되었다.
한편, 아람 코시안(Aram Kossian)은 가설적인 고대 언어인 무슈키어가 아르메니아어의 사멸한 근연 언어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33]
2. 2. 1. 그리스-아르메니아어 가설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가 지적했듯이, 아르메니아어는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유사한 점을 많이 공유한다. 이러한 관찰은 그리스어가 아르메니아어와 가장 가까운 살아있는 친척이라는 가설로 이어졌다. 이 가설은 덴마크의 언어학자 홀거 페데르센이 1924년에 처음 제기했는데, 그는 그리스어와 아르메니아어 사이에 공유되는 어휘적 어근의 수가 아르메니아어와 다른 어떤 인도유럽어와의 공통점보다 많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17]
앙투안 메이예는 1925년과 1927년에 형태론적, 음운론적 일치를 더 깊이 연구하여, 그리스어와 아르메니아어의 조상 언어가 원시 인도유럽어 시대에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사용된 방언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메이예의 가설은 그의 저서 ''Esquisse d'une histoire de la langue latine''(1936) 출판 이후 널리 알려졌다.
게오르크 레나투스 솔타(1960)는 비록 원시 그리스-아르메니아어 단계를 명확히 가정하지는 않았지만, 어휘와 형태론을 모두 고려했을 때 그리스어가 아르메니아어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라고 결론지었다. 에릭 햄프(1976, 91) 역시 그리스-아르메니아어 가설을 지지하며, "헬레노-아르메니아어" (그리스-아르메니아어의 가상적 공통 조상 언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할 시점을 예상하기도 했다.
아르메니아어는 그리스어와 몇 가지 중요한 언어적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동사의 시제를 나타내는 증강의 사용, 원시 인도유럽어 ("결코 아무것도 아니다" 또는 "항상 아무것도 아니다")에서 파생된 부정어 형태, 그리고 후두음이 특정 모음으로 발현되는 방식 등이 그리스어와 유사하다.[18][19][20][21][22][23] 이러한 유사점들은 두 언어가 공통된 기원을 가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언어학자 포트슨(2004)이 지적했듯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아르메니아어 기록인 5세기 문헌에 이를 때에는 이러한 초기 친족 관계의 증거가 상당히 희미해져 몇 가지 흥미로운 조각들만 남아있는 상태이다.
2. 2. 2. 그리스-아르메니아-아리아어 가설
그리스-(아르메니아)-아리아어족은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그리고 인도이란어파의 조상 언어를 하나로 묶는 가설적인 분파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그리스-아리아어족의 통일성은 기원전 3천년대 중반에 원시 그리스어와 원시 인도이란어로 나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시 아르메니아어는 아마도 원시 그리스어와 원시 인도이란어 사이에 위치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아르메니아어가 인도이란어파 언어들과 공유하는 특징(사템어 변화)과 그리스어와 공유하는 특징(음운 변화 s > h)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22]
이 가설은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유럽조어의 원향을 아르메니아 고원으로 보는 아르메니아 가설을 지지하는 인도유럽어학자들 사이에서 비교적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46][47][48][49][50][51] 초기 연구 중에는 1979년 오일러(Euler)가 그리스어와 산스크리트어 명사 활용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을 분석한 것이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었다.[52]
그리스-아르메니아어족 가설과 결합될 경우, 아르메니아어는 '아리아-그리스-아르메니아어족'이라는 더 큰 분류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는 해당 어군이 원시 그리스어/프리기아어와, 아르메니아어 및 인도이란어파의 조상 언어를 묶는 '아르메니아-아리아어족'으로 분화되었다고 본다.[18][19]
2. 3. 발전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독자적인 어파를 형성한다.[17]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는 아르메니아어가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초기에는 이란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독일 언어학자 하인리히 휘프슈만(Heinrich Hübschmann)의 연구를 통해 독립된 어파임이 밝혀졌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아르메니아어가 그리스어, 프리기아어, 알바니아어, 인도이란어파 등과 방언적으로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18][19][20][21][22][23] 또한 발트-슬라브어파와의 형태론적 유사성도 제기되었다.[24]
아르메니아어는 오랜 문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헌은 5세기에 번역된 성경이다. 이 시기 문어인 고전 아르메니아어(Arm: գրաբար|grabarhy)는 5세기부터 19세기까지 문어로서 표준어의 지위를 유지했으며, 11세기까지는 다양한 방언 형태로 구어로도 사용되었다. 고전 아르메니아어는 특히 서부 중세 이란어, 그중에서도 파르티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25][53], 그리스어[53], 시리아어[54], 아람어[55], 아랍어[56], 몽골어[57], 페르시아어[57], 우라르투어[57] 등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했다. 아르메니아 알파벳은 405년 메스롭 마슈토츠에 의해 36개의 문자로 창제되었다.
11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중세 아르메니아어가 사용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언어를 현대화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바그라티드 왕조와 킬리키아의 아르메니아 왕국(11~14세기) 시기에는 알파벳에 'օ|ohy'와 'ֆ|fhy' 두 문자가 추가되어 총 38자가 되었다.[58] 문학적으로는 나렉의 그레고리우스(951~1003)가 새로운 단어를 추가하고 문체를 발전시켰으며[59], 이후 세속적인 주제와 구어가 문학에 더 많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콘스탄틴 예르진카트시와 같은 작가들은 사회 문제를 다루기도 했다.[60]
19세기에 아르메니아는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으로 나뉘었고[61], 이는 언어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스탄불과 트빌리시가 각각 서부와 동부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지가 되면서[62], 구어인 아슈카르하바르를 기반으로 한 현대 표준어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 과정에서 두 개의 주요 표준어가 형성되었다.
두 표준어는 발음, 철자, 문법 등에서 차이가 있지만, 상당 부분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27][28][29] 현대 아르메니아어는 20세기를 거치며, 특히 아르메니아인 학살 이후 터키어 계열 차용어를 상당수 제거했다.[64]
1915년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과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통치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는 아르메니아어가 오늘날까지 유지될 수 있었던 중요한 요인이다.
3. 사용 국가 및 지역
국가 아르메니아어 사용자 주요 방언 아르메니아 296만 명 동부 방언 러시아 50만 8천 명 동부 방언 레바논 33만 6천 명 서부 방언 미국 23만 9천 명 서부 방언 아르헨티나 14만 9천 명 서부 방언 조지아 14만 5천 명 서부 방언 아제르바이잔 12만 명 동부 방언 이란 11만 1천 명 동부 방언 투르크메니스탄 8만 4천 명 서부 방언 프랑스 7만 명 서부 방언 이라크 7만 명 서부 방언 터키 6만 7,300명 서부 방언 우즈베키스탄 6만 5,700명 서부 방언 시리아 6만 명 서부 방언 우크라이나 5만 400명 서부 방언 브라질 4만 7천 명 서부 방언 캐나다 4만 4,500명 서부 방언 독일 2만 6,800명 서부 방언 그리스 2만 명 서부 방언 카자흐스탄 1만 6천 명 서부 방언 스페인 1만 2천 명 서부 방언 오스트레일리아 1만 1천 명 서부 방언 쿠웨이트 1만 600명 서부 방언 요르단 1만 명 서부 방언
국가별 현황
전 세계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이 흩어져 살고 있어 정확한 화자 수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총 700만 명 정도로 추산되기도 한다.
4. 방언
아르메니아어는 크게 서부 아르메니아어와 동부 아르메니아어로 분류된다.
아르메니아어는 다중 중심어로, 두 가지 현대 표준어 형태인 동아르메니아어와 서아르메니아어가 있다. 그리고 많은 비표준 방언들이 있으며, 그중 상당수는 사멸되었다.[95] 서아르메니아어의 가장 큰 특징은 여러 음운 동화 현상을 겪었다는 점이며, 이는 아랍어와 터키어 사용 공동체와의 근접성 때문일 수 있다.
18세기까지 표준어로 남아 있던 고전 아르메니아어(그라바르, Grabar)는 서술된 작품의 다양한 지역에서 상당히 균질했으며, 지역을 초월하는 표준어였을 가능성이 있다.[96] 킬리키아 아르메니아(1080~1375) 궁정에서 사용된 중세 아르메니아어 변종은 이스탄불 방언을 기반으로 발전한 서아르메니아어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창구 역할을 했으며, 동아르메니아어의 표준어는 아라랏 산과 예레반 주변 방언을 기반으로 했다.[96] 아르메니아어는 종종 "동부"와 "서부"로 나뉘지만, 두 표준어는 지역 비표준 아르메니아 방언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성에 비추어 볼 때 실제로는 서로 비교적 가깝다. 서로 다른 방언들은 터키어와 코카서스어와의 언어 접촉 효과를 다양한 정도로 경험했으며, 일부 방언의 경우 상당한 음운론적 및 통사론적 변화를 가져왔다.[96] Fortson은 현대 표준어 또한 이제 터키어와 매우 유사한 종속 절 구조를 갖게 되었다고 언급한다.[97]
동아르메니아어 화자는 թhy를 [tʰ]로, դhy를 [d]로, տhy를 무성 파열음 [t˭]로 발음한다. 서아르메니아어는 파열음 체계를 유성 파열음과 유기음으로 단순화했는데, 전자는 동아르메니아어의 무성음 계열에 해당하고 후자는 동아르메니아어의 유성음과 유기음 계열에 해당한다. 따라서 서아르메니아 방언은 թhy와 դhy를 모두 [tʰ]로, տhy를 [d]로 발음한다.
지리적으로 확인된 방언 쌍 사이에는 거의 항상 어느 정도 크기의 방언 전이 지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언 간에 정확한 언어적 경계는 없다.
아르메니아어는 두 개의 주요 방언 집단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집단들은 개별 방언으로 나뉘지만, 아르메니아 대학살의 영향으로 많은 서아르메니아 방언이 사멸되었다. 또한 어떤 방언도 완전히 균질하지 않으며, 모든 방언은 여러 하위 방언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서아르메니아어와 동아르메니아어는 종종 같은 언어의 서로 다른 방언으로 설명되지만, 많은 하위 방언은 서로 쉽게 상호 이해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매우 다른 방언 중 하나에 능숙한 화자이면서 표준어 중 하나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은 다른 방언에 노출되면 상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서아르메니아어의 독특한 변종에는 홈셰트 방언(홈신인들이 사용),[98] 케사브 아르메니아인들의 방언(Քեսապի բարբառhy), 라타키아와 지스르 알슈구르(시리아), 레바논 안자르, 그리고 터키 바크플르, 사만다("스웨이디아" 방언의 일부(Սվեդիայի բարբառhy)) 등이 있다.
서아르메니아어의 카린 방언 형태는 주로 규무리, 아르틱, 아후르얀 및 시락 주의 약 130개 마을에 거주하는 북아르메니아의 수십만 명의 사람들[99]과 조지아 삼츠케-자바케티 주(아할칼라키, 아할치헤)의 아르메니아인들에 의해 사용된다.[100]
돈나히체반 아르메니아인들은 1779년 마을과 주변 마을을 건설하기 위해 온 크림반도 아르메니아인들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는 또 다른 서아르메니아어 변종(Նոր Նախիջևանի բարբառhy)을 사용한다.
서아르메니아 방언은 현재 아르메니아의 가바르(이전 노르 바야제트와 카모, 세반 호수 서쪽 해안), 아파란, 그리고 탈린(무쉬 방언)에서 사용되며, 아브카지아에 거주하는 많은 아르메니아인들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곳에서는 그들이 제1 또는 제2 소수 민족으로 간주되거나 심지어 현지 아브카지아인과 동등한 수준으로 여겨진다.[101]
영어 | 동아르메니아어 | 서아르메니아어 |
---|---|---|
예 | Ayo (Այոhy) | Ayo (Այոhy) |
아니오 | Vočʻ (Ոչhy) | Voč (Ոչhy) |
당신을 봅니다 | Yes kʻez tesnum em (Ես քեզ տեսնում եմhy) | Yes kez(i) gë desnem (Ես քեզ(ի) կը տեսնեմhy) |
안녕하세요 | Barev (Բարեւhy) | Parev (Բարեւhy) |
갑니다 | Gnum em (Գնում եմhy) | G'ertam (gor) (Կ՚երթամ (կոր)hy) |
오세요! | Ari! (Արի՛hy) | Yegur! (Եկո՛ւրhy) |
먹겠습니다 | Utelu em (Ուտելու եմhy) | Bidi udem (Պիտի ուտեմhy) |
해야 합니다 | Piti/petkʻ ē anem (Պիտի/պետք է անեմhy) | Bēdk ē ënem (Պէտք է ընեմhy) |
먹으려고 했습니다 | Utelu ēi (Ուտելու էիhy) | Bidi udēi (Պիտի ուտէիhy) |
이것이 당신의 것입니까? | Sa kʻonn ē? (Սա քո՞նն էhy) | Asiga kugt ē? (Ասիկա քո՞ւկդ էhy) |
그의 할머니 | Nra tatikë (Նրա տատիկըhy) | Anor nēnēn / mej maman (Անոր նէնէն / մեծ մամանhy) |
저것을 봐! | Dran nayir (Դրան նայիրhy) | Ador nayē / Anor nayē (Ատոր նայէ / Անոր նայէhy) |
이것들을 가져왔습니까? | Du es berel srankʻ? (Դո՞ւ ես բերել սրանքhy) | Asonk tun peraj es? (Ասոնք դո՞ւն բերած եսhy) |
잘 지내십니까? 잘 지냅니다. | Inčʻpes es? / Voncʻ es? Lav em (Ինչպե՞ս ես։ / Ո՞նց ես։ Լավ եմ։hy) | Inčbēs es? Lav em (Ինչպէ՞ս ես։ Լաւ եմ։hy) |
그렇게 말했습니까? 말해 보세요! | Du asacʻir (asecʻir)? Asa! (Դո՞ւ ասացիր (ասեցիր): Ասա՛։hy) | Tun ësir? Ësē! (Դո՞ւն ըսիր։ Ըսէ՛։hy) |
우리에게서 가져갔습니까? | Mezanicʻ es vercʻrel? (Մեզանի՞ց ես վերցրելhy) | Mezmē araj es? (Մեզմէ՞ առած եսhy) |
좋은 아침입니다 | Bari luys (Բարի լույսhy) | Pari luys (Բարի լոյսhy) |
좋은 저녁입니다 | Bari yereko (Բարի երեկոhy) | Pari irigun / Parirgun (Բարի իրիկուն / Բարիրկունhy) |
잘 자요 | Bari gišer (Բարի գիշերhy) | Kišer pari (Գիշեր բարիhy) |
나를 사랑해 | Sirum es inj (Սիրում ես ինձhy) | Inji gë sires (Ինծի կը սիրեսhy) |
저는 아르메니아인입니다 | Yes hay em (Ես հայ եմhy) | Yes hay em (Ես հայ եմhy) |
그리웠습니다 | Karotel em kʻez (Կարոտել եմ քեզhy) | Garōdcay kezi (Կարօտցայ քեզիhy) |
현재 언어적 차이라는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다음 세 가지로 나뉜다.
- '''고전 아르메니아어'''(그라바르) - 독자적인 문자가 창제된 5세기부터 기록되기 시작하여 문학, 신학, 역사학, 시학, 신비주의 그리고 서사시의 분야에서 풍부한 성과를 남겼다.(단, 아르메니아 문자 발명 이전부터 다른 문자로 된 문헌이 존재했다고 여겨진다.)
- '''중세 아르메니아어''' - 약 11세기부터 17세기의 아르메니아어. 이 무렵에는 현재 터키 남동부의 킬리키아(Cilicia) 지방에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1198년~1375년)이라는 아르메니아인에 의한 독립국이 존재했다.
- '''현대 아르메니아어''' - 주로 다음 두 가지 방언으로 크게 나뉜다.
- '''동아르메니아어''' - 아르메니아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또한 이란 국내 아르메니아인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 '''서아르메니아어''' - 주로 해외 이주 아르메니아인들에 의해 사용된다. 이것은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 시대에 형성되기 시작한 킬리키아 방언이 시대에 따라 변천해 온 것이다.
동서 방언의 차이로서 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 서방언에서 몇몇 파열음이 음운 변화를 일으켰기 때문에, 동방언과 약간 발음이 다르다(위 표 참조).
- 약간의 문법적 차이: 격 변화의 형태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등
- 동방언은 소련 시대에 독자적으로 정서법을 개정했기 때문에, 문서 표기에 차이가 있다.
- 예) Հայեր'''ե'''նhy(동)/ Հայեր'''է'''նhy(서) Hayeren "아르메니아어", '''հու'''յսhy(동)/ '''յո'''յսhy(서) "희망", '''յո'''թhy(동)/ '''եօ'''թ'''ը'''hy(서) "칠"[105]
이 두 방언 안에는 각각 세분화할 수 있는 많은 방언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서 방언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방언도 존재한다.
5. 문자
아르메니아어는 5세기 초에 발명된 독자적인 아르메니아 문자를 사용한다. 이 문자는 Հայոց գրեր|Hayots grerhy 또는 Հայոց այբուբեն|Hayots aybubenhy이라고 불리며, 서기 405년경 아르메니아의 언어학자이자 교회 지도자인 메스롭 마슈토츠가 만들었다. 처음에는 36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중세 시대에 두 개의 문자 օ(ō)와 ֆ(f)가 추가되었다. 현재는 총 38개의 자모가 있으며, 각각 대문자와 소문자가 있다.
소비에트 연방 시절인 1922년부터 1924년까지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아르메니아어 표기법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때 새로운 문자 և(대문자 ԵՎ)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기존에 ե와 ւ를 합쳐 쓰던 연결자였다. 반면 문자 Ւ ւ는 폐기되고, 기존에 이중 자모였던 ՈՒ ու의 일부로 다시 도입되었다.
이 개혁된 표기법은 현재 아르메니아 공화국과 구 소비에트 연방 국가들의 동부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이란의 동부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나 서부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하는 해외 아르메니아계 사람들은 이 개혁을 받아들이지 않고 전통적인 철자법을 고수하고 있다.
1915년 오스만 제국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과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지배라는 어려운 역사 속에서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고유 문자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그 결과 조지아 문자처럼 오늘날까지 꾸준히 사용될 수 있었다.
아르메니아 문자의 구두점은 서구 언어와 형태나 사용법이 약간 다르다. 문장의 끝을 나타내는 마침표 역할은 콜론(:)이 하며, 물음표는 문장 끝에 붙는 대신 질문의 초점이 되는 단어 위에 악센트 부호처럼 붙는 ‘՞’를 사용한다.
6. 음운
아르메니아어에서 강세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온다. 예를 들어, ախորժակhy([ɑχɔɾˈʒɑk]), մաղադանոսhy([mɑʁɑdɑˈnɔs]), գինիhy([ɡiˈni]) 등이 있다. 하지만 마지막 음절에 정관사 [ə] 또는 [n], 소유격 어미 սhy와 դhy가 포함된 경우에는 그 앞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를 들어, Վահագնhy([vɑˈhɑɡən])과 դաշտըhy([ˈdɑʃtə])가 있다. 이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더 있다. 마지막 글자가 էhy (개정된 철자법에서는 եhy)인 일부 단어들(մի՛թէhy, մի՛գուցեhy, ո՛րեւէhy), 때때로 서수(վե՛ցերորդhy, տա՛սներորդhy 등), 그리고 նաեւhy, նամանաւանդhy, հիմաhy, այժմhy와 같은 소수의 다른 단어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하의 절에서는 동아르메니아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서아르메니아어와의 차이점은 보충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6. 1. 모음
모든 아르메니아어 방언은 단모음만 사용한다. 동아르메니아어는 6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서아르메니아어는 앞쪽 원순 모음 2개를 더 가지고 있다.
앞모음 | 중앙모음 | 뒷모음 | |
---|---|---|---|
좁은 모음 | /i/ իhy i | style="text-align:center" | | /u/ ուhy u |
중간 모음 | /ɛ/ եhy, էhy e, ē | /ə/ ըhy ë | /ɔ/ ոhy, օhy o, ō |
넓은 모음 | /ɑ/ աhy a |
앞모음 | 중앙모음 | 뒷모음 | |||
---|---|---|---|---|---|
둥글지 않은 모음 | 둥근 모음 | 둥글지 않은 모음 | 둥근 모음 | ||
좁은 모음 | i իhy | ʏ իւhy | u ուhy | ||
중간 모음 | ɛ է, եhy[89] | œ էօhy | ə ըhy | o ո, օhy[89] | |
넓은 모음 | ɑ աhy |
현대 아르메니아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row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비원순 | 원순 | 비원순 | 원순 | ||
좁은 | i | ʏ* | u | ||
반좁은 | e | ə | o | ||
반넓은 | ɛ | œ* | |||
넓은 | a |
: *는 대체로 서방언에만 나타난다.
문자와 음운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 ա - a
- ի - ɪ, i
- ը - ə (애매모음)
- ե - je (어두), e 또는 ɛ (어두 이외)
- է - e
- ո - vo (어두), o (어두 이외)
- օ - o
- ու - u (자음 앞), ov (모음 앞)
- իւ - iːv (어미 및 모음 앞), ʏ (그 외) (서방언만)
- էօ - œ (서방언만)
참고로, 중복 자음이 있는 경우, 그 사이에 ը에 해당하는 애매모음이 표기되지 않더라도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어두의 이중 자음의 종류에 따라, 어두에 애매모음이 표기되지 않더라도 발음되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애매모음 삽입에 의해 문법적 음절수가 증가한다고는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생각하지 않는다. 동방언에서는 이 표기되지 않은 애매모음이 때때로 발음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6. 2. 자음
프로토인도유럽어족의 무성 파열음은 프로토아르메니아어에서 유기음화되었는데, 이는 종종 성문설과 관련이 있다. 성문설의 한 가지 버전에서는 프로토인도유럽어의 일부 무성 파열음이 유기음화되었다고 가정한다.[85][86][87]아르메니아어 자음은 다음 표와 같이 음운론적으로 존재한다. 칸에 자음 문자가 두 개 있는 경우,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임을 나타낸다. 또한, 칸의 첫 번째 줄은 발음의 국제 음성 기호(IPA), 두 번째 줄은 해당 아르메니아 문자, 세 번째 줄은 라틴 문자로 표기한 대표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양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մ m | n ն n | ||||||
무기파열음 | p b պ բ p b | t d տ դ t d | k ɡ կ գ k g | |||||
유기파열음 | pʰ փ p‘ | tʰ թ t‘ | kʰ ք k‘ | |||||
마찰음 | f v ֆ վ * f v | s z ս զ s z | ʃ ʒ շ ժ š ž | x խ x | ʁ ղ ġ | h հ h | ||
무기파찰음 | t͡s d͡z ծ ձ c j | t͡ʃ d͡ʒ ճ ջ č ǰ | ||||||
유기파찰음 | t͡sʰ ց c‘ | t͡ʃʰ չ č‘ | ||||||
접근음 | ɹ ր r | j յ y | ||||||
전동음 | r ռ ṙ | |||||||
측음 | l լ l |
∗ 서아르메니아어에서는 վ 뿐만 아니라 ւ (hiwn)도 대체로 [v] 발음을 나타낸다. ո 및 ի 이외의 문자 바로 뒤에 ւ가 있는 경우에 [v]로 발음된다. 반면 동아르메니아어의 신정서법에서는 [v]로 발음되는 ւ는 모두 վ로 변경되었다.
아르메니아어 자음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들 수 있다.
# 파열음과 파찰음에서는 각 조음점마다 “무기 무성음”, “무기 유성음”, “유기 무성음”의 세 가지 음운의 대립이 있다. 예를 들어 연구개음에는 կ (k, 무기 무성음), գ (ɡ, 무기 유성음), ք (kʰ, 유기 무성음)의 세 가지 음운이 있으며, 각각 다른 음으로 인식된다. 이 음운 대립은 고전 그리스어의 폐쇄음 대립(κ, γ, χ 등)과 유사하다.
# 영어 등에서 "r"에 해당하는 자음이 아르메니아어에는 세 가지가 있다.
#* 영어와 같은 접근음 ɹ -- ր
#* 이탈리아어와 같은 전동음 r – ռ
#* 프랑스어와 같이, 후두를 진동시키는 유성 구개수 마찰음 ʁ – ղ - 고전 아르메니아어의 l이 변화한 것.
: 이 중에서 단어에서의 등장 빈도는 접근음 ր이 가장 높다. 영어 등에서 "l"에 해당하는 լ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흔히 '라행' 자음으로 묶이는 소리가 아르메니아어에는 네 가지나 존재하게 된다. 인도유럽어족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차용어를 포함하여 R음인 ր이 어두에 오는 경우가 매우 적고, 원래 언어에서 R음으로 시작된 단어는 어두에 모음이 놓인다[105]. 예: երանգ「색, 그림자」, արույր「놋쇠」.
6. 2. 1. 동서 자음 발음의 차이
서아르메니아어는 중세 시대에 음운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파열음 또는 파찰음을 나타내는 문자의 발음이 동아르메니아어와 다르다. 파열음 및 파찰음 문자에 대한 동서 방언의 발음 대응 관계는 다음 표와 같다.동방언 | ↔ | 서방언 |
---|---|---|
무기 무성음 | պ, տ, կ, ծ, ճ | 무기 유성음 |
무기 유성음 | բ, դ, գ, ձ, ջ | 유기 무성음 |
유기 무성음 | 변화 없음:փ, թ, ք, ց, չ | 유기 무성음 |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동방언에서 կ, գ, ք가 각각 k, ɡ, kʰ로 발음되는 데 반해, 서방언에서는 각각 ɡ, kʰ, kʰ로 발음된다. 특히 서방언에서는 գ와 ք의 발음에 차이가 없어진다. 마찬가지로, ծ, ձ, ց가 동방언에서는 각각 t͡s, d͡z, t͡sʰ로 발음되는 데 반해, 서방언에서는 각각 d͡z, t͡sʰ, t͡sʰ가 된다.
그 외에 յ 발음에도 차이가 있다. 서방언에서는 յ가 단어의 처음에 올 때 h로 발음한다. 또한 단어 끝의 -յ는 일부 단어를 제외하고 발음되지 않는다. 반면, 동방언의 신정서법에서는 յ를 일률적으로 j로 발음하도록 개정하면서, 단어 처음의 յ를 հ로 바꾸거나 단어 끝의 발음되지 않는 յ를 생략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7. 문법
평서문에서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 - 목적어 - 동사의 SOV형이다. 의문문에서도 어순은 SOV형과 같다. 다만, 아르메니아어는 서유럽의 여러 언어에 비해 어순이 다소 자유로운 편이다.
또한 아르메니아어는 많은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굴절어에 속한다. 이는 명사나 동사 등이 문장 속에서 맡는 역할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는 특징을 의미한다.
7. 1. 명사/대명사
아르메니아어 명사와 대명사에는 인도유럽어족에서 드물게 문법적 성 구분이 없다.[107] 이는 인접한 카우카스어족 언어들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대명사에도 성 구별이 없지만, 명사에 여성형을 나타내는 접미사 -ուհի|-uhihy를 붙여 생물학적 성별을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ուսուցիչ|usucʻičʻhy(교사)에 이 접미사를 붙이면 ուսուցչուհի|usucʻčʻuhihy(여교사)가 된다.명사에는 수의 구별이 있어 단수와 복수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단음절 명사는 어미에 -եր|-erhy를, 다음절 명사는 -ներ|-nerhy를 붙여 복수형을 만든다.
아르메니아어는 명사의 격변화가 존재한다. 고전 아르메니아어에는 주격(ուղղական, ''uġġakan''), 목적격(հայցական, ''haycʻakan''), 처소격(ներգոյական, ''nergoyakan''), 소유격(սեռական, ''seṙakan''), 여격(տրական, ''trakan''), 탈격(բացառական, ''bacʻaṙakan''), 조격(գործիական, ''gorciakan'')의 7가지 격이 있었다. 현대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일부 격의 형태가 합쳐졌다.
동아르메니아어에서는 여격과 소유격의 형태가 같아졌고, 목적격은 명사의 생물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차별적 목적어 표시). 무생물 명사의 목적격은 주격과 형태가 같고, 생물 명사(능동태 명사)의 목적격은 여격과 형태가 같다. 또한 생물 명사는 의미상 제약으로 처소격을 가질 수 없다.[107][108]
1인칭과 2인칭 단수 소유를 나타낼 때는 격어미 뒤에 소유접미사가 붙기도 한다. 예: սար'''ս'''|sars|나의 산hy, սար'''դ'''|sard|너의 산hy, սարեր'''ս'''|sarers|나의 산들hy.
=== 동아르메니아어 명사 변화 예시 ===
격 | 단수 | 복수 |
---|---|---|
주격 | հեռախոս(ը/ն)|heṙaxos(ë/n)hy | հեռախոսներ(ը/ն)|heṙaxosner(ë/n)hy |
여격/소유격 | հեռախոսի(ն)|heṙaxosi(n)hy | հեռախոսների(ն)|heṙaxosneri(n)hy |
탈격 | հեռախոսից|heṙaxosicʻhy | հեռախոսներից|heṙaxosnericʻhy |
조격 | հեռախոսով|heṙaxosovhy | հեռախոսներով|heṙaxosnerovhy |
처소격 | հեռախոսում|heṙaxosumhy | հեռախոսներում|heṙaxosnerumhy |
격 | 단수 | 복수 |
---|---|---|
주격 | մայր(ը/ն)|mayr(ë/n)hy | մայրեր(ը/ն)|mayrer(ë/n)hy |
목적격/여격/소유격 | մոր(ը/ն)|mor(ë/n)hy | մայրերի(ն)|mayreri(n)hy |
탈격 | մորից|moricʻhy | մայրերից|mayrericʻhy |
조격 | մորով|morovhy | մայրերով|mayrerovhy |
처소격 | 없음 |
격 | 단수 | 복수 |
---|---|---|
주격/목적격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ը/ն)|hanrapetutʻyun(ë/n)hy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ը/ն)|hanrapetutʻyunner(ë/n)hy |
여격/소유격 | հանրապետության(ը/ն)|hanrapetutʻyan(ë/n)hy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ն)|hanrapetutʻyunneri(n)hy |
탈격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ից|hanrapetutʻyunicʻhy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ից|hanrapetut'yunnericʻhy |
조격 | հանրապետությամբ|hanrapetutʻyambhy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ով|hanrapetutʻyunnerovhy |
처소격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ում|hanrapetut'yunumhy |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ներում|hanrapetut'yunnerumhy |
=== 서아르메니아어 명사 변화 예시 ===
서아르메니아어는 처소격이 없으며(6격 체계), 목적격은 명사의 생물성과 관계없이 항상 주격과 형태가 같다.[105] 또한 탈격 어미는 -է|-ēhy (동아르메니아어는 -ից|-icʻhy)이고, 보통 명사의 복수 소유격/여격 어미는 -ու|-uhy (동아르메니아어는 -ի|-ihy 또는 -երի|-erihy 등)이다.[105]
격 | դաշտ|tašdhy (들판) | կով|govhy (암소)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목적격 | դաշտ|tašdhy | դաշտեր|tašderhy | կով|govhy | կովեր|goverhy |
소유격/여격 | դաշտի|tašdihy | դաշտերու|tašderuhy | կովու|govuhy | կովերու|goveruhy |
탈격 | դաշտէ|tašdēhy | դաշտերէ|tašderēhy | կովէ|govēhy | կովերէ|goverēhy |
조격 | դաշտով|tašdovhy | դաշտերով|tašderovhy | կովով|govovhy | կովերով|goverovhy |
격 | գարուն|karunhy (봄) | օր|ōrhy (날) | Քոյր|koyrhy (자매)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목적격 | գարուն|karunhy | գարուններ|karunnerhy | օր|ōrhy | օրեր|ōrerhy | քոյր|koyrhy | քոյրեր|koyrerhy |
소유격/여격 | գարնան|karnanhy | գարուններու|karunneruhy | օրուայ|ōruayhy | օրերու|ōreruhy | քրոջ|kročhy | քոյրերու|koyreruhy |
탈격 | գարունէ|karunēhy | գարուններէ|karunnerēhy | օրուընէ|ōruënēhy | օրերէ|ōrerēhy | քրոջմէ|kročmēhy | քոյրերէ|koyrerēhy |
조격 | գարունով|karunovhy | գարուններով|karunnerovhy | օրով|ōrovhy | օրերով|ōrerovhy | քրոջմով|kročmovhy | քոյրերով|kuyrerovhy |
격 | հայր|hayrhy (아버지) | Աստուած|Asdvajhy (하느님) | գիտութիւն|kidutiwnhy (과학)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목적격 | հայր|hayrhy | հայրեր|hayrerhy | Աստուած|Asdvajhy | աստուածներ|asdvajnerhy | գիտութիւն|kidutiwnhy | գիտութիւններ|kidutiwnnerhy |
소유격/여격 | հօր|hōrhy | հայրերու|hayreruhy | Աստուծոյ|Asdujoyhy | աստուածներու|asdvajneruhy | գիտութեան|kiduteanhy | գիտութիւններու / գիտութեանց|kidutiunneru / kiduteancʻhy |
탈격 | հօրմէ|hōrmēhy | հայրերէ|hayrerēhy | Աստուծմէ|Asdujmēhy | աստուածներէ|asdvajnerēhy | գիտութենէ|kidutenēhy | գիտութիւններէ|kidutiwnnerēhy |
조격 | հօրմով|hōrmovhy | հայրերով|hayrerovhy | Աստուծմով|Asdujmovhy | աստուածներով|asdvajnerovhy | գիտութեամբ / գիտութիւնով|kiduteamp / kidutiwnovhy | գիտութիւններով|kidutiwnnerovhy |
=== 대명사 ===
아르메니아어 대명사 역시 격에 따라 변화한다.
격 | 1인칭 | 2인칭 | 3인칭 | 3인칭 재귀대명사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단수존칭)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ես|yeshy | մենք|menkʻhy | դու|duhy | դուք|dukʻhy | նա|nahy | նրանք|nrankʻhy | ինքը|inkʻəhy | իրենք|irenkʻhy |
목적격 | ինձ|injhy | մեզ|mezhy | քեզ|kʻezhy | ձեզ|jezhy | նրան|nranhy | նրանց|nrancʻhy | իրեն|irenhy | իրենց|irencʻhy |
소유격 | իմ|imhy | մեր|merhy | քո|kʻohy | ձեր|jerhy | նրա|nrahy | նրանց|nrancʻhy | իր / յուր|ir / yurhy | իրենց|irencʻhy |
여격 | ինձ|injhy | մեզ|mezhy | քեզ|kʻezhy | ձեզ|jezhy | նրան|nranhy | նրանց|nrancʻhy | իրեն|irenhy | իրենց|irencʻhy |
탈격 | ինձնից / ինձանից|injnicʻ / injanicʻhy | մեզնից / մեզանից|meznicʻ / mezanicʻhy | քեզնից / քեզանից|kʻeznicʻ / kʻezanicʻhy | ձեզնից / ձեզանից|jeznicʻ / jezanicʻhy | նրանից|nranicʻhy | նրանցից|nrancʻicʻhy | իրենից|irenicʻhy | իրենցից|irencʻicʻhy |
조격 | ինձնով / ինձանով|injnov / injanovhy | մեզնով / մեզանով|meznov / mezanovhy | քեզնով / քեզանով|kʻeznov / kʻezanovhy | ձեզնով / ձեզանով|jeznov / jezanovhy | նրանով|nranovhy | նրանցով|nrancʻovhy | իրենով|irenovhy | իրենցով|irencʻovhy |
처소격 | ինձնում / ինձանում|injnum / injanumhy | մեզնում / մեզանում|meznum / mezanumhy | քեզնում / քեզանում|kʻeznum / kʻezanumhy | ձեզնում / ձեզանում|jeznum / jezanumhy | նրանում|nranumhy | նրանցում|nrancʻumhy | իրենում|irenumhy | իրենցում|irencʻumhy |
격 | 이것 (가까움) | 그것 (중간) | 저것 (멂)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սա|sahy | սրանք|srankʻhy | դա|dahy | դրանք|drankʻhy | նա|nahy | նրանք|nrankʻhy |
목적격 | սրան / սա|sran / sahy | սրանց / սրանք|srancʻ / srankʻhy | դրան / դա|dran / dahy | դրանց / դրանք|drancʻ / drankʻhy | նրան / նա|nran / nahy | նրանց / նրանք|nrancʻ / nrankʻhy |
소유격 | սրա|srahy | սրանց|srancʻhy | դրա|drahy | դրանց|drancʻhy | նրա|nrahy | նրանց|nrancʻhy |
여격 | սրան|sranhy | սրանց|srancʻhy | դրան|dranhy | դրանց|drancʻhy | նրան|nranhy | նրանց|nrancʻhy |
탈격 | սրանից|sranicʻhy | սրանցից|srancʻicʻhy | դրանից|dranicʻhy | դրանցից|drancʻicʻhy | նրանից|nranicʻhy | նրանցից|nrancʻicʻhy |
조격 | սրանով|sranovhy | սրանցով|srancʻovhy | դրանով|dranovhy | դրանցով|drancʻovhy | նրանով|nranovhy | նրանցով|nrancʻovhy |
처소격 | սրանում|sranumhy | սրանցում|srancʻumhy | դրանում|dranumhy | դրանցում|drancʻumhy | նրանում|nranumhy | նրանցում|nrancʻumhy |
7. 2. 동사
아르메니아어 동사는 활용 체계가 매우 복잡하며, 동아르메니아어에는 두 가지 주요 동사 유형이, 서아르메니아어에는 세 가지 주요 동사 유형이 있다. 이들은 시제, 법, 상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발음에 따라 기본적으로 두 종류의 동사가 있으며, 원형 어미는 각각 -ել과 -ալ이다. 동사의 시제에는 현재, 미래, 미완료 과거, 완료 과거, 단순 과거, 대과거, 과거 미래의 7가지 시제가 있다. 많은 활용에는 "이다", "있다"를 의미하는 조동사 լինել의 인칭 변화형을 붙일 필요가 있다. 또한, 부정형은 조동사의 인칭 변화형 앞에 부정의 접두사 չ-를 붙인다.[107]
rowspan="2" | | rowspan="2" | | գրել (쓰다) | կարդալ (읽다)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인칭 | 긍정 | ես գրում եմ | մենք գրում ենք | ես կարդում եմ | մենք կարդում ենք |
부정 | ես չեմ գրում | մենք չենք գրում | ես չեմ կարդում | մենք չենք կարդում | |
2인칭 | 긍정 | դու գրում ես | դուք գրում եք | դու կարդում ես | դուք կարդում եք |
부정 | դու չես գրում | դուք չեք գրում | դու չես կարդում | դուք չեք կարդում | |
3인칭 | 긍정 | նա գրում է | նրանք գրում են | նա կարդում է | նրանք կարդում են |
부정 | նա չի գրում | նրանք չեն գրում | նա չի կարդում | նրանք չեն կարդում |
rowspan="2" | | rowspan="2" | | գրել (쓰다) | կարդալ (읽다)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인칭 | 긍정 | ես գրեցի | մենք գրեցինք | ես կարդացի | մենք կարդացինք |
부정 | ես չգրեցի | մենք չգրեցինք | ես չկարդացի | մենք չկարդացինք | |
2인칭 | 긍정 | դու գրեցիր | դուք գրեցիք | դու կարդացիր | դուք կարդացիք |
부정 | դու չգրեցիր | դուք չգրեցիք | դու չկարդացիր | դուք չկարդացիք | |
3인칭 | 긍정 | նա գրեց | նրանք գրեցին | նա կարդաց | նրանք կարդացին |
부정 | նա չգրեց | նրանք չգրեցին | նա չկարդաց | նրանք չկարդացին |
법으로는 직설법 외에도 접속법, 조건법, 의무법이 있다.[109]
8. 어휘
프랑스의 언어학자 앙투안 메이예는 아르메니아어가 그리스어와 어원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고 지적했다. 아르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영어,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 동족어 관계에 있는 단어가 많다.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어는 여러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했다. 특히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에 속하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이 커서, 19세기 말까지 아르메니아어를 이란어군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독일 언어학자 하인리히 휘프슈만(Heinrich Hübschmann)이 차용어를 분리하는 연구를 통해 아르메니아어가 인도이란어파에 속하지 않는 독립된 어파임을 밝혀냈다. 페르시아어 외에도 그리스어(6세기), 오스만 터키어(11세기), 프랑스어(십자군 시대부터 현대까지), 라틴어(16세기~18세기), 그리고 러시아어(현대)로부터 어휘를 받아들였다. 주변의 튀르크어족과 카프카스어족 언어에서도 차용어가 유입되었다.[105]
예를 들어, '공화국'을 뜻하는 아르메니아어 단어는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Hanrapetut῾yunhy인데, 이는 라틴어 계열의 'Respublica'나 중동 지역의 '줌후리엿'과 다른 독자적인 형태를 보여준다.
1915년 오스만 제국의 아르메니아인 학살 사건과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통치 시기에도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문자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는 조지아 문자처럼 아르메니아 문자가 꾸준히 유지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동부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 공화국에서는 1922년~1924년에 문자 개혁이 이루어졌으나, 서부 아르메니아어 사용자 및 해외 거주 동부 아르메니아어 사용자들은 전통적인 철자법을 고수하고 있다.
광범위한 차용의 영향으로, 고전 아르메니아어 단계에서 인도유럽어족으로부터 직접 계승된 것으로 확인된 단어는 약 1,500개에 불과하다(G. Jahukyan). 나머지 어휘는 소실되었는데, 이는 원시 아르메니아어의 계통과 인도유럽어족 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준다. 특히 인도유럽어에서 아르메니아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복잡한 음운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102]
아래 표는 아르메니아어와 영어(고대 영어 유래 단어)가 공유하는 주요 동족어의 일부 예시이다.[103]
아르메니아어 | 영어 | 고전 라틴어 | 그리스어 | 페르시아어 | 산스크리트어 | 러시아어 | 고대 아일랜드어 | 원시 인도유럽어 |
---|---|---|---|---|---|---|---|---|
մայր|mayrhy "어머니" | mother (← OE mōdor) | māterla | μήτηρ|mētērel | مادر|mâdarfa | मातृ|mātṛsa | мать|mat'ru | máthairsga | "어머니" |
հայր|hayrhy "아버지" | father (← OE fæder) | paterla | πατήρ|patērel | پدر|pedarfa | पितृ|pitṛsa | отец|otjecru | athairsga | "아버지" |
եղբայր|eġbayrhy "형제" | brother (← OE brōþor) | frāterla | φράτηρ|phrātērel "전우, 동지" | برادر|barâdarfa | भ्रातृ|bhrātṛsa | брат|bratru | bráthairsga | "형제" |
դուստր|dustrhy "딸" | daughter (← OE dohtor) | (오스칸어 futreiosc) | θυγάτηρ|thugátērel | دختر|doxtarfa | दुहितृ|duhitṛsa | дочь|doč'ru | der, Dar-sga "(~의) 딸" | "딸" |
կին|kinhy "여자, 아내" | queen (← OE cwēn "여왕, 여자, 아내") | γυνή|gunēel | زن|zanfa | ग्ना|gnāsa/ जनि|janisa | жена|ženaru "아내" | bensga "여자" | "여자, 아내" | |
իմ|imhy "나의" | my, mine (← OE min) | me-us, -a, -umla 등 | ἐμ-ός, -ή, -όν|em-ós, -ē, -ónel 등 | من، ـم|man,-amfa | मम|mamasa | мой|moyru | mosga "나의, 나를" | "나의" |
անուն|anunhy "이름" | name (← OE nama) | nōmenla | ὄνομα|ónomael | نام|nâmfa | नामन्|nāmansa | имя|im'aru | ainmsga | "이름" |
յոթ|yotʻhy (← եաւթն|eawtʻnhy) "일곱" | seven (← OE seofon) | septemla | ἑπτά|heptáel | هفت|haftfa | सप्तन्|saptánsa | семь|sem'ru | sechtsga | "일곱" |
ութ|utʻhy "여덟" | eight (← OE eahta) | octōla | ὀκτώ|óktōel | هشت|haštfa | अष्ट|aṣṭasa | во́семь|vosem'ru | ochtsga | "여덟" |
ինն|innhy "아홉" | nine (← OE nigon) | novemla | ἐννέα|ennéael | نه|nohfa | नवन्|navansa | де́вять|devatru | noísga | "아홉" |
տասը|tashy (<տասն|tasnhy) "열" | ten (← OE tien) (← P.Gmc. *tehun) | decemla | δέκα|dékael | ده|dahfa | दश|daśasa | де́сять|desatru | deichsga | "열" |
աչք|ačʻkʻhy "눈" | eye (← OE ēge) | oculusla | ὀφθαλμός|ophthalmósel | 아베스타어 𐬀𐬱𐬌|ašiae (“눈들”) | अक्षि|akṣisa | око|okoru (고어) | "보다" | |
արմունկ|armunkhy (<*h₂(e)rH-mo-+ -ուկն) "팔꿈치" | arm (← OE earm "어깨 아래의 결합된 신체 부위") | armusla "어깨" | ἁρμός|harmósel "관절" | ارم|armfa "팔" | ईर्म|īrmasa "팔" | рамя|ram'aru "어깨" (고어) | "맞추다, 결합하다 (결합된 것)" | |
ծունկ|cunkhy "무릎" | knee (← OE cnēo) | genūla | γόνυ|gónuel | زانو|zânufa | जानु|jānusa | колено|kolenoru | glúnsga | "무릎" |
ոտք|otkʻhy "발, 다리" | foot (← OE fōt) | pēs, pedisla | πούς, πόδος|poús, pódosel | پا، پای|pâ, pâyfa "발" | पाद्|pādsa "발" | нога|nogaru | (고대 갈리아어 adesxcg "발들") | "발, 다리" |
սիրտ|sirthy "심장" | heart (← OE heorte) | cor, cordisla | καρδία|kardíael | دل|delfa | हृदय|hṛdayasa | се́рдце|serdceru | cridesga | "심장" |
մուկ|mukhy "쥐" | mouse (← OE mūs) | mūs, mūrisla | μῦς|mûsel "쥐, 근육" | موش|mušfa | मूष्|mūṣsa | мышь|myš'ru | "쥐, 근육" | |
կով|kovhy "암소" | cow (← OE cū) | bōs, bovisla | βοῦς|boûsel | گاو|gâvfa | गो|gosa | говядина|gov'adinaru "쇠고기" | bósga | "암소" |
շուն|šunhy "개" | hound (← OE hund "사냥개, 개") | canisla | κύων|kúōnel | سگ|sagfa | श्वन्|śvansa | сука|sukaru "암캐" | cúsga | "사냥개, 개" |
ամիս|amishy "달" | moon, month (← OE mōnaþ) | mēnsisla | μήν|mēnel "달, 월" | ماه|mâhfa "달, 월" | मास|māsasa "달, 월" | месяц|mes'acru | mísga | "달, 월" |
ամառ|amaṙhy (← 원시 아르메니아어 *sm̥h₂er-m̥ <*s(e)m-eh₂-) "여름" | summer (← OE sumor) | هامین|hâminfa (고어) | समा|samāsa "계절" | лето|letoru | samsga "여름" | "여름, 더운 계절" | ||
ջերմ|ǰermhy "따뜻한" | warm (← OE wearm) | formusla | θερμός|thermósel | گرم|garmfa | घर्म|gharmasa "열" | жарко|žarkoru "뜨거운" | geiridsga "따뜻하게 하다 (v)" | "따뜻한" |
լույս|luyshy "빛" | light (← OE lēoht "밝음") | lūxla | λευκός|leukósel "밝은, 빛나는, 흰" | روز|ruzfa "낮" | रोक|rokasa | луч|luč'ru "광선" | lóchsga "밝은" | "빛, 밝음" |
հուր|hurhy "불꽃" | fire (← OE fȳr) | (움브리아어 pirumb "불") | πῦρ|pûrel "불" | "불" | ||||
հեռու|heṙuhy "먼" | far (← OE 'feor "멀리") | perla "통해서" | πέρα|pérael "저편에" | فرا|farâfa "앞으로" | परस्|parassa "저편에" | пере-|pere-ru "통해서", про-|pro-ru "앞으로" | íresga "더 멀리" | "통해서, 가로질러, 저편에" |
լվանալ|lvanalhy "씻다" | flow (← OE flōwan) | pluĕrela "비가 오다" | πλύνω|plúnōel "나는 씻다" | प्लु|plusa "뜨다, 헤엄치다" | плавать|plavat'ru "헤엄치다" | luísga "키" | "흐르다, 뜨다, 씻다" | |
ուտել|utelhy "먹다" | eat (← OE etan) | edōla | ἔδω|édōel | अद्मि|admisa | есть|jest'ru | ithidsga | "먹다" | |
գիտեմ|gitemhy "나는 안다" | wit (← OE wit, witan "지능, 알다") | vidērela "보다" | οἶδα|oîdael | ویده|vidafa "지식" | विद्|vidsa | видеть|videt'ru "보다, 이해하다" | adfetsga "말하다" | "보다" |
գետ|gethy "강" | water (← OE wæter) | (움브리아어 uturumb "물") | ὕδωρ|húdōrel "물" | باران|bārānfa "비" | उदन्|udansa "물" | вода|vodaru "물" | uiscesga "물" | "물" | |
գործ|gorchy "일" | work (← OE weorc) | ἔργον|érgonel | ورز|varzfa | "일하다" | ||||
մեծ|mechy "큰, 위대한" | much (← OE mycel "위대한, 큰, 많은") | magnusla | μέγας|mégasel | مه، مهست|meh, mahestfa | मह|mahasa | много|mnogoru "많은" | maigesga "위대한, 강력한" | "위대한" |
ճանաչել|čanačʻelhy (← *ծանաչել|canačʻelhy) "알아보다" | know (← OE cnawan) | nōscerela "배우다, 알아보다" | γιγνώσκω|gignōskōel "나는 안다" | شناختن|šenâxtanfa "알다" | जानाति|jānātisa "알다" | знать|znat'ru "알다" | ad·gninsga "알다" | "알다" |
մեռնել|meṙnelhy "죽다" | murder (← OE morþor) | morīla | βροτός|brotósel "죽을 운명의" | مردن|mordanfa "죽음" | मरति|maratisa | мереть|meret'ru | marbsga "죽은" | "죽다" |
միջին|miǰinhy "중간" | mid, middle (← OE mid, middel) | mediusla | μέσος|mésosel | میان|miyânfa | मध्य|madhyasa | меж|mežru "사이에" | midesga | "중간, 중앙" |
այլ|aylhy "다른" | else (← OE elles "다른, 그렇지 않으면, 다른") | aliusla | ἄλλος|állosel | ailesga "다른" | "다른" | |||
նոր|norhy "새로운" | new (← OE nīwe) | novusla | νέος|néosel | نو|nowfa | नव|navasa | новый|novyjru | núaesga | "새로운" |
դուռ|duṙhy "문" | door (← OE dor, duru) | forisla | θύρα|thúrāel | در|darfa | द्वार|dvārasa | дверь|dver'ru | dorussga | "문, 문간, 문" |
տուն|tunhy "집" | timber (← OE timber "건축 자재로 사용되는 나무, 구조물") | domusla | δόμος|domosel | مان|mānfa "집" 아베스타어: 𐬛𐬄𐬨|dąmae | दम|damasa | дом|domru | "집" | ||
բերել|berelhy "가져오다" | bear (← OE beran "출산하다, 나르다") | ferrela "나르다" | φέρω|phérōel | بردن، برـ|bordan, bar-fa "나르다" | भरति|bharatisa "나르다" | брать|brat'ru "가져가다" | beiridsga "나르다" | "나르다" |
아르메니아어는 고유어의 접두사, 접미사를 활용하여 복합어를 만드는 경향이 강하다.[106]
- դասընկեր|dasənkerhy (classmate) ← դաս|dashy (class) + ընկեր|ənkerhy (친구)
- դասագիրք|dasagirk'hy (교과서) ← դաս|dashy (class) + ա|ahy (~의) + գիրք|girk'hy (책)
- գարեջուր|gareǰurhy (맥주) ← գարի|garihy (보리) + ա|ahy (~의) + ջուր|ǰurhy (물)
- բուսակեր|busakerhy (채식주의자) ← բույս|buyshy (식물) + ա|ahy (~의) + կեր|kerhy (식량)
- հեռախոս|heṙaxoshy (전화) ← հեռա-|heṙa-hy (먼) + խոսել|xoselhy
참조
[1]
웹사이트
Treaty on Eurasian Economic Union
https://docs.eaeunio[...]
Eurasian Economic Union
[2]
웹사이트
Եվրասիական տնտեսական միություն
http://www.eaeunion.[...]
Eurasian Economic Union
2021-05-02
[3]
웹사이트
Եվրասիական Տնտեսական Հանձնաժողով
http://www.eurasianc[...]
Eurasian Economic Commission
2021-05-02
[4]
웹사이트
Western Armenian – Cypriot Arabic: new century, new speakers?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7-02-21
[5]
웹사이트
The Armenians of Cyprus
https://publications[...]
Press and Information Office, Republic of Cyprus
[6]
웹사이트
Minority languages in Hungary
http://www.efnil.org[...]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Institutions for Language
2009
[7]
웹사이트
Iraqi Constitution: Article 4
https://web.archive.[...]
The Republic of Iraq Ministry of Interior General Directorate for Nationality
2014-06-16
[8]
웹사이트
New Polish legislation regarding national, ethnic and linguistic minorities
http://ksng.gugik.go[...]
Head Office of Geodesy and Cartography of Poland
[9]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ial and minority languages in Poland
http://www.efnil.org[...]
European Federation of National Institutions for Language
2009
[10]
웹사이트
MULTILINGVISM ȘI LIMBI MINORITARE ÎN ROMÂNIA [MULTILINGUALISM AND MINORITY LANGUAGES IN ROMANIA]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Linguistics "Iorgu Iordan – Alexandru Rosetti", Romanian Academy
2009
[11]
웹사이트
Law of Ukraine "On Principles of State Language Policy" (Current version – Revision from 01.02.2014)
http://zakon4.rada.g[...]
rada.gov.ua
2014-02-01
[12]
웹사이트
H. Acharian Institute of Language
http://www.sci.am/re[...]
[13]
서적
Language and Globalization: An Autoethnographic Approa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14]
뉴스
Unraveling the Life of Calouste Gulbenkian
https://asbarez.com/[...]
2019-06-19
[15]
웹사이트
All You Need to Know about Armenian Language
https://aspirantum.c[...]
ASPIRANTUM: Armenian School of Languages and Cultures
2020-03-02
[16]
웹사이트
Language Monday: Armenian
https://www.worldboo[...]
2018-04-23
[17]
웹사이트
Armenian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3-11-21
[18]
서적
Formal Languages: an Introduction and a Synopsi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7
[19]
웹사이트
Indo-European tree with Armeno-Aryan, exclusion of Greek
https://web.archive.[...]
[20]
서적
[21]
논문
'Swadesh lists' of Albanian Revisited and Consequences for its position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22]
논문
The place of Armenian in the Indo-European language family: the relationship with Greek and Indo-Iranian
2013
[23]
백과사전
Classical Armen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논문
Greco-Armenian: The persistence of a myth
https://www.academia[...]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Library
2018
[25]
서적
[26]
논문
Iranian-Armenian Language Contact in and before the 5th Century CE.
https://ora.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17
[27]
백과사전
Armenian
https://books.google[...]
Elsevier
[28]
서적
A grammar of Iranian Armenian
https://web.archive.[...]
Language Science Press
2023-05-22
[29]
서적
The Handbook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20
[30]
서적
The Hemshin: History, Society and Identity in the Highlands of Northeast Turkey
Routledge
2007-01-24
[31]
서적
A History of Armenia
[32]
서적
The Writing Culture of Pre-Christian Armenia
https://www.academia[...]
Yerevan University
2006
[33]
논문
The Mushki Problem Reconsidered
https://docplayer.ne[...]
1997
[34]
논문
Is Armenian an Anatolian Languag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1942-01-01
[35]
간행물
Notes on Anatolian loanwords in Armenian
https://iling.spb.ru[...]
2015
[36]
논문
[37]
논문
Hurro-Urartian Borrowings in Old Armenian
https://archive.org/[...]
1985
[3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rmenian Inherited Lexicon
Brill
[39]
논문
The Armenian Elements in the Language and Onomastics of Urartu
https://www.academia[...]
Association for Near Eastern and Caucasian Studies, German University of Armenia
[40]
웹사이트
Recent Armenological Research of Indo-European Relevance
https://www.academia[...]
[41]
학회발표
Origi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rmenian language
https://ling.hse.ru/[...]
[42]
논문
Towards the Origins of the Armenian People. The Problem of Identification of the Proto-Armenians: A Critical Review
https://www.academia[...]
[43]
백과사전
Urartian State Mythology
https://www.research[...]
Yerevan Institute of Archaeology and Ethnography Press
[44]
백과사전
ARMENIA AND IRAN iv. Iranian influences in Armenian Language
http://www.iranicaon[...]
2015-10-26
[45]
백과사전
On the Position of Armenian in the Sphere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https://lrc.la.utexa[...]
Indiana University Press
2023-11-28
[46]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The Puzzle of Indo-European Origins
Pimlico
[47]
논문
The Early History of Indo-European Languages
1990-03-01
[48]
서적
Languages in Prehistoric Europe
Winter
[49]
논문
Language-tree divergence times support the Anatolian theory of Indo-European origin
http://language.psy.[...]
2015-07-20
[50]
백과사전
Kuro-Araxes Culture
https://archive.org/[...]
Fitzroy Dearborn
[5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서적
Indoiranisch-griechische Gemeinsamkeiten der Nominalbildung und deren indogermanische Grundlagen
[53]
논문
Hurro-Urartian Borrowings in Old Armenian
[54]
논문
[55]
서적
New Approaches to Medieval Armenian Language and Literature
[56]
논문
Tangsux in Armenia
Akadémiai Kiadó
[57]
서적
The Armenians: From Kings and Priests to Merchants and Commissars
Columbia University Press
[58]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 Press
[59]
논문
Նարեկացու բառաշխարհը
2005
[60]
서적
Contemporary Sociolinguistics: Theory, Problems, Method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61]
서적
Cultivating nationhood in imperial Russia the periodical press and the formation of a modern Armenian identity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62]
서적
International Yearbook of Futurism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63]
서적
Armen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VGS/Twenty-First Century Books
[64]
서적
Progress in language planning: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Mouton Publishers
[65]
서적
State Building and Conflict Resolution in the Caucasus
https://archive.org/[...]
Brill Publishers
[66]
논문
'He Wasn't Able to Understand What I Was Saying': The Experiences of Returnees' Speaking Western Armenian in 'Eastern' Armenia
2019-11-13
[67]
논문
EU enlargement conditions and minority protection : a reflection on Turkey's non-Muslim minorities
https://cadmus.eui.e[...]
2006
[68]
서적
Minorities and nationalism in Turkish law
https://www.academia[...]
Ashgate Publishing
2013
[69]
서적
Questions and Answers: Freedom of Expression and Language Rights in Turkey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2-04-01
[70]
논문
Minority Language Education and Policy in Turkey: The Case of Cankiri Poshas
https://ugei-ojs-shs[...]
2017-10-24
[71]
뉴스
Javakhk Armenians Looks Ahead to Local Elections
http://asbarez.com/7[...]
2010-03-31
[72]
웹사이트
Challenges and problems of the Armenian community of Georgia
http://www.ohchr.org[...]
European Armenian Federation for Justice and Democracy
2012-11-28
[73]
웹사이트
Consideration of Reports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4 of the Convention. Third periodic reports of states parties due in 2003: Lebanon
http://www.refworld.[...]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2005-10-25
[74]
웹사이트
Armenians and the 2000 Parliamentary Elections in Lebanon
http://www.groong.o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75]
웹사이트
Armenian Translations
http://www.cdss.ca.g[...]
California Department of Social Services
[76]
웹사이트
Վարորդների ձեռնարկ [Driver's Manual]
https://www.dmv.ca.g[...]
California Department of Motor Vehicles
[77]
웹사이트
English/Armenian Legal Glossary
http://www.saccourt.[...]
Superior Court of California, County of Sacramento
2005-06-22
[78]
뉴스
New Glendale traffic safety warnings in English, Armenian, Spanish
http://latimesblogs.[...]
2011-01-11
[79]
뉴스
Intersections: Bad driving signals a need for reflection
http://articles.glen[...]
2012-09-04
[80]
비디오미디어
How Syrian-Armenians Preserved Western Armenian
https://www.youtube.[...]
2020-05-31
[81]
웹사이트
Armenians, Kurds in Lebanon hold on to their languages
https://thearabweekl[...]
2016
[82]
저널
Contested Notions of National Identity, Ethnic Movements And Democratization in Iran
http://publications.[...]
2016-07-02
[83]
서적
Decolonisation, Globalisation
https://www.research[...]
Multilingual Matters
2005-07-04
[84]
웹사이트
Legal Aspects of Education in Mother Language for Iranian Azerbaijani Students
https://www.elibrary[...]
[85]
서적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6]
서적
Comparative Indo-European Linguistics: An Introduction
John Benjamins
[87]
서적
Introduction to Indo-European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88]
참고자료
[89]
텍스트
[90]
참고자료
[91]
참고자료
[92]
참고자료
[93]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Europe: A Comprehensive Guid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94]
서적
The New Armenia, Vol. 11-12
https://books.google[...]
New Armenia Publishing Company
[95]
서적
Adjarian’s Armenian dialectology (1911): Translation and commentary
https://langsci-pres[...]
Language Science Press
2024
[96]
참고자료
[97]
참고자료
[98]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Sociolinguistics Around the World: A Handbook
Routledge
[99]
저널
Շիրակի դաշտավայրի բարբառային նկարագիրը
http://lraber.asj-oa[...]
[100]
서적
Armenian Karin/Erzerum
Mazda Publ.
[101]
웹사이트
An unlikely home
https://www.opendemo[...]
openDemocracy
2016-01-05
[102]
참고자료
[10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104]
웹사이트
Article 1 of the UDHR
https://omniglot.com[...]
[105]
저널
現代アルメニア語はどのような言語か -その地域的特徴-
http://el.kobe-ccn.a[...]
2018-03
[106]
서적
平成25年度言語研修アルメニア語 (東) 研修テキスト
https://doi.org/10.1[...]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107]
서적
平成25年度言語研修アルメニア語(東)研修テキスト1 東アルメニア語文法Ⅰ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22-01-10
[108]
웹사이트
EASTERN ARMENIAN FOR THE ENGLISH-SPEAKING WORLD
https://cpb-us-e1.wp[...]
YEREVAN STATE UNIVERSITY
2021-07-16
[109]
서적
平成25年度言語研修アルメニア語(東)研修テキスト2 東アルメニア語文法Ⅱ
https://hdl.handle.n[...]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22-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