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루바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88년 CONCACAF와 FIFA에 가입했다. 1924년부터 1933년까지는 퀴라소와 경기를 치렀으나 공식 경기로 인정되지 않았고,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된 후 독자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1998년부터 2022년까지 모두 탈락했으며,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에도 실패했다. 주요 국제 대회로는 ABCS 토너먼트에서 2012년 우승을 차지했고,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2023-24 시즌 리그 C에서 1위를 기록하며 리그 B로 승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 | |
|---|---|
| 기본 정보 | |
| FIFA 코드 | ARU |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 협회 정보 | |
| 협회 | 아루바anse Voetbal Bond |
| 연맹 | CONCACAF (북아메리카) |
| 하위 연맹 | CFU (카리브) |
| 코칭 스태프 | |
| 감독 | 마르빅 베르무데스 |
| 선수 정보 | |
| 주장 | 페르난도 루이스 |
| 최다 출장 선수 | 에릭 압둘 (32) |
| 최다 득점 선수 | 로비엔 오스티아나 (7) |
| 경기장 | |
| 홈 경기장 | 트리니다드 스타디움 |
| FIFA 랭킹 | |
| FIFA 최고 랭킹 | 112 |
| FIFA 최고 랭킹 날짜 | 2015년 11월 |
| FIFA 최저 랭킹 | 205 |
| FIFA 최저 랭킹 날짜 | 2021년 4월 |
| Elo 최고 랭킹 | 50 |
| Elo 최고 랭킹 날짜 | 1924년 |
| Elo 최저 랭킹 | 203 |
| Elo 최저 랭킹 날짜 | 2020년 4월 |
| 유니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첫 경기 | |
| 첫 경기 | 아루바 0–4 (아루바; 1924년 4월 6일) FIFA 회원국으로서 7–0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1989년 3월 31일) |
| 최대 점수차 승리 | |
| 최대 점수차 승리 | 아루바 8–1 수리남 (수리남; 1946년 6월 6일) 7–0 (오란예스타트, 아루바; 2014년 6월 1일) |
| 최대 점수차 패배 | |
| 최대 점수차 패배 | 11–0 (아리마, 트리니다드 토바고; 1989년 4월 23일) |
| 월드컵 | |
| 월드컵 출전 횟수 | 해당사항 없음 |
| 월드컵 첫 출전 | 해당사항 없음 |
| 월드컵 최고 성적 | 해당사항 없음 |
| 지역 대회 | |
| 지역 대회 이름 | 해당사항 없음 |
| 지역 대회 출전 횟수 | 해당사항 없음 |
| 지역 대회 첫 출전 | 해당사항 없음 |
| 지역 대회 최고 성적 | 해당사항 없음 |
2. 역사
1924년부터 1933년까지 아루바는 퀴라소와 비공식 경기를 치렀다.[3] 1950년대에는 이 경기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팀의 선수 선발에 활용되었으며, 자니 브로케와 같은 아루바 출신 선수들은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대표팀 소속으로 뛰기도 했다.[4] 퀴라소 축구 협회(C.V.B.)의 지휘 아래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팀은 1950년 중앙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53년 CCCF 선수권 대회에도 참가했다.[5]
1950년대 아루바 축구 연맹(A.V.B.)은 섬 내에서 친선 경기와 소규모 토너먼트를 주최했다. 예를 들어 1952년에는 브라질 클럽 보타포구와 경기를 가져 3-1로 승리했고[6], 1953년에는 수리남, 영국령 가이아나, 베네수엘라의 프로 클럽 라 살레 FC 등이 참가하는 대회를 열었다.[7] 아루바는 1955년 CCCF 선수권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5위를 기록했다. 1958년, 아루바 축구 연맹(A.V.B.)과 퀴라소 축구 협회(C.V.B.)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축구 연맹으로 통합되었고, 아루바는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될 때까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된 후, 아루바 축구 연맹은 1988년에 CONCACAF와 FIFA에 정식 회원으로 가입했다. 아루바는 1989년 카리브컵 예선에 처음 참가했으나, 첫 조별 경기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11-0으로 대패하며 역사상 가장 큰 점수 차 패배를 기록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는 도미니카 공화국을 상대로 첫 월드컵 예선 경기를 치렀다. 이후 모든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카리브컵 본선 무대 역시 아직 밟아보지 못했다.
하지만 2014년 카리브컵 예선에서는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를 1-0으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를 7-0으로 꺾으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전 7-0 승리는 아루바 축구 역사상 최다 점수 차 승리 기록이다. 이러한 성과에 힘입어 2014년 6월에는 FIFA 세계 랭킹 120위에 오르며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어진 프랑스령 기아나와의 경기에서 2-0으로 패배하며 예선에서 탈락했다.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는 2라운드에서 바베이도스를 만났다. 홈에서 0-2, 원정에서 0-1로 패배하며 탈락하는 듯했으나, FIFA가 바베이도스의 부정 선수 출전을 확인하고 원정 경기를 아루바의 3-0 몰수승으로 처리하면서 극적으로 3라운드에 진출했다. 하지만 3라운드에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합계 2-3으로 패하며 월드컵 본선 도전은 다시 한번 좌절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는 1라운드에서 조 4위에 머물러 탈락했다.
2. 1. 주요 대회 성적
=== FIFA 월드컵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30 우루과이 | 불참 | ||||||
| 1934 이탈리아 | |||||||
| 1938 프랑스 | |||||||
| 1950 브라질 | |||||||
| 1954 스위스 | |||||||
| 1958 스웨덴 | |||||||
| 1962 칠레 | |||||||
| 1966 잉글랜드 | |||||||
| 1970 멕시코 | |||||||
| 1974 서독 | |||||||
| 1978 아르헨티나 | |||||||
| 1982 스페인 | |||||||
| 1986 멕시코 | |||||||
| 1990 이탈리아 | |||||||
| 1994 미국 | |||||||
| 1998 프랑스 | 예선 탈락 | ||||||
| 2002 대한민국/일본 | |||||||
| 2006 독일 | |||||||
|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2014 브라질 | |||||||
| 2018 러시아 | |||||||
| 2022 카타르 |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예선 탈락 | ||||||
| 합계 | 본선 진출 없음 (0/23) | 0 | 0 | 0 | 0 | 0 | 0 |
=== CONCACAF 골드컵 ===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 1991 미국 | 불참 | ||||||
| 1993 미국/멕시코 | 기권 | ||||||
| 1996 미국 | 예선 탈락 | ||||||
| 1998 미국 | |||||||
| 2000 미국 | |||||||
| 2002 미국 | |||||||
| 2003 미국/멕시코 | |||||||
| 2005 미국 | 기권 | ||||||
| 2007 미국 | 불참 | ||||||
| 2009 미국 | 예선 탈락 | ||||||
| 2011 미국 | 불참 | ||||||
| 2013 미국 | 예선 탈락 | ||||||
| 2015 미국/캐나다 | |||||||
| 2017 미국 | |||||||
| 2019 미국/코스타리카/자메이카 | |||||||
| 2021 미국 | |||||||
| 2023 미국/캐나다 | 예선 탈락 | ||||||
| 합계 | 본선 진출 없음(0/17) | 0 | 0 | 0 | 0 | 0 | 0 |
=== 카리브컵 ===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 1989 바베이도스 | 예선 탈락 | ||||||
| 1990 트리니다드 토바고 | 불참 | ||||||
| 1991 자메이카 | 예선 탈락 | ||||||
| 1992 트리니다드 토바고 | |||||||
| 1993 자메이카 | 기권 | ||||||
| 1994 트리니다드 토바고 | 불참 | ||||||
| 1995 케이맨 제도/자메이카 | 예선 탈락 | ||||||
| 1996 트리니다드 토바고 | 불참 | ||||||
| 1997 앤티가 바부다/세인트키츠 네비스 | 예선 탈락 | ||||||
| 1998 트리니다드 토바고/자메이카 | |||||||
| 1999 트리니다드 토바고 | 기권 | ||||||
| 2001 트리니다드 토바고 | 예선 탈락 | ||||||
| 2005 바베이도스 | 기권 | ||||||
| 2007 트리니다드 토바고 | 불참 | ||||||
| 2008 자메이카 | 예선 탈락 | ||||||
| 2010 마르티니크 | 불참 | ||||||
| 2012 앤티가 바부다 | 예선 탈락 | ||||||
| 2014 자메이카 | |||||||
| 2017 마르티니크 | |||||||
| 합계 | 본선 진출 없음(0/19) | 0 | 0 | 0 | 0 | 0 | 0 |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소속으로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주요 참가 대회로는 FIFA 월드컵 예선, CONCACAF 골드컵, CONCACAF 네이션스리그 등이 있으며, 지역 대회인 카리브컵과 ABCS 토너먼트에도 참가 기록이 있다.
3. 국제 대회 경력
1986년까지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원으로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했으며, 아루바가 독립하여 FIFA에 가입한 이후인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부터 독자적으로 참가하기 시작했다. 아직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은 없으며,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서 3차 예선까지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
CONCACAF 골드컵 역시 아직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는 꾸준히 참가하고 있으며, 리그 B와 리그 C를 오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 대회에서는 비교적 좋은 성과를 거두기도 했는데, 특히 퀴라소, 보네르, 수리남과 함께 참가하는 ABCS 토너먼트에서는 2012년에 우승을 차지한 바 있다.
각 대회별 상세한 참가 기록 및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FIFA 월드컵
1930년부터 1986년까지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소속으로 참가하였으며, 아루바가 독립하여 독자적으로 FIFA에 가입한 이후인 1990년과 1994년 대회는 불참하였다. 1998년부터 월드컵 지역 예선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나, 현재까지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2018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2차 예선에서는 경쟁 상대인 바베이도스가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드러나면서 어부지리로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이는 아루바 축구 역사상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다.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1930년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로 참가 | |||||||||
| 1934년 | ||||||||||
| 1938년 | ||||||||||
| 1950년 | ||||||||||
| 1954년 | ||||||||||
| 1958년 | ||||||||||
| 1962년 | ||||||||||
| 1966년 | ||||||||||
| 1970년 | ||||||||||
| 1974년 | ||||||||||
| 1978년 | ||||||||||
| 1982년 | ||||||||||
| 1986년 | ||||||||||
| 1990년 | 불참 | |||||||||
| 1994년 | ||||||||||
| 1998년 | 예선 탈락 | |||||||||
| 2002년 | ||||||||||
| 2006년 | ||||||||||
| 2010년 | ||||||||||
| 2014년 | ||||||||||
| 2018년 | ||||||||||
| 2022년 | ||||||||||
| 합계 | ||||||||||
|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1930년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로 참가 | ||||||
| 1934년 | |||||||
| 1938년 | |||||||
| 1950년 | |||||||
| 1954년 | |||||||
| 1958년 | |||||||
| 1962년 | |||||||
| 1966년 | |||||||
| 1970년 | |||||||
| 1974년 | |||||||
| 1978년 | |||||||
| 1982년 | |||||||
| 1986년 | |||||||
| 1990년 | 불참 | ||||||
| 1994년 | |||||||
| 1998년 | 2 | 0 | 0 | 2 | 3 | 6 | 0 |
| 2002년 | 4 | 1 | 1 | 2 | 7 | 11 | 4 |
| 2006년 | 2 | 0 | 0 | 2 | 2 | 10 | 0 |
| 2010년 | 2 | 0 | 0 | 2 | 0 | 4 | 0 |
| 2014년 | 2 | 1 | 0 | 1 | 6 | 6 | 3 |
| 2018년 | 4 | 2 | 0 | 2 | 5 | 5 | 6 |
| 2022년 | 4 | 1 | 0 | 3 | 3 | 19 | 3 |
| 합계 | 20 | 5 | 1 | 14 | 26 | 61 | 16 |
| 순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176위 (북중미 28위) | ||||||
3. 2. CONCACAF 골드컵
wikitext|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1991년 | 불참 | ||||||
| 1993년 | 기권 | ||||||
| 1996년 | 예선 탈락 | ||||||
| 1998년 | |||||||
| 2000년 | |||||||
| 2002년 | |||||||
| 2003년 | |||||||
| 2005년 | 기권 | ||||||
| 2007년 | 불참 | ||||||
| 2009년 | 예선 탈락 | ||||||
| 2011년 | 불참 | ||||||
| 2013년 | 예선 탈락 | ||||||
| 2015년 | |||||||
| 2017년 | |||||||
| 2019년 | |||||||
| 2021년 | |||||||
| 합계 | 0/16 | 0 | 0 | 0 | 0 | 0 | 0 |
3. 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 날짜 | 상대팀 | 점수 (홈-원정) | 아루바 득점자 | 상대팀 득점자 | 경기장 | 결과 | 비고 |
|---|---|---|---|---|---|---|---|
| 2024년 9월 6일 | 생마르탱 (원정) | 0 - 2 | 게르빈 레이크 81' 로난 올리바세 90+3' | 마야구에스 중앙 아메리카 경기장, 마야구에스, 푸에르토리코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08 보고서] | |
| 2024년 9월 9일 | 푸에르토리코 (홈) | 0 - 1 | 레안드로 안토네티 73' | 마야구에스 중앙 아메리카 경기장, 마야구에스, 푸에르토리코 (중립 경기)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25 보고서] | |
| 2024년 10월 11일 | 아이티 (홈) | 1 - 3 | 타이론 페렛 젠틸 6' | F. 피에로 30 D. 나존 38(PK), 61' | 콤플레호 데포르티보 기예르모 프로스페로 트리니다드, 오라녜스타트, 아루바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41 보고서] |
| 2024년 10월 14일 | 아이티 (원정) (아루바에서 개최) | 3 - 5 | 로비엔 오스티아나 14(PK), 20 제이든 크루이덴호프 78' | 단리 장 자크 16 루이시우스 돈 디드슨 42 더큰스 나존 66(PK) 파파 피콜트 76 프란츠디 피에로 89'(PK) | 콤플레호 데포르티보 기예르모 프로스페로 트리니다드, 오라녜스타트, 아루바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58 보고서] |
| 2024년 11월 15일 | 푸에르토리코 (원정) | 1 - 5 | 히메네스 22' | 리카르도 리베라 8 노에 에르난데스 23 다렌 리오스 55 제이든 세르바니아 62 알렉 디아스 81' | 마야구에스 중앙 아메리카 경기장, 마야구에스, 푸에르토리코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69 보고서] |
| 2024년 11월 18일 | 생마르탱 (홈) | 0 - 1 | T-숀 일리지 90+1' | 마야구에스 중앙 아메리카 경기장, 마야구에스, 푸에르토리코 (중립 경기) | 패 | [https://www.concacaf.com/en/nations-league/game-details?matchid=740681 보고서] |
2024-25 시즌 리그 B에서 아루바는 아이티, 푸에르토리코, 생마르탱을 상대로 6전 전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이 결과로 아루바는 다음 시즌 리그 C로 다시 강등되었다.
3. 3. 1. 2019-20년 리그 B
2019-20년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22위를 기록하여 리그 B에 편입된 아루바는 가이아나, 자메이카, 앤티가 바부다와 함께 C조에 배정되었다. 그러나 6전 전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에 머물렀고, 결국 차기 시즌 리그 C로 강등되었다.3. 3. 2. 2022-23년 리그 C
2022-23 시즌 네이션스리그 C에서는 세인트키츠 네비스, 생마르탱과 함께 B조에 편성되었다. 2차전에서 생마르탱을 3-0으로 완파하며 네이션스리그 첫 승을 올렸고, 최종적으로 4경기 1승 1무 2패를 기록, 조 2위로 시즌을 마쳤다.3. 3. 3. 2023-24년 리그 C
2023-24 시즌 리그 C에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와 B조에 편성되어 4전 전승·조 1위로 5년 만에 리그 B 복귀를 확정지었다.3. 4. 기타 국제 대회 경력
아루바가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국제 대회는 ABCS 토너먼트이다. 총 7번의 대회 중 2012년 대회에서 사상 첫 국제 대회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2011년과 2015년 대회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ABCS 토너먼트 기록 |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10 | 3위 | 2 | 0 | 1 | 1 | 3 | 6 |
| 2011 | 준우승 | 2 | 0 | 2 | 0 | 2 | 2 |
| 2012 | 우승 | 2 | 2 | 0 | 0 | 4 | 2 |
| 2013 | 4위 | 2 | 0 | 0 | 2 | 1 | 4 |
| 2015 | 준우승 | 2 | 0 | 1 | 1 | 0 | 1 |
| 2021 | 3위 | 2 | 0 | 1 | 1 | 3 | 9 |
| 2022 | 3위 | 2 | 1 | 1 | 0 | 3 | 2 |
| 총계 | 1회 우승 | 14 | 3 | 6 | 5 | 16 | 26 |
- 무승부는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합니다.
| 카리브컵 기록 | ||||||||||||
|---|---|---|---|---|---|---|---|---|---|---|---|---|
|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
| 1989 | 예선 탈락 | |||||||||||
| 1990 | 불참 | |||||||||||
| 1991 | 예선 탈락 | |||||||||||
| 1992 | ||||||||||||
| 1993 | 기권 | |||||||||||
| 1994 | 불참 | |||||||||||
| 1995 | 예선 탈락 | |||||||||||
| 1996 | 불참 | |||||||||||
| 1997 | 예선 탈락 | |||||||||||
| 1998 | ||||||||||||
| 1999 | 기권 | |||||||||||
| 2001 | 예선 탈락 | |||||||||||
| 2005 | 기권 | |||||||||||
| 2007 | 불참 | |||||||||||
| 2008 | 예선 탈락 | |||||||||||
| 2010 | 불참 | |||||||||||
| 2012 | 예선 탈락 | |||||||||||
| 2014 | ||||||||||||
| 합계 | 0/18 | |||||||||||
4. 선수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을 거쳐간 선수들의 전체 목록은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목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아루바 대표팀에서 활동 중인 선수 명단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역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한 주요 선수들의 정보 역시 하위 문단에 정리되어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1월 15일과 18일에 푸에르토리코 및 신트마르턴과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 경기에 소집되었다.[8]''2024년 11월 18일 신트마르턴과의 경기 이후의 출장 및 골 기록''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
| GK | 매튜 렌틴크 | 1993년 8월 18일 | 21 | 0 | VV Goes |
| GK | 요스탄 마두로 | 2006년 8월 30일 | 1 | 0 | SV Britannia |
| GK | 자마니 아이스덴 | 2005년 7월 9일 | 0 | 0 | FC 덴보스 U21 |
| DF | 니케슨 폴 | 1997년 8월 24일 | 33 | 0 | SV Dakota |
| DF | 마크 제이콥스 | 1999년 10월 28일 | 16 | 0 | 소속팀 없음 |
| DF | 에드워드 클라리사 | 2000년 3월 26일 | 12 | 0 | VV DUNO |
| DF | 키마니 네드 | 2004년 6월 10일 | 12 | 0 | 엑셀시오르 |
| DF | 대릴 베일리 | 1998년 1월 19일 | 9 | 1 | FC Lisse |
| DF | 타이리스 기스베르타 | 2003년 12월 22일 | 5 | 0 | FC 트벤터 |
| DF | 에디온 헤르실리아 | 0 | 0 | SV Britannia | |
| MF | 월터 베넷 | 1997년 3월 18일 | 23 | 1 | SC 페예노르트 |
| MF | 로비엔 오스티아나 | 2002년 2월 14일 | 13 | 7 | RKAVV |
| MF | 페르난도 루이스 | 1993년 1월 31일 | 12 | 0 | SV Zandvoort |
| MF | 이사 마르셀리아 | 2001년 6월 17일 | 9 | 1 | 스포르팅 칼사 |
| MF | 에단 트롬프 | 2002년 1월 17일 | 5 | 0 | SV Britannia |
| MF | 디마지오 센치 | 1995년 5월 3일 | 4 | 0 | AFC '34 |
| MF | 시바이 와드와니 | 2005년 7월 3일 | 4 | 0 | 아약스 아마추어 |
| MF | 코너 반 킬스돈크 | 2006년 9월 24일 | 2 | 0 | NEC |
| FW | 하비에르 히메네스 | 2000년 5월 27일 | 14 | 2 | TSG Neustrelitz |
| FW | 제이든 크루이덴호프 | 2006년 12월 18일 | 8 | 1 | SC 캄뷔르 |
| FW | 타이론 페렛 젠틸 | 2004년 4월 10일 | 6 | 1 | 알메러 시티 |
| FW | 테릭 몬산토 | 2004년 2월 7일 | 1 | 0 | SV Dakota |
| FW | 헤수스 페나테 | 1998년 3월 11일 | 1 | 0 | VV Nieuwenhoorn |
다음 선수들은 최근 아루바 축구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최근 경기 |
|---|---|---|---|---|---|---|
| DF | 애쉬튼 찰스 | 1995년 3월 22일 | 4 | 1 | SV 브리타니아 | vs. 아이티, 2024년 10월 14일 |
| DF | 네이선 로아뇨 | 1989년 3월 1일 | 5 | 0 | 레이싱 클럽 | vs. 푸에르토리코, 2024년 9월 9일 |
| DF | 산드로 스탈 | 1994년 2월 12일 | 5 | 0 | 소속팀 없음 | vs. 푸에르토리코, 2024년 9월 9일 |
| DF | 장피에르 반 데르 린덴 | 1998년 1월 7일 | 1 | 0 | TAC '90 | vs. 푸에르토리코, 2024년 9월 9일 |
| DF | 디에데릭 루이덴스 | 1999년 2월 18일 | 10 | 1 | SV DSO | vs. 세인트루시아, 2024년 6월 11일 |
| MF | 스티븐 멜초르 루아 | 1990년 5월 12일 | 17 | 0 | SV 브리타니아 | vs. 아이티, 2024년 10월 14일 |
| MF | 조나단 리차드 | 1991년 6월 21일 | 8 | 0 | ODIN '59 | vs. 세인트루시아, 2024년 6월 11일 |
| FW | 테렌스 그루트후센 | 1996년 9월 16일 | 20 | 6 | ADO '20 | vs. 아이티, 2024년 10월 14일 |
| FW | 레안젤로 보크후트 | 2006년 4월 7일 | 1 | 0 | 리버 플레이트 | vs. 아이티, 2024년 10월 14일 |
| FW | 제레미 반 우넨 | 1993년 10월 28일 | 4 | 0 | VV 즈왈루언 | vs. 푸에르토리코, 2024년 9월 9일 |
| FW | 벤자민 마리아 | 2001년 9월 19일 | 10 | 3 | VV DUNO | vs. 세인트루시아, 2024년 6월 11일 |
4. 2. 주요 선수
''2024년 9월 10일 기준''[9]'''''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아루바 대표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선수이다.''
|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경력 |
|---|---|---|---|---|
| 1 | 에릭 압둘 | 32 | 0 | 2011–2023 |
| 2 | 니켄슨 폴 | 30 | 0 | 2014–현재 |
| 3 | 테릭 루이즈 | 28 | 1 | 2004–2016 |
| 4 | 에릭 산토스 데 고베이아 | 27 | 3 | 2011–2021 |
| 5 | 리로이 오엘러스 | 24 | 0 | 2013–2019 |
| 6 | 프랑수아 크로스 | 23 | 0 | 2008–2021 |
| 7 | 로날드 고메스 | 22 | 6 | 2002–2021 |
| 8 | 레이먼드 바텐 | 21 | 3 | 2011–2019 |
| 9 | 월터 베넷 | 19 | 1 | 2018–현재 |
| 10 | 테렌스 흐로투이선 | 18 | 6 | 2019–현재 |
|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비율 | 활동 기간 |
|---|---|---|---|---|---|
| 1 | 로비엔 오스티아나 | 7 | 11 | 0.64 | 2023–현재 |
| 2 | 테렌스 흐로투이선 | 6 | 18 | 0.33 | 2019–현재 |
| 로날드 고메스 | 6 | 22 | 0.27 | 2002–2021 | |
| 4 | 글렌로이 레이크 | 5 | 6 | 0.83 | 1995–2002 |
| 5 | 원더 그로스 | 4 | 5 | 0.80 | 2000–2001 |
| 조슈아 존 | 4 | 9 | 0.44 | 2018–현재 | |
| 드웨이날렉스 레이번 | 4 | 10 | 0.40 | 2012–2015 | |
| 렌시 바라다스 | 4 | 11 | 0.36 | 2011–2015 | |
| 모리스 에스칼로나 | 4 | 12 | 0.33 | 2004–2014 | |
| 10 | 레스리 펠로미나 | 3 | 4 | 0.75 | 2000–2001 |
| 벤자민 마리아 | 3 | 10 | 0.30 | 2022–현재 | |
| 장-뤽 베르겐 | 3 | 10 | 0.30 | 2011–2015 | |
| 안누아르 코크 | 3 | 17 | 0.18 | 2011–2019 | |
| 레이먼드 바텐 | 3 | 21 | 0.14 | 2011–2019 | |
| 에릭 산토스 데 고베이아 | 3 | 27 | 0.11 | 2011–2021 |
'''현재 선수 명단'''
- '''골키퍼'''
- * 마튜 렌틴크
- * 야마니 에이스덴
- * 조스탄 마두로
- '''수비수'''
- * 애슈턴 찰스
- * 에디손 하실리아
- * 시바이 와드파니
- * '''니켄슨 폴'''
- * 마크 제이콥스
- * 키마니 네드
- * 타이리스 기스버사
- '''미드필더'''
- * '''로비엔 오스티아나'''
- * 스티븐 루아
- * 디마조 센치
- * 이선 트롬프
- * '''월터 베넷'''
- * 이사히 마르셀리아
- * 에드워드 클라리사
- * 프랭클린 루이스
- '''공격수'''
- * 타이론 페레트 겐틸
- * 제이든 크루이덴호프
- * '''테렌스 흐로투이선'''
- * 하비에르 히메네스
- * 리안젤로 보에후트
5. 역대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Arub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Rec.Sport 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10-11-17
[2]
웹사이트
Aruba national team
https://www.internat[...]
2022-03-25
[3]
웹사이트
Aruba - List of International Matches
https://www.rsssf.or[...]
2023-02-02
[4]
웹사이트
Olympic Players, Helsinki Bound
https://archive.org/[...]
1952-06-06
[5]
웹사이트
Adriaan Brokke
https://www.olympedi[...]
2023-06-12
[6]
웹사이트
Oncena Arubano a derrota Botafago cu un score di 3-1
https://archive.org/[...]
1952-08-11
[7]
웹사이트
Football: Aruba Wins Interland Series
https://archive.org/[...]
1953-02-14
[8]
웹사이트
Squad Announcement
https://www.facebook[...]
Arubaanse Voetbal Bond - AVB
[9]
웹사이트
Aruba
https://www.national[...]
2022-06-07
[10]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https://www.eloratin[...]
2018-11-09
[11]
웹사이트
World Football Elo Ratings: Aruba
https://www.eloratin[...]
2019-03-23
[12]
웹사이트
Aruba national football team statistics and records: All-time record
http://www.11v11.com[...]
11v11.com
2020-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