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68년 창설되어 1974년 FIFA에 가입했다. FIFA 월드컵 예선에는 2002년부터 참가했으나, 2026년 대회에서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 CONCACAF 골드컵에는 여러 차례 예선에 참가했지만 본선에는 오른 적이 없으며,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C 디비전에서 활동하고 있다. 역대 감독으로는 게리 화이트, 크리스 키워미야 등이 있으며, 안드레 빌라스보아스가 기술 이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별칭 | 더 네이처 보이즈 |
협회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협회 |
연맹 | CONCACAF (북아메리카) |
하위 연맹 | CFU (카리브) |
홈 경기장 | A.O. 셜리 레크리에이션 그라운드 |
FIFA 코드 | VGB |
기록 | |
최고 FIFA 랭킹 | 160위 (2000년 3월, 2002년 8월~11월) |
최저 FIFA 랭킹 | 209위 (2022년 3월) |
Elo 최고 랭킹 | 171위 (1989년) |
Elo 최저 랭킹 | 230위 (2017년) |
주요 인물 | |
감독 | 공석 |
주장 | 트로이 시저 |
최다 출장 선수 | 트로이 시저 (30) |
최다 득점 선수 | 아본데일 윌리엄스 (5) |
경기 기록 | |
첫 경기 | 앵귈라 0–1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더 밸리, 1985년 10월) |
최다 점수차 승리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6–0 앵귈라 축구 국가대표팀 ( 마리고, 1990년 3월 28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도미니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17–0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산크리스토발, 2010년 10월 14일) |
대회 기록 | |
CONCACAF 골드컵 | 출전: 0회 최고 성적: 없음 |
카리브컵 | 출전: 0회 최고 성적: 없음 |
2. 역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서 축구는 영국 해군 선원과 외국인들 사이에서 시작되었다. 1968년 왕립 공병대 팀을 기반으로 축구 대표팀이 만들어졌고, 1973년에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협회가 설립되었다. 1974년에는 FIFA에 가입했다.[1] 2000년과 2001년에는 안드레 빌라스보아스가 대표팀의 기술 이사로 활동했다.[2]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 참가한 이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오랫동안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하지만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를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며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5][16]
월드컵 예선 기록은 다음과 같다.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1994년 | 비회원국 | ||||||
1998년 | 불참 | ||||||
2002년 | 2 | 0 | 0 | 2 | 1 | 14 | 0 |
2006년 | 2 | 0 | 0 | 2 | 0 | 10 | 0 |
2010년 | 2 | 0 | 2 | 0 | 3 | 3 | 2 |
2014년 | 2 | 0 | 0 | 2 | 1 | 4 | 0 |
2018년 | 2 | 0 | 1 | 1 | 2 | 3 | 1 |
2022년 | 4 | 0 | 0 | 4 | 0 | 19 | 0 |
2026년 | 2 | 0 | 2 | 0 | 1 | 1 | 2 |
합계 | 16 | 0 | 5 | 11 | 8 | 54 | 5 |
CONCACAF 골드컵의 경우, 카리비안 컵과 CONCACAF 네이션스 리그를 통해 예선에 참가했지만, 아직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2. 1. 초기 역사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서 초창기 축구 경기는 영국 해군 선원과 외국인들이 참여하여 진행되었다. 1968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대표팀은 왕립 공병대 팀을 모체로 결성되었고, 1973년에는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협회가 설립되었다. 1974년에 FIFA에 가입했다.[1] 토트넘, 첼시 그리고 포르투의 감독이었던 포르투갈 출신 안드레 빌라스보아스는 2000년과 2001년에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국가대표팀의 기술 이사로 처음 직무를 수행했다.[2]2. 2. FIFA 월드컵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후 6대회 연속 1차 예선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가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의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 1·2차전 합계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2로 꺾고 사상 첫 2차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5][16]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1995년 카리브해 축구 연맹(CFU), 1996년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과 국제 축구 연맹(FIFA)에 가입했다.[9] 월드컵 예선에는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처음 출전했다.
월드컵 북중미 카리브해 예선은 일부 시드권을 얻은 팀이 예선 일부를 면제받고 상위 라운드부터 출전하며, 나머지 팀들이 하위 라운드부터 참가하여 본선 출전을 다투는 형식이었으나,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1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1차 예선은 2경기 방식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리한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방식이었는데[10],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2002년 대회에서 버뮤다에 1-5, 0-9 (2경기 합계 1-14), 2006년 대회에서는 세인트루시아에 0-1, 0-9 (2경기 합계 0-10)의 큰 점수 차로 패배했다.
2010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에서 바하마와의 대결이 성사되었고, 이를 이길 경우 다음 2차 예선에서 시드국인 자메이카와 대결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경기장이 FIFA 규정에 적합하지 않아 상대국인 바하마의 수도 나소에서 2경기를 치르게 되었으며, 일정의 편의를 위해 제1전을 바하마의 홈, 제2전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홈으로 개최하게 되었다.[11] 제1전을 1-1로 비기면서 월드컵 예선 첫 승점을 기록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이어진 제2전에서는 후반 12분까지 0-2로 2점을 리드당하는 상황이었으나, 이후 따라붙어 2-2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11] 2전 2무승부, 2경기 합계 3-3의 결과가 나왔지만, 일정상 제1전이 바하마의 홈, 제2전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홈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12] 바하마가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게 되어 1차 예선 통과에 실패했다. 2무승부로 1차 예선에서 탈락했지만,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이 대회에서 예선과 본선을 통틀어 모든 경기를 무패로 마친 유일한 팀이 되었다.[13]
2014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에서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에 0-2, 1-2 (2경기 합계 1-4), 2018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에서 도미니카 연방에 2-3, 0-0 (2경기 합계 2-3)[14]으로 실점을 적게 억제했지만 패배하여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의 방식이 종전보다 크게 바뀌어, FIFA 랭킹 하위 30개국을 5개국씩 6개 조로 나누어 풀 리그를 실시하고, 각 조 상위 1개국이 2차 예선에 진출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퀴라소, 과테말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쿠바와 함께 C조에 편성되었으나, 4전 전패(득점 0, 실점 19)로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2026년 대회에서는 1차 예선의 형식이 종전의 2경기 방식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돌아왔지만,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의 대결이 성사되었다. 원정에서 치러진 제1전을 1-1로 비긴 후, 홈 로드 타운에서 치러진 제2전은 0-0 무승부로 90분이 종료되었다. 이 시점에서 2경기 합계 1-1 동점이었지만, 이 대회에서는 홈 앤드 어웨이에서 두 팀이 대결하는 경우 원정 다득점 원칙이 적용되지 않기[15] 때문에 연장전에 돌입했다. 이 경기에서 연장전에서도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에 돌입했지만, 이를 4-2로 제압하여 2차 예선 진출을 결정했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가 월드컵 북중미 카리브해 예선에서 2차 예선에 진출한 것은 사상 최초의 일이었다.[16] 2차 예선에서는 자메이카, 과테말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과 같은 E조에 편성되었다.
년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30년 ~ 1994년 | 비회원국 | ||||||
1998년 | 불참 | ||||||
2002년 | 2 | 0 | 0 | 2 | 1 | 14 | 0 |
2006년 | 2 | 0 | 0 | 2 | 0 | 10 | 0 |
2010년 | 2 | 0 | 2 | 0 | 3 | 3 | 2 |
2014년 | 2 | 0 | 0 | 2 | 1 | 4 | 0 |
2018년 | 2 | 0 | 1 | 1 | 2 | 3 | 1 |
2022년 | 4 | 0 | 0 | 4 | 0 | 19 | 0 |
2026년 | 2 | 0 | 2 | 0 | 1 | 1 | 2 |
합계 | 16 | 0 | 5 | 11 | 8 | 54 | 5 |
2. 3. CONCACAF 골드컵
- 1963년 ~ 1989년 - 불참
- 1991년 ~ 1993년 - 예선 탈락
- 1996년 - 기권
- 1998년 ~ 2005년 - 예선 탈락
- 2007년 - 기권
- 2009년 ~ 2021년 - 예선 탈락
북중미 카리브해 대륙 선수권 대회인 CONCACAF 골드컵에서, 카리브해 팀들은 2017년까지 카리비안 컵이 골드컵 예선을 겸했다.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는 1989년 대회부터 2017년 대회까지, 기권한 1995년 대회와 2007년 대회, 불참한 1996년 대회를 제외한 모든 대회의 예선에 참가했지만, 예선을 통과한 적은 없어 골드컵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7년에 카리비안 컵이 종료된 후에는 CONCACAF 네이션스 리그가 예선을 겸하게 되었지만, 골드컵 본선에 출전할 수 있는 성적을 거둔 적은 없어 역시 본선 출전은 이루지 못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 참가한 이후 6번 연속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5]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2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14 |
2006 | 예선 탈락 | 2 | 0 | 0 | 2 | 0 | 10 |
2010 | 예선 탈락 | 2 | 0 | 2 | 0 | 3 | 3 |
2014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4 |
2018 | 예선 탈락 | 2 | 0 | 1 | 1 | 2 | 3 |
2022 | 예선 탈락 | 4 | 0 | 0 | 4 | 0 | 19 |
2026 | 예선 진행중 | 4 | 0 | 2 | 2 | 1 | 8 |
합계 | 예선 6회 진출 | 18 | 0 | 5 | 13 | 9 | 61 |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30위를 기록하며 리그 C에 편입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이후 여러 시즌 동안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했다. 2024-25 시즌에는 리그 C의 C조에서 경기를 치렀으나, 4전 전패하며 1득점 7실점을 기록, 조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시즌 | 디비전 | 그룹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강 | 결선 결과 |
2019-20 | C | B | 4 | 0 | 0 | 4 | 5 | 15 | 출전 불가 | |
2022-23 | C | D | 4 | 0 | 2 | 2 | 3 | 11 | 출전 불가 | |
2023-24 | C | B | 4 | 1 | 2 | 1 | 7 | 6 | 출전 불가 | |
2024-25 | C | C | 4 | 0 | 0 | 4 | 1 | 7 | 출전 불가 | |
2026-27 | C | 미정 | 미정 | |||||||
총계 | — | — | 16 | 1 | 4 | 11 | 16 | 39 | — | 0 타이틀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역사 | |
---|---|
첫 경기 | 4–2 (2019년 9월 6일; 빌렘스타트, 퀴라소) |
최다 점수차 승리 | 3–1 (2023년 9월 9일; 로드 타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최다 점수차 패배 | 6–0 (2022년 6월 12일; 마야구에스, 푸에르토 리코) |
최고 결과 | — |
최악 결과 | — |
3. 1. FIFA 월드컵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2002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에 처음 참가한 이후 6번 연속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나 2026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1차 예선에서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5]- 2002년 대회에서는 버뮤다에 1-14로 패배했다.
- 2006년 대회에서는 세인트루시아에 0-10으로 패배했다.[3]
- 2010년 대회에서는 바하마와 3-3으로 비겼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탈락했다.[4]
- 2014년 대회에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에 1-4로 패배했다.
- 2018년 대회에서는 도미니카 연방에 2-3으로 패배했다.[14]
- 2022년 대회에서는 4전 전패(득점 0, 실점 19)로 1차 예선에서 탈락했다.
- 2026년 대회에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 1-1 (승부차기 4-2)로 승리하여 사상 처음으로 2차 예선에 진출했다.[5] 2차 예선에서는 자메이카, 과테말라, 도미니카 공화국, 도미니카 연방과 같은 E조에 편성되었다.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2002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14 |
2006 | 예선 탈락 | 2 | 0 | 0 | 2 | 0 | 10 |
2010 | 예선 탈락 | 2 | 0 | 2 | 0 | 3 | 3 |
2014 | 예선 탈락 | 2 | 0 | 0 | 2 | 1 | 4 |
2018 | 예선 탈락 | 2 | 0 | 1 | 1 | 2 | 3 |
2022 | 예선 탈락 | 4 | 0 | 0 | 4 | 0 | 19 |
2026 | 예선 진행중 | 4 | 0 | 2 | 2 | 1 | 8 |
합계 | 예선 6회 진출 | 18 | 0 | 5 | 13 | 9 | 61 |
3. 2.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30위를 기록하며 리그 C에 편입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이후 여러 시즌 동안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했다. 2024-25 시즌에는 리그 C의 C조에서 경기를 치렀으나, 4전 전패하며 1득점 7실점을 기록, 조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시즌 | 디비전 | 그룹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강 | 결선 결과 |
2019-20 | C | B | 4 | 0 | 0 | 4 | 5 | 15 | 출전 불가 | |
2022-23 | C | D | 4 | 0 | 2 | 2 | 3 | 11 | 출전 불가 | |
2023-24 | C | B | 4 | 1 | 2 | 1 | 7 | 6 | 출전 불가 | |
2024-25 | C | C | 4 | 0 | 0 | 4 | 1 | 7 | 출전 불가 | |
2026-27 | C | 미정 | 미정 | |||||||
총계 | — | — | 16 | 1 | 4 | 11 | 16 | 39 | — | 0 타이틀 |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역사 | |
---|---|
첫 경기 | 4–2 (2019년 9월 6일; 빌렘스타트, 퀴라소) |
최다 점수차 승리 | 3–1 (2023년 9월 9일; 로드 타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최다 점수차 패배 | 6–0 (2022년 6월 12일; 마야구에스, 푸에르토 리코) |
최고 결과 | — |
최악 결과 | — |
3. 2. 1.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0위로 리그 C에 편입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바하마, 보네르와 함께 B조에 편성되었으나 4전 전패·조 최하위로 첫 시즌을 마쳤다.3. 2. 2. 2022-2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2022-23 시즌에서도 리그 C에서 시작한 뒤 푸에르토리코, 케이맨 제도와 D조에 편성되어 2무 2패로 케이맨 제도와 동률을 이뤘지만 골득실차에서 케이맨 제도에 단 1점차로 밀리며 3팀 중 최하위로 마감했다.3. 2. 3. 2023-24 CONCACAF 네이션스리그 C
2023-24 시즌에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리그 C에서 시작하여 도미니카 연방,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와 C조에 편성되었다. 1차전에서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를 3-1로 완파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첫 승을 올리는 등 1승 2무 1패, 조 2위로 2023-24 시즌을 마무리했다.4. 선수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칼로스 셉터스, 트로이 시저, 벤 채프먼 등 여러 포지션의 선수들이 있다.
현역 선수 중에서는 트로이 시저가 30경기로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크리스티안 하비에르가 27경기로 뒤를 잇는다. 타일러 포브스는 25경기에서 4골을 기록, 현역 선수 중 최다 득점을 올리고 있다.
역대 최다 득점 선수는 에이번데일 윌리엄스로, 15경기에서 5골을 넣었다. 조던 존슨과 타일러 포브스는 각각 8경기와 25경기에서 4골로 공동 2위이다.
현재 대표팀에는 골키퍼로 사이먼 크로스, 아킴 패디가 있으며, 수비수로는 트로이 카이사르, 미구엘 마샬, 저스틴 스미스, 이키자 윌리엄스 등이 있다. 미드필더는 크리스티안 하비에르, 루카 찰웰, 조하리 레이시 등이며, 공격수는 타일러 포브스, 아자르니 콜우드 등이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24년 10월 9일과 12일에 세인트키츠 네비스 및 케이맨 제도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C 경기에 소집된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이다.[6]''2024년 10월 12일, 케이맨 제도와의 경기 이후 출장 및 득점 기록.''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
GK | 사이먼 크로스 | Simon Cross|사이먼 크로스영어 | 2 | 0 | Wolues FC |
GK | Akeem Paddy | Akeem Paddy|아킴 패디영어 | 0 | 0 | |
DF | 트로이 카이사르 | Troy Caesar|트로이 카이사르영어 | 34 | 3 | Islanders FC |
DF | 미구엘 마샬 | Miguel Marshall|미구엘 마샬영어 | 25 | 0 | Poole Town |
DF | 저스틴 스미스 | Justin Smith|저스틴 스미스영어 | 17 | 1 | One Love United |
DF | 이키자 윌리엄스 | Ikyjah Williams|이키자 윌리엄스영어 | 14 | 0 | Rebels |
DF | 제이든 에이브럼스 | Jaden Abrams|제이든 에이브럼스영어 | 11 | 0 | Virgin Gorda United |
DF | T'Khoy Morton | T'Khoy Morton|투호이 모튼영어 | 5 | 0 | Virgin Gorda United |
DF | 오마리 시몬스 | Omari Simmons|오마리 시몬스영어 | 2 | 0 | FCV Grace Dieu |
DF | Momchil Yordanov | Momchil Yordanov|몬칠 요르다노프영어 | 1 | 0 | Eastbourne Borough |
MF | 크리스티안 하비에르 | Kristian Javier|크리스티안 하비에르영어 | 30 | 1 | AC Commonwealth |
MF | 루카 찰웰 | Luca Chalwell|루카 찰웰영어 | 21 | 3 | Winchester City |
MF | 조하리 레이시 | Johari Lacey|조하리 레이시영어 | 8 | 0 | Scarborough FS |
MF | 타이 토마스 | Tai Thomas|타이 토마스영어 | 2 | 0 | Wolues FC |
MF | 레본 윌리엄스 | Levon Williams|레본 윌리엄스영어 | 2 | 0 | Virgin Gouda United |
MF | Rush Broderick | Rush Broderick|래쉬 브로드릭영어 | 0 | 0 | Wolues FC |
FW | 타일러 포브스 | Tyler Forbes|타일러 포브스영어 | 28 | 4 | Poole Town |
FW | 아자르니 콜우드 | Azarni Callwood|아자르니 콜우드영어 | 8 | 0 | Rebels |
FW | Jaadon Quashie | Jaadon Quashie|저돈 콰시영어 | 3 | 0 | Virgin Gouda United |
FW | 조엘 마스 | Joel Mars|조엘 마스영어 | 1 | 0 | Virgin Gouda United |
4. 2. 주요 선수
'''현역 선수'''순위 | 선수 | 출장 | 골 | 경력 |
---|---|---|---|---|
1 | 트로이 시저 | 30 | 3 | 2010–현재 |
2 | 크리스티안 하비에르 | 27 | 0 | 2016–현재 |
3 | 카를로스 셉투스 | 25 | 1 | 2011–현재 |
타일러 포브스 | 25 | 4 | 2018–현재 | |
5 | ''T샤른 갈리모어''' | 22 | 1 | 2018–현재 |
미구엘 마샬 | 22 | 0 | 2019–현재 | |
7 | 루카 찰웰 | 21 | 3 | 2021–현재 |
8 | 로버트 그린 | 19 | 0 | 2018–현재 |
9 | 제이미 윌슨 | 17 | 3 | 2018–현재 |
'''역대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비율 | 활동 기간 |
---|---|---|---|---|---|
1 | 에이번데일 윌리엄스 | 5 | 15 | 2000–2012 | |
2 | 조던 존슨 | 4 | 8 | 2015–2018 | |
타일러 포브스 | 4 | 25 | 2018–현재 | ||
4 | 자이로 모리스 | 3 | 5 | 2004 | |
제이미 윌슨 | 3 | 17 | 2018–현재 | ||
루카 찰웰 | 3 | 21 | 2021–현재 | ||
트로이 시저 | 3 | 30 | 2010–현재 | ||
8 | 헨로이 미첼 | 2 | 2 | 2010 | |
마이클 허긴스 | 2 | 2 | 2002 | ||
베일리 로우 | 2 | 5 | 2018–2019 | ||
피터슨 아질레 | 2 | 6 | 2000–2004 | ||
개럿 페론 | 2 | 6 | 2000–2004 | ||
벤튼 제임스 | 2 | 8 | 2004–2008 | ||
로한 레논 | 2 | 13 | 2000–2008 | ||
제리 윌트셔 | 2 | 16 | 2019–현재 | ||
'''기타 주요 선수'''
- 칼로스 셉터스
- 벤 채프먼
'''골키퍼'''
- 사이먼 크로스
- 아킴 패디
'''수비수'''
- 투호이 모튼
- 몬칠 요르다노프
- 오마리 시몬스
- 이키자 윌리엄스
'''미드필더'''
- 조하리 레이시
- 레본 윌리엄스
- 저스틴 스미스
- 래쉬 브로드릭
- 타이 토마스
'''공격수'''
- 제이든 아브람스
- 조엘 마스
- 아자르니 콜우드
- 저돈 콰시
5. 감독
안드레 빌라스보아스pt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테크니컬 디렉터 직을 맡았다.[1] 그는 이후 토트넘, 첼시, 포르투 등 유명 축구 클럽의 감독을 역임하였다.[1]
5. 1. 역대 감독
- 게리 화이트 (1998–1999)[1]
- 그레고리 그랜트 (2000)[1]
- 윌리엄 H. 모라벡 (2000–2001)[1]
- 패트릭 미첼 (2002)[1]
- 마이클 툴로크 (2004)[1]
- 벤 데이비스 (2004)[1]
- 패트릭 미첼 (2008)[1]
- 아본데일 윌리엄스 (2008–2018)[1]
- 존 라일리 (2018–2020)[1]
- 댄 네빌 (2021)[1]
- 크리스 키워미야 (2021–)[1]
안드레 빌라스보아스pt는 2000년부터 2001년까지 테크니컬 디렉터 직을 맡았는데, 그는 이후 토트넘, 첼시, 포르투 등의 감독을 역임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bvifootba[...]
2013-05-19
[2]
뉴스
Virgin Islands recall their days in the sun under former coach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17-12-20
[3]
웹사이트
St. Lucia flogs BVI 9–0 in World Cup qualifier
http://www.islandsun[...]
2008-05-06
[4]
웹사이트
2018 FIFA World Cup Russia – Qualifiers – North, Central America and Caribbean – All Matches
https://www.fifa.com[...]
2017-02-08
[5]
뉴스
British Virgin Islands and Anguilla progress for the first time
https://www.fifa.com[...]
FIFA
2024-03-27
[6]
Instagram
Here we go!
2024-10-13
[7]
웹사이트
British Virgin Islands
https://www.national[...]
[8]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10]
문서
2002 FIFAワールドカップ・北中米カリブ海予選|2002年大会では、1次予選が中米とカリブ海に分かれて開催されたが、イギリス領ヴァージン諸島の所属するカリブ海地区では、参加する24か国を8か国ずつ3つのグループに分けてトーナメント方式|ノックアウト式トーナメントを行い、残った1か国が2次予選に進出する方式が採用されていた。2006 FIFAワールドカップ・北中米カリブ海予選|2006年大会以降は、2022 FIFAワールドカップ・北中米カリブ海予選|2022年大会を除いてFIFAランキングの低い一部の国が2か国ずつのグループに分かれ、勝利した国が次のラウンドに進出する方式が使われている。
[11]
웹사이트
No.693 英領バージン諸島の不運 - サッカーの話をしよう 大住良之オフィシャルアーカイブサイト
http://www.soccertal[...]
[12]
문서
イギリス領ヴァージン諸島 1-2 バハマ
[13]
문서
2010年のワールドカップ本大会で無敗で終えたチームにはサッカーニュージーランド代表|ニュージーランドがいるが、ニュージーランドはOFCネイションズカップ2008|ネイションズカップを兼ねたオセアニア2次予選でサッカーフィジー代表|フィジーに敗れた試合があるため、予選を含めた全試合を無敗ではなかった。またこの大会で優勝したサッカースペイン代表|スペインは2010 FIFAワールドカップ・ヨーロッパ予選|欧州予選は無敗で抜けたが、本大会のグループリーグでサッカースイス代表|スイスに敗れている。
[14]
문서
この大会ではイギリス領ヴァージン諸島のホームゲームも相手のドミニカ国の会場で実施されたが、第1戦がイギリス領ヴァージン諸島のホーム、第2戦がドミニカ国のホームとされた。また第2戦では2010年大会でのバハマ戦以来2大会ぶりに予選で勝ち点を得た。
[15]
웹사이트
REGULATIONS FIFA World Cup 2026™ Preliminary Competition
https://digitalhub.f[...]
FIFA
2023-10-08
[16]
웹사이트
イギリス領ヴァージン諸島とアンギラが初のワールドカップ二次予選進出
https://www.fifa.com[...]
FIFA
2024-07-14
[17]
문서
予選の組み合わせが決定した後に棄権したため、全ての試合が0-3の敗戦扱いと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