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네 티셀리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네 티셀리우스는 단백질 전기 영동법 연구로 194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스웨덴의 생화학자이다. 그는 웁살라 대학교에서 유기 화학을 공부하고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조수를 거쳐 단백질 전기 영동법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웨덴 과학 연구 재편에 참여했으며,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 회장과 노벨 재단 이사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생화학자 -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체 내 역할 연구로 198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스웨덴의 생화학자이며, 카롤린스카 연구소 총장과 노벨 재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2024년 사망했다.
  • 스웨덴의 생화학자 - 수네 베리스트룀
    수네 베리스트룀은 프로스타글란딘 연구로 198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스웨덴의 생화학자이다.
  • 스웨덴의 노벨상 수상자 - 안 륄리에
    안 륄리에는 고차 고조파 발생 연구를 통해 아토초 펄스 생성 및 응용 분야를 개척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출신의 물리학자이다.
  • 스웨덴의 노벨상 수상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웁살라 대학교 동문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웁살라 대학교 동문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아르네 티셀리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네 티셀리우스 (1948년)
아르네 티셀리우스 (1948년)
출생 이름Arne Wilhelm Kaurin Tiselius
출생일1902년 8월 10일
출생지스웨덴 스톡홀름
사망일1971년 10월 29일
사망지스웨덴 웁살라
국적스웨덴
연구 분야
분야화학
근무 기관웁살라 대학교
모교웁살라 대학교
주요 업적전기 영동
수상
수상 내역비에르켄스카 프라이즈 (1940년)
노벨 화학상 (1948년)
센테너리 프라이즈 (1953년)
프랭클린 메달 (1955년)
왕립학회 회원 (1957년)

2. 생애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웁살라 대학교에서 유기화학을 공부했다. 노벨상 수상자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밑에서 연구했으며, 1931년 학위를 받았다. 1938년 웁살라 대학교에 생화학과가 신설되자 초대 교수가 되었으며, 전기영동과 흡착 분석 연구로 유명하다. 1948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1]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가족과 함께 예테보리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1921년 현지 "레알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웁살라 대학교에 입학하여 화학을 전공했다. 1925년부터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조수를 맡았으며, 1930년단백질의 전기 영동법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1935년까지 제올라이트에서의 주성분의 흡착과 탈착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로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서 록펠러 재단의 연구 장려금을 받았다. 웁살라 대학교로 돌아와 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생화학적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전기 영동법을 더욱 정밀하게 만들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에 전기 영동 연구 등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스웨덴 화학계의 발전에 헌신했으며, 1951년부터 1955년까지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1957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71년 웁살라에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스톡홀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사망 후, 가족은 예테보리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학교를 다녔다. 1921년 현지 "레알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웁살라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다. 1925년부터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조수를 맡았으며, 1930년단백질의 전기 영동법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1935년까지 제올라이트에서의 주성분의 흡착과 탈착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연구로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에서 록펠러 재단의 연구 장려금을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

스톡홀름에서 태어나 웁살라 대학교에서 유기화학을 공부했다. 노벨상 수상자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밑에서 연구했으며, 1931년 학위를 받았다. 1938년 웁살라 대학교에 생화학과가 신설되자 초대 교수가 되었으며, 전기영동과 흡착 분석 연구로 유명하다. 이러한 공로로 1948년에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12]

1925년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연구실에서 연구 조교가 되었고, 1930년 단백질전기영동을 연구하는 이동 경계 방법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그 후 1935년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염기 교환 제올라이트확산흡착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연구는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프린스턴 대학교의 휴 스토트 테일러 연구실에서 1년간 방문하는 동안 계속되었다.[12] 웁살라로 돌아온 그는 단백질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었고, 생화학적 문제에 물리적 방법을 적용했다.[12] 이로 인해 그는 이후 몇 년 동안 개선된 전기영동 분석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웨덴의 과학 연구 재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1951년부터 1955년까지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 회장을 역임했다. 1960년부터 1964년까지 노벨 재단 이사회의 의장을 맡았다.[12]

3. 연구 업적

티셀리우스는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연구실에서 연구 조교로 일하며 단백질전기영동을 연구했고, 제올라이트확산흡착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하기도 했다.[12] 웁살라로 돌아와서는 단백질 연구와 생화학적 문제에 물리적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에 집중하여 전기영동 분석 방법을 개선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스웨덴의 과학 연구 재편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 회장(1951년 ~ 1955년)과 노벨 재단 이사회 의장(1960년 ~ 1964년)을 역임했다.[12]

3. 1. 전기영동법 개발

티셀리우스는 1925년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의 연구실에서 연구 조교가 되었고, 1930년 단백질전기영동을 연구하는 이동 경계 방법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이후 1935년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염기 교환 제올라이트확산흡착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연구는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프린스턴 대학교 휴 스토트 테일러 연구실에서 1년간 방문 연구를 하는 동안 계속되었다.[12] 웁살라로 돌아온 그는 단백질에 대한 관심을 다시 갖게 되었고, 생화학적 문제에 물리적 방법을 적용하여 이후 몇 년 동안 개선된 전기영동 분석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12]

3. 2. 제올라이트 연구

티셀리우스는 1935년까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염기 교환 제올라이트확산흡착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연구는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프린스턴 대학교의 휴 스토트 테일러 연구실에서 1년간 방문 연구를 하는 동안 계속되었다.[12] 웁살라 대학교로 돌아온 후에는 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생화학적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전기 영동법을 더욱 정밀하게 만들었다.[12]

4. 과학 행정 및 사회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에 전기 영동 연구 등으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 후 스웨덴 화학계의 발전에 헌신했으며, 1951년부터 1955년까지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의 이사장을 역임했다. 1957년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4. 1. 티셀리우스의 인용문

> 우리는 진실과 거짓의 구분이 사실의 조작, 비판적 사고가 결여된 사람들의 이용, 언어 오염으로 인해 점점 더 모호해지는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아르네 티셀리우스''[13]

5. 수상 및 서훈

아르네 티셀리우스는 194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달의 티셀리우스 크레이터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4]

5. 1. 노벨 화학상

Arne Tiselius영어는 1948년에 전기영동 및 흡착 분석에 대한 연구, 특히 혈청 단백질의 복잡한 성질을 밝혀낸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4]

5. 2. 기타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49년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외국 회원[14]
1953년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센테니얼상
1955년프랭클린 메달,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호프만 메달
1957년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1][16]
1961년파울 카러 골드 메달[17]
1964년미국 철학회 회원[18]


5. 3. 회원

6. 개인사

티셀리우스는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었다. 1971년 10월 29일 웁살라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고, 그의 부인은 1986년에 사망했다.[19] 그는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가족과 함께 예테보리로 이주하여 교육을 받았다. 1921년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웁살라 대학교에 입학하여 화학을 전공했다.

참조

[1]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2] 논문 Arne Tiselius—father of electrophoresis
[3] 논문 A new apparatus for electrophoretic analysis of colloidal mixtures
[4] 논문 The moving-boundary method of studying the electrophoresis of proteins
[5] 논문 Refl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Counter
[6] 논문 Alpha-, beta-, gamma-globulin—Arne Tiselius and the advent of electrophoresis
[7] 논문 Laboratory technology and biological knowledge: The Tiselius electrophoresis apparatus, 1930–1945
[8] 논문 Dedication to Professor Arne Tiselius
[9]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10]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1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48 https://www.nobelpri[...] 2017-10-02
[12] 웹사이트 The Nobel Foundation: A Century of Growth and Change https://www.nobelpri[...] 2017-10-02
[13] 웹사이트 Podcast #709 - February 9, 2019 https://www.theskept[...] 2019-02-09
[14] 웹사이트 Arne Tiselius http://www.nasonline[...]
[15] 웹사이트 Arne Wilhelm Kaurin Tiselius https://www.amacad.o[...] 2022-11-03
[16] 웹사이트 Nobel Lecture Electrophoresis and Adsorption Analysis as Aids in Investigations of Large Molecular Weight Substanc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http://nobelprize.or[...]
[17] 웹사이트 List of Recipients http://www.chem.uzh.[...] University of Zurich 2015-12-05
[1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2-11-03
[19] 웹사이트 Ingrid Margareta Tiselius (Dahlén) (1905 - 1986) - Genealogy https://www.geni.com[...]
[20]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21] 논문 Arne Tiselius—father of electrophoresis
[22] 논문 A new apparatus for electrophoretic analysis of colloidal mixtures
[23] 논문 The moving-boundary method of studying the electrophoresis of proteins
[24] 논문 Refl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Counter
[25] 논문 Alpha-, beta-, gamma-globulin—Arne Tiselius and the advent of electrophoresis https://archive.org/[...]
[26] 논문 Laboratory technology and biological knowledge: The Tiselius electrophoresis apparatus, 1930–1945
[27] 논문 Dedication to Professor Arne Tiselius
[28]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29] 논문 Arne Tiselius 1902–1971
[3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48 https://www.nobelpri[...] 2017-10-02
[31] 웹사이트 Nobel Lecture Electrophoresis and Adsorption Analysis as Aids in Investigations of Large Molecular Weight Substanc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http://nobelpriz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