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테미시아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테미시아 2세는 헤카톰노스 왕조 출신으로, 남편이자 오빠였던 마우솔로스의 사후 그의 재를 마시는 음료에 섞어 마시는 등 극진한 애도로 유명하다. 그녀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할리카르나소스에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마우솔레움을 건설했으며, 로도스 섬을 정복하고 라트무스를 점령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세웠다. 르네상스 시대부터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었으며, 쑥속 식물의 학명에 그녀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세기 사람 - 마우솔로스
    마우솔로스는 아케메네스 제국 카리아의 사트라프로서 헬레니즘 문화와 융합을 추구하며 수도를 이전하고 재건하는 건축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사후 그의 무덤인 할리카르나소스 마우솔레움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가 되었다.
  • 기원전 4세기 여자 통치자 - 올림피아스
    올림피아스는 기원전 4세기 에피루스의 공주이자 마케도니아의 왕비로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어머니이며, 필리포스 2세와의 결혼으로 왕비가 되어 아들의 왕위 계승을 위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필리포스 2세 사후 섭정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다 카산드로스에 의해 살해당했다.
  • 기원전 4세기 여자 통치자 - 선태후
    선태후는 중국 전국시대 진나라 혜문왕의 후궁이자 소양왕의 생모로, 소양왕의 섭정 기간 동안 실질적인 통치자 역할을 하며 위염, 미융 등 동생들을 중용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국정을 운영했으며, 의거왕과의 관계를 통해 북방 안정을 꾀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으나, 권력 남용, 사치스러운 생활, 의거왕 살해 등의 부정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아르테미시아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르테미시아 2세의 원래 모습과 재구성
대영박물관에 소장된 할리카르나소스 마우솔레움 출토 아르테미시아 조각상의 원본과 재구성
통치 기간기원전 353년 – 기원전 351년
직위카리아의 사트라프
전임마우솔로스
후임이드리에우스
배우자마우솔로스
가문헤카톰니드 왕조
아버지헤카톰누스
어머니미상
출생 시기기원전 395년경
종교그리스 다신교
설명
'남편 마우솔로스의 재를 마시려 하는 아르테미시아 2세' (프란체스코 푸리니, 1630년경)

2. 생애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에서 출토된 남녀의 거대한 조각상, 전통적으로 아르테미시아 2세와 마우솔로스로 여겨짐, 기원전 350년경, 대영 박물관.


아르테미시아 2세는 헤카톰노스 왕조의 일원으로, 아버지는 헤카톰노스였다. 어머니는 헤카톰노스의 누이인 아바(Aba)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4][5] 그녀는 남편이자 오빠인 마우솔로스의 죽음에 대한 엄청난 슬픔으로 유명하다.[6]

아르테미시아는 함대를 지휘하여 에게 해의 군사적, 정치적 문제에 관여했다.[2] 로도스 섬 공화국은 여성이 카리아를 통치한다는 사실에 반발하여 함대를 보냈지만, 아르테미시아는 계략을 써서 로도스 함대를 격파하고 로도스를 점령하였다.[2]

폴리아에누스는 ''계략''에서 아르테미시아가 라트무스를 정복하려 했을 때, 병사들을 매복시키고 여성, 환관, 음악가들과 함께 키벨레의 신성한 숲에서 제사를 지내는 척하여 라트무스 주민들을 유인한 후 도시를 점령했다고 기록했다.[7][8]

thumb 미니어처 박물관, 미니어튀르의 할리카르나소스 마우솔레움 축소 모형.]]

2. 1. 가족 관계 및 통치

아르테미시아 2세는 카리아의 통치자였던 헤카톰노스의 딸이었으며, 마우솔로스와 결혼하여 부부이자 공동 통치자로서 카리아를 다스렸다. 어머니가 누구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헤카톰노스의 누이이자 히살도모스의 딸인 아바였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4][5]

아르테미시아는 남편이자 오빠였던 마우솔로스가 죽자 그의 재를 매일 마시는 음료에 섞어 마실 정도로 몹시 슬퍼했으며, 그가 죽은 후 2년 동안 서서히 쇠약해졌다고 전해진다.[6] 그녀는 마우솔로스를 기리기 위해 할리카르나소스에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마우솔레움을 건설하였다.

로도스 섬은 여성이 카리아를 통치한다는 사실에 반발하여 함대를 보냈으나, 아르테미시아는 계략을 써서 로도스 함대를 격파하고 로도스를 점령하였다.[2]

2. 2. 마우솔로스의 죽음과 애도



아르테미시아는 남편이자 오빠인 마우솔로스의 죽음에 대한 엄청난 슬픔으로 역사에 널리 알려져 있다.[6] 그녀는 그의 재를 매일 마시는 음료에 섞었고, 그가 죽은 후 2년 동안 서서히 쇠약해졌다고 한다. 그녀는 가장 저명한 고대 그리스웅변가들에게 그의 칭송을 연설하도록 했고, 그의 기억을 영원히 하기 위해 할리카르나소스에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안티파테르 오브 시돈이 언급한 유명한 마우솔레움을 세웠으며, 그 이름은 이후 화려한 묘비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

2. 3. 마우솔레움 건립



아르테미시아 2세는 남편이자 오빠인 마우솔로스의 죽음에 대한 엄청난 슬픔으로 역사에 널리 알려져 있다.[6] 그녀는 그의 재를 매일 마시는 음료에 섞었고, 그가 죽은 후 2년 동안 서서히 쇠약해졌다고 한다. 그녀는 가장 저명한 고대 그리스웅변가들에게 그의 칭찬을 연설하도록 했다.

아르테미시아 2세는 마우솔로스를 기리기 위해 할리카르나소스마우솔레움을 세웠다. 마우솔레움은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안티파테르 오브 시돈이 언급할 정도로 웅장하고 아름다웠으며, 그 이름은 이후 화려한 묘비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

3. 군사적 업적 및 로도스 정복

아르테미시아 2세는 함대를 직접 지휘하고 에게 해 지역의 정치, 군사 문제에 관여했다. 특히 아테네 해군의 우위가 쇠퇴한 후, 로도스 섬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여 카리아의 세력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로도스와의 전투 및 라트무스 정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로도스와의 갈등

로도스 섬 공화국은 여성이 카리아를 통치한다는 사실에 반대하여, 아르테미시아 2세에 대항하여 함대를 보냈다. 이때 로도스는 아르테미시아 2세의 죽은 남편 마우솔로스가 비밀 항구를 건설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아르테미시아 2세는 배의 노잡이와 해병을 숨기고 로도스인들이 주요 항구로 들어오도록 했다. 아르테미시아 2세와 그녀의 시민들은 도시 성벽에서 로도스인들을 만났고 그들을 도시로 초대했다. 로도스인들이 배에서 내리기 시작하자 아르테미시아 2세는 바다의 출구를 통해 주요 항구로 함대를 항해하여 비어있는 로도스 배를 점령했고, 하선한 로도스인들은 시장에서 살해되었다. 그 후 아르테미시아 2세는 자신의 사람들을 로도스 배에 태워 로도스로 돌아가게 했다. 사람들은 로도스 항구에서 환영을 받았고 로도스를 점령했다.[2]

3. 2. 라트무스 정복 (논란)

폴리아에누스는 그의 저서 ''계략''에서 아르테미시아 2세(혹은 아르테미시아 1세일 수도 있음)가 라트무스를 정복하기 위해 사용한 계략을 기록했다.[7] 아르테미시아는 병사들을 라트무스 근처에 매복시키고, 자신은 여자, 환관, 음악가들과 함께 도시에서 약 7stadia 떨어진 키벨레의 신성한 숲에서 제사를 지내는 척했다.[7] 웅장한 행렬을 구경하기 위해 라트무스 주민들이 밖으로 나오자, 매복해 있던 병사들이 도시를 점령했다.[8]

4. 기념물

아르테미시아 2세는 로도스 섬에 자신의 승리를 기념하는 기념물을 세웠다. 로도스인들은 자유를 되찾은 후, 이 기념물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후 이 기념물은 "접근 금지" 또는 "접근 불가능"을 의미하는 아바톤(άβατον)이라 불렸다. 이 청동상은 아르테미시아가 로도스 여신으로 묘사될 수 있는 로도스 섬의 의인화에 낙인을 찍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5. 후대의 평가 및 예술 작품

아르테미시아 2세는 남편 마우솔로스의 죽음에 대한 깊은 슬픔으로 역사에 널리 알려져 있다.[6] 그녀는 남편의 재를 매일 마시는 음료에 섞어 마셨고, 그가 죽은 후 2년 동안 서서히 쇠약해졌다고 한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저명한 웅변가들에게 남편을 칭송하는 연설을 부탁했고, 그의 기억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할리카르나소스마우솔레움을 세웠다. 이는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언급되며, 이후 화려한 묘비의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

아르테미시아 2세는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 작품의 주제로 자주 등장했다. 특히, 남편의 유골을 마시는 장면은 17세기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에서 많이 그려졌다.

5. 1. 문학 작품

조반니 보카치오는 그의 저서 《여걸전》에서 아르테미시아 2세를 정숙한 과부이자 순수한 사랑의 귀감으로 묘사했다.[3]

5. 2. 식물 이름

Artemisia이라는 식물 속은 식물학자이자 의학 연구자였던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2세 여왕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12][13] 이 속의 식물 중 하나인 Artemisia annua에서 추출되는 아르테미시닌말라리아 치료제로 사용되는데, 이 또한 간접적으로 아르테미시아 2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13]

5. 3.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렘브란트[9], 프란체스코 푸리니[10], 도메니코 페티[10] 등 많은 화가들이 남편의 유해를 마시는 아르테미시아 2세를 주제로 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17세기 중반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에서 이 주제가 유행했는데, 이는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활동했던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의 일화 모음집의 네덜란드어 번역본이 1614년에 출판된 것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9]

아르테미시아는 그림에서 항상 잔이나 항아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혼자 있거나 시중을 드는 사람들이 음료를 제공하거나 섞는 것을 돕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 주제는 소포니스바가 독을 마시는 장면과 매우 유사하여, 렘브란트의 작품과 국립 미술관의 도나토 크레티 작품과 같이 의도된 주제가 불확실하게 남아있는 예시도 있다.[10]

쉔브룬 궁전, 비엔나, 1773–1780년.


베르사유의 아르테미시아 2세 조각상.

참조

[1] 서적 Women and War in Antiquit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5-12-15
[2] 서적 Amazons to Fighter Pilots: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military women Greenwood Press
[3] 서적 De mulieribus claris Harvard University Press
[4] 서적 Colossae in Space and Time: Linking to an Ancient City https://books.google[...] Vandenhoeck & Ruprecht 2011-12-07
[5]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Women and Monarchy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09
[6] 논문 Alexander and Ada Reconsidered https://www.jstor.or[...] 2014
[7] 서적 Greek Religious Terminology – Telete & Orgia: A Revised and Expanded English Edition of the Studies by Zijderveld and Van der Burg https://books.google[...] BRILL 2009-10-31
[8] 서적 Stratagems http://www.attalus.o[...]
[9] 서적 Rembrandt's Reading: The artist's bookshelf of ancient poetry and history https://archive.org/[...] Amsterdam University Press
[10] 서적 Discovering the Italian Baroque: the Denis Mahon collection National Gallery Publications; Yale U. Press
[11] 웹사이트 Artemisia II http://www.britannic[...] 2012-06-07
[1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Botany https://books.google[...] D.F. Robinson & Company 1833
[13] 간행물 Artemisinin http://wwwnc.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4-07-04
[14] 서적 Natural History https://www.loebclas[...] Loeb Classics
[15] 서적 Lacus Curtius • Pliny the Elder's Natural History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16] 서적 Amazons to Fighter Pilots: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military women Greenwood Press
[17] 문서 오늘날 [[터키]] [[아나톨리아|아나톨리아반도]] 서남부에 위치했다.
[18] 문서 Diodorus Siculus, Bibliotheca, xvi. 36, 45; Demosthenes, Speeches, "On the liberty of the Rhodians", 11, 27
[19] 논문 할리카르나소스(Halikarnassos)의 마우솔레움(the Mausoleum)을 통해 마우솔로스가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 https://www.kci.go.k[...] 2019
[20] 문서 [[키케로]], Tusculanae Disputationes, iii. 31; 스트라보, Geography, xiv. 2; Aulus Gellius, Noctes Atticae, x. 18; Pliny, Natural History, xxv. 36, xxxvi. 4; Valerius Maximus, Facta et dicta memorabilia, iv. 6; Suda, s.v. "Artemisia", "Mausolo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