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카르나소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리카르나소스는 현재 터키의 보드룸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이다. 도리아인의 식민 도시로 시작하여 카리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헤카톰니드 왕조의 마우솔로스가 수도를 밀라사에서 이곳으로 옮기고 도시를 발전시켰다. 마우솔로스와 아르테미시아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된 마우솔레움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힌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공격으로 마케도니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영향을 받았다. 이 도시는 헤로도토스, 아르테미시아 1세 등 많은 유명 인물을 배출했으며, 현재는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그 역사를 연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드룸 - 알란 쿠르디
알란 쿠르디는 문서 분석, 주요 주제 통합 및 목차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주제이다. - 보드룸 - 보드룸성
보드룸 성은 15세기 초 성 요한 기사단이 셀주크 투르크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건설한 튀르키예 보드룸 소재의 중세 성으로, 할리카르나소스 마우솔레움의 석재를 재활용하여 지어졌으며, 오스만 제국 공격 후 모스크로 개조되었다가 현재는 수중 고고학 박물관으로 사용된다. - 물라주의 지리 - 크니도스
크니도스는 튀르키예 다트차 반도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로, 도리아 헥사폴리스의 일원이었으며 헬레니즘 시대 의학 학교로 유명했고, 프락시텔레스의 조각상과 크니도스 해전 기념 사자상이 있는 유적지이다. - 물라주의 지리 - 텔메소스
텔메소스는 리키아 서부의 고대 도시로 점술로 유명했으며 델로스 동맹의 일원이었고, 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나스타시오폴리스, 이후 마크리로 불렸으며 현재 튀르키예 페티예에 유적이 있고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의 명목 교구이다. - 도리스 헥사폴리스 - 린도스
린도스는 로도스 섬에 도리아인이 건설한 고대 도시로, 아테나 린디아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를 포함한 다양한 시대의 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 시대 무역 중심지이자 중세 시대 요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도리스 헥사폴리스 - 크니도스
크니도스는 튀르키예 다트차 반도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로, 도리아 헥사폴리스의 일원이었으며 헬레니즘 시대 의학 학교로 유명했고, 프락시텔레스의 조각상과 크니도스 해전 기념 사자상이 있는 유적지이다.
할리카르나소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지리적 위치 | 보드룸, 뮈글라 주, 튀르키예 |
지역 | 카리아 |
유형 | 정착지 |
일반 정보 | |
원어 이름 (카리아어) | alos k̂arnos 𐊠𐊣𐊫𐊰 𐊴𐊠𐊥𐊵𐊫𐊰 |
원어 이름 (그리스어) | Ἁλῐκαρνᾱσσός |
현대 터키어 이름 | Halikarnas |
점유 | 헤로도토스 |
역사 | |
발굴 |
2. 역사
할리카르나소스는 초기에 미케네 문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오르타켄트 근처에서 발견된 미케네 무덤들은 기원전 15세기 말부터 기원전 1200년경까지 이 지역에 미케네인들이 정착했음을 보여준다.[5] 이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현재 보드룸 성에 보관되어 있으며, 고대 아르자와와 아히야와의 영토를 추정하는 단서가 된다.[3]
thumb)의 요새 유적; 기원전 4세기]]
thumb (그리스어: Ἡρόδοτος)는 그의 고향인 할리카르나소스(현대 보드룸)에 동상으로 헌정되었다.]]
할리카르나소스는 도리아인의 식민지로 건설되었으며, 트로이젠과 아르고스가 모 도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민들은 포세이돈의 아들 안테스를 건국자로 여겼다.[2]
할리카르나소는 도리스 헥사폴리스의 일원이었으나, 시민 아가시클레스가 트리오피안 경기에서 우승한 트라이포드를 아폴론에게 바치지 않아 동맹에서 추방되었다. 기원전 5세기 초, 살라미스 해전에서 활약한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1세가 할리카르나소스를 통치했다. 그녀의 손자 할리카르나소스의 릭다미스 2세는 시인 파니아시스를 죽이고 헤로도토스가 고향을 떠나게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6][2]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할리카르나소스에 김나시온을 기증했고, 시민들은 그를 기리는 스토아를 건설했다.[2] 기원전 268년경에는 할리카르나소스 출신 헤르미아스가 키클라데스의 네시오스 동맹의 네시아르크가 되었다.[9]
그러나 할리카르나소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할리카르나소스 공방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키케로는 이곳을 거의 버려진 곳으로 묘사했다.[2]
바로크 예술가 요한 엘리아스 라이딩거는 구리 조각으로 할리카르나소스 공방전과 점령 과정을 묘사했다.
2. 1. 건설
할리카르나소스 건설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란이 있지만, 도리아 인의 식민 도시인 것은 거의 정설이며, 화폐에는 메두사의 머리, 아테네와 포세이돈, 삼지창이 그려져 있어 모 도시는 트리지나와 아르고스로 추정된다. 스트라보에 따르면 주민들은 전설의 건설자를 안테스(Anthes)라 칭하고, 안테아다이(Antheadae)라는 호칭을 사용했다고 한다. Alosδkarnosδ가 금석문에 보이는 할리카르나소스의 고대 이름일 수도 있다고 전해진다.[22]
초기 할리카르나소스는 코스, 크니도스, 린도스, 카메이로스, 이알리소스와 함께 도리아 헥사폴리스를 이루던 여섯 도시 중 하나였다. 그러나 헥사폴리스 경기 대회에서 우승한 할리카르나소스 시민 아가시클레스가 상금인 삼각대를 아폴론 신전에 봉납하지 않고 집에 가져가 할리카르나소스는 동맹에서 이탈하게 되었다. 기원전 5세기 전반에는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1세가 통치했는데, 그녀는 살라미스 해전에서 아케메네스 왕조 측 지휘관으로 참전했다. 그녀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피신달리스(Pisindalis)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후 할리카르나소스를 지배했던 리구다미스는 시인 파뉴아시스를 죽음에 이르게 했고, 기원전 457년경 헤로도토스가 고향 할리카르나소스를 떠나는 원인이 되었다.
2. 2. 헤카톰니드 왕조와 마우솔레움
헤카톰누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카리아의 왕이 되어 기원전 404년부터 기원전 358년까지 통치하며 헤카톰니드 왕조를 세웠다. 그는 세 아들 마우솔로스, 이드리에우스, 픽소다루스와 두 딸 아르테미시아, 아다를 남겼다. 아들들은 모두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으며, 두 딸은 각각 그들의 형제인 마우솔로스와 이드리에우스와 결혼했다.

마우솔로스는 수도를 밀라사에서 할리카르나소스로 옮겼다. 그의 노동자들은 도시의 항구를 깊게 만들었고, 파낸 모래를 사용하여 수로 앞에 방호 방파제를 만들었다.[7] 육지에서는 거리를 포장하고 광장을 만들었으며, 일반 시민들을 위한 집을 지었다. 그리고 항구 한쪽에는 마우솔로스를 위한 거대한 요새화된 궁전을 지어 바다와 언덕 내부를 훤히 볼 수 있도록 배치하여 적들이 공격할 수 있는 곳을 감시했다. 육지에서는 노동자들이 벽과 망루, 그리스 양식의 극장, 아레스에게 바치는 신전을 지었다. 아르테미시아와 마우솔로스는 도시를 장식하기 위해 막대한 세금을 사용했다. 마우솔로스와 아르테미시아는 할리카르나소스와 그 주변 지역을 24년 동안 통치했다.[8] 그들은 조각상, 신전, 반짝이는 대리석 건물들을 의뢰했다.
기원전 353년에 마우솔로스가 죽자 그의 아내이자 여동생이자 계승자인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2세는 도시를 내려다보는 언덕에 그와 자신을 위한 웅장한 무덤 건설을 시작했다. 그녀는 기원전 351년에 사망했다(키케로의 《투스쿨룸 담론》 3.31에 따르면 슬픔으로).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장인들은 후원자의 죽음 이후에도 무덤을 계속해서 작업했으며, "그것이 그의 명성과 조각가의 예술에 대한 기념비라고 생각했다"고 하며, 기원전 350년에 완성했다. 이 마우솔로스의 무덤은 마우솔레움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중 하나가 되었다.
아르테미시아의 뒤를 이어 그녀의 형제 이드리에우스가 왕위에 올랐고, 기원전 344년 그가 사망하자 그의 아내이자 여동생 아다가 계승했다. 그러나 아다는 기원전 340년에 그녀의 형제 픽소다루스에게 찬탈당했다. 기원전 335년 픽소다루스가 죽자 그의 사위이자 페르시아인인 오론토바테스가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3세로부터 카리아의 사트라프를 받았다.
2. 3. 마케도니아의 영향

픽소다로스는 마케도니아 왕국과 동맹을 맺고자 알렉산드로스 3세에게 자신의 딸을 아내로 주겠다고 제안했으나, 알렉산드로스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동방 원정 초기, 마케도니아 군은 할리카르나소스에서 멤논이 이끄는 페르시아 군과 대치했다. 마케도니아 군은 요새를 공략하기 위해 해자에 좁은 다리를 놓았지만 무너져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요새를 함락하지 못한 알렉산드로스 3세는 포위 공격을 할 수밖에 없었으나, 결국 마케도니아가 승리했다.[2] 현재 이 요새와 해자 유적은 보드룸의 관광 명소이다.
알렉산드로스 3세는 할리카르나소스 통치를 마우솔로스 가문의 아다에게 맡겼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이곳에 김나시온을 건설했고, 시민들은 프톨레마이오스 1세를 기리기 위해 주랑 (포르티코)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할리카르나소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포위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어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고, 키케로는 이 땅을 거의 폐허라고 기록했다.
3. 고고학적 발굴과 복원
마우솔로스의 영묘 유적은 보드룸 시내에서 일부 발굴되었지만, 많은 유적들이 시가지 밑에 묻혀있다. 고대 성벽은 거의 전체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러 신전, 할리카르나소스 극장 및 기타 공공 건물의 위치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2]
1857년 찰스 토머스 뉴턴이 마우솔레움을 발굴하여 그 설계가 거의 밝혀졌다. 마우솔레움은 대략 35m × 28m 크기로 돌 제단, 둘레기둥, 피라미드형 지붕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면은 조각 장식된 대리석으로 덮여 있었다. 주위에는 일련의 조각상이 늘어서 있었고,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주 기둥은 36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이 사용되었다. 기둥 사이에도 조각상이 배치되었으며, 일부 복원된 부분에는 그리스인과 아마존의 전투 장면이 양각되어 있다. 또한 실물 크기의 동물과 사육사도 그려져 있다. 주 기둥과 중앙의 방은 아래에서 24개의 계단으로 올라가며, 그 위에 피라미드 형태의 지붕이 있다.[2]
지붕 꼭대기에는 콰드리가가 있었고, 마우솔로스의 조각상도 발견되어 현재는 대영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마우솔레움의 복원 그림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었는데, 찰스 토머스 뉴턴 등의 첫 번째 복원 그림에는 곳곳에 실수가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고대에서 “공중에 갈라져 있다”고 말한 것을 고려한 E. 올드필드의 복원도도 유구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현재 가장 옳다고 여겨지는 것은 독일의 고고학자 F. 아들러가 1900년에 발표한 복원 그림이지만, 그 후에도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2]
4. 유명 인물
- 아르테미시아 1세 (Ἀρτεμισία|아르테미시아grc) (기원전 480년경): 살라미스 해전에 참전한 할리카르나소스의 여왕.[10]
- 헤로도토스 (기원전 484년경~425년경): 그리스의 역사가.[11]
- 디오니시오스 (기원전 60년경~기원전 8년경): 역사가이자 수사학 교사.[12]
- 아가시데스: 그리스의 운동 선수
- 아일리우스 디오니시우스 (2세기경): 그리스의 수사학자이자 음악가
- 헤라클레이토스: 그리스의 비가 시인.[13]
- 헤게시푸스: 안티고노스 1세의 해군 사령관
- 스킬락스: 고대 천문학자.[14][15]
- 클레온: 고대 웅변가.[16][17]
- 포르미오: 고대 권투 선수로, 제97회 고대 올림픽에서 권투 우승자.[18]
- 아시아티쿠스: 제197회 고대 올림픽에서 스타디온 경기 우승자.[19]
- 율리아누스: 할리카르나소스의 주교이자 6세기의 단성론자 지도자.[20][21]
- 파뉴아시스 (기원전 5세기경): 그리스의 시인
- 피그레스: 그리스 시인
참조
[1]
웹사이트
Livius.org Halicarnassus/Bodrum
https://www.livius.o[...]
[2]
EB1911
Halicarnassus
[3]
논문
Phoenician and Luwian in Early Age Cilicia
https://www.cambridg[...]
2015
[4]
서적
The Car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BRILL
2007
[5]
간행물
New Excavations in Caria (PDF)
http://dergiler.anka[...]
1967
[6]
서적
Suda
At the Suda On Line Project
[7]
웹사이트
Bodrum - Premium Travel
https://premiumtrave[...]
2018-05-03
[8]
웹사이트
Halicarnassus Film Festival
http://hffestival.co[...]
2020-05-12
[9]
웹사이트
Identity and resistance: The Islanders’ League, the Aegean islands and the Hellenistic kings
https://www.academia[...]
2012-06
[10]
서적
Great Lives from History: Aaron-Lysippus
https://books.google[...]
Salem Press
[11]
서적
Lifelines in World History: The Ancient World, The Medieval World, The Early Modern Worl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5-26
[12]
서적
Readings from Classical Rhetoric
https://books.google[...]
SIU Press
[13]
웹사이트
Greek Anthology Book 7, 7.80
https://www.perseus.[...]
[14]
웹사이트
Cicero, On Divination, 2.88
http://www.thelatinl[...]
[15]
웹사이트
Cicero, On Divination, 2.88 in english
https://topostext.or[...]
[16]
웹사이트
Plutarch, Laconic Apophthegms, Moralia, 2.212
https://topostext.or[...]
[17]
웹사이트
Plutarch, Life of Agesilaus, 20
https://www.perseus.[...]
[18]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5.21.3
https://www.perseus.[...]
[19]
웹사이트
Eusebius, Chronography, 79
https://topostext.or[...]
[20]
웹사이트
Suda Encyclopedia iota,436
https://www.cs.uky.e[...]
[21]
웹사이트
Suda Encyclopedia, si.271
https://www.cs.uky.e[...]
[22]
서적
The Carian Language
Brill
[23]
저널
할리카르나소스(Halikarnassos)의 마우솔레움(the Mausoleum)을 통해 마우솔로스가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
https://www.kci.go.k[...]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