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쑥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쑥속(Artemisia)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250종이 분포하며, 북반구의 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자란다. 쑥속은 1753년 칼 폰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속명은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에서 유래되었다. 주요 종으로는 향신료로 사용되는 타라곤, 압생트의 원료인 쓴쑥,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개똥쑥 등이 있다. 일부 종은 약용, 식용, 향료 등으로 사용되며, 쑥속의 테르페노이드 성분은 의약품 및 향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쑥속 - 타라곤
    타라곤은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을 허브로 사용하며, 프랑스 요리의 파인 에르브 중 하나로 아니스와 비슷한 향을 내고 요리, 향장품, 약용으로 사용된다.
  • 쑥속 - 제비쑥
    제비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특유의 강한 냄새가 나며, 노란색 꽃이 피고, 어린 잎은 식용 가능하며, 성숙한 잎과 즙은 소화제, 질염, 피부병 치료,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쑥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아르테미시아 키나 - 쾰러의 의학 식물 165
아르테미시아 키나(레반트 웜시드)1897년 프란츠 유겐 쾰러, 쾰러의 의학 식물 그림
학명Artemisia L.
명명자L.
이명Absinthium Mill.
Chamartemisia Rydb.
Oligosporus Cass.
Artemisiastrum Rydb.
Artanacetum (Rzazade) Rzazade
Abrotanum Mill.
Draconia Heist. ex Fabr.
Artemisia 아속 Seriphidium Less.
Hydrophytum Eschw.
Seriphidium (Besser ex Less.) Fourr.
Dracunculus Ruppr. ex Ledeb. 1845, illegitimate homonym, not Dracunculus Mill. 1754 (Araceae)
기준 종Artemisia vulgaris
기준 종 명명자L.
발음IPA: /ˌɑːrtᵻˈmiːziə/
속성
설명국화과에 속하는 꽃 피는 식물의 속
일본어 정보
속명(일본어)ヨモギ属 (요모기 조쿠)
요모기의 어린 잎
요모기의 어린 잎
ヨモギ属 (요모기 조쿠)
한국어 정보
속명(한국어)쑥속
향쑥
향쑥

2. 분류

칼 폰 린네가 1753년에 쑥속(''Artemisia'')을 만들었다. 속명은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로마의 디아나)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 여왕 아르테미시아 1세와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2세의 이름이기도 하다.[5] 특히 기원전 350년에 사망한 식물학자이자 의학 연구자인 카리아의 아르테미시아 2세를 가리킨다.[6][7]

쑥속의 분류는 복잡하다.[18] 2000년 이전에는 쑥속을 아속이나 절로 나누는 것이 분자 데이터로 뒷받침되지 않았고,[4] 2006년 현재에도 분자 데이터가 강력하지 않다.[18]


  • 향쑥 (''A. absinthium'')
  • 개똥쑥 (''A. annua'')
  • 산철쑥(''A. capillaris'')
  • 타라곤 (''A. dracunculus'')
  • 구와쑥 (''A. laciniata'')
  • 참쑥 (''A. lavandulaefolia'')
  • 산쑥 (''A. montana'')
  • (''A. princeps'')
  • 덤불쑥 (''A. rubripes'')
  • 미국산쑥 (''A. tridentata'')


'''아속'''

아속 ''Artemisia''와 ''Absinthium''은 때때로 동일하게 간주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아속 ''Artemisia''(원래 ''Abrotanum'' Besser)는 암꽃 바깥 꽃과 양성 생식의 중심 꽃이 있고, 비옥하며 털이 없는 꽃받침으로 특징지어진다.[1] 아속 ''Absinthium'' DC는 때때로 아속 ''Artemisia''에 병합되지만, 암꽃 바깥 꽃과 양성 생식의 중심 꽃이 있고, 비옥하며 털이 있는 꽃받침으로 특징지어진다.[1] 일반적으로, 이전에 제안된 단형이자 단계통군이 아닌 아속은 분자 증거로 인해 아속 ''Artemesia''와 병합되었다.[1]

2011년에 S. 가르시아와 동료들은 리보솜 DNA 분석과 다른 사람들의 분자 데이터(ITS 서열 분석 등) 검토를 통해 여러 ''Sphaeromeria''와 ''Picrothamnus''(이전에는 ''Artemisia''의 자매 속으로 지정됨) 종을 ''Artemisia''로 재명명하고, 일부 ''Sphaeromeria'' 종을 이전 분류인 ''Artemisia''로 되돌리는 것이 논리적이라고 주장했다.[1] 왓슨과 동료들의 연구에서는 많은 ''Seriphidium'' 및 ''Artemisia'' 종과 관련된 속 ''Arctanthemum'' 및 ''Dendranthema''의 핵 리보솜 DNA의 내부 전사 스페이서를 분석하고 일치시킨 후, 네 개의 아속이 ''Dracunculus''를 제외하고는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4] 이들은 꽃차례 형태만으로는 속 또는 일부 아속을 분류하는 데 신뢰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4] 현재 ''Artemisia spinescens''로 간주되는 ''Picrothamnus'' Nutt. ("bud sage")과 ''Sphaeromeria'' Nutt. ("chicken sage")는 북미 고유종의 몇 가지 예이다.[1]

구 분류에 따라 속 또는 아속 ''Seriphidium''에 포함되는 구대륙 종은 유럽과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특히 중앙아시아에 가장 많은 약 125종이 있다.[17] 북아메리카 식물상과 같은 일부 분류에서는 신대륙 식물을 ''Seriphidium''에서 제외한다.[18] 이들은 초본 식물 또는 작은 관목이다.[17] ''Seriphidium'' Besser는 모든 양성생식 꽃과 비옥하고 매끄러운 꽃받침을 가진 동성 꽃차례로 형태학적으로 분류되었다. ''Tridentatae''는 꽃, 꽃차례, 잎의 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원래 ''Seriphidium'' 내에 분류되었지만, 1981년 McArthur et al.의 분석에서 이러한 유사성이 수렴 진화라고 설명했다.[19]

분자 데이터로 잘 뒷받침되는 한 그룹은 아속 ''Dracunculus''이다. 이 아속은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80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8]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종은 향신료 타라곤(''Artemisia dracunculus'')일 것이다. ''Dracunculus'' Besser.는 역사적으로 암꽃 외화와 양성화 중심 화서가 있고, 암꽃 불임의 매끄러운 꽃받침으로 형태학적으로 특징지어진다. 2011년 엽록체 및 리보솜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두 개의 클레이드로 단일 계통군임을 뒷받침했는데, 그 중 하나는 일부 북미 고유종과 유럽 및 아시아 대부분의 종을 포함하고, 두 번째 클레이드는 동유럽과 시베리아에서 서부 히말라야까지 발견되는 ''A. salsoloides''와 ''A. tanaitica''만을 포함한다.[20] 과거에 제안되었던 속인 ''Mausolea'', ''Neopallasia'' 및 ''Turaniphytum''은 리보솜 및 엽록체 DNA 증거로 인해 현재 아속 ''Dracunculus''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20][21]

'''절'''

''Tridentatae'' 절은 흔히 "세이지브러시"로 불리는 11~13종의 굵은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아메리카 서부 식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8]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이들을 ''Seriphidium'' 속 또는 아속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들이 구세계 종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4]

1916년 라이드버그(Rydberg)가 처음 ''Tridentatae'' 절을 명명했으며, 1981년 맥아더(McArthur) 등이 ''Tridentatae''를 ''Seriphidium''에서 분리된 아속으로 승격시켰다. 이들은 지리적 분포, 화학적 구성, 핵형을 분리의 주된 근거로 제시했다.[9] ''Tridentatae''를 둘러싼 논쟁의 대부분은 식물 지리학적이며, 이 북미 고유 아속의 진화를 이해할 때 서식지와 지리가 자주 언급된다. 습윤 및 건조 기후의 진화적 주기는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지만 구별할 수 없는 배수체 및 다배수체 계통"을 촉진했다(McArthur 598).

''Tridentatae''는 분류군 수준보다는 개체군 수준에서 상당한 염색체 차이를 보인다. 이는 ''Tridentatae''의 계통 발생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아속 내 배수성의 상대적 균질성은 잡종화 및 역교배를 가능하게 하여, 분류군 수준보다 개체군 수준에서 높은 유전적 변이를 초래한다.[10]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서는 ''Tridentatae'' 절이 ''Artemisia bigelovii''와 ''A. palmeri''를 제외하고,[4][8] ''A. pygmaea''와 ''A. rigida''를 포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1] 이는 형태학적, 해부학적, 행동학적 데이터와 다른 광범위한 엽록체 DNA(cpDNA) 및 n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전통적으로 ''Tridentatae'' 내 계통은 잎 형태, 서식지 선호도, 잎 싹을 틔우는 능력 등 형태학적, 행동적 특성을 기반으로 제안되었다.[1] 예를 들어, ''A. tridentata'' 계통의 세이지브러시는 삼지창 잎을 가지며 건조한 서식지에 서식하고 뿌리 싹을 틔울 수 없다.[1]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주어진 계통의 특성을 완전히 따르지 않는 종들에게는 문제가 된다. 건조한 서식지와 간목피의 존재는 ''Tridentatae''가 고유한 아속임을 주장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으며,[12] 아속에 대한 "''Tridentatae'' 핵심" 그룹의 일부 리보솜 분자 증거도 존재한다.[13] 2011년 가르시아(Garcia) 등은 리보솜 및 핵 DNA를 통해 관계를 구축한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Tridentatae''를 확장하여 ''Tridentatae'', ''Nebulosae'', ''Filifoliae'' 절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14][1]

최근 방사된 ''Tridentatae''와 같은 아속에서는 빈번한 반전 및 수렴 진화로 인해 서로 혼합되는 형태가 흔하다. ITS 분석을 통한 ''Artemisia''에 대한 전 세계적 검토 결과, ''Tridentatae''가 구세계 ''Seriphidium''과 독립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4] 이 결과는 두상화 형태와 비교되어, 꽃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과거 가정을 뒤집었다. 구세계 ''Artemisia''에 비해 급격한 다양화와 방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링기아 또는 북극 종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15]

''Tridentatae'' 절에는 ''A. arbuscula''의 아종으로 취급되는 ''A. longiloba''를 제외한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

  • ''Artemisia tridentata''
  • ''Artemisia cana''
  • ''Artemisia nova''
  • ''Artemisia rigida''
  • ''Artemisia arbuscula''
  • ''Artemisia longiloba''
  • ''Artemisia tripartita''
  • ''Artemisia pygmaea''
  • ''Artemisia rothrockii''

''Nebulae'' 절은 ''A. californica'', ''A. nesiotica'', ''A. filifolia''를 포함한다.[16]

과거 분류 체계에서 ''Seriphidium'' 속 또는 아속에 포함되었던 구대륙 종들은 유럽과 온대 아시아, 특히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약 125종이 존재한다.[17] 북아메리카 식물상과 같은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신대륙 식물을 ''Seriphidium''에서 제외한다.[18] 이들은 초본 식물 또는 작은 관목이다.[17]

''Seriphidium'' Besser는 모든 양성생식 꽃과 비옥하고 매끄러운 꽃받침을 가진 동성 꽃차례로 형태학적으로 분류되었다. ''Tridentatae''는 꽃, 꽃차례, 잎의 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원래 ''Seriphidium'' 내에 분류되었지만, 1981년 McArthur et al.의 분석에서 이러한 유사성이 수렴 진화라고 설명했다.[19] 유럽과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125종의 구대륙 ''Seriphidium''은 이전의 ''Seriphidium'' 분류였다. 북미 또는 "신대륙" ''Seriphidium''과 구대륙 ''Seriphidium''. 북미 ''Seriphidium''은 지리적 분포, 생장 습성, 핵형 및 화학 분류학적 유사성 (특정 테르페놀의 존재 등)으로 인해 나중에 ''Tridentatae'' Rydb에 배치되었다.[29]

2. 1. 아속

아속 ''Artemisia''와 ''Absinthium''은 때때로 동일하게 간주되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아속 ''Artemisia''(원래 ''Abrotanum'' Besser)는 암꽃 바깥 꽃과 양성 생식의 중심 꽃이 있고, 비옥하며 털이 없는 꽃받침으로 특징지어진다.[1] 아속 ''Absinthium'' DC는 때때로 아속 ''Artemisia''에 병합되지만, 암꽃 바깥 꽃과 양성 생식의 중심 꽃이 있고, 비옥하며 털이 있는 꽃받침으로 특징지어진다.[1] 일반적으로, 이전에 제안된 단형이자 단계통군이 아닌 아속은 분자 증거로 인해 아속 ''Artemesia''와 병합되었다.[1]

2011년에 S. 가르시아와 동료들은 리보솜 DNA 분석과 다른 사람들의 분자 데이터(ITS 서열 분석 등) 검토를 통해 여러 ''Sphaeromeria''와 ''Picrothamnus''(이전에는 ''Artemisia''의 자매 속으로 지정됨) 종을 ''Artemisia''로 재명명하고, 일부 ''Sphaeromeria'' 종을 이전 분류인 ''Artemisia''로 되돌리는 것이 논리적이라고 주장했다.[1] 왓슨과 동료들의 연구에서는 많은 ''Seriphidium'' 및 ''Artemisia'' 종과 관련된 속 ''Arctanthemum'' 및 ''Dendranthema''의 핵 리보솜 DNA의 내부 전사 스페이서를 분석하고 일치시킨 후, 네 개의 아속이 ''Dracunculus''를 제외하고는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4] 이들은 꽃차례 형태만으로는 속 또는 일부 아속을 분류하는 데 신뢰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4] 현재 ''Artemisia spinescens''로 간주되는 ''Picrothamnus'' Nutt. ("bud sage")과 ''Sphaeromeria'' Nutt. ("chicken sage")는 북미 고유종의 몇 가지 예이다.[1]

구 분류에 따라 속 또는 아속 ''Seriphidium''에 포함되는 구대륙 종은 유럽과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특히 중앙아시아에 가장 많은 약 125종이 있다.[17] 북아메리카 식물상과 같은 일부 분류에서는 신대륙 식물을 ''Seriphidium''에서 제외한다.[18] 이들은 초본 식물 또는 작은 관목이다.[17] ''Seriphidium'' Besser는 모든 양성생식 꽃과 비옥하고 매끄러운 꽃받침을 가진 동성 꽃차례로 형태학적으로 분류되었다. ''Tridentatae''는 꽃, 꽃차례, 잎의 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원래 ''Seriphidium'' 내에 분류되었지만, 1981년 McArthur et al.의 분석에서 이러한 유사성이 수렴 진화라고 설명했다.[19]

분자 데이터로 잘 뒷받침되는 한 그룹은 아속 ''Dracunculus''이다. 이 아속은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에 분포하는 80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8] 이 중 가장 잘 알려진 종은 향신료 타라곤인 ''Artemisia dracunculus''일 것이다. ''Dracunculus'' Besser.는 역사적으로 암꽃 외화와 양성화 중심 화서가 있고, 암꽃 불임의 매끄러운 꽃받침으로 형태학적으로 특징지어진다. 2011년 엽록체 및 리보솜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두 개의 클레이드로 단일 계통군임을 뒷받침했는데, 그 중 하나는 일부 북미 고유종과 유럽 및 아시아 대부분의 종을 포함하고, 두 번째 클레이드는 동유럽과 시베리아에서 서부 히말라야까지 발견되는 ''A. salsoloides''와 ''A. tanaitica''만을 포함한다.[20] 과거에 제안되었던 속인 ''Mausolea'', ''Neopallasia'' 및 ''Turaniphytum''은 리보솜 및 엽록체 DNA 증거로 인해 현재 아속 ''Dracunculus''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20][21]

2. 2. 절

''Tridentatae'' 절은 흔히 "세이지브러시"로 불리는 11~13종의 굵은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아메리카 서부 식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8]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이들을 ''Seriphidium'' 속 또는 아속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이들이 구세계 종과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다.[4]

1916년 라이드버그(Rydberg)가 처음 ''Tridentatae'' 절을 명명했으며, 1981년 맥아더(McArthur) 등이 ''Tridentatae''를 ''Seriphidium''에서 분리된 아속으로 승격시켰다. 이들은 지리적 분포, 화학적 구성, 핵형을 분리의 주된 근거로 제시했다.[9] ''Tridentatae''를 둘러싼 논쟁의 대부분은 식물 지리학적이며, 이 북미 고유 아속의 진화를 이해할 때 서식지와 지리가 자주 언급된다. 습윤 및 건조 기후의 진화적 주기는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지만 구별할 수 없는 배수체 및 다배수체 계통"을 촉진했다(McArthur 598).

''Tridentatae''는 분류군 수준보다는 개체군 수준에서 상당한 염색체 차이를 보인다. 이는 ''Tridentatae''의 계통 발생을 파악하기 어렵게 만든다. 아속 내 배수성의 상대적 균질성은 잡종화 및 역교배를 가능하게 하여, 분류군 수준보다 개체군 수준에서 높은 유전적 변이를 초래한다.[10] 예를 들어, 일부 연구에서는 ''Tridentatae'' 절이 ''Artemisia bigelovii''와 ''A. palmeri''를 제외하고,[4][8] ''A. pygmaea''와 ''A. rigida''를 포함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1] 이는 형태학적, 해부학적, 행동학적 데이터와 다른 광범위한 엽록체 DNA(cpDNA) 및 nr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전통적으로 ''Tridentatae'' 내 계통은 잎 형태, 서식지 선호도, 잎 싹을 틔우는 능력 등 형태학적, 행동적 특성을 기반으로 제안되었다.[1] 예를 들어, ''A. tridentata'' 계통의 세이지브러시는 삼지창 잎을 가지며 건조한 서식지에 서식하고 뿌리 싹을 틔울 수 없다.[1]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주어진 계통의 특성을 완전히 따르지 않는 종들에게는 문제가 된다. 건조한 서식지와 간목피의 존재는 ''Tridentatae''가 고유한 아속임을 주장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으며,[12] 아속에 대한 "''Tridentatae'' 핵심" 그룹의 일부 리보솜 분자 증거도 존재한다.[13] 2011년 가르시아(Garcia) 등은 리보솜 및 핵 DNA를 통해 관계를 구축한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Tridentatae''를 확장하여 ''Tridentatae'', ''Nebulosae'', ''Filifoliae'' 절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14][1]

최근 방사된 ''Tridentatae''와 같은 아속에서는 빈번한 반전 및 수렴 진화로 인해 서로 혼합되는 형태가 흔하다. ITS 분석을 통한 ''Artemisia''에 대한 전 세계적 검토 결과, ''Tridentatae''가 구세계 ''Seriphidium''과 독립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4] 이 결과는 두상화 형태와 비교되어, 꽃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과거 가정을 뒤집었다. 구세계 ''Artemisia''에 비해 급격한 다양화와 방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베링기아 또는 북극 종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15]

''Tridentatae'' 절에는 ''A. arbuscula''의 아종으로 취급되는 ''A. longiloba''를 제외한 다음 종들이 포함된다.

  • ''Artemisia tridentata''
  • ''Artemisia cana''
  • ''Artemisia nova''
  • ''Artemisia rigida''
  • ''Artemisia arbuscula''
  • ''Artemisia longiloba''
  • ''Artemisia tripartita''
  • ''Artemisia pygmaea''
  • ''Artemisia rothrockii''

''Nebulae'' 절은 ''A. californica'', ''A. nesiotica'', ''A. filifolia''를 포함한다.[16]

과거 분류 체계에서 ''Seriphidium'' 속 또는 아속에 포함되었던 구대륙 종들은 유럽과 온대 아시아, 특히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약 125종이 존재한다.[17] 북아메리카 식물상과 같은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신대륙 식물을 ''Seriphidium''에서 제외한다.[18] 이들은 초본 식물 또는 작은 관목이다.[17]

''Seriphidium'' Besser는 모든 양성생식 꽃과 비옥하고 매끄러운 꽃받침을 가진 동성 꽃차례로 형태학적으로 분류되었다. ''Tridentatae''는 꽃, 꽃차례, 잎의 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원래 ''Seriphidium'' 내에 분류되었지만, 1981년 McArthur et al.의 분석에서 이러한 유사성이 수렴 진화라고 설명했다.[19] 유럽과 온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125종의 구대륙 ''Seriphidium''은 이전의 ''Seriphidium'' 분류였다. 북미 또는 "신대륙" ''Seriphidium''과 구대륙 ''Seriphidium''. 북미 ''Seriphidium''은 지리적 분포, 생장 습성, 핵형 및 화학 분류학적 유사성 (특정 테르페놀의 존재 등)으로 인해 나중에 ''Tridentatae'' Rydb에 배치되었다.[29]

3. 주요 종

쑥속에는 북반구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약 250종이 분포하며, 평지에서 고산, 해안과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란다.[42] 일부 고산종은 흰 솜털을 가지고 있어 관엽식물로 재배되기도 하며, 특수한 향기를 가진 종은 향신료나 술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42]

다음은 쑥속의 주요 종 목록이다.


  • 향쑥 (''A. absinthium'')
  • 개똥쑥 (''A. annua'')
  • 산철쑥 (''A. capillaris'')
  • 타라곤 (''A. dracunculus'')
  • 산쑥 (''A. montana'')
  • (''A. princeps'')
  • 덤불쑥 (''A. rubripes'')
  • 미국산쑥 (''A. tridentata'')
  • ''A. abrotanum''
  • ''A. alaskana''
  • ''A. aleutica''
  • ''A. arborescens''
  • ''A. arbuscula''
  • ''A. arctica''
  • ''A. argyi''
  • ''A. australis''
  • ''A. austriaca''
  • ''A. biennis''
  • ''A. bigelovii''
  • ''A. californica''
  • ''A. campestris''
  • ''A. cana''
  • ''A. cina''
  • ''A. douglasiana''
  • ''A. eriantha''
  • ''A. filifolia''
  • ''A. franserioides''
  • ''A. frigida''
  • ''A. furcata''
  • ''A. globularia''
  • ''A. glomerata''
  • ''A. gmelinii''
  • ''A. herba-alba''
  • ''A. japonica''
  • ''A. kauaiensis''
  • 구와쑥 (''A. laciniata'')
  • 참쑥 (''A. lavandulaefolia'')
  • ''A. lindleyana''
  • ''A. longifolia''
  • ''A. ludoviciana''
  • ''A. macrobotrys''
  • ''A. maritima''
  • ''A. mauiensis''
  • ''A. michauxiana''
  • ''A. nesiotica''
  • ''A. nova''
  • ''A. packardiae''
  • ''A. palmeri''
  • ''A. papposa''
  • ''A. parryi''
  • ''A. pattersonii''
  • ''A. pedatifida''
  • ''A. pontica''
  • ''A. porteri''
  • ''A. pycnocephala''
  • ''A. pygmaea''
  • ''A. rigida''
  • ''A. rothrockii''
  • ''A. santonicum''
  • ''A. schmidtiana''
  • ''A. scoparia''
  • ''A. scopulorum''
  • ''A. senjavinensis''
  • ''A. serrata''
  • ''A. sibirica''
  • ''A. siversiana''
  • ''A. stelleriana''
  • ''A. suksdorfii''
  • ''A. tilesii''
  • ''A. tournefortiana''
  • ''A. tripartita''
  • ''A. umbelliformis''
  • ''A. verlotiorum''
  • ''A. vulgaris''


Artemisia abrotanum


Artemisia absinthium


Artemisia annua


Artemisia californica (캘리포니아 세이지브러시) 잎


Artemisia mauiensis (마우이 쑥)


Artemisia nilagirica (닐기리 쑥)


Artemisia pontica (로마 쑥)


Artemisia pycnocephala (해변 세이지워트) 꽃


오키나쑥(''Artemisia abrotanum'')은 허브로 재배되며, 진딧물 방지용 컴패니언 플랜트로 활용된다. 쓴쑥(''Artemisia absinthium'')은 압생트의 원료로 사용된다.[42] 애엽(''Artemisia argyi'')은 뜸의 재료로 사용된다.

3. 1. 한국의 주요 종

한국에는 다양한 쑥속 식물이 자생하고 있으며, 그 중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 (''Artemisia indica'' var. ''maximowiczii'')
  •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
  • 개똥쑥(''Artemisia annua'')
  • 산철쑥(''A. capillaris'')
  • 참쑥(''A. lavandulaefolia'')
  • 구와쑥 (''A. laciniata'')
  • 산쑥 (''A. montana'')
  • 덤불쑥 (''A. rubripes'')


3. 2. 기타 주요 종

쑥속에는 북반구온대 지역을 중심으로 약 250종이 분포하며, 평지에서 고산, 해안과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자란다.[42] 일부 고산종은 흰 솜털을 가지고 있어 관엽식물로 재배되기도 하며, 특수한 향기를 가진 종은 향신료나 술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42]

다음은 쑥속의 주요 종 목록이다:

  • 향쑥 (''A. absinthium'')
  • 개똥쑥 (''A. annua'')
  • 산철쑥 (''A. capillaris'')
  • 타라곤 (''A. dracunculus'')
  • 산쑥 (''A. montana'')
  • (''A. princeps'')
  • 덤불쑥 (''A. rubripes'')
  • 미국산쑥 (''A. tridentata'')


이 외에도 ''A. abrotanum'', ''A. alaskana'', ''A. aleutica'', ''A. arborescens'', ''A. arbuscula'', ''A. arctica'', ''A. argyi'', ''A. australis'', ''A. austriaca'', ''A. biennis'', ''A. bigelovii'', ''A. californica'', ''A. campestris'', ''A. cana'', ''A. cina'', ''A. douglasiana'', ''A. eriantha'', ''A. filifolia'', ''A. franserioides'', ''A. frigida'', ''A. furcata'', ''A. globularia'', ''A. glomerata'', ''A. gmelinii'', ''A. herba-alba'', ''A. japonica'', ''A. kauaiensis'', 구와쑥 (''A. laciniata''), 참쑥 (''A. lavandulaefolia''), ''A. lindleyana'', ''A. longifolia'', ''A. ludoviciana'', ''A. macrobotrys'', ''A. maritima'', ''A. mauiensis'', ''A. michauxiana'', ''A. nesiotica'', ''A. nova'', ''A. packardiae'', ''A. palmeri'', ''A. papposa'', ''A. parryi'', ''A. pattersonii'', ''A. pedatifida'', ''A. pontica'', ''A. porteri'', ''A. pycnocephala'', ''A. pygmaea'', ''A. rigida'', ''A. rothrockii'', ''A. santonicum'', ''A. schmidtiana'', ''A. scoparia'', ''A. scopulorum'', ''A. senjavinensis'', ''A. serrata'', ''A. sibirica'', ''A. siversiana'', ''A. stelleriana'', ''A. suksdorfii'', ''A. tilesii'', ''A. tournefortiana'', ''A. tripartita'', ''A. umbelliformis'', ''A. verlotiorum'', ''A. vulgaris'' 등이 있다.

오키나쑥(''Artemisia abrotanum'')은 허브로 재배되며, 진딧물 방지용 컴패니언 플랜트로 활용된다. 쓴쑥(''Artemisia absinthium'')은 압생트의 원료로 사용된다.[42] 애엽(''Artemisia argyi'')은 뜸의 재료로 사용된다.

4. 생태

쑥 속 식물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되며,[24] 전 세계 다양한 생태계의 일부를 구성한다.

북아메리카에서 여러 종의 쑥 속 식물은 넓은 적응력을 바탕으로 지역 환경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 ''Artemisia papposa''는 건조한 알칼리 평원과 초원에 적응한다.[25] 인터마운틴 서부 지역의 세이지브러시 스텝(Sagebrush Steppe)에서는 ''A. tridentata'', ''A. tripartite'', ''A. arbuscula'' 등이 다양한 풀, 비터 부시 종과 함께 자라며 사슴, 난쟁이 토끼, 영양, 세이지 그루스(Sage Grouse)에게 중요한 환경을 제공한다.[26] 쑥의 계통 발생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식물과 환경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27] ''A.'' ''ludoviciana''와 ''A. Tridentata'' 등을 포함한 쑥은 노간주나무 근처에서 발견되기도 하는데, 특히 엘크혼 산맥 지역의 노간주나무 숲은 여러 동물 종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는 생태계를 형성한다. 이 서식지는 400~600년에 한 번만 불에 타야 하며,[28] 쑥 관목은 200년(일반적으로 88년) 동안 생존할 수 있어 지속적인 서식지를 형성한다.[29] 그러나 정부와 농업 기업이 소와 가축 사료 작물을 위한 토지를 만들기 위해 쑥-노간주나무 군락을 제거하고, Cheatgrass와 같은 침입종으로 인해 쑥속 식물이 감소하면서 식물의 불안정성이 화재 위험을 높여 지역 보존 및 야생 동물 단체에 우려를 야기한다.[30][1]

일부 쑥속 종은 광범위한 뿌리줄기 시스템 등으로 인해 깎거나 뽑는 것에 강하여 비(非) 토착 서식지에 도입되면 침입종이 될 수 있다. 유라시아 원산의 ''A. annua''는 습지에서 발견되며 북아메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귀화되었지만, 켄터키주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잡초 또는 침입종으로 간주된다.[31] 북아메리카의 "common mugwort"로 알려진 ''Artemisia vulgaris''는 1600년대 예수회 사제 및 기타 식민지 개척자들이 연고와 차를 위해 처음 가져왔고, 밸러스트 덤핑을 통해 항구 도시로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다.[32] ''A. vulgaris''는 밀집된 무리로 자라며, 영양분이 부족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어 다른 식물과의 경쟁에서 이긴다. 교란된 서식지, 도시, 도로변, 주차장은 뉴욕주에서 침입종으로 지정된 ''A. vulgaris''의 서식지가 되기 쉽다.[33]

쑥속 식물은 에 흰 털이 많은 것이 많다. 두상화는 작은 것을 다수 달고 있으며, 꽃잎이 눈에 띄지 않는 꽃은 바람에 의한 수분(풍매)에 적응한 것이다. 많은 꽃이 아래를 향해 피는 것은 꽃가루를 흘리기 쉽게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건조지, 사막, 고산곤충이 적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풍매화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종류가 많아 구별이 어려운 것도 있는데, 비교적 새로운 시대에 종분화했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4. 1. 한국의 생태

5. 이용

일부 쑥속 종의 향기로운 잎은 향료로 사용된다. 대부분의 쑥속 종은 매우 쓴맛을 낸다. ''A. dracunculus''(타라곤)은 요리 허브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프랑스 요리에서 중요하다.

''Artemisia vulgaris''(쑥)는 파리, 벼룩나방을 퇴치하고, 회충 구제, 양조(쑥 맥주, 쑥 와인)에 사용되었으며 숙취와 악몽을 위한 치료제로도 사용되었다.

''Artemisia absinthium''(쓴쑥)은 강력한 증류주인 압생트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Malört 역시 쓴쑥을 함유하고 있다. 베르무트는 방향성 허브로 맛을 낸 와인으로, 원래는 쓴쑥으로 만들었다.

''Artemisia arborescens''(나무 쑥 또는 시바/sheebaar)는 중동 원산의 향기로운 허브로, 일반적으로 박하와 함께 차로 사용된다.

소수의 쑥속 종은 관상 식물로 재배되며, 섬세한 질감의 종은 테두리를 자르는 데 사용된다. 모든 쑥속 종은 배수가 잘 되는 모래 토양,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가장 잘 자란다.

살아있는 쑥속 종, 아종 및 품종의 가장 큰 컬렉션은 영국 데번주 시드머스에 있는 국립 쑥속 컬렉션에 보관되어 있으며, 약 400개의 분류군을 보유하고 있다. 국립 컬렉션 계획은 영국 제도에서 Plant Heritage(구 식물 및 정원 보존을 위한 전국 위원회, NCCPG)에 의해 관리된다.[34]

테르페노이드 등의 약용 성분을 함유한 것이 많아 의약품이나 향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 한편, 쑥속은 풍매화이며 많은 꽃가루를 바람에 날리기 때문에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1. 식용

쑥속 식물은 테르페노이드 등의 약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약품이나 향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 한편, 쑥속은 풍매화이며 많은 꽃가루를 바람에 날리기 때문에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2. 약용

아르테미시닌(개똥쑥에서 추출) 및 유도체는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화합물 그룹이다.[35][36] 아르테미시닌 유도체를 포함하는 치료법은 현재 ''열대열 말라리아원충''에 의한 말라리아에 대한 전 세계적인 표준 치료법이다.[35] 투유유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는데, 고대 중국 문헌을 검토하여 아르테미시닌 화합물이 저온에서 최적으로 추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8][39]

세계 보건 기구는 말라리아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어떤 형태로든 ''개똥쑥'' 식물 재료의 홍보 또는 사용을 지지하지 않는다.[40][41]

테르페노이드 등의 약용 성분을 함유한 것이 많아 의약품이나 향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5. 3. 기타

쑥속의 식물은 테르페노이드 등의 약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의약품이나 향료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 한편, 쑥속은 풍매화이며 많은 꽃가루를 바람에 날리기 때문에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6. 문화

학명 ''Artemisia''는 페르시아의 왕비 아르테미스 또는 그리스 신화의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원래는 고대 아시아의 동명의 여신, 로마 신화에서는 디아나, 영어명 다이애나)에서 유래한다. 영어로 쑥속을 가리키는 "아르테미시아"(Artemisia)는 청결한 처녀신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한 것이다.

6. 1. 한국 문화 속 쑥

6. 2. 기타 문화

학명 ''Artemisia''는 페르시아의 왕비 아르테미스 또는 그리스 신화의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원래는 고대 아시아의 동명의 여신, 로마 신화에서는 디아나, 영어명 다이애나)에서 유래한다. 영어로 쑥속을 가리키는 "아르테미시아"(Artemisia)는 청결한 처녀신 아르테미스에서 유래한 것이다.

참조

[1] 문서 1897 illustration from Franz Eugen Köhler, Köhler's Medizinal-Pflanzen
[2] 웹사이트 Artemisia vulgaris https://compositae.l[...]
[3]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Leisure Arts 1995
[4]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Subtribe Artemisiinae (Asteraceae), including Artemisia and its allied and segregate genera 2002-09
[5]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tymology https://www.britanni[...] 2012-06-07
[7] 논문 Etymologia: Artemisinin CDC 2014-07
[8]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Artemisia section Tridentatae (Asteraceae) based on sequences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of nuclear ribosomal DNA 1998-12
[9] 논문 Chromosomal Studies of Subgenus Tridentatae of Artemisia: Evidence for Autopolyploidy
[10] 논문 Evolutionary and ecological implications of genome size in the North American endemic sagebrushes and allies (Artemisia, Asteraceae)
[1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Artemisia Section Tridentatae (Aster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Restriction Site Variation Americ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12] 논문 Interxylary Cork in Artemisia with a Reference to ITS Taxonomic Significance 1940-11
[13] 문서 Shultz 2009, Garcia et al., 2011a
[14] 논문 Taxonomic and Nomenclatural Rearrangements in Artemisia Subgen. Tridentatae, Including a Redefinition of Sphaeromeria (Asteraceae, Anthemideae) 2011-08
[15] 논문 The genus Artemisia (Asteraceae: Anthemideae) at a continental crossroads: molecular insights into migrations, disjunctions, and reticulations among Old and New World species from a Beringian perspective 2012-09
[16] 논문 Revision of ''Artemisia'' subgenus ''Tridentatae''
[17] 웹사이트 22. ''Seriphidium'' (Besser ex Hook.) Fourr. http://www.efloras.o[...] 2006-05-01
[18] 웹사이트 119. ''Artemisia'' Linnaeus http://www.efloras.o[...] 2009-07-06
[19] 서적 Proceedings : Symposium on the Biology of Artemisia and Chrysothamnus : Provo, Utah, July 9-13, 1984 / https://www.biodiver[...] Intermountain Research Station, Forest Service, U.S. Dept. of Agriculture 2021-08-19
[20]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rtemisia subg. Dracunculus (Asteraceae) based on ribosomal and chloroplast DNA sequences 2011
[21] 논문 Life cycle versus systematic placement: phylogenetic and cytogenetic studies in annual Artemisia (Asteraceae, Anthemideae) 2014
[22] 웹사이트 ''Artemisia''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11-11
[23] 웹사이트 GRIN Species Records of ''Artemisia''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2-14
[24] 논문 The Genus Artemisia and its Allies: Phylogeny of the Subtribe Artemisiinae (Asteraceae, Anthemideae) Based on Nucleotide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2003-05
[25] 서적 Leaflets of western botany. https://www.biodiver[...] J. T. Howell 2019-12-18
[26] 웹사이트 Sagebrush Steppe Conservation Project https://northamerica[...]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2019-12-18
[27] 논문 A molecular phylogenetic approach to western North America endemic Artemisia and allies (Asteraceae): untangling the sagebrushes 2011-04
[28] 논문 Fire History, Woodland Structure, and Mortality in a Piñon-Juniper Woodland in the Colorado National Monument 2013-07
[29] 서적 The Glacier Lakes Ecosystem Experiments Site / https://www.biodiver[...]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2021-08-19
[30] 논문 Trajectories of change in sagebrush steppe vegetation communities in relation to multiple wildfires 2012-07
[31] 웹사이트 Plants Profile for Artemisia annua (sweet sagewort) https://plant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9-12-18
[32] 논문 North American History of Two Invasive Plant Species: Phytogeographic Distribution, Dispersal Vectors, and Multiple Introductions 2006-06
[33] 논문 A Review of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ree Invasive Perennials in New York State: Japanese Knotweed (Polygonum cuspidatum), Mugwort (Artemisia vulgaris) and Pale Swallow-wort (Vincetoxicum rossicum) 2005-12
[34] 웹사이트 Artemisia https://www.planther[...] 2022-10-30
[35] 웹사이트 Sweet wormwood (''Artemisia annua'' L.) https://www.drugs.co[...] Drugs.com 2022-03-21
[36] 논문 Assessment of the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antimalarial drugs in vivo 1997-07
[37] 논문 Dried whole-plant Artemisia annua slows evolution of malaria drug resistance and overcomes resistance to artemisinin 2015-01-20
[38] 논문 A Brief History of Qinghaosu 2015-12
[39] 웹사이트 Tu Youyou {{!}} Biography, Malaria, Nobel Prize,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30
[40] 웹사이트 Effectiveness of Non-Pharmaceutical Forms of Artemisia annua L. against malari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4-30
[41] 웹사이트 The use of non-pharmaceutical forms of Artemisia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4-30
[42]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