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태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태후는 초나라 출신으로 진 혜문왕의 후궁이었으며, 아들 진 소양왕을 낳은 후 섭정하며 권력을 장악했다. 그녀는 의거왕과 관계를 맺고 두 아들을 낳았으나, 의거왕을 살해하고 의거를 멸망시켜 영토를 확장했다. 이후 동생들을 요직에 등용하여 권력을 휘둘렀으나, 소양왕에 의해 실각하고 사망했다. 선태후는 진나라의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나, 고향인 초나라와의 전쟁을 피하는 등 평가가 엇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황태후 - 임조칭제
임조칭제는 선왕 사후 어린 왕을 대신하여 태후가 정치를 대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에서 유래하여 여러 시대에 걸쳐 나타났다. - 기원전 3세기 여자 통치자 - 베레니케 2세
베레니케 2세는 기원전 3세기 키레나이카에서 태어나 프톨레마이오스 3세와 결혼하여 이집트의 여왕이 되었으며, 남편의 원정 중 내정을 관리하고 머리카락을 여신에게 바친 일화로 머리털자리의 기원이 된 인물이다. - 기원전 3세기 여자 통치자 - 아르시노에 3세 필로파토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 여왕 아르시노에 3세는 프톨레마이오스 4세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했으며, 라피아 전투에서 활약했고 암살당했으며, 예술과 문화에 기여했다.
선태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미상 |
작위 | 진나라 최초 태후 |
출생일 | 기원전 ?년 |
사망일 | 기원전 265년 |
재위 | 기원전 306년~기원전 251년 |
능묘 | 여산 |
시호 | 선태후 |
출신 제후국 | 초 |
별칭 | 미팔자 |
칭호 | 진의 왕후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혜문왕, 의거왕 |
자녀 | 소양왕, 고릉군 영불, 경양군 영회, 의거왕과의 사이에서 2명의 아들 |
형제 | 위염 (이부 형제), 미융 (친 형제) |
2. 생애
선태후는 초나라 출신으로, 성은 미(芈)씨였다. 진 혜문왕의 후궁이었으며 '팔자'(八子)라는 지위에 있어 미팔자(Mi Bazi)라고도 불렸다.[2][3] 기원전 311년 진 혜문왕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진 무왕이 왕위를 이었으나, 기원전 307년 사고로 후사 없이 사망했다. 조나라의 속국인 대나라의 재상 조고(趙固)와 그녀의 동생 위염의 지원으로 미팔자의 아들 공자 직(稷)이 진 소양왕으로 즉위했다. 미팔자는 선태후가 되었고, 위염의 도움을 받아 어린 진 소양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였다.[2][3]
2. 1. 태후가 되다
기원전 325년, 훗날 소양왕이 되는 공자 직(稷)을 낳았다. 혜문왕 사후, 무왕이 즉위했으나 자식 없이 사망하자 후계 분쟁이 발생했다. 당시 연나라에 볼모로 잡혀 있던 공자 직은 조 무령왕의 도움으로 귀국, 동생인 위염의 지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소양왕이 어렸으므로 미팔자는 태후가 되어 섭정을 시작했고, 위염, 미융 등 동생들의 보좌를 받았다.[2][3]기원전 306년(소양왕 원년), 소양왕의 이복형제인 공자 장(公子 壯)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위염이 진압했다. 이 과정에서 혜문왕의 정실 혜문후도 쫓겨났다.
2. 2. 의거왕과의 관계와 의거 멸망
기원전 331년, 진나라는 의거의 내란을 평정했다.[18] 기원전 327년에는 의거에 현(縣)을 설치했다.[18] 기원전 319년, 의거는 진나라에 맞서 다른 나라들과 연합했으나,[18] 기원전 314년 진나라에 대패했다.[18]진 소양왕 즉위 후, 의거왕이 진나라를 방문했을 때 선태후는 그와 사통하여 두 아들을 낳았다.[18] 기원전 272년, 선태후는 의거왕을 유인하여 살해하고,[18] 군사를 보내 의거를 멸망시켰다.[18] 이후 농서군, 북지군, 상군을 설치하고 장성을 쌓았다.[18] 일각에서는 이 이야기가 진시황의 어머니인 조희의 일화를 바탕으로 꾸며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18]
2. 3. 권력 장악과 몰락
선태후는 위염, 미융 등 네 동생을 요직에 등용했고, 이들은 곧 진나라의 정치를 장악했다. 당시 사람들은 이들을 가리켜 4귀(四貴)라 불렀는데, 이들의 권세는 대단하여 조카인 소양왕과 의논도 하지 않은 채 국사를 마음대로 처리했다. 특히 강한 권력을 휘둘렀던 위염과 미융을 선태후와 함께 3귀(三貴)라고도 불렀다.[19]위나라에서 범수가 망명하자 소양왕은 그를 신하로 삼았다. 범수는 소양왕에게 하(夏)·은(殷)·서주(西周)의 3대가 멸망한 이유는 군주가 정치를 신하에게 맡겼기 때문이라며 태후와 4귀를 파면하고 권력을 되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4]
기원전 265년(소양왕 42년) 소양왕은 선태후를 정치에서 물러나게 하고 4귀를 파면해 관외의 봉지로 추방했다. 이로써 소양왕은 친정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해 10월 선태후가 서거하자 지양(芷陽) 수릉에 안장됐다.[20] 생전에 태후는 정부였던 魏丑夫|위추부중국어에게 순사(殉死)할 것을 명했으나 대신 庸芮|용예중국어의 설득으로 이를 철회했다.[21]
3. 가족 관계
4. 평가와 논란
선태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진나라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권력을 남용하고 지나친 사치를 일삼았다는 비판적인 평가가 공존한다.
긍정적 평가
- 왕권 강화: 소양왕 초기 섭정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진나라가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4]
- 의거 멸망: 동주 시대 징허 북부에서 허타오에 걸쳐 존재했던 이민족인 의거를 멸망시켜 진나라의 서북방 국경을 안정시키고 영토를 확장했다.[18] 이는 진나라 북쪽에 적대적인 세력이 없어짐을 의미하며, 진나라가 동쪽으로 성공적인 확장을 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7]
부정적 평가
- 4귀 중용: 위염, 미융 등 자신의 동생들을 요직에 등용하여 '4귀(四貴)'라 불리는 이들이 국정을 전횡하게 만들었다.[19] 이들은 소양왕과 의논 없이 국사를 처리할 정도로 강력한 권세를 누렸다.[19]
- 사치와 권력 남용: 지나친 사치를 일삼고 권력을 남용했다는 비판을 받는다.[4]
- 의거왕과의 관계: 유목 민족 군주인 의거왕과 사통하고 그를 살해한 행위는 도덕적, 정치적 논란의 대상이 된다.[6] 일각에서는 진 시황제의 어머니인 조희에게도 비슷한 일화가 있고, 선태후의 나이를 고려하면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주장도 있다.[18]
기타
5. 대중문화
닝징은 드라마 《대진제국 2: 연맹》(2012년), 《대진제국 3》(2017년), 《소왕》(2017년)에서 선태후 역을 연기했다.[1][3][5]
쑨리는 드라마 《미월전》(2015년)에서 선태후(미월) 역을 연기했다.[2][4]
참조
[1]
서적
Women Shall Not Rule: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Han to Liao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vol 72 - Biography of the Marquis of Rang
https://zh.wikisourc[...]
2022-05-25
[3]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vol 5 - Annals of Qin
https://zh.wikisourc[...]
2022-05-25
[4]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vol 79 - Biographies of Fan Sui and Cai Ze
https://zh.wikisourc[...]
2022-05-26
[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Zhonghua Book Company
[6]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The Rise of Nomadic Power in East Asian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Qinshi Ji(秦集史)
Zhonghua Book Company
[8]
문서
史記』穣侯列伝:而昭王同母弟曰高陵君・涇陽君。
[9]
문서
史記』穣侯列伝。八子は秦の後宮における位階
[10]
문서
『後漢書』巻八十七 西羌伝
[11]
문서
『戦国策』秦策三
[12]
문서
史記』匈奴列伝:秦昭王時,義渠戎王与宣太后乱,有二子。宣太后詐而殺義渠戎王於甘泉,遂起兵伐残義渠。於是秦有隴西・北地・上郡,築長城以拒胡。
[13]
문서
ただし、宣太后が義渠戎王と私通した事と、後に謀殺した件については年齢や始皇帝の母の趙姫 (荘襄王)|趙姫の類話などの見解から創作と見る説もある。[https://repository.kulib.kyoto-u.ac.jp/dspace/bitstream/2433/73124/1/KJ00004490306.pdf 『史記』匈奴列伝疏証]29P参照
[14]
문서
史記』秦本紀:(秦昭襄王)四十二年十月,宣太后薨,葬芷陽驪山。
[15]
문서
strategem of the warring states
[16]
문서
『戦国策』韓策二
[17]
문서
『사기』 양후 열전:而昭王同母弟曰高陵君・涇陽君。
[18]
문서
『사기』 흉노 열전:秦昭王時,義渠戎王与宣太后乱,有二子。宣太后詐而殺義渠戎王於甘泉,遂起兵伐残義渠。於是秦有隴西・北地・上郡,築長城以拒胡。
[19]
문서
『전국책』 진제3
[20]
문서
『사기』 진본기:(秦昭襄王)四十二年十月,宣太后薨,葬芷陽驪山。
[21]
문서
strategem of the warring sta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