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노부유키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 노부유키 내각은 1939년 8월 30일부터 1940년 1월 16일까지 140일 동안 존재했던 일본 제국의 내각이다. 히라누마 내각의 총사퇴 이후 아베 노부유키가 총리로 지명되어 육군 대신 하타 슌로쿠 등과 함께 내각을 구성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불개입 방침을 내세웠으나, 외교적 난관과 중일 전쟁의 장기화, 육해군의 비협조적인 태도 등으로 인해 정계의 불신임을 받았다. 결국 아베 노부유키는 1940년 1월 16일 내각 총사퇴를 결정하면서 내각은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9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39년 일본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1940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0년 일본 - 삼국 동맹 조약
1940년 일본, 독일, 이탈리아가 체결한 삼국 동맹 조약은 각국의 제국주의적 야망과 상호 지원을 약속했으나, 실제 협력은 제한적이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스즈키 간타로 내각
스즈키 간타로 내각은 1945년 4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존속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포츠담 선언 수락과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결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 쇼와 시대의 내각 (일본 제국)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아베 노부유키 내각 | |
---|---|
내각 정보 | |
내각 명칭 | 아베 노부유키 내각 |
정부 수반 | 아베 노부유키 |
정부 수반 직함 | 내각총리대신 |
국가 원수 | 쇼와 |
국가 원수 직함 | 천황 |
성립일 | 1939년 8월 30일 |
해산일 | 1940년 1월 16일 |
내각 번호 | 36대 |
![]() | |
이전 내각 | 히라누마 내각 |
다음 내각 | 요나이 내각 |
소속 정당 | 입헌민정당 입헌정우회 국민동맹 무소속 군부 |
입법부 임기 | 제75회 제국의회 |
기타 | |
총리 | 아베 노부유키 |
전직 | 예비역육군육군대장 |
여당 | 거국일치내각 |
명단 | 내각 각료 명단 (일본 총리대신 관저) |
2. 성립 배경
히라누마 전 내각은 반소 친독(파시즘) 입장에서 독일-이탈리아-일본 삼국 동맹을 추진하는 육군과 반파시즘 성향의 히라누마 총리 사이에서 대립을 벌였다. 그러나 독소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면서 논의의 전제가 뒤집히자, 히라누마 내각은 내각 총사직을 결정했다. 이후 육군은 아베 노부유키 육군 대장을 지지했고, 사이온지 긴모치 원로, 유아사 구라헤이 내대신 등도 동의하면서, 1939년 8월 29일 아베 노부유키 내각이 발족했다. 성내에서는 무토 아키라 군무국장 등이 아베를 적극 지지했다.
1939년 8월 30일에 아베 노부유키 내각이 성립되면서 각료 명단이 발표되었다.[1] 내각 각료 외에 정무차관과 참여관은 1939년 9월 19일에 임명되었다.[1][6]
인사 과정에서 육군 대신에 대해 쇼와 천황은 신임이 두터운 우메즈 미지로 차관 또는 하타 슌로쿠 시종 무관장을 임명하길 원했고, 육군은 이를 받아들여 하타를 추천했다(우메즈는 노몬한 사건으로 타격을 입은 관동군의 재건에 힘썼다). 외무 대신도 영미 협조를 바라는 희망에 따라 노무라 기치사부로 해군 대장을 임명했다. 정당에서는 입헌 민정당, 입헌 정우회 두 주요 정당이 각각 대신 1명을 배출했다.[1]
3. 내각 구성
직책 이름 정당 임기 시작 임기 종료 내각총리대신 아베 노부유키 군인(육군)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외무대신 아베 노부유키 군인(육군) 1939년 8월 30일 1939년 9월 25일 노무라 기치사부로 군인(해군) 1939년 9월 25일 1940년 1월 16일 내무대신 오하라 나오시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대장대신 아오키 가즈오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육군대신 하타 슌로쿠 군인(육군)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해군대신 요시다 젠고 군인(해군)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사법대신 미야기 초고로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문부대신 가와라다 가키치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농상대신 고도 다쿠오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39년 10월 16일 사카이 다다마사 백작 무소속 1939년 10월 16일 1940년 1월 16일 상공대신 고도 다쿠오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체신대신 나가이 류타로 입헌 민정당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철도대신 나가이 류타로 입헌 민정당 1939년 8월 30일 1939년 11월 29일 나가타 히데지로 무소속 1939년 11월 29일 1940년 1월 16일 식민대신 가네미쓰 쓰네오 입헌 정우회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후생대신 오하라 나오시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39년 11월 29일 아키타 기요시 무소속 1939년 11월 29일 1940년 1월 16일 내각서기관장 엔도 류사쿠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내각 법제국 국장 가라사와 도시키 무소속 1939년 8월 30일 1940년 1월 16일
3. 1. 국무대신
(육대 19기)외무대신, 흥아원 총재 겸임 첫 입각 외무대신 53 아베 노부유키 -- 예비역 육군 대장
(육대 19기)내각총리대신 겸임 첫 입각
1939년 9월 25일 면직[3]54 노무라 기치사부로 -- 예비역해군대장
(해병 26기)첫 입각
1939년 9월 25일 임명[3]내무대신 52 오하라 나오시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후생대신 겸임 대장대신 40 아오키 가즈오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기획원 총재 겸임 첫 입각 육군대신 28 하타 슌로쿠 -- 육군 대장
(육대 22기)대만 사무국 총재 겸임 첫 입각 해군대신 20 요시다 젠고 -- 해군 중장
(갑종 13기)첫 입각 사법대신 39 미야기 쵸고로 -- 사법성 첫 입각 문부대신 50 가와라다 가키치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농림대신 14 고도 다쿠오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예비역 해군 조병 중장상공대신 겸임 1939년 10월 16일 면직[4] 15 사카이 타다마사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백작첫 입각
1939년 10월 16일 임명[4]상공대신 18 고도 타쿠오 -- 귀족원
무소속
(연구회)
예비역 해군 조병 중장농림대신 겸임 체신대신 45 나가이 류타로 -- 중의원
입헌민정당철도대신 겸임 철도대신 17 나가이 류타로 -- 중의원
입헌민정당체신대신 겸임 1939년 11월 29일 면직[5] 18 나가타 히데지로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1939년 11월 29일 임명[5] 척무대신 16 가네미츠 츠네오 -- 중의원
입헌정우회
(금광파)첫 입각 후생대신 3 오하라 나오시 -- 귀족원
무소속
(동화회)내무대신 겸임 1939년 11월 29일 면직[5] 4 아키타 기요시 -- 중의원
무소속
(제1의원 클럽)첫 입각
1939년 11월 29일 임명[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