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투리아스의 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투리아스의 찬가는 아스투리아스 지방을 대표하는 노래로, 스페인어와 아스투리아스어 가사로 불린다. 이 곡은 아스투리아스 지방의 애정을 표현하며,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당시에는 투쟁적인 가사로 개사되어 불리기도 했다. 이 노래는 아스투리아스 지역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낭만주의적 정서와 향수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투리아스주의 음악 - 엘 수에뇨 데 모르페오
엘 수에뇨 데 모르페오는 다비드 페이토, 라켈 델 로사리오, 후안 루이스 수아레스로 구성된 스페인의 팝 록 밴드로서, 2005년 데뷔 앨범 발매 후 스페인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201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스페인 대표로 참가했다. - 권주가 - The Parting Glass
The Parting Glass는 17세기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유래된 작별 노래로, 떠나가는 손님에게 술 한 잔을 권하는 풍습에서 비롯되었으며 다양한 음악가와 매체에서 재해석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 - 권주가 - Johnny I Hardly Knew Ye
Johnny I Hardly Knew Ye는 전쟁에서 심하게 다쳐 돌아온 남편을 알아보지 못하는 아내의 슬픔을 그린 아일랜드의 반전 민요로,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다양한 매체와 예술 작품에 활용되었다. - 스페인의 노래 - 파소도블레
파소도블레는 2박자 리듬의 스페인 음악이자 춤으로, 희극과 보병 행진곡으로 사용되다가 투우와 연관되어 스페인 문화의 일부가 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설이 존재하고 투우사의 움직임을 모방한 춤과 볼룸 댄스 경연에서 선보이는 안무로 발전했다. - 스페인의 노래 - 스페인의 국가
스페인의 국가인 '마르차 레알'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국가 중 하나로, 1770년 공식적인 명예 행진곡으로 지정된 후 공화정 시대를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가사 없이 연주된다.
아스투리아스의 찬가 | |
---|---|
개요 | |
![]() | |
명칭 | 아스투리아스, 사랑하는 조국 |
원어 명칭 | es: Asturias, patria querida ast: Asturies, patria querida |
비공식 명칭 | 어머니, 내가 장작을 가지러 갈 때 |
세부 정보 | |
지역 |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
작곡가 | 미상 |
작사가 | 이그나시오 피녜이로 |
채택일 | 1984년 4월 27일 |
외부 링크 | |
참고 자료 | La Nueva España 기사 |
보관 자료 | polonia-es.com 보관 자료 |
2. 가사
현재 가장 널리 불리는 스페인어 가사는 다음과 같다.[3]
:Asturias, Patria querida,
:Asturias de mis amores;
:¡quién estuviera en Asturias
:en todas las ocasiones!
:Tengo de subir al árbol,
:tengo de coger la flor,
:y dársela a mi morena
:que la ponga en el balcón,
:Que la ponga en el balcón,
:que la deje de poner,
:tengo de subir al árbol
:y la flor he de coger.
아스투리아스어 가사[3] |
---|
아스투리아스, 내가 사랑하는 조국이여,[3]
나의 사랑하는 아스투리아스여.[3]
모든 순간에 아스투리아스에[3]
있을 수 있다면![3]
나는 나무에 올라야 하고,[3]
꽃을 따야 하며,[3]
내 갈색 머리 여자에게 주어[3]
발코니에 놓게 해야 한다.[3]
그녀가 발코니에 놓게 하소서,[3]
그녀가 놓는 것을 멈추게 하소서,[3]
나는 나무에 올라야 하고[3]
꽃을 따야 한다.[3]
아스투리아스, 용감한 땅,
아스투리아스, 투사들의 땅;
혁명에 있어서
내 아스투리아스만한 곳은 없다네.
나는 오비에로 내려가야 하네
내 소총을 쥐고,
그리고 시민군에 맞서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시민군과
돌격대의 겁쟁이들에 맞서,
나는 오비에도로 내려가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아스투리아스의 노동자들은
그들의 영웅심을 증명했네,
성직자 무리들을 물리치고
사나운 자본주의를 이겨냈네.
레루와 CEDA는
스페인의 사형 집행인이며,
일하는 노동자의
정복을 훔치는 자들이다.
스페인어 가사 | 아스투리아스어 가사 |
---|---|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당시 불렸던 이 버전은 원곡의 낭만적인 가사 대신 투쟁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알레한드로 레루와 CEDA를 스페인의 압제자로 규정하고, 노동자들의 투쟁을 강조하는 내용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극심했던 사회적 갈등과 우익 정부에 대한 반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민중봉기를 정당화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가사는 1930년대 스페인 좌파 진영에서 널리 불리며, 반(反)파시즘 투쟁의 상징적인 노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 1. 스페인어 가사
현재 가장 널리 불리는 스페인어 가사는 다음과 같다.[3]:Asturias, Patria querida,
:Asturias de mis amores;
:¡quién estuviera en Asturias
:en todas las ocasiones!
:Tengo de subir al árbol,
:tengo de coger la flor,
:y dársela a mi morena
:que la ponga en el balcón,
:Que la ponga en el balcón,
:que la deje de poner,
:tengo de subir al árbol
:y la flor he de coger.
2. 2. 아스투리아스어 가사
wikitext아스투리아스어 가사[3] |
---|
2. 3. 한국어 해석
아스투리아스, 내가 사랑하는 조국이여,[3]나의 사랑하는 아스투리아스여.[3]
모든 순간에 아스투리아스에[3]
있을 수 있다면![3]
나는 나무에 올라야 하고,[3]
꽃을 따야 하며,[3]
내 갈색 머리 여자에게 주어[3]
발코니에 놓게 해야 한다.[3]
그녀가 발코니에 놓게 하소서,[3]
그녀가 놓는 것을 멈추게 하소서,[3]
나는 나무에 올라야 하고[3]
꽃을 따야 한다.[3]
2. 4. 다양한 버전
스페인어 가사 | 아스투리아스어 가사 |
---|---|
아스투리아스, 용감한 땅,
아스투리아스, 투사들의 땅;
혁명에 있어서
내 아스투리아스만한 곳은 없다네.
나는 오비에로 내려가야 하네
내 소총을 쥐고,
그리고 시민군에 맞서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시민군과
돌격대의 겁쟁이들에 맞서,
나는 오비에도로 내려가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아스투리아스의 노동자들은
그들의 영웅심을 증명했네,
성직자 무리들을 물리치고
사나운 자본주의를 이겨냈네.
레루와 CEDA는
스페인의 사형 집행인이며,
일하는 노동자의
정복을 훔치는 자들이다.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당시 불렸던 이 버전은 원곡의 낭만적인 가사 대신 투쟁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레루와 CEDA를 스페인의 압제자로 규정하고, 노동자들의 투쟁을 강조하는 내용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극심했던 사회적 갈등과 우익 정부에 대한 반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민중봉기를 정당화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가사는 1930년대 스페인 좌파 진영에서 널리 불리며, 반(反)파시즘 투쟁의 상징적인 노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 4. 1.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버전
아스투리아스, 용감한 땅,아스투리아스, 투사들의 땅;
혁명에 있어서
내 아스투리아스만한 곳은 없다네.
나는 오비에로 내려가야 하네
내 소총을 쥐고,
그리고 시민군에 맞서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시민군과
돌격대의 겁쟁이들에 맞서,
나는 오비에도로 내려가
총을 쏘다 죽어야 하네.
아스투리아스의 노동자들은
그들의 영웅심을 증명했네,
성직자 무리들을 물리치고
사나운 자본주의를 이겨냈네.
레루와 CEDA는
스페인의 사형 집행인이며,
일하는 노동자의
정복을 훔치는 자들이다.
스페인어 가사 | 아스투리아스어 가사 |
---|---|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당시 불렸던 이 버전은 원곡의 낭만적인 가사 대신 투쟁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알레한드로 레루와 CEDA를 스페인의 압제자로 규정하고, 노동자들의 투쟁을 강조하는 내용이 특징이다. 이는 당시 극심했던 사회적 갈등과 우익 정부에 대한 반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민중봉기를 정당화하고 독려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가사는 1930년대 스페인 좌파 진영에서 널리 불리며, 반(反)파시즘 투쟁의 상징적인 노래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3. 역사
3. 1. 기원과 초기 형태
3. 2. 스페인 내전과 노래의 변화
스페인 내전 시기, 특히 1934년 아스투리아스 광부 파업 당시 공화파 진영에서 불린 버전의 노래는 다음과 같은 가사를 가지고 있었다.
스페인어 가사 | 아스투리아스어 가사 | 영어 가사 |
---|---|---|
이 가사는 아스투리아스를 용감한 투쟁의 땅으로 묘사하며, 혁명을 위해 오비에도로 내려가 시민군에 맞서 싸우다 죽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또한, 아스투리아스 노동자들의 영웅적 면모를 강조하며, 레루와 CEDA를 노동자의 권리를 억압하는 스페인의 압제자로 규정하고 있다.
3. 3. 공식 찬가 지정
4. 상징적 의미
4. 1. 지역 정체성과 자부심
4. 2. 낭만주의적 정서와 향수
참조
[1]
웹사이트
"'Asturias, patria querida' es un hijo de la emigración"
http://www.lne.es/se[...]
2006-07-31
[2]
웹사이트
"''El himno de Asturias suena a polaco en Avilés''"
http://www.polonia-e[...]
La Nueva España
[3]
웹사이트
Official announcement from the Regional Government of Asturias
https://web.archive.[...]
2010-09-19
[4]
웹사이트
Asturia - Utwory - Cyfrowa
https://bibliotekapi[...]
202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