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피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대형 방패로,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때로는 청동판으로 덮이기도 했다. 스파르타의 람다(Λ) 문양, 아테네의 금눈쇠올빼미, 테베의 스핑크스나 헤라클레스의 방망이 등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되었다. 지름 0.91m, 무게 7.3kg, 두께 25~38mm의 크기로, 어깨에 편안하게 받쳐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아르고스 손잡이로 불리는 혁신적인 손잡이와 팔뚝 고정 장치를 통해 호플리테스들이 방패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아스피스는 강을 건널 때 부력 도구로, 전장에서 시신을 운반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보마르조" 또는 "바티칸" 방패가 바티칸 미술관에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군사 장비 - 클리페우스
클리페우스는 고대 로마에서 시대에 따라 형태와 용도가 다양했던 방패로, 초기에는 둥근 형태였으나 스쿠툼으로 대체된 후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의 권위를 상징하는 요소로 다시 사용되어 황제의 초상이나 승리 기념 조각 등에 활용되었으며 용맹, 미덕, 권력, 지위 등을 상징하는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 방패 - 클리페우스
클리페우스는 고대 로마에서 시대에 따라 형태와 용도가 다양했던 방패로, 초기에는 둥근 형태였으나 스쿠툼으로 대체된 후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의 권위를 상징하는 요소로 다시 사용되어 황제의 초상이나 승리 기념 조각 등에 활용되었으며 용맹, 미덕, 권력, 지위 등을 상징하는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 방패 - 원즈워스 방패
원즈워스 방패는 템스강 원즈워스 지역에서 발견된 철기 시대의 청동 방패 마운트 유물로, 라 텐 문화 스타일의 장식을 특징으로 하며 종교적 봉헌물로 추정되어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아스피스 | |
---|---|
기본 정보 | |
명칭 | 아스피스 (고대 그리스어: ἀσπίς) |
복수형 | 아스피데스 (고대 그리스어: ἀσπίδες) |
로마자 표기 | aspis (아스피스) |
설명 | |
종류 | 방패 |
사용 국가 | 고대 그리스 |
사용자 | 호플리테스 |
관련 단어 | 호플론 (hoplon, ὅπλον): 때때로 이 장비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주로 복수형인 '호플라' (hopla, ὅπλα)로 사용되어 전쟁 도구 전체(무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됨. '호플리테스' (hoplites)는 무장한 남자를 의미함. |
2. 구조
아스피스는 오목한 형태의 대형 방패로, 주로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일부는 청동판으로 보강되었다. 혁신적인 손잡이 구조와 다양한 문양 장식을 통해 기능성과 상징성을 모두 갖춘 고대 그리스 호플리테스의 대표적인 방어구였다.
현대에 구조를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보존 상태가 좋은 유일한 아스피스는 "보마르초(Bomarzo)" 또는 "바티칸" 방패라고 불리며, 바티칸의 그레고리오 에트루리아 박물관(Museo Gregoriano Etrusco)에 보관되어 있다. 1830년에 이탈리아 중부 라치오주 보마르초 인근에서 발견되었다.[6]
2. 1. 재료 및 형태
아스피스는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가장자리에 얇은 청동판을 씌운 경우도 있었다.[8] 지름은 최소 0.91m, 무게는 약 7.3kg, 두께는 25mm~38mm였다.[8][2] 어깨에 편안하게 걸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제작되었다.2. 2. 손잡이
'아르고스 손잡이' 또는 '아르기브 손잡이'라고 불리는 혁신적인 손잡이가 특징이다.[8] 방패 가장자리에 손잡이가 있고, 중앙에는 팔뚝을 고정하는 가죽끈(포르팍스)이 있었다.[8] 이를 통해 호플리테스는 방패를 든 상태에서도 높은 기동성을 확보하고, 공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9]2. 3. 장식
방패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새겨 넣어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8] 스파르타(라케다이몬)는 람다(Λ) 문양을 사용했다.[8] 아테네의 호플리테는 금눈쇠올빼미를, 테베의 호플리테는 스핑크스나 헤라클레스의 방망이를 사용하기도 했다.[8]3. 기능 및 활용
아스피스는 호플리테의 팔랑크스(밀집 대형) 전술, 특히 오티스모스(밀어내기)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아르고스 손잡이라고도 알려진 혁신적인 손잡이 덕분에 호플리테들은 방패를 더 기동성 있게 움직이며 공격 능력을 활용하고 팔랑크스를 더 잘 지원할 수 있었다.[9] 이 방패는 어깨에 얹혀져 무릎까지 내려오는 넓은 크기였다.
아스피스는 강을 건널 때 구명 기구로 사용되거나,[10] 전사자의 시신을 운반하는 용도로도 활용되었다.
4. 현존 유물
현대에 구조의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보존된 아스피스는 단 하나뿐이다. 이 방패는 "보마르조(Bomarzo)" 또는 "바티칸" 방패라고 불리며, 현재 바티칸의 그레고리오 에트루리아 박물관(Museo Gregoriano Etrusco)에 소장되어 있다. 1830년 이탈리아 중부 라치오주 보마르조 근처에서 발견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Hoplite
https://www.worldhis[...]
2022-08-14
[2]
웹사이트
Hoplites Arms and Armor
https://web.archive.[...]
2014-09-09
[3]
서적
The Othismos, Myths and Heresies: The Nature of Hoplite Battle
Sage Publications
[4]
서적
Warfare in Ancient Greece: A Sourcebook
Routledge
[5]
서적
Arms and Armour of the Warrior Saints: Tradition and Innovation in Byzantine Iconography (843–1261)
https://books.google[...]
BRILL
2010-00-00
[6]
서적
Roman Shields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4-07-03
[7]
서적
Land Battles in 5th Century BC Greece: A History and Analysis of 173 Engagement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1-08-11
[8]
웹사이트
Hoplites Arms and Armor
http://faculty.fairf[...]
2014-09-09
[9]
서적
Warfare in Ancient Greece: A Sourcebook
https://archive.org/[...]
Routledge
[10]
서적
Arms and Armour of the Warrior Saints: Tradition and Innovation in Byzantine Iconography (843–1261)
https://books.google[...]
BRILL
2010-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