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베 (그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베는 그리스 보이오티아 지역의 중심 도시로, 고대부터 중요한 도시였다.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선형 B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한다. 테베는 보이오티아 동맹을 이끌며 아테네와 경쟁했고, 페르시아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에파미논다스의 지휘 아래 스파르타를 격파하며 그리스 최강으로 군림했으나, 이후 쇠퇴했다. 현재는 그리스의 주요 교통 요지이며, 관광 산업과 시장 도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테베 - 니네베
니네베는 현재의 이라크 모술 지역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이자 신 아시리아 제국의 마지막 수도로, 기원전 6000년경 건설되어 메소포타미아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기원전 612년 파괴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유적으로 남아있다. - 테베 - 니오베 (탄탈로스의 딸)
니오베는 그리스 신화에서 자녀를 자랑하다 아폴론과 아르테미스 남매의 분노를 사 모든 자녀를 잃고 슬픔에 잠겨 돌이 된 탄탈로스의 딸이자 암피온의 아내로,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고의 상징이 되었다. - 미케네 유적 - 아르고스
아르고스는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의 도시 국가로, 기원전 7,000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파르타와의 경쟁과 쇠퇴,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쳐 그리스 왕국에 속하게 되었고, 농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다양한 유적과 박물관을 보유한 관광 도시이다. - 미케네 유적 - 이올코스
이올코스는 고대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에 위치했던 도시로, 신화에서는 이아손이 황금 양털을 찾아 떠나는 배경이 되었으며, 역사적으로는 데메트리오스 1세에 의해 파괴되었다. - 보이오티아현 - 리바디아
그리스 보이오티아주에 있는 리바디아는 트로포니우스 신탁소로 유명했던 도시이자 지방 자치 단체이며, 리바데이아 성과 헤르키나 강변, 성 게오르기우스의 머리 등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고 2011년 지방자치제 개혁으로 주변 시정촌이 통합되어 현재의 시를 형성했다. - 보이오티아현 - 플라타이아
플라타이아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아테네와 동맹하여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 등 주요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테베에 의해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다.
테베 (그리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테베 |
현지 이름 | Θήβα (티바) |
옛 그리스어 | Θῆβαι (테바이) |
위치 | 중앙 그리스 |
행정 구역 | 보이오티아 |
자치체 | 테베 |
인구 (2021년) | 32,410명 (자치체) |
면적 | 830.112 제곱킬로미터 (자치체) |
고도 | 215 미터 |
시간대 | UTC+2 (표준시) |
시간대 (여름) | UTC+3 |
우편 번호 | 32200 |
지역 번호 | 22620 |
차량 번호판 | KB KT KZ |
웹사이트 | 테베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시장 | (정보 없음) |
소속 정당 | (정보 없음) |
취임 | (정보 없음) |
인구 통계 | |
데모님 | 테베 사람 |
지리 | |
좌표 | 38°19′15″N 23°19′04″E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역사
테베는 보이오티아 지역의 중심 도시로,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도시였다.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선형 B문자 점토판이 출토되었는데, 여기에는 ''te-qa-i''(𐀳𐀣𐀂gmy), ''te-qa-de''(𐀳𐀣𐀆gmy), ''te-qa-ja''(𐀳𐀣𐀊gmy) 등의 형태로 테베를 지칭하는 기록이 남아있다.[3][1][4] 아멘호테프 3세 왕국의 콤 엘-헤탄에서 발견된 조각상 받침대에는 테베와 유사한 이름이 이집트 상형 문자로 표기되어 있기도 하다.[5]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는 테베를 "일곱 개의 문이 있는 테베"(Θῆβαι ἑπτάπυλοι)라고 불렀다.[1]
기원전 6세기경 테베는 보이오티아 동맹을 이끌었으며, 플라타이아 지방에 대한 지배권을 두고 고전 아테네와 경쟁했다. 기원전 506년에는 아테네가 테베의 침입을 격퇴하기도 했다.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를 침공했을 때, 테베는 페르시아 편에 섰다.[6] 테르모필레 전투에 파견된 테베군 400명은 레오니다스와 함께 전사했지만,[6] 지배 귀족들은 크세르크세스 1세와 연합하여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페르시아 편에서 싸웠다.
기원전 457년 스파르타는 테베를 보이오티아의 지배 세력으로 복귀시켰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테베는 스파르타의 동맹국이 되어 아테네에 대항했다. 기원전 424년 델리움 전투에서 테베군은 아테네군에게 큰 승리를 거두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테베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깨고, 기원전 403년에는 아테네의 민주정 복원을 지원했다. 기원전 395년, 테베는 스파르타에 대항하는 동맹의 핵심을 형성했다. 할리아르투스 전투 (기원전 395년)와 코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94년)에서 테베는 군사적 능력을 과시했다. 그러나 기원전 387년의 평화 조약으로 테베는 다른 보이오티아 도시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 기원전 382년에는 스파르타 군이 테베를 점령했으나, 3년 후 추방되었다.
에파미논다스와 펠로피다스가 이끄는 테베군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군을 대파하고 그리스 최강으로 군림했다. 그러나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362년)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사망한 후 테베의 군대는 급속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3차 신성 전쟁 (기원전 356–346년)에서 테베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필리포스 2세의 세력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데모스테네스의 설득으로 테베는 아테네와 연합하여 필리포스 2세에 대항했으나,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에서 패배하고 그리스 지배권을 상실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북방 원정 중이던 기원전 335년, 테베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어 도시가 파괴되고 주민들은 노예로 팔렸다.[7] 알렉산드로스는 핀다로스의 후손 등 일부만을 살려두었다.
알렉산드로스 사후, 테베는 카산드로스에 의해 기원전 316년에 재건되었다.[10] 카산드로스는 테베 재건을 통해 알렉산드로스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했으며, 이는 그리스 전역에서 그에게 호의를 얻게 했다.[11] 아테네, 메갈로폴리스, 메세네 등 여러 도시 국가들이 테베 재건을 지원했다.[11]
재건에도 불구하고 테베는 이전의 명성을 되찾지 못했다. 기원전 293년과 292년에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에게 포위되었으며, 기원전 287년에는 리시마코스 및 아이톨리아 동맹과 동맹을 맺었다.
동로마 제국 시대에 테베는 외세 침략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12] 10세기부터 비단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12세기 중반에는 콘스탄티노플을 능가하는 비잔틴 제국 최대의 비단 생산지가 되었다. 투델라의 벤자민은 1161년 또는 1162년경 테베에 2,000명의 유대인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외하고 12세기 비잔틴 도시 중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였다.[12]
1146년 노르만족에게 약탈당했지만 빠르게 번영을 회복했고, 1205년 제4차 십자군의 라틴족에게 정복될 때까지 급속도로 성장했다. 테베는 부유함 덕분에 프랑크 왕조 드 라 로슈(de la Roche)에 의해 아테네 공국의 수도로 선택되었고, 이후 아테네로 수도를 옮겼다. 1240년 이후 생토메르 가문은 드 라 로슈 공작과 공동으로 도시를 통치했다. 1311년, 테베는 카탈루냐 용병대의 수도가 되었다.
1379년, 나바라 용병대는 테베의 라틴 대주교인 시몬 아투마노의 도움을 받아 테베를 점령했다. 1458년 오스만 제국이 테베를 점령하여 이스테페(İstefe)로 이름을 바꾸고 그리스 독립 전쟁 때까지 지배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1687년부터 12년간 점령하기도 했다.
2. 1. 고대
테베는 보이오티아 지역의 중심 도시였으며, 미케네 문명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의 중요한 도시였다.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선형 B문자 점토판이 출토되어 당시의 문명 수준을 짐작하게 한다.[3] 테베에서 발견된 점토판에는 ''te-qa-i''(), *''Tʰēgʷai̮s'' (Θήβαιςgrc, ''Thēbais'', "테베에서"), ''te-qa-de''(), *''Tʰēgʷasde'' (Θήβασδεgrc, ''Thēbasde'', "테베로"),[1][4] ''te-qa-ja''(), *''Tʰēgʷaja'' (Θηβαίαgrc, ''Thēbaia'', "테베 여성")[1] 등의 형태가 기록되어 있다.지그리드 데거-얄코치는 아멘호테프 3세 왕국의 콤 엘-헤탄에서 발견된 조각상 받침대 (LHIIIA:1)에 테베와 유사한 이름이 이집트 상형 문자로 ''d-q-e-i-s''로 음절적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주목할 만한 네 개의 ''tj-n3-jj'' (다나오스?) 왕국 중 하나로 여겨진다고 주장했다. LHIIIB 시대의 *''Tʰēgʷai''는 헬리콘 산 근처의 라모스, 에우보이아 섬의 그리스 측에 위치한 카리스토스와 아마린토스에서 자원을 끌어올 수 있었다.[5]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테베는 "일곱 개의 문이 있는 테베"(Θῆβαι ἑπτάπυλοι, ''테바이 헵타퓔로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이집트의 "백 개의 문이 있는 테베"(Θῆβαι ἑκατόμπυλοι, ''테바이 헤카톰퓔로이'')와 구별하기 위해서였다. (''일리아스'', IX.383).
기원전 6세기경 테베는 보이오티아 지방의 최대 도시로 보이오티아 동맹을 이끌었으며, 플라타이아 지방에 대한 지배권을 두고 고전 아테네와 경쟁 관계에 있었다. 기원전 506년에는 아테네가 테베의 아티카 침입을 격퇴하기도 했다.
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를 침공했을 때, 테베는 그리스 대신 페르시아 편에 서서 아테네와 대항했다.[6] 테르모필레 전투에 파견된 테베군 400명은 레오니다스와 함께 전사했지만,[6] 지배 귀족들은 크세르크세스 1세와 연합하여 플라타이아 전투에서 페르시아 편에서 싸웠다. 이후 테베는 델포이 암피크티오니에서 추방될 뻔했으나, 아테네의 중재로 좌절되었다.
기원전 457년 스파르타는 테베를 보이오티아의 지배 세력으로 복귀시켰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테베는 스파르타의 동맹국이 되어 아테네에 대항했다. 기원전 424년 델리움 전투에서 테베군은 아테네군에게 큰 승리를 거두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후, 테베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깨고, 기원전 403년에는 아테네의 민주정 복원을 지원했다. 기원전 395년, 테베는 스파르타에 대항하는 동맹의 핵심을 형성했다. 할리아르투스 전투 (기원전 395년)와 코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94년)에서 테베는 군사적 능력을 과시했다. 그러나 기원전 387년의 평화 조약으로 테베는 다른 보이오티아 도시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했다. 기원전 382년에는 스파르타 군이 테베를 점령했으나, 3년 후 추방되었다.
에파미논다스와 펠로피다스가 이끄는 테베군은 레욱트라 전투 (기원전 371년)에서 스파르타군을 대파하고 그리스 최강으로 군림했다. 테베는 펠로폰네소스로 진출하여 스파르타의 경제 기반을 약화시켰다. 그러나 만티네이아 전투 (기원전 362년)에서 에파메이논다스가 사망한 후 테베의 군대는 급속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제3차 신성 전쟁 (기원전 356–346년)에서 테베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필리포스 2세의 세력을 확장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데모스테네스의 설득으로 테베는 아테네와 연합하여 필리포스 2세에 대항했으나, 카이로네이아 전투 (기원전 338년)에서 패배하고 그리스 지배권을 상실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북방 원정 중이던 기원전 335년, 테베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어 도시가 파괴되고 주민들은 노예로 팔렸다.[7] 알렉산드로스는 핀다로스의 후손 등 일부만을 살려두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포키온이 이끄는 아테네 사절단은 알렉산드로스를 설득하여 데모스테네스 등 반마케도니아 세력 지도자들의 추방 요구를 철회하도록 했다.[8]
플루타르코스는 알렉산드로스가 테베 파괴를 후회했으며, 테베인들에게 호의를 베풀었다고 기록했다.[9] 알렉산드로스 사후, 테베는 카산드로스에 의해 기원전 316년에 재건되었다.[10] 카산드로스는 테베 재건을 통해 알렉산드로스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했으며, 이는 그리스 전역에서 그에게 호의를 얻게 했다.[11] 아테네, 메갈로폴리스, 메세네 등 여러 도시 국가들이 테베 재건을 지원했다.[11]
재건에도 불구하고 테베는 이전의 명성을 되찾지 못했다. 기원전 293년과 292년에 데메트리오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에게 포위되었으며, 기원전 287년에는 리시마코스 및 아이톨리아 동맹과 동맹을 맺었다.
2. 2. 중세 및 근대
동로마 제국 시대에 테베는 외세 침략의 피난처 역할을 했다.[12] 10세기부터 비단 무역의 중심지로 번성하여, 비단 공방이 발전했다. 12세기 중반에는 콘스탄티노플을 능가하는 비잔틴 제국 최대의 비단 생산지가 되었다. 테베의 여성들은 직조 기술로 명성을 얻었으며, 테베 비단은 높은 품질과 명성으로 인해 귀하게 여겨졌다.[12] 투델라의 벤자민은 1161년 또는 1162년경 테베에 2,000명의 유대인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제외하고 12세기 비잔틴 도시 중 가장 큰 유대인 공동체였다.[12]1146년 노르만족에게 약탈당했지만 빠르게 번영을 회복했고, 1205년 제4차 십자군의 라틴족에게 정복될 때까지 급속도로 성장했다. 테베는 부유함 덕분에 프랑크 왕조 드 라 로슈(de la Roche)에 의해 아테네 공국의 수도로 선택되었고, 이후 아테네로 수도를 옮겼다. 1240년 이후 생토메르 가문은 드 라 로슈 공작과 공동으로 도시를 통치했다. 1311년, 테베는 카탈루냐 용병대의 수도가 되었다.
1379년, 나바라 용병대는 테베의 라틴 대주교인 시몬 아투마노의 도움을 받아 테베를 점령했다. 1458년 오스만 제국이 테베를 점령하여 이스테페(İstefe)로 이름을 바꾸고 그리스 독립 전쟁 때까지 지배했다. 베네치아 공화국이 1687년부터 12년간 점령하기도 했다.
3. 행정 구역
2011년 칼리크라티스 계획에 따라 테베는 플라타이, 티스비, 바기아와 합병되어 더 큰 규모의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다. 이들은 테베 시의 하위 행정 구역이 되었다.[2]
현재 테베 시는 2011년 1월 시행된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구 테베 시를 포함한 4개의 자치 단체가 합병하여 만들어졌다. 구 자치 단체는 새로운 테베 시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디모티키 에노티타)이 되었다.
| | 구 자치 단체 | 철자 | 청사 소재지 | 면적 | 인구 |
---|---|---|---|---|---|
5 | 바기아 | Βάγιαel | 바기아 | 91.1 | 4,509 |
10 | 테베 | Θήβαel | 테베 | align=right| | 23,820 |
11 | 티스비 | Θίσβηel | 돔브레나(Δομβραίνα) | align=right| | 4,480 |
15 | 플라타이아이 | Πλαταιέςel | 카파렐리(Καπαρέλλι) | 172.5 | 4,715 |
3. 1. 상세 구역
테베 시역에는 인구 1,000명 이상의 다음과 같은 도시 및 취락이 있다.- 테베 (테베 지구) - 21,211명
- 바기아 (바기아 지구) - 4,509명
- 카파렐리(Καπαρέλλι) (플라테에스 지구) - 1,549명
- 돔브레나(Δομβραίνα) (티스비 지구) - 1,188명
- 레우크트라(Λεύκτρα) (플라테에스 지구) - 1,020명
시 인구 대다수는 테베에 집중되어 있으며, 바기아는 테베 서쪽 약 15km에 있다. 시역은 플라테에스 지구와 티스비 지구를 통해 코린토스 만에 접해 있지만, 지형적 제약으로 연안 취락은 발전하지 못했다. 연안 취락 중 가장 큰 규모는 알리키(Αλυκή) (티스비 지구, 382명)이다.
3. 1. 1. 테베 지구
테베 지구(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Θηβαίων|디모티키 에노티타 티베온el)는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의 구 테베 시에 해당하며, 다음의 키노티타(도시·촌락)로 구성된다.키노티타 | 마을 | 인구 (2001년 기준) |
---|---|---|
Δ.δ. Θηβαίων|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티베온el | η Θήβα|이 티바el (테베) | 21,211명 |
Δ.δ. Αμπελοχωρίου|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암벨로호리우el | το Αμπελοχώρι|토 암벨로호리el (암벨로호리) | 324명 |
Δ.δ. Ελεώνος|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엘레오노스el | ο Ελεώνας|오 엘레오나스el (엘레오나스) | 724명 |
Δ.δ. Μουρικίου|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무리키우el | το Μουρίκι|토 무리키el (모우리키) | 437명 |
το Καστρί|토 카스트리el (카스트리) | 10명 | |
τα Πλατανάκια|타 플라타나키아el (플라타나키아) | 172명 | |
Δ.δ. Νεοχωρακίου|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네오호라키우el | το Νεοχωράκι|토 네오호라키el (네오호라키) | 557명 |
Δ.δ. Υπάτου|디모티코 디아메리스마 이파투el | το Ύπατο|토 이파토el (이파토) | 382명 |
η Μονή Μεταμορφώσεως Σωτήρος Σαγματά|이 모니 메타모르포세오스 소티로스 사그마타el | 3명 |
3. 1. 2. 플라타이아이 지구
카파렐리(Καπαρέλλιel)와 레우크트라(Λεύκτραel)는 플라타이아이 지구에 속하며, 각각 1,549명, 1,020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이 지역은 플라타이아이 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이다.3. 1. 3. 티스비 지구
코린토스 만에 접해 있는 티스비 지구에는 돔브레나(Δομβραίνα|Domvrenael) 등의 마을이 있으며, 인구는 1,188명이다. 지형적 제약으로 인해 연안 취락은 발전하지 않았으며, 티스비 지구에서 가장 큰 취락은 Αλυκή|Alikiel (382명)이다.3. 1. 4. 바기아 지구
바기아(Βάγιαel)는 테베 서쪽 약 15km에 위치한 지역으로, 테베 시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바기아 지구의 인구는 4,509명이다.4. 지리
테베는 보이오티아 평원 남단, 키타이론 산맥 북쪽 기슭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일리키 호수와 파라림니 호수가 있다. 이 호수들은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남쪽은 키타이론 산맥의 산악 지대가 이어지며, 코린티아코스 만 연안은 산이 바다로 떨어지는 지형이다. 키타이론 산맥은 보이오티아와 아티카를 가르는 경계선이다.[14]
5. 신화
테베는 그리스 신화에서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한다. 카드모스, 오이디푸스, 디오니소스 등 여러 신화 속 인물들이 테베와 관련되어 있으며, 헤라클레스의 탄생지이기도 하다.
5. 1. 주요 신화
테베의 초기 역사는 고대 그리스인들 사이에 풍부한 전설로 전해지며, 트로이 신화에 버금갈 정도로 광범위하게 얽혀 있었다. 고전 시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친 테베의 주요 신화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카드모스의 카드메이아 성채 건립과 스파르토이 이야기: 테베 귀족 가문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어원론적 신화로 추정된다.
# 세멜레와 디오니소스 탄생
# 암피온의 성벽 건설과 제토스, 안티오페, 디르케 이야기
# 라이오스와 오이디푸스, 테베를 공격한 일곱 장수와 에피고노이 이야기: 라이오스의 소년애적 강간인 크리시포스 강간은 일부 고대인들에게 인간 사이의 동성애 최초 사례로 여겨졌으며, 테베가 유명했던 교육적 소년애 행위에 대한 기원을 제공했을 수 있다.
# 헤라클레스 이야기
그리스인들은 테베를 건설한 인물로 티레 (현재 레바논에 위치) 출신의 페니키아 왕이자 에우로파의 형제인 카드모스를 꼽았다. 카드모스는 페니키아 문자를 가르치고 아크로폴리스를 건설했으며, 아크로폴리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카드메이아라고 명명되었고, 지적, 정신적, 문화적 중심지가 되었다.
6. 경제
현대 그리스에서 테베는 번화한 시장 도시이다. 1980년대까지는 농업 생산과 일부 산업 단지가 발달했으나,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에 대부분의 산업 시설이 아테네 인근으로 이전하였다.
이 지역의 관광 산업은 주로 테베와 주변 마을을 기반으로 하며, 플라타이아이 전투 전장과 같은 고대 유적 관련 명소가 많다. 아테네와 칼키다 등 다른 유명 관광지와 가깝지만, 고고학 유적이 개발되지 않아 관광객 수는 적은 편이다.[13]
7. 교통
테베는 그리스의 주요 교통 요지 중 하나이다. A1 고속도로(유럽 고속도로 E75)와 아테네-테살로니키 철도가 도시를 통과한다. GR-3 도로(유럽 고속도로 E962)는 테베에서 엘레프시나로 이어진다. GR-44 도로는 테베에서 할키다, 칼리스토스로 이어진다.
; 자동차 도로
- A1 고속도로: [… 테살로니키 - 라미아] - 티바 - [아테네]
- GR-1 도로: [… 테살로니키 - 라미아] - 티바 - [아테네]
- GR-3 도로: [… - 리바디아 - 알리아르토스 - 티바 - 엘리트레스 - 엘레프시나
- GR-44 도로: 티바 - [할키다 - 칼리스토스]
; 유럽 고속도로
- E75번선: [… - 라미아] - 티바 - [아테네 - …] (GR-1)
- E962번선: 티바 - [엘레프시나|엘리트레스 - 엘레프시나] (GR-3)
; 그리스 철도 공사
- 간선 철도망(Major Rail network) : 표준궤
- * [테살로니키] - 테베역 - [아테네]
8. 기후
알리아르토스 인근 기상 관측소에 따르면 테베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서늘하고 습한 겨울을 보이는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테베가 때때로 에게해의 해양 효과 강설의 영향을 받아[15] 여러 차례 적설량이 50cm 이상에 달하기도 한다.[16][17] 내륙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테베는 매우 낮은 최저 기온을 기록하기도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아테네 국립 천문대가 시내에서 운영하는 기상 관측소에 따르면, 2017년 1월 10일에 기록된 최저 기온은 -7.9°C이다.[18] 반면에, 이 도시는 폭염 기간 동안 여름에 매우 더울 수 있으며, 2021년 8월 3일에 44.5°C의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19]
9. 출신 인물
테베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생몰년 | 직업 | 비고 |
---|---|---|---|
핀다로스 | 기원전 518년–기원전 443년 | 시인 | |
아타기누스 | 기원전 5세기 | 과두 정치인 | |
펠로피다스 | 기원전 420년경–기원전 365년 | 장군, 정치가 | 스파르타에 대한 반란 주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테베의 "신성대" 지휘 |
에파미논다스 | 기원전 418년경–기원전 362년 | 장군, 정치가 | 레우크트라 전투와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테베 군대 지휘 |
Aristides of Thebes|테베의 아리스티데스|아리스티데스영어 | 기원전 4세기 | 화가 | |
Nicomachus of Thebes|테베의 니코마쿠스|니코마코스영어 | 기원전 4세기 | 화가 | |
테베의 크라테스 | 기원전 365년경–기원전 285년경 | 견유학 철학자 | |
클레이토마코스 | 기원전 3세기 | 운동선수 | |
누가 복음사가 | 84년 사망 | 이곳에 묻힘 | |
테베의 루푸스 | 1세기 | 테베의 주교 | |
하리스 알렉시우 | 1950년 출생 | 가수 |
9. 1. 고대
테베 주변의 고고학적 발굴로 이 지역이 미케네 문명의 중요한 정착지였음이 밝혀졌는데, 청동기 시대의 중요한 도시임을 알려주는 선형 B문자 점토토기들이 출토되었다. 기원전 6세기경 테베는 보이오티아 지방의 최대도시로 보이오티아 동맹을 이끌었으며, 전통적으로 플라타이아 지방에 대한 지배권을 두고 아테네와는 경쟁관계에 있었다.기원전 480년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가 그리스를 침공했을 때 테베는 그리스 편이 아니라 페르시아의 편에서 아테네와 대항했으며, 그 이후 벌어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는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고 아테네와 대립했으나 전쟁 말기 동맹이 깨지고 스파르타의 침공을 받았다. 스파르타의 지배를 받던 테베는 기원전 379년 이후 반란을 일으켜 동맹을 다시 결성하고 스파르타에 맞섰는데, 기원전 371년 에파미논다스가 지휘하는 테베군은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군을 대파하고 이후 10년동안 그리스 최강으로 군림했다.
그러나 에파미논다스가 기원전 362년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죽은 후 테베의 군대는 급속히 쇠퇴하기 시작했고, 결국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에게 굴복할 수밖에 없었다. 기원전 338년 테베는 아테네와 연합으로 필리포스 2세에게 대항하여 카이로네아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하고 테베에는 마케도니아 군대가 주둔했다. 이후는 계속 마케도니아의 간섭을 받고 기원전 33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반대하는 봉기가 일어났으나, 주민들이 대량학살되고 도시의 거의 전부가 파괴되었다. 테베는 기원전 316년 카산드로스에 의해 재건되었으나, 이후 그리스 세계에서 주도적인 위치는 한번도 차지하지 못하고 작은 마을 수준에 머물다가 로마의 지배에 들어갔다.
테베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생몰년 | 직업 | 비고 |
---|---|---|---|
핀다로스 | 기원전 518년–기원전 443년 | 시인 | |
아타기누스 | 기원전 5세기 | 과두 정치인 | |
펠로피다스 | 기원전 420년경–기원전 365년 | 장군, 정치가 | 스파르타에 대한 반란 주도, 레욱트라 전투에서 테베의 "신성대" 지휘 |
에파미논다스 | 기원전 418년경–기원전 362년 | 장군, 정치가 | 레욱트라 전투와 만티네이아 전투에서 테베 군대 지휘 |
Aristides of Thebes|테베의 아리스티데스|아리스티데스영어 | 기원전 4세기 | 화가 | |
Nicomachus of Thebes|테베의 니코마쿠스|니코마코스영어 | 기원전 4세기 | 화가 | |
테베의 크라테스 | 기원전 365년경–기원전 285년경 | 견유학 철학자 | |
클레이토마코스 | 기원전 3세기 | 운동선수 | |
누가 복음사가 | 84년 사망 | 이곳에 묻힘 | |
테베의 루푸스 | 1세기 | 테베의 주교 |
9. 2. 현대
하리스 알렉시우 (1950년 출생)는 그리스의 가수이다.참조
[1]
LSJ
Θῆβαι
[2]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3]
웹사이트
Thebes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4-03-19
[4]
LSJ
Θήβασδε
[5]
학술지
Sacrificial Feasting in the Linear B documents
http://sites.utexas.[...]
[6]
서적
Bibliography
[7]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http://www.britannic[...]
[8]
서적
Phocion
[9]
서적
Plutarch's Lives, Volume III, Life of Alexander, Chapter 13
[10]
서적
Universal Biography, Vol. 1
[11]
서적
The History of Greece, Vol. 2
[12]
서적
Travellers, Merchants and Settler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11th-14th Centuries
Routledge
[13]
서적
Arvanitika: die albanischen Sprachreste in Griechenland
O. Harrassowitz
[14]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5]
웹사이트
Τι είναι το "Aegean Effect Snow"
https://hellenicweat[...]
2023-06-20
[16]
웹사이트
Μεγάλες ποσότητες χιονιού καταγράφονται στην Θήβα από τις πυκνές χιονοπτώσεις που ξεκίνησαν από τα ξημερώματα της Τρίτης (video)
https://www.forecast[...]
2023-06-20
[17]
웹사이트
Βυθίστηκαν στο χιόνι Φθιώτιδα και Βοιωτία - Χωρίς θέρμανση και ρεύμα πολλές περιοχές
https://www.in.gr/20[...]
2023-06-20
[18]
웹사이트
Meteosearch
https://meteosearch.[...]
2023-06-20
[19]
웹사이트
Κλιματικά Δεδομένα ανά Πόλη- ΜΕΤΕΩΓΡΑΜΜΑΤΑ, ΕΜΥ, Εθνική Μετεωρολογική Υπηρεσία
http://www.emy.gr/em[...]
HNMS
20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